KR100572235B1 -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235B1
KR100572235B1 KR1020010015912A KR20010015912A KR100572235B1 KR 100572235 B1 KR100572235 B1 KR 100572235B1 KR 1020010015912 A KR1020010015912 A KR 1020010015912A KR 20010015912 A KR20010015912 A KR 20010015912A KR 100572235 B1 KR100572235 B1 KR 10057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camera
lens cover
light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712A (ko
Inventor
타카기주니치
야마네켄지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렌즈 커버의 활주는 연동 레버에 의해 라이트 가이드에 전달된다.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라이트 가이드는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위치에 세팅된다.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에 세팅될 때,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은 카메라 본체로 퇴피한다.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할 때, 플래시 장치는 발광 모드로 세팅된다. 플래시 장치가 충전되면, 점멸광이 라이트 가이드의 일단으로부터 발광된다. 라이트 가이드가 카메라 본체에 수조작으로 눌리면, 라이트 가이드는 록 기구에 의해 예비 퇴피 위치로 유지되고, 플래시 장치는 충전 금지 모드로 세팅된다. 라이트 가이드가 다시 눌리면, 라이트 가이드는 돌출 위치로 복귀한다.
연동 기구, 라이트 가이드,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

Description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CAMERA WITH A CHARGE COMPLETION IND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충전 상태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렌즈 커버, 연동 기구 및 충전 상태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에 세팅될 때 라이트 가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될 때 라이트 가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에 세팅되는 동안 라이트 가이드가 강제로 돌출 위치로 눌리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카메라의 충전 금지 모드에서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라이트 가이드가 퇴피 위치로 눌리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a∼도 9c는 플래시 스위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라이트 가이드용 록 기구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라이트 가이드가 퇴피 위치에 세팅될 때, 록 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라이트 가이드가 돌출 위치에 세팅될 때, 록 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라이트 가이드가 예비 퇴피 위치에 세팅될 때, 록 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에 세팅될 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될 때, 도 14와 마찬가지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충전 상태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라이트 가이드용 록 기구를 갖는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18a 및 도 18b는 발광면을 갖는 라이트 가이드의 선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플래시 장치용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렌즈 커버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는 충전 완료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장치용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가 일본 특개평 10-153814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11-64951호 공보(PCT/JP98/03701로 출원되고, 1999 3월 4일자 WO99/10772으로 국제 공개됨)에 개시되어 있다. 메인 커패시터가 완전히 충전되면, 충전 완료 표시 장치는 라이트 신호를 발생한다. 이들 출원에서는 충전의 완료는 카메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통보된다. 이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의 전면에 있는 플래시 작동 부재를 ON 위치로 활주시키면, 플래시 충전 스위치가 ON함과 동시에, 충전 표시기가 표시 위치로 이동한다. 이 충전 표시기로서는 각주(角柱) 상의 라이트 가이드가 이용된다. 이 라이트 가이드는 선단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한 돌출 위치와, 선단이 카메라 본체 내로 들어간 퇴피 위치 사이를 수직으로 이동한다. 플래시 장치의 메인 커패시터가 소정 전압까지 충전되면, 카메라 본체 내의 적색LED가 점멸한다. 이 적색LED의 적색광은 라이트 가이드를 지나, 그 선단으로부터 발광된다.
상기한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의 개선에 관한 PCT 출원이 있었다(PCT/JP/98/04425호. 1999년 4월 15일자 WO99/18477호로 국제 공개됨). 이 출원에서 카메라는 렌즈 커버를 갖는다. 이 카메라는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에 세팅되어 있을 때는 플래시 작동 부재가 OFF 위치로 유지되고, ON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되어 있을 때는 플래시 작동 부재가 ON 위치와 OFF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플래시 작동 부재를 ON 위치에 세팅하면, 플래시 충전 스위치가 ON하고, 또 충전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라이트 가이드가 돌출 위치로 이동한다. 플래시 작동 부재를 OFF 위치에 세팅하면, 라이트 가이드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그리고 플래시 스위치가 OFF한다. 플래시 작동 부재가 ON 위치에 있을 때에, 렌즈 커버를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플래시 작동 부재가 OFF 위치에 복귀하고, 그리고 라이트 가이드가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플래시 장치는 야간 촬영에서의 조명 광원으로서 주로 이용된다. 플래시 장치를 데이라이트 촬영에 사용하면, 순광 장면의 촬영에서는 플래시광에 의해 인물의 얼굴 등이 노출 과다가 된다. 그러나 태양의 광에 비해 플래시광의 비율이 훨씬 작으면, 이 정도의 노출 과다는 사진 필름의 래티튜드에 의해 커버된다. 이 때문에, 플래시 촬영을 한 순광 장면의 픽처 프레임으로부터 작성된 프린트 사진에는 노출 과다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데 역광 장면에 대해 플래시광을 사용하면, 노출 부족에 의해 인물의 얼굴이 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플래시 장치를 상시 사용해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카메라는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플래시 장치의 작동이 금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플래시 스위치를 ON하고 라이트 가이드를 이동하기 위한 플래시 작동 부재의 조작이 필요하여, 조작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촬영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래시 장치가 상시 플래시광을 발광하는 방식이더라도, 플래시 장치의 충전 또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플래시 장치로부터의 플래시광 방출을 금지하는 작동을 위한 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순광 장면에서의 건전지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플래시광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상술한 견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이 쉬운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 상태 표시기를 갖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전 상태 표시기는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카메라 본체로부터 충전 표시기를 돌출시키는 돌출 위치와 카메라 본체에 충전 상태 표시기를 후퇴시키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활주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렌즈 커버를 움직임으로써 플래시 스위치와 충전 상태 표시기가 연동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 모드와 충전 금지 모드 간에 임의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고, 렌즈 커버가 작동 위치에 세팅되어 있는 동안 퇴피 위치 앞에 가깝게 위치한 돌출 위치와 예비 퇴피 위치 사이에서 충전 상태 표시기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선택이 이루어지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여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렌즈 커버, 플래시 스위치, 발광 소자, 충전 상태 표시기 및 연동 기구를 갖는다.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로 활주하여 촬영을 준비할 때, 연동 기구는 렌즈 커버의 운동을 충전 상태 표시기에 전달하여 충전 상태 표시기가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활주하게 한다. 충전 상태 표시기가 돌출 위치로 활주하면, 플래시 스위치는 ON되고, 플래시 장치의 메인 커패시터는 충전 개시한다. 메인 커패시터가 소정 전압까지 충전되고 플래시 촬영의 준비가 완료하면, 발광 소자는 발광한다. 발광 소자로부터 방사된 광은 충전 상태 표시기의 안을 지나 그 선단으로부터 발광된다.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로 활주하면, 충전 상태 표시기는 연동 기구에 의해 퇴피 위치로 활주하고, 플래시 스위치는 OFF된다.
