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878B1 -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878B1
KR100570878B1 KR1020030099784A KR20030099784A KR100570878B1 KR 100570878 B1 KR100570878 B1 KR 100570878B1 KR 1020030099784 A KR1020030099784 A KR 1020030099784A KR 20030099784 A KR20030099784 A KR 20030099784A KR 100570878 B1 KR100570878 B1 KR 10057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turned
collector
microcomputer
a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0354A (ko
Inventor
조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3009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8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09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electromagnetic relays, e.g. reed re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키가 키 박스의 ACC(Accessory)에 위치했을 때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전원 핀으로 공급되는 ACC B+ 전원에 의해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전원 핀으로 흐르는 전류를 본체 내부의 감지장치를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위적인 전기 노이즈가 프론트 패널 커넥터로 인가되거나 사람의 손가락이 프론트 패널 커넥터에 접촉되더라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본체 내부의 마이컴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하여 오동작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카오디오, 카오디오 셋, 프론트 패널, 카오디오 시스템, 오동작 방지 장치

Description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WRONG OPERATION OF CAR AUDIO SE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론트 패널 커넥터 20: 마이컴
Q1: 전류감지용TR Q2: 반전증폭용TR
Q3: 구동용TR Q4: 제어용TR
본 발명은 카오디오 셋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오디오 셋은 DVD, CDC, LCD TV 등을 포함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고 내부 마이컴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의 동작 을 제어하는 본체로 구분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은 본체의 프론트 패널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본체 내부의 마이컴은 프론트 패널 커넥터에 상기 프론트 패널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으면 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으면 비동작모드로 전환한다.
특히, 상기 본체 내부의 마이컴은 전원 핀, 데이터 핀, 패널검출 핀 등을 포함하는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상기 패널검출 핀에 인가되는 전위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패널검출 핀에 특정한 전위가 인가되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패널검출 핀에 전위가 인가되지 않으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특정한 패널검출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위 존재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은, 외부로부터 인위적인 전기 노이즈가 상기 패널검출 핀으로 인가되거나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에 접촉됨에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전원 핀과 상기 패널검출 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저항을 통한 누설전위가 상기 패널검출 핀으로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 내부의 마이컴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키가 키 박스의 ACC(Accessory)에 위치했을 때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전원 핀으로 공급되는 ACC B+ 전원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전원 핀으로 흐르는 전류를 본체 내부의 감지장치를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된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패널 커넥터(10)는 카오디오 셋의 본체와 프론트 패널을 연결하며, 전원 핀(④)과 데이터 핀 등과 같은 복수의 연결 핀을 포함한다.
전류감지용TR(Q1)은 일측이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10)의 전원 핀(④)과 연결되고 타측이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는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이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류감지용TR(Q1)은 상기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10)의 전원 핀(④)으로 전류가 흐르면 자기 바이어스되어 턴온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턴오프된다.
상기 ACC B+ 전원(예컨대, 12V)은 차량 키가 키 박스의 ACC에 위치했을 때 프론트 패널 커넥터(10)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로 공급되는 전원으로서, 운전자가 키 박스에서 차량 키를 제거하면 공급이 차단된다.
반전증폭용TR(Q2)은 상기 전류감지용TR(Q1)의 컬렉터가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컬렉터 측이 바이어스 저항(R2)을 통하여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반전증폭용TR(Q2)은 상기 전류감지용TR(Q1)이 턴온되면 같이 턴온되어 상기 바이어스 저항(R2)이 연결된 컬렉터 전위를 접지시키거나, 상기 전류감지용TR(Q1)이 턴오프되면 같이 턴오프되어 상기 바이어스 저항(R2)이 연결된 컬렉터 전위를 유지한다.
구동용TR(Q3)은 상기 반전증폭용TR(Q2)의 컬렉터가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컬렉터 측이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용TR(Q3)은 상기 반전증폭용TR(Q2)이 턴온되면 턴오프되어 컬렉터 전위를 유지하거나, 상기 반전증폭용TR(Q2)이 턴오프되면 턴온되어 컬렉터 전위를 접지시킨다.
