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663B1 -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663B1
KR100571663B1 KR1020030080564A KR20030080564A KR100571663B1 KR 100571663 B1 KR100571663 B1 KR 100571663B1 KR 1020030080564 A KR1020030080564 A KR 1020030080564A KR 20030080564 A KR20030080564 A KR 20030080564A KR 100571663 B1 KR100571663 B1 KR 10057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ezel
air vent
lock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941A (ko
Inventor
우창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6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 댐퍼의 로킹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폐쇄된 댐퍼를 로킹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공기 조화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1은 베젤이고, 2는 리테이너로서, 상기 리테이너(2)는 베젤(1)에 연결하고 내부에는 댐퍼(6)를 그 양단에 설치한 지지축(7)으로 지지한 것이다.
20은 댐퍼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댐퍼 구동수단(20)은 상기 베젤(1)의 측면에, 노브(21)에 지지판(22)을 결합하여 베젤(1)에 일체로 형성한 핀(23)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22)과 댐퍼(6)의 일측 지지축(7)에 제 1 및 제 2 레버(24)(25)를 연결하여 노브(21)를 하방으로 회전하면 댐퍼(6)가 개방되고 상방으로 회전하면 댐퍼(6)가 폐쇄되는 것이다.
30은 로킹수단으로서, 상기 로킹수단(30)은 상기 베젤(1)의 핀(23) 주위에 호상의 로크판(31)을 일체로 형성하여 측면에 제 1 걸림턱(3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22)의 외주면 내측에 판스프링(34)의 일단을 고정하여 자유단이 상기 로크판(31)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댐퍼(6)가 리테이너(2)를 폐쇄할 때에 제 1 걸림턱(32)에 로킹되도록 한 것이다.
베젤, 리테이너, 댐퍼, 노브, 지지판, 로킹수단, 로크판, 제 1 걸림턱, 판스프링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DAMPER OPENING AND SHUTTING MECHANISM OF AIR VEN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댐퍼의 폐쇄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B 선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것의 댐퍼의 폐쇄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베젤 2 : 리테이너 6 : 댐퍼
21 : 노브 22 : 지지판 30 : 로킹수단
31 : 로크판 32 : 제 1 걸림턱 34 : 판스프링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에 어 벤트 댐퍼의 로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은 크래쉬 패드의 정면 중앙과 양측면에 에어 벤트를 배치하고, 상기 에어 벤트와 공기 조화장치를 덕트로 연결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 토출하거나 외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벤트는 수평윙과 수직윙을 노브로서 토출방향을 상하, 좌우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한 베젤과, 상기 베젤의 후방에 연결하여 내부에 댐퍼를 설치한 리테이너와, 일측은 실내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댐퍼에 연결한 댐퍼 개폐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1)(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노브에 의하여 공기의 토출방향을 상하 및 좌우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직윙과 수평윙이 설치되어 있음)의 외측면에 핀(3)을 일체로 형성하여 노브(4)를 지지하고, 상기 노브(4)에는 제 1 레버(5)를 일체로 형성하며, 한편 상기 베젤(1)의 후방에는 리테이너(2)를 연결하여 내부에 댐퍼(6)를 그 양측에 설치한 지지축(7)으로 지지하여 상기 지지축(7)중 일측에 제 2 레버(8)를 연결함과 동시에 일측에 슬릿(9)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레버(5)의 자유단에 설치한 지지핀(5')을 끼워 지지한 것이다.
상기 댐퍼 개폐기구는 노브(4)를 하방으로 회전하면 노브(4)에 일체로 형성한 제 1 레버(5)의 자유단이 상승하고 제 1 레버(5)의 자유단에 설치한 지지핀(5')이 슬릿(9)을 슬라이딩하면서 제 2 레버(8)의 일측이 상승함에 따라 제 2 레버(8)의 타측에 설치한 댐퍼(6)는 리테이너(2)를 개방하고(도 5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이 댐퍼(6)가 개방된 상태에서 노브(4)를 상방으로 회전하면 제 1 레버(5)의 자유 단이 하강하고 제 2 레버(8)의 일측이 하강함으로써 댐퍼(6)는 리테이너(2)를 폐쇄하도록 한 것이다(도 7 참조).
그리고 실내의 공기 조화 도중에 상기 에어 벤트를 탑승자의 공기 조화 취향 또는 습관에 따라 일부 에어 벤트의 댐퍼는 일부 또는 전부 개방하고, 다른 일부의 에어 벤트의 댐퍼는 페쇄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부의 댐퍼는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하고, 다른 일부의 댐퍼를 폐쇄한 상태에서 블로워를 고속단으로 운전하여 토출 풍량 및 속도를 크게 하거나, 고속 주행시에 그 풍압에 의하여 폐쇄된 댐퍼가 스스로 개방되며, 상기와 같이 폐쇄된 댐퍼가 스스로 개방되면 탑승자가 원하는 공기 조화가 되지 못하여 쾌적한 탑승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폐쇄된 댐퍼를 로킹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공기 조화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댐퍼의 개폐조작을 절도감 있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젤에 연결하고, 내부에 댐퍼를 그 양단에 설치한 지지축으로 지지한 리테이너와; 상기 베젤의 측면에, 노브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핀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과 댐퍼의 일측 지지축에 제 1 및 제 2 레버를 연결한 댐퍼 구동수단과; 상기 베젤의 측면에 호상의 로크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측면에 제 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외주에 상기 제 1 걸림턱에 로킹되는 판스프링을 설치한 로킹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1은 베젤이고, 상기 베젤(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노브에 의하여 공기의 토출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수직윙과 수평윙을 설치한 것이다.