투명 플라스틱 또는 유리제의 라이트 가이드가 충전 상태 표시기로서 사용된다. LED 또는 램프가 발광 소자로서 사용된다. 라이트 가이드는 발광 소자로부터 방사된 광을 그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한 선단으로 전도한다. 라이트 가이드의 타단에는 삼각형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가 카메라에 설치된다.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는 라이트 가이드를 퇴피 위치 바로 앞에 위치한 예비 퇴피 위치에 잠근다.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되면, 플래시 장치는 발광 모드로 세팅된다. 발광 모드에서 충전 상태 표시기가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해 아래로 눌리면,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는 충전 상태 표시기를 예비 퇴피 위치에 잠겨진다. 예비 퇴피 위치에서, 충전 상태 표시기는 카메라 본체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플래시 스위치는 OFF된다. 플래시 스위치가 OFF되고 플래시 장치가 충전 금지 모드(발광 금지 모드)로 세팅된다. 충전 상태 표시기는 예비 퇴피 위치로부터 더 아래로 눌려, 충전 상태 표시기는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로부터 잠금 해제되고 충전 상태 표시기는 돌출 위치로 돌아온다. 동시에 플래시 스위치는 ON되고, 발광 모드로 세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상태 표시기는 활주하고 플래시 스위치는 렌즈 커버를 작동해서만 ON/OFF된다. 따라서 플래시 작동 부재는 필요하지 않아, 카메라의 구조를 더욱 단순하게 하고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되면, 충전 상태 표시기는 예비 퇴피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에서 충전 상태 표시기를 손으로 누름으로써 번갈아 활주한다. 라이트 가이드가 돌출 위치에 세팅되는 동안 플래시 장치는 발광 모드로 세팅되고, 라이트 가이드가 예비 퇴피 위치에 세팅되는 동안 플래시 장치는 충전 금지 모드로 세팅된다. 따라서 순광 장면은 플래시 장치 없이 촬영 가능하여 전지의 낭비를 방지한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는 복수의 경사면으로부터 발광하므로, 광이 더욱 강해져서 인식하기 쉽다.
(실시예)
도 1에서, 카메라 본체(11)의 전면에는 촬영 렌즈(12), 대물측 파인더창(13), 플래시 발광부(14), 릴리즈 버튼(15)과 렌즈 커버(16)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 커버(16)는 촬영 렌즈(12)를 덮는 폐쇄 위치와, 촬영 렌즈(12)를 드러내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렌즈 커버(16)의 전면에는 작동 부재(16a)가 돌출되어 있고, 타원형을 한 개구(11b) 내에서 이동한다.
렌즈 커버(16)가 스프링(17)에 의해 개방 위치로 당겨진다. 작동 부재(16a)가 개구(11b)의 우측으로 밀리는 동안, 렌즈 커버(16)는 스프링(17)의 힘에 대항하여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렌즈 커버(16)가 폐쇄 위치에 세팅되면, 렌즈 커버 록 기구(도시 안됨)가 렌즈 커버(16)를 잠근다. 이 조건에서 촬영 렌즈(12)는 렌즈 커버(16)로 덮인다.
또 렌즈 커버(16)가 폐쇄 위치에 잠겨 있을 때에, 릴리즈 버튼(15)을 누름 조작하면, 록 기구에 의한 렌즈 커버(16)의 걸림이 해제된다. 렌즈 커버(16)는 왼쪽으로 스프링(17)에 의해 활주하여 개방 위치로 가고, 촬영 렌즈(12)가 출현하여 촬영이 가능해진다.
카메라 본체(11)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18), 필름 카운터 개구(19), 라이트 가이드(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20)는 플래시 장치의 충전 상태 표시기로서 이용되고, 그 선단이 개구(11a)를 통해서 카메라 본체(1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선단이 카메라 본체(11) 내에 수납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시프트할 수 있다.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에 세팅되면, 카메라 본체(11)의 개구(11a)로부터 라이트 가이드(20)의 선단이 돌출됨과 동시에, 플래시 장치의 충전이 개시된다. 라이트 가이드(20)는 플래시 장치의 충전이 완료되면, 선단으로부터 점멸광을 방사한다. 이 점멸광은 카메라(1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다. 렌즈 커버(16)를 폐쇄 위치에 세팅하면, 연동 기구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20)가 카메라 본체(11) 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플래시 장치의 충전이 정지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는 메인 유니트(23), 노출 유니트(24), 프론트 커버(28) 및 리어 커버(29)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유니트(23)는 플래시 장치(25), 충전 완료 표시 장치(26) 및 연동 기구(27)에 부착된다. 프론트 커버(28) 및 리어 커버(29)는 메인 유니트(23)의 전면 및 후면에 복수의 결합 클로(claw)로 분해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리어 커버(29)에는 접안 렌즈창(eyepiece window)(30)과 광 방사 구멍(29a)이 설치되어 있다. 광 방사 구멍(29a)은 사진사의 눈이 접안 렌즈창(30)을 향하는 동안 플래시 장치의 충전 완료를 알린다.