제어용TR(Q4)은 저항(R5)과 직렬연결된 역류방지 다이오드(D1)와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하여 공급되는 ACC B+ 전원이 상기 바이어스 저항(R3)과 병렬 연결된 노이즈제거 커패시터(C1)와,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하여 공급되는 베이스에 상기 구동용TR(Q3)의 이미터가 연결되어 있고, 이미터에 차량의 12V 배터리 전원(B+) 측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용TR(Q4)은 상기 구동용TR(Q3)이 턴온되어 상기 베이스 측 전위를 접지시키면 턴온되어 컬렉터를 통하여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용TR(Q3)이 턴오프되어 상기 베이스 측 전위를 유지하면 턴오프되어 로우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용TR(Q4)은 상기 ACC B+ 전원이 차량 키가 키 박스에서 제거됨에 따라서 상기 전류감지용TR(Q1)과 반전증폭용TR(Q2) 및 구동용TR(Q3)로 공급되지 않으면 턴온되어 컬렉터를 통하여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마이컴(20)은 상기 제어용TR(Q4)의 컬렉터가 풀다운저항(R4)과 노이즈제거 커패시터(C2)가 연결되어 있는 CE(Chip Enable)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마이컴(20)은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되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비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로우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되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는 카오디오 셋의 본체에서 프론트 패널이 분리되거나 본체에 프론트 패널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차량 키가 키 박스의 ACC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카오디오 셋의 본체에서 프론트 패널이 분리되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본체에서 프론트 패널이 분리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어 있는 전류감지용TR(Q1)의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의 양단에는 상기 전류감지용TR(Q1)를 자기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전위차가 발생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전류감지용TR(Q1)은 턴오프된다.
상기와 같이 전류감지용TR(Q1)이 턴오프되면 상기 반전증폭용TR(Q2)도 역시 턴오프되므로 상기 반전증폭용TR(Q2)의 바이어스 저항(R2)이 연결된 컬렉터 측에는 상기 ACC B+ 전원에 기인하여 상기 구동용TR(Q3)을 턴온시킬 수 있는 특정한 바이어스 전위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반전증폭용TR(Q2)의 컬렉터 측에 특정한 바이어스 전위가 형성되면 상기 구동용TR(Q3)이 턴온되어 상기 제어용TR(Q4)의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제어용TR(Q4)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ACC B+ 전원에 기인하는 특정한 바이어스 전위을 접지시킨다.
이에 따라서, 차량의 12V 배터리 전원(B+)과 연결되는 상기 제어용TR(Q4)의 이미터 측과 대등한 바이어스 전위를 나타내고 있던 12V ACC B+ 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제어용TR(Q4)의 베이스 측의 전위가 접지되므로 상기 제어용TR(Q4)의 이미터 측에 연결된 차량의 배터리 전원(B+)에 의해 상기 제어용TR(Q4)이 턴온된다.
이때, 상기 제어용TR(Q4)의 컬렉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상기 마이컴(20)의 CE단자로 전달되며, 상기 마이컴(20)은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됨에 따라서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비동작모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차량 키가 키 박스의 ACC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카오디오 셋의 본체에 프론트 패널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본체에 프론트 패널이 장착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어 있는 전류감지용TR(Q1)의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을 통하여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의 양단에는 상기 전류감지용TR(Q1)를 자기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전류감지용TR(Q1)은 턴온된다.
상기와 같이 전류감지용TR(Q1)이 턴온되면 상기 반전증폭용TR(Q2)도 역시 턴온되므로 상기 반전증폭용TR(Q2)의 바이어스 저항(R2)이 연결된 컬렉터 측에서 상기 ACC B+ 전원에 기인하여 상기 구동용TR(Q3)을 턴온시키기 위해 형성된 특정한 바이어스 전위가 접지된다.
상기와 같이 반전증폭용TR(Q2)의 컬렉터 측에 형성된 특정한 바이어스 전위가 접지되면 상기 구동용TR(Q3)이 턴오프되어 상기 제어용TR(Q4)의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하여 상기 제어용TR(Q4)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ACC B+ 전원에 기인하는 특정한 바이어스 전위가 상기 제어용TR(Q4)의 베이스 측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서, 차량의 12V 배터리 전원(B+)과 연결되는 상기 제어용TR(Q4)의 이미터 측과 12V ACC B+ 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제어용TR(Q4)의 베이스 측의 전위가 서로 대등한 바이어스 전위를 나타내므로 상기 제어용TR(Q4)은 턴오프된다.