2는 리테이너로서, 상기 리테이너(2)는 베젤(1)에 연결하고 내부에는 댐퍼(6)를 그 양단에 설치한 지지축(7)으로 지지한 것이다.
20은 댐퍼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댐퍼 구동수단(20)은 상기 베젤(1)의 측면에, 노브(21)에 지지판(22)을 결합하여 베젤(1)에 일체로 형성한 핀(23)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22)과 댐퍼(6)의 일측 지지축(7)에 제 1 및 제 2 레버(24)(25)를 연결하여 노브(21)를 하방으로 회전하면 댐퍼(6)가 개방되고 상방으로 회전하면 댐퍼(6)가 폐쇄되는 것이다.
30은 로킹수단으로서, 상기 로킹수단(30)은 상기 베젤(1)의 핀(23) 주위에 호상의 로크판(31)을 일체로 형성하여 측면 하방에 제 1 걸림턱(3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22)의 외주면 내측에 판스프링(34)의 일단을 고정하여 자유단이 상기 로크판(31)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댐퍼(6)가 리테이너(2)를 폐쇄할 때에 제 1 걸림턱(32)에 로킹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34)의 자유단에는 걸림돌기(35)를 형성하여 댐퍼(6)의 폐쇄시에 제 1 걸림턱(32)에 로킹함으로써 로킹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걸림돌기(35)는 로크판(31)의 측면을 마찰 운동하게 함으로써 댐퍼의 개폐조작시에 절도감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크판(31)의 제 1 걸림돌기(32) 상방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 2 걸림턱(33)을 추가 설치하여 댐퍼(6)의 개방시에도 로킹함으로써 개방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댐퍼(6)의 개방시에 판스프링(34)의 자유단에 형성한 걸림돌기(35)는 제 2 걸림턱(33)의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댐퍼(6)의 개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댐퍼(6)가 개방된 상태에서 리테이너(2)를 폐쇄할 때에는 노브(21)를 상방으로 회전하면 노브(21)에 형성한 지지판(22)도 회전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레버(24)(25)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댐퍼(6)가 폐쇄되며, 상기와 같이 지지판(22)이 회전할 때 판스프링(34)은 제어판(31)의 측면을 마찰 운동하면서 하강되고 댐퍼(6)가 완전히 폐쇄되면 걸림돌기(35)는 제 1 걸림턱(32)의 하방에 위치됨으로써 댐퍼(6)를 로킹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로킹수단(30)에 의하여 댐퍼(6)의 폐쇄상태시에 로킹하면 블로워의 고속단 운전 또는 고속 주행시에 댐퍼(6)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취향 또는 습관에 부합되는 공기 조화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베젤의 측면에 로크판을 형성하여 그 측면에 제 1 걸 림턱을 형성하고, 노브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그 외주에 판스프링을 설치함과 동시에 판스프링의 자유단을 상기 제 1 걸림턱에 로킹하여 댐퍼의 폐쇄상태시에 이를 로킹함으로써 블로워의 고속단 운전 또는 고속 주행시에 댐퍼의 폐쇄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가 원하는 공기 조화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베젤에 연결하고, 내부에 댐퍼를 그 양단에 설치한 지지축으로 지지한 리테이너와; 상기 베젤의 측면에, 노브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핀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과 댐퍼의 일측 지지축에 제 1 및 제 2 레버를 연결한 댐퍼 구동수단과; 상기 베젤의 측면에 호상의 로크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측면에 제 1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외주에 상기 제 1 걸림턱에 로킹되는 판스프링을 설치한 로킹수단으로 구성한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판의 제 1 걸림턱 상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 2 걸림턱을 추가 형성한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판스프링의 자유단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걸림돌기는 제어판의 측면에 마찰 운동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KR1020030080564A 2003-11-14 2003-11-14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KR10057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564A KR100571663B1 (ko) 2003-11-14 2003-11-14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564A KR100571663B1 (ko) 2003-11-14 2003-11-14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941A KR20050046941A (ko) 2005-05-19
KR100571663B1 true KR100571663B1 (ko) 2006-04-18

Family

ID=3724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564A KR100571663B1 (ko) 2003-11-14 2003-11-14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458B1 (ko) * 2010-11-05 2016-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댐퍼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941A (ko)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8977B2 (ja) 空気ダクト吹出し部および同吹出し部を組み込んだ車両
JP2017526579A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
KR101409532B1 (ko) 자동차 에어벤트의 듀얼 댐퍼 장치
KR101240601B1 (ko) 자동차의 풍향 및 풍량 조절장치
CN110997373B (zh) 汽车用的通风装置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0571663B1 (ko)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KR101412841B1 (ko) 에어벤트
JP3678909B2 (ja)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KR101624573B1 (ko) 윙노브 일체형 댐퍼개폐장치
KR200457979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40446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20050046938A (ko) 차량용 에어 벤트의 댐퍼 개폐기구
JP2000043632A (ja) カップホルダー付きベント
CN209008341U (zh) 有助于降低汽车空调出风温差的空调箱
KR100354120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3298749B2 (ja) 自動車用レジスタ
KR101859758B1 (ko) 에어벤트 장치
KR100422844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JPH09263123A (ja) ベンチレータ
JPH1151459A (ja)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KR200141332Y1 (ko)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KR100774433B1 (ko) 차량의 익스트랙터 그릴 밸브 장치
KR10044775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KR200404465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