메인 유니트(23)의 중앙에는 차광통이 설치되고, 이 차광통에 노출 유니트(24)가 장착되어 있다. 차광통의 후단에는 사진 필름의 노출 범위를 정하는 노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유니트(23)에는 차광통의 반대측에, 카트리지 쳄버(31)과 테이크업 쳄버(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쳄버(31)에는 와인딩 포크(winding fork)(도시 안됨)가 설치된다. 와인딩 포크는 카트리지 쳄버(31)에 장전된 필름 카트리지(33)의 스풀에 연결된다. 또 테이크업 쳄버(32)에는 모터가 수납된 테이크업 스풀(take up spool)(도시 안됨)이 배치되어 있다. 이 모터의 회전이 기어 트레인을 통해서 테이크업 스풀과, 와인딩 포크에 전달된다.
필름이 감기는 동안 모터의 정상 방향 작동으로 필름 카트리지(33)의 스풀이 회전되고, 사진 필름을 카트리지(33)로부터 송출해 테이크업 쳄버(32)를 향해 반송한다. 테이크업 쳄버(32)에 도달한 사진 필름의 선단은 테이크업 스풀의 외주에 붙들리고 사진 필름은 테이크업 스풀에 감긴다. 사진 필름의 제1픽처프레임이 노출 개구의 배후에 위치하면, 모터가 정지한다. 셔터 버튼(18)을 누르면, 제1 픽처프레임이 노출된다. 촬영후에는 모터가 자동적으로 회전하고, 사진 필름을 1픽처프레임씩 감아올린다. 촬영이 종료하면, 모터가 역회전해 노출 끝난 사진 필름을 카트리지 쳄버(31)에 되감아 카트리지(33) 내에 수납된다.
카트리지 쳄버(31)의 저면에는 카트리지(33)를 출납하기 위한 개구(3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31a)는 바닥 덮개(34)에 의해 개폐된다. 바닥 덮개(34)는 프론트 커버(28)와 리어 커버(29)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바닥 덮개(34)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개구(31a)를 광밀(light-tight fashion)하게 덮으면서, 리어 커버(29)의 저면부(29b)에 결합된다.
테이크업 쳄버(32)의 옆에는 전지실(35)이 형성되어 있다. 전지실(35)에는 플래시 장치(25)와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 건전지(36)가 2개 수납되어 있다. 이들 건전지(36)는 개구(35a)를 통해서 삽입된다. 프론트 커버(28)와 리어 커버(29)는 전지실 덮개(37)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개구(35a)는 전지실 덮개(37)에 의해 개폐되고, 전지실 덮개(37)는 리어 커버(29)의 저면부(29b)에 결합된다.
노출 유니트(24)는 차광통의 전면에 장착되는 블록 형상의 베이스 부재(38)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38)는 셔터 충전 기구, 셔터 기구, 필름 감김 멈춤 기구, 프레임 카운터 기구, 촬영 렌즈(12), 파인더 광학계 등이 장착되어 있다.
플래시 장치(25)는 주회로 기판(39)과, 이 주회로 기판(39)에 장착된 플래시 발광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시 회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전지(36), 건전지(36)의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올리기 위한 블로킹 발진기, 고전압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 이 직류를 충전하는 메인 커패시터(40), 메인 커패시터(4O)에 병렬로 접속된 플래시 방전관, 플래시 방전관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주회로 기판(39)에는 제2 회로 기판(39a)이 접속된다. 제2 회로 기판(39a)에는 플래시 스위치(52)(도 9a)와, 싱크로 스위치(도시 안됨)가 장착된다. 플래시 스위치(52)는 플래시 회로의 전원 스위치이고, 라이트 가이드(20)의 돌출에 의해 ON된다. 플래시 스위치가 ON하면, 플래시 회로가 건전지(36)에 접속되어 메인 커패시터(40)의 충전이 개시된다. 싱크로 스위치는 주지하는 대로 트리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셔터 블레이드가 전개되었을 때에 ON한다. 싱크로 스위치가 ON하면, 플래시 방전관의 방전이 트리거되고, 메인 커패시터(40)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어 플래시 방전관이 발광된다. 이 플래시 방전관은 플래시 발광부(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충전 완료 표시 장치(2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20)와 발광 소자(45)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45)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서 메인 커패시터(40)에 접속되고, 메인 커패시터(40)가 소정 전압까지 충전되는 동안 점멸한다. 발광 소자(45)는 광 방사 구멍(29a)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광 방사 구멍(29a)으로부터 그 일부가 방사된다.
라이트 가이드(20)는 무색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형성되어 있고, 라이트 가이드 본체(20a), 제1광 방사면(20b), 제2광 방사면(20c), 광입사면(20d), 핀(20e), 및 샤프트(20f)로 구성되어 있다. 광입사면(20d)에는 약간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고, 발광 소자(45)의 방사 광축(45a)이 광입사면(20d)의 중심에서 어긋나 있어도, 광입사면(20d)에 대향하는 광이 확산되어 광입사면(20d)의 전체에 확산된다. 발광 소자(45)로부터 입사한 가시광은 라이트 가이드 본체(20a)를 지나서, 평평한 제1 및 제2광 방사면(20b, 20c)으로부터 각각 방사된다.
제1광 방사면(20b)은 가시광을 방사하여, 메인 커패시터(40)의 충전이 완료되어 플래시 촬영 가능 상태인 것을 카메라(10)의 전방에서 보이도록 한다. 제2광 방사면(20c)은 후방에 가시광을 방사하여, 촬영자에게 플래시 촬영이 가능한 것을 표시한다.
핀(20e)은 구동부(20g)와, 접속부(20h)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20g)는 상기한 플래시 장치(25)의 플래시 스위치(52)에 작용하고, 접속부(20h)는 연동 기구(27)에 의해 구동된다. 샤프트(20f)는 대향측으로부터 라이트 가이드(20)를 지지하는 1쌍의 기판의 구멍(도시 안됨)에 결합한다. 라이트 가이드(20)는 이 샤프트(20f)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20)는 반투명이어도 좋다. 또 라이트 가이드(20)는 적, 청, 녹 등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20)를 각주 형상으로 하여, 또한 상하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하고, 렌즈 커버(16)에 연동해 카메라 본체(1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시켜도 좋다.
연동 기구(2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핀(16b), 연동 레버(46), 접속 스프링(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 핀(16b)은 렌즈 커버(l6)의 배면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연동 레버(46)는 대략 L자형을 한 제1암(46a)과, 제2암(46b) 사이에 형성되고, 샤프트(32a)는 테이크업 쳄버(32)의 외면에 형성된다. 샤프트(32a)는 구멍(46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 47b)는 코일감기 부분에서 대략 평행으로 돌출되고 있다. 접속 스프링(47)의 감겨진 부분은 라이트 가이드(20)의 반대측에 배치된 기판 중 하나의 외면에 배치된 핀(도시 안됨)에 지지되고 있다.
연동 레버(46)의 제1암(46a)에는 캠 슬롯(46d)이 형성되어 있고, 접속 핀(16b)이 삽입된다. 또 제2암(46b)의 선단에는 구동 핀(46e)이 설치되어 있고,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 47b) 사이에 위치한다. 이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 47b) 사이에는 라이트 가이드(20)의 접속부(20h)가 위치하여 구동 핀(46e)을 간섭하지 않도록 삽입되고 있다. 프론트 커버(28)의 내면에는 스토퍼(48, 49)가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커버(16)가 폐쇄 위치로 활주하면, 접속 핀(16b)이 연동 레버(46)의 캠 슬롯(46d)을 눌러, 연동 레버(46)가 구멍(46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연동 레버(46)가 회전되면, 구동 핀(46e)이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에 접촉해 접속 스프링(47)을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고, 선형부(47b)가 접속부(20h)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접속부(20h)의 이동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20)가 샤프트(20f)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카메라 본체(11) 내에 수납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로 활주하면, 접속 핀(16b)에 추종해 연동 레버(4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연동 레버(46)가 회전되면, 구동 핀(46e)이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b)에 접촉한다. 따라서, 접속 스프링(47)은 스프링을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하여, 선형부(47a)가 접속부(20h)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접속부(20h)의 이동에 의해서, 라이트 가이드(20)가 샤프트(20f)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라이트 가이드(20)의 선단을 카메라 본체(11)로부터 돌출시킨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20)의 근방에는 그 회전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는 라이트 가이드(20)의 회전 스트로크가 연동 레버(46)의 회전 스트로크보다도 작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20)는 스토퍼와 접촉해서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 47b) 사이의 거리를 넓게 하여 연동 레버(46)의 이동이 라이트 가이드(20)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접속 스프링(47)은 라이트 가이드(20)가 카메라 본체(11) 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카메라 본체(11)로부터 돌출하는 위치까지 회전한 후, 렌즈 커버(16)의 이동량에 따라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렌즈 커버(16)의 댐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 렌즈 커버(16)가 도시된 폐쇄 위치보다도 더 우측으로 스토퍼(48)에 접촉하기까지 활주된다. 렌즈 커버(16)가 스토퍼(48)에 닿기 전에 라이트 가이드(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 47b) 간의 거리가 넓어져서 연동 레버(46)의 과도분을 흡수하여 라이트 가이드(20)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한다. 또 도 6에 있어서, 렌즈 커버(16)가 스토퍼(49)에 닿는 개방 위치로 활주하기 전에 라이트 가이드(20)의 회전이 규제된다.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 47b) 간의 거리의 증가는 연동 레버(46)의 과도한 회전 스트로크를 흡수하여 라이트 가이드(20)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커버(1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라이트 가이드(20)가 억지로 들어간 경우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라이트 가이드(20)가 카메라 본체(11) 내에 억지로 눌려 들어간다. 이들 접속 스프링(47)의 선형부(47a, 47b) 간의 거리가 증가하여 연동 레버(46)의 회전 스트로크를 흡수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시 스위치(52)는 가동부(50)와 고정 콘택트(39b)로 된다. 가동 세그먼트(50)는 구동부(20g)에 의해 이동하고, 고정 콘택트(39b)는 제2 회로 기판(39a)에 형성된다. 가동 세그먼트(50)는 단자부(50a), 제1암부(50b), 제2암부(50c) 및 접점부(50d)를 갖는다. 단자부(50a)는 땜납(51)에 의해 제2 회로 기판(39a)에 고정된다. 제1암부(50b)는 제2암부(50c)에 대하여 적당히 경사져 있다.
라이트 가이드(20)가 카메라 본체(11)에 수납되고 있을 때에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50d)와 고정 콘택트(39b)와는 이간하고 있고, 플래시 장치(25)는 OFF 위치에 세팅된다. 이 OFF 위치에서, 플래시 장치(25)는 충전되지 않는다.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를 향해 활주하고, 라이트 가이드(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20g)가 제2암부(50c)와 접촉해 제2 회로 기판(39a)을 향해 압압한다. 이 압압에 의해 제1암부(50b)가 굽히고, 접점부(50d)가 고정 콘택트(39b)에 접촉해 플래시 스위치(52)가 ON된다. 플래시 스위치가 ON되면, 플래시 장치(25)의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20)가 카메라 본체(1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위치까지 회전 변위하면,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20g)는 가동 세그먼트(50)를 더욱 압압하고, 이 압압에 의해 제2암부(20c)가 구동부(20g)의 오버 스트로크를 흡수한다. 또 제2암부(20c)를 굽혀 접점부(50d)가 고정 콘택트(39b)에 강하게 눌리므로, 접점부(50d)와 고정 콘택트(39b)와의 접촉이 안정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10)의 비사용 시에는 렌즈 커버(16)는 렌즈 커버 록 기구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도 5에서, 라이트 가이드(20)는 카메라 본체(11) 내에 수납되고 있고, 플래시 장치(25)는 비작동이다. 촬영 시에는 릴리즈 버튼(15)을 눌러 렌즈 커버(16)는 잠금 해제된다. 따라서 렌즈 커버(16)는 스프링(17)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개방 위치에 활주된다.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로 활주할 때, 연동 레버(46)는 캠 슬롯(46d)에 결합된 접속핀(16b)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접속 스프링(47)이 연동 레버(46)와 라이트 가이드(20)에 접속됨에 따라, 연동 레버(46)의 회전으로 인해 라이트 가이드(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선단이 카메라 본체(11)로부터 돌출한다. 동시에 핀(20e)의 구동부(20g)가 가동 세그먼트(50)를 가압하여 플래시 스위치(52)가 ON된다. 따라서 메인 커패시터(40)가 충전을 개시한다.
메인 커패시터(40)가 소정 전압으로 충전됨에 따라, 발광 소자(45)는 일정 간격으로 가시광을 방사하기 시작한다. 발광 소자(45)로부터 방사된 점멸광은 라이트 가이드 본체(20a)를 지나 제1 및 제2 돌출면(20b, 20c)으로부터 발광된다. 사진사 및 찍히는 사람은 플래시 촬영이 준비될 때에 제1 및 제2 돌출면(20b, 20c)으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진사가 접안측 대물개구(30)을 통해 촬영될 장면을 보고 있는 동안에도, 사진사는 리어 커버(29)의 방사 구멍(29a)을 통해 점멸하는 가시광을 볼 수 있다.
프레이밍후 셔터 버튼(18)을 누르면, 셔터는 촬영을 위해 작동한다. 셔터 블레이드가 열림에 따라 싱크로 스위치가 ON된다. 싱크로 스위치가 ON되면, 플래시광 발광관은 메인 커패시터(40)로부터의 전기 에너지의 공급으로 인해 플래시광을 방사한다. 플래시 발광부(14)는 피사체에 플래시광을 발광하기 위해 플래시광 발광관을 포함한다. 주간 촬영에서, 사진 필름은 피사체로부터의 플래시광과 태양광의 반사 혼합광에 의해 노출된다. 야간 촬영에서는 사진 필름은 오직 피사체로부터의 플래시광의 반사에 의해 노출된다.
촬영 후에, 필름 와인딩 스풀의 모터가 구동하여 테이크업 쳄버(32)의 테이크업 스풀 주위로 사진 필름의 노출 부분을 감고, 사진 필름의 1프레임의 미노출 부분은 사진 필름 카트리지(33)로부터 꺼내어진다. 사진 필름을 감는 동안, 셔터는 충전 상태로 세팅된다. 사진 필름을 감은 후에, 메인 커패시터(40)는 자동으로 충전 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커패시터(40)가 충전되는 동안, 라이트 가이드(20)는 점멸 가시광을 발광하여 플래시 촬영이 준비되었음을 알린다.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플래시 장치(25)는 항상 발광 모드로 세팅되어 매 촬영 시에 플래시광이 발광된다. 사용자가 플래시 촬영을 원하지 않으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로부터 돌출하는 라이트 가이드(20)는 카메라 본체(11)에 눌려 들어가고, 플래시 스위치(52)는 OFF된다. 라이트 가이드(20)가 수조작으로 퇴피 위치에 놓이면, 메인 커패시터(40)는 충전되지 않는다. 플래시 장치(25)는 충전 금지 모드로 실용적으로 세팅되어 사진은 플래시광 없이 촬영된다. 촬영 금지 모드에서도, 플래시 장치(25)는 메인 커패시터(40)가 전기 방전을 수행하면 제1 촬영에서 플래시광을 발광한다. 그러나 제2 촬영에서는 각 사진은 플래시광 없이 촬영된다. 주간 야외 장면의 사진이 충전 금지 모드에서 촬영되면, 건전지(36)의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2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라이트 가이드(20)는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움직인다. 따라서 플래시 장치(25)는 발광 모드로 세팅된다.
촬영을 마칠 때에는, 렌즈 커버(16)는 작동 부재(16a)를 작동하여 폐쇄 위치로 활주한다. 렌즈 커버(16)가 폐쇄 위치로 활주하며, 렌즈 커버(16)는 렌즈 커버 록 기구에 의해 잠긴다. 연동 레버(46)가 렌즈 커버(16)를 활주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라이트 가이드(20)는 카메라 본체(11)로 퇴피한다. 동시에 플래 시 스위치(52)가 OFF가 되면, 메인 커패시터(40)는 충전을 멈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라이트 가이드(20)는 논플래시(non-flash) 촬영을 위해 항상 눌려져야 하여, 카메라(10)의 작동이 복잡해지게 된다. 따라서 퇴피 위치에서 라이트 가이드(20)를 잠그는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를 갖는다. 렌즈 커버(16), 라이트 가이드(20) 및 연동 기구(27)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서,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60)는 활주 레버(61), 캠 레버(62) 및 스프링(63)을 갖는다. 활주 레버(61)는 메인 유니트(23)에 형성된 샤프트(23a, 23b)를 결합하는 개구(61a, 61b)에 의해 활주할 수 있다. 캠 레버(62)는 스프링(63)에 의해 시계 활주 방향으로 밀려서 스토퍼(23c, 62a)에 접속된다. 지지핀(23d)은 캠 레버(62)와 접촉하여 캠 레버(62)의 회전을 규제한다. 캠 레버(62)는 결합 돌기(61d), 개구(62c), 결합 가이드(62d) 및 활주 레버(61)의 활주 방향을 따라 정면으로 기운 캠 블레이드(62e)를 갖는다. 결합 돌기(61d)는 캠 에지(62b) 위를 활주하여 결합 가이드(62d)가 형성된 개구(62c)로 들어간다. 라이트 가이드(20)의 일단에 형성된 핀(65)은 활주 레버(61)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61c)에 결합한다.
도 11은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라이트 가이드(20)와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60)를 나타낸다. 라이트 가이드(20)는 카메라 본체(11)로 퇴피하여 플래시 스위치(52)는 OFF된다. 활주 레버(61)의 결합 돌기(61d)는 캠 블레이드(62e) 뒤에 위치한다. 캠 레버(62)는 스프링(6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떠밀리지만, 지지핀(23d)에 닿아서 멈춘다.
렌즈 커버(16)가 개방 위치로 활주하면, 연동 기구(27)는 라이트 가이드(20)을 돌출 위치로 돌출시켜서 플래시 장치(25)가 발광 모드로 세팅되게 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주 레버(61)는 결합 돌기(61d)가 캠 블레이드(62e) 뒤로 활주하는 동안 우측으로 활주한다. 결합 돌기(61d)가 캠 레버(62)로부터 떨어질 때, 캠 레버(62)는 활주 레버(61)에 놓이고, 결합 돌기(61d)는 캠 에지(62b)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논플래시(non-flash) 촬영에서는, 라이트 가이드(20)는 수조작으로 카메라 본체(11)에 눌려진다. 라이트 가이드(20)는 접속 스프링(47)의 힘에 대하여 시계 방향(도 10 참조)으로 샤프트(20f) 주위를 회전한다. 그리고 활주 레버(61)는 왼쪽으로 활주하여 결합 돌기(61d)가 캠 에지(62b) 위로 활주함으로써 캠 레버(62)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20)가 퇴피 위치 근처에 달할 때, 결합 돌기(61d)는 개구(62c)로 진입한다. 캠 레버(62)가 스프링(63)에 의해 떠밀려 시계 방향으로 스윙한다. 이에 따라 결합 가이드(62d)는 결합 돌기(61d)와 접촉하고, 캠 레버(62)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스윙을 일단 멈춘다.
라이트 가이드(20)에서 손가락을 떼면, 활주 레버(61)는 접속 스프링(47)에 의해 우측으로 활주한다. 동시에 캠 레버(62)는 결합 가이드(62d)의 안내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스윙하기 시작하고, 결합 돌기(61d)는 캠 블레이드(62e)에 닿는다. 결합 돌기(61d)가 캠 블레이드(62e)가 바닥에 닿을 때, 캠 레버(62)는 스윙을 멈추고, 결합 돌기(61d)는 개구(62c)의 1프레임과 접촉하여 활주 레버(61)는 우측으로 더 이상 활주하지 않는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20)는 돌출 위치에 가까운 예비 퇴피 위치에 세팅된다. 예비 퇴피 위치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20)가 카메라 본체(11)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플래시 스위치는 OFF 위치에 세팅된다. 라이트 가이드(20)가 수조작으로 계속 눌리지 않더라도, 플래시 장치(25)는 충전 금지 모드로 세팅된다.
예비 퇴피 위치의 라이트 가이드(20)가 눌릴 때, 활주 레버(61)는 좌측으로 활주하고, 결합 돌기(61d)는 그 선단으로부터 캠 블레이드(62e) 뒤로 갈 수 있다. 캠 레버(62)는 시계 방향으로 약간 스윙하여 지지핀(23d)과 접촉함으로써 결합 돌기(61d)가 캠 블레이드(62e) 뒤에 자리잡는다(도 11 참조). 다음에 라이트 가이드(20)에서 손가락을 떼면, 활주 레버(61)는 접속 스프링(47)에 의해 우측으로 활주하여 라이트 가이드(20)가 돌출 위치로 회전된다. 플래시 스위치(52)가 ON되면, 플래시 장치(25)는 발광 모드로 세팅된다. 메인 커패시터(40)가 충전 개시함에 따라, 플래시광 촬영으로 사진을 찍게 된다.
촬영을 마칠 때에는, 렌즈 커버(16)가 폐쇄 위치로 활주한다. 라이트 가이드(20)는 연동 기구(27)에 의해 퇴피 위치에 이동한다. 라이트 가이드(20)를 움직여 활주 레버(61)가 좌측으로 활주하면, 결합 돌기(61d)가 캠 에지(62b)와 접촉하여 스윙하고, 캠 레버(62)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한다. 결합 돌기(61d)가 개구(62c)로 진입할 때, 캠 레버(62)는 스프링(6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스윙한다. 그리고 결합 돌기(61d)가 캠 블레이드(62e)의 바닥면과 닿을 때 캠 레버(62)가 스윙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활주 레버(61)는 좌측으로 더 활주하고, 결합 돌기(61d)는 그 선단으로부터 캠 블레이드(62e) 아래에 놓인다. 캠 레버(62)는 지지핀(23d)과 접촉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스윙한다.
도 14∼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재 또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14에서, 연동 기구(70)는 핀(71b), 연동 레버(72) 및 스프링(73)으로 된다. 핀(71b)은 렌즈 커버(71)의 제1 암(71a)의 뒤에 배치된다. 렌즈 커버(71)는 정면의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도시 안됨)과 수평으로 활주할 수 있다. 렌즈 커버(71)와 가이드 레일 간의 마찰력은 렌즈 커버(71)가 적정 위치에서 멈출 정도면 적당하다.
구멍(74a)과 핀(74b)이 라이트 가이드(74)에 형성되고, 구멍(74a)은 메인 유니트(23)에 배치된 샤프트(도시 안됨)에 결합된다. 연동 레버(72)는 거의 L자 모양으로 되고 제1암(72a)과 제2암(72b)를 포함한다. 연동 레버(72)는 테이크업 쳄버(32)의 외측에 배치된 구멍(72c)과 샤프트(32a)와의 조합에 의해 지지된다. 구멍(72d)이 라이트 가이드(74)의 핀(74b)에 결합된다. 스프링(73)이 샤프트(32a)(도 17 참조)에 의해 스프링(73)의 코일부와 결합한다. 스프링(73)의 일단이 제2암(72b)에 접속되고, 타단이 테이크업 쳄버(32)의 표면에 형성된 스토퍼(32b)에 접속되어 연동 레버(72)를 시계 방향으로 떠민다. 핀(71b)은 제1암(72a)의 상면과 접촉하여 연동 레버(72)의 회전을 규제한다. 라이트 가이드(74)의 하단(74c)에는 플래시 스위치(75)의 스위치 콘택트 세그먼트(75a, 75b)가 배치된다.
작동 부재(71c)를 작동하여 렌즈 커버(71)가 폐쇄 위치로 활주하면, 핀(71b)은 제1암(72a)의 상면을 눌러 연동 레버(72)를 스프링(73)의 회전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연동 레버(72)를 회전시킨다. 연동 레버(72)를 회전하여 라이트 가이드(74)가 구멍(74a)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퇴피 위치로 간다. 라이트 가이드(74)는 콘택트 블레이드(75a)로부터 떨어지고 플래시 스위치(75)는 OFF 위치에 세팅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커버(71)가 개방 위치로 활주하는 동안, 스프링(73)이 연동 레버(72)를 강제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제1암(72a)의 상면이 핀(71b)을 누르게 한다. 연동 레버(72)를 회전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74)는 반시계 방향으로 스윙하여 구멍(74a) 주위의 소정의 돌출 위치로 간다. 라이트 가이드(74)가 돌출 위치로 스윙하면, 스위치 콘택트 세그먼트(75a)는 하단(74c)에 의해 눌려서 스위치 콘택트 세그먼트(75b)에 접촉하고, 플래시 스위치(75)는 ON이 된다.
제1암(72a)이 핀(71b)을 누르는 동안 스프링(73)의 힘에 의해 렌즈 커버(71)는 개방 위치로 활주한다. 스프링(73)의 힘은 렌즈 커버(71)와 가이드 레일 간의 마찰력보다 작으며 제1암(72a)을 건드리면서 핀(71b)을 활주하는데 적당하다. 따라서 렌즈 커버(71)는 스프링(73)의 힘에 의해 돌발적으로 활주하는 일이 없다. 또한 클릭 기구를 배치하면, 렌즈 커버(71)가 돌발적으로 활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전 상태 장치(76)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74)와 발광 소자(77)를 갖는다. 라이트 가이드(74)는 제1발광면(74e), 제2발광면(74f) 및 입광면(74g)으로 된 라이트 가이드 본체(74d)를 갖는다. 충전 완료 후에 발광 소자(77)는 점멸 가시광을 발광하고, 입광면(74g)에 입사하는 가시광은 제1발광면(74e)과 제2발광면(74f)으로부터 발광하여 플래시 촬영이 준비되었음을 알린다. 입광면에는 근소한 홈이 형성된다.
도 17은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60)가 배치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다. 라이트 가이드(74)는 라이트 가이드 록 기구(60)의 활주 레버(61)에 형성된 개구(61c)에 결합되는 핀(74b)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74)가 눌려서 예비 퇴피 위치에서 잠기면, 플래시 장치(25)는 충전 금지 모드로 세팅되고, 논플래시 촬영이 가능하다. 예비 퇴피 위치의 라이트 가이드(74)가 더 눌리면, 라이트 가이드(74)는 돌출 위치로 가고 플래시 장치(25)는 발광 모드로 세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커버(71)는 렌즈 커버(71)와 가이드 레일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활주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라이트 가이드 상의 제1 및 제2면이 평평하다. 그러나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라이트 가이드(80, 81)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18a에 나타낸 라이트 가이드(80)는 제1 돌출면(80a)과 삼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제2 돌출면(도시 안됨)이 형성된다. 도 18b에 나타낸 라이트 가이드(81)는 제1 돌출면(81a)과 제2 사변형 피라미드가 형성되어 배치된 제2돌출면(도시 안됨)을 갖는다. 라이트 가이드의 각각은 평탄면보다 더 큰 표면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점멸 가시광의 휘도가 커서 인식하기 쉽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렌즈 커버는 수직으로 활주하거나 회전하여도 좋다. 또한 사진 필름이 본 실시예의 카메라에서 교환 가능하더라도, 본 발명은 사진 필름이 미리 장전되는 렌즈 장착 사진 필름 유니트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플래시 장치는 촬영시 항상 플래시광을 발광하는 방식이지만, 낮은 밝기용의 자동 발광형이어도 좋다. 이 경우, 피사체의 밝기는 광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밝기가 소정치 이상이면, 트리거 회로는 OFF되거나 충전이 금지되어 플래시광은 발광하지 않는다. 밝기가 소정치 이하이면, 플래시 장치가 구동되어 어두운 장면의 플래시 촬영을 한다.
발광 소자는 플래시광 뿐만 아니라 가시광을 계속해서 발광하여도 좋다. 플래시 스위치는 렌즈 커버에 맞추어 직접 ON 또는 OFF되어도 좋다.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본 발명에서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시 장치가 상시 플래시광을 발광하는 방식이더라도, 플래시 장치의 충전 또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플래시 장치로부터의 플래시광 방출을 금지하는 작동을 위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순광 장면에서의 건전지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플래시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카메라 본체의 정면에 배치된 촬영 렌즈와 플래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촬영 렌즈를 덮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렌즈 커버와,
    ON 상태에서 상기 플래시 장치를 충전하고, 상기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되어 있는 동안은 통상 ON 상태에 있는 플래시 스위치와,
    상기 플래시 장치가 충전이 완료될 때 점멸하는 광을 방사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상기 일부를 퇴피시키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상기 광을 전도하여 상기 일부로부터 상기 광을 발광하는 충전 상태 표시기와,
    상기 렌즈 커버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플래시 장치의 충전 상태 표시기를 변위시키는 연동 기구로서, 상기 렌즈 커버가 폐쇄 위치에 세팅되어 있을 때에는 퇴피 위치에 세팅되고, 상기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충전 상태 표시기를 돌출 위치에 세팅하는 연동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스위치는 상기 충전 상태 표시기 또는 상기 연동 기구에 의해 ON/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표시기는 라이트 가이드이고, 상기 충전 상태 표시기의 일부는 상기 광을 전방으로 발광하는 제1면과 상기 광을 후방으로 발광하는 제2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삼각형 홈이 상기 제1 및 제2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일측에서 활주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가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해 밀릴 때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를 예비 퇴피 위치에 잠그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가 다시 눌리면 상기 라이트 가이드를 릴리즈하여 예비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며, 예비 퇴피 위치에서의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일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스위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된 고정 접촉점과,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된 고정단과 자유단을 갖고, 상기 자유단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가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굽혀지는 가동 세그먼트(segment)와,
    상기 가동 세그먼트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세그먼트가 굽혀질 때, 상기 고정 접촉점과 접촉하고, 상기 가동 세그먼트가 더 굽혀지면 상기 고정 접촉점과 더 세게 접촉하는 가동 접촉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렌즈 커버가 개폐됨에 따라 이동하는 연동 레버와,
    상기 연동 레버의 제1단과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제2단을 탄성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가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세팅된 후에 상기 연동 레버의 상기 오버 스트로크를 허용하는 접속 스프링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스프링은 코일부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선형부를 갖는 토션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고정된 샤프트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선형부는 상기 연동 레버의 제1단과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제2단을 압압하여 서로 접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의 뒤에 설치된 핀과,
    상기 연동 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핀과 맞물리는 캠 슬롯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렌즈 커버의 뒤에 설치된 핀과,
    제1 암과 제2암을 갖고, 상기 제1암은 상기 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상기 제2암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핀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암의 단부로 회전하는 회전 L자 레버와,
    상기 레버를 압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암이 상기 핀에 접촉하게 하는 스프링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카메라 본체의 정면에 배치된 촬영 렌즈와 플래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촬영 렌즈를 덮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렌즈 커버와,
    ON 상태에서 상기 플래시 장치를 충전하고, 상기 렌즈 커버가 개방 위치에 세팅되어 있는 동안은 통상 ON 상태에 있는 플래시 스위치와,
    상기 플래시 장치가 충전 완료될 때 점멸하는 광을 방사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상기 일부를 퇴피시키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상기 광을 전도하여 상기 부품으로부터 상기 광을 발광하는 충전 상태 표시기와,
    상기 렌즈 커버를 이동시킴에 따라 퇴피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충전 상태 표시기를 이동시키고, 상기 렌즈 커버의 이동량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상기 충전 상태 표시기가 퇴피 위치와 돌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세팅된 후에 상기 렌즈 커버의 댐퍼로서 기능하도록 된 접속 스프링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카메라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된 고정단, 자유단, 및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 사이에 형성된 가동 접촉부(movable contact part)를 갖는 가동 세그먼트와,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 접촉부를 접촉하는 고정 접촉점과,
    상기 가동 세그먼트의 자유단을 눌러서 상기 고정 접촉점에 상기 가동 접촉부를 접촉하고, 상기 가동 접촉부가 상기 고정 접촉점과 접촉한 후에 상기 가동 세그먼트의 가일층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압압 부재의 오버 스트로크가 허용되게 하는 가압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4. 외부 작동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동 부재(driving member)를 갖는 카메라에 있어서,
    제3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피구동 부재(driven member)와,
    상기 구동 부재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구동 부재를 이동시키고,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로부터 평행하게 돌출하는 1쌍의 선형부를 갖고, 상기 코일부는 고정 샤프트에 결합하고 1쌍의 상기 선형부는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피구동 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접속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010015912A 2000-03-28 2001-03-27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 KR10057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8976 2000-03-28
JP2000-088976 2000-03-28
JP2000276978 2000-09-12
JP2000-276978 2000-09-12
JP2001055588A JP2002162679A (ja) 2000-03-28 2001-02-28 カメラ
JP2001-055588 200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712A KR20010093712A (ko) 2001-10-29
KR100572235B1 true KR100572235B1 (ko) 2006-04-19

Family

ID=2734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912A KR100572235B1 (ko) 2000-03-28 2001-03-27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162679A (ko)
KR (1) KR100572235B1 (ko)
CN (1) CN100401180C (ko)
HK (1) HK1041054B (ko)
TW (1) TW4942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208A (ja) * 2006-01-24 2007-08-09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KR100967383B1 (ko) 2008-03-18 2010-07-05 주식회사 다이아벨 커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CN101840130B (zh) * 2009-03-16 2012-06-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摄像头保护结构及具有摄像头保护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3676421B (zh) * 2012-09-19 2016-01-27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602A (en) * 1978-04-10 1982-03-0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evice for indicating the ready condition of an electronic flash device
JPS6222641U (ko) * 1985-07-24 1987-02-10
WO1999018477A1 (fr) * 1997-10-06 1999-04-15 Fuji Photo Film Co., Ltd. Unite de film de support de lentille dotee d'un couvercle de protection
JPH11190875A (ja) * 1997-12-26 1999-07-13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KR19990063255A (ko) * 1997-12-17 1999-07-26 무네유키 가코우 렌즈부착사진필름 유니트 및 플래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3520A (en) * 1996-10-01 1999-08-24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having a slide case
TW420767B (en) * 1998-01-28 2001-02-01 Fuji Photo Film Co Ltd Compact camer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602A (en) * 1978-04-10 1982-03-0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evice for indicating the ready condition of an electronic flash device
JPS6222641U (ko) * 1985-07-24 1987-02-10
WO1999018477A1 (fr) * 1997-10-06 1999-04-15 Fuji Photo Film Co., Ltd. Unite de film de support de lentille dotee d'un couvercle de protection
KR19990063255A (ko) * 1997-12-17 1999-07-26 무네유키 가코우 렌즈부착사진필름 유니트 및 플래쉬 장치
JPH11190875A (ja) * 1997-12-26 1999-07-13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1054B (zh) 2008-09-05
CN100401180C (zh) 2008-07-09
KR20010093712A (ko) 2001-10-29
CN1320831A (zh) 2001-11-07
JP2002162679A (ja) 2002-06-07
HK1041054A1 (en) 2002-06-28
TW494268B (en)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524B1 (ko)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EP0464873B1 (en) Built-in flash system and camera
KR100572235B1 (ko) 충전 완료 표시 장치를 갖는 카메라
JPH0322967B2 (ko)
JPH0450567B2 (ko)
US5287135A (en) Built-in flash system
KR100591938B1 (ko) 카메라용 프린트 포맷 선택장치
JPS6095401A (ja) 撮影レンズの駆動装置
US4340287A (en) Camera system using stroboscope
US6477325B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with lens position changing device
IE44646B1 (en) Camera
JP3703330B2 (ja) カメラ
JP2004287257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S6217803Y2 (ko)
KR100290237B1 (ko) 카메라
US5640617A (en) Camera shutter and autofocus mechanism
JP381855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4353Y2 (ko)
KR0156376B1 (ko) 카메라의 내장 플래시 장치
JP3990082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シャッタ装置。
JP3979643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6408133B1 (en) Finder system in photographing apparatus
JP390311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4038084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610975B2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