이때, 상기 제어용TR(Q4)의 컬렉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로우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상기 마이컴(20)의 CE단자로 전달되며, 상기 마이컴(20)은 로우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됨에 따라서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끝으로, 차량 키가 키 박스에서 제거됨에 따라서 상기 ACC B+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만약, 상기 ACC B+ 전원이 차량 키가 키 박스에서 제거됨에 따라서 상기 전류감지용TR(Q1)과 반전증폭용TR(Q2) 및 구동용TR(Q3)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전류감지용TR(Q1)과 반전증폭용TR(Q2) 및 구동용TR(Q3)은 모두 턴오프되고, ACC B+ 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제어용TR(Q4)의 베이스 측은 바이이스 저항(R3)을 통하여 접지된다.
따라서, 차량의 배터리 전원(B+)과 연결되는 상기 제어용TR(Q4)의 이미터 측 과 대등한 바이어스 전위를 나타내고 있던 ACC B+ 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제어용TR(Q4)의 베이스 측의 전위가 접지되므로 상기 제어용TR(Q4)의 이미터 측에 연결된 차량의 배터리 전원(B+)에 의해 상기 제어용TR(Q4)이 턴온된다.
이때, 상기 제어용TR(Q4)의 컬렉터를 통하여 출력되는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상기 마이컴(20)의 CE단자로 전달되며, 상기 마이컴(20)은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됨에 따라서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비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즉, 상기 ACC B+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마이컴(20)은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무조건 비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는, 차량 키가 키 박스의 ACC에 위치했을 때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전원 핀으로 공급되는 ACC B+ 전원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의 전원 핀으로 흐르는 전류를 본체 내부의 감지장치를 통하여 감지함으로써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인위적인 전기 노이즈가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로 인가되거나 사람의 손가락이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에 접촉되더라도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상기 본체 내부의 마이컴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하여 오동작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일측이 카오디오 셋의 본체와 프론트 패널을 연결하는 프론트 패널 커넥터(10)의 전원 핀(④)과 연결되고 타측이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는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이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자기 바이어스 저항(R1)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 커넥터(10)의 전원 핀(④)으로 전류가 흐르면 자기 바이어스되어 턴온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턴오프되는 전류감지용TR(Q1)와;
    상기 전류감지용TR(Q1)의 컬렉터가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컬렉터 측이 바이어스 저항(R2)을 통하여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감지용TR(Q1)과 같이 턴온되어 상기 바이어스 저항(R2)이 연결된 컬렉터 전위를 접지시키거나, 상기 전류감지용TR(Q1)과 같이 턴오프되어 상기 바이어스 저항(R2)이 연결된 컬렉터 전위를 유지하는 반전증폭용TR(Q2);
    상기 반전증폭용TR(Q2)의 컬렉터가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컬렉터 측이 ACC B+ 전원 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반전증폭용TR(Q2)이 턴온되면 턴오프되어 컬렉터 전위를 유지하거나, 상기 반전증폭용TR(Q2)이 턴오프되면 턴온되어 컬렉터 전위를 접지시키는 구동용TR(Q3);
    역류방지 다이오드(D1)와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하여 공급되는 ACC B+ 전원이 상기 바이어스 저항(R3)과 병렬 연결된 노이즈제거 커패시터(C1)와 상기 바이어스 저항(R3)을 통하여 공급되는 베이스에 상기 구동용TR(Q3)의 이미터가 연결되어 있고, 이미터에 차량의 배터리 전원(B+) 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용TR(Q3)이 턴온되어 상기 베이스 측 전위를 접지시키면 턴온되어 컬렉터를 통하여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용TR(Q3)이 턴오프되어 상기 베이스 측 전위를 유지하면 턴오프되어 로우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용TR(Q4); 및
    상기 제어용TR(Q4)의 컬렉터가 풀다운저항(R4)과 노이즈제거 커패시터(C2)가 연결되어 있는 CE(Chip Enable)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되면 비동작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로우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되면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마이컴(2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C B+ 전원이 차량 키가 키 박스에서 제거됨에 따라서 상기 전류감지용TR(Q1)과 반전증폭용TR(Q2) 및 구동용TR(Q3)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용TR(Q4)은 턴온되어 컬렉터를 통하여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마이컴(20)의 CE단자로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20)은 하이상태의 마이컴 제어 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되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비동작모드로 전환하고, 로우상태의 마이컴 제어신호가 CE단자로 입력되면 현재 프론트 패널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KR1020030099784A 2003-12-30 2003-12-30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KR10057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784A KR100570878B1 (ko) 2003-12-30 2003-12-30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784A KR100570878B1 (ko) 2003-12-30 2003-12-30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354A KR20050070354A (ko) 2005-07-07
KR100570878B1 true KR100570878B1 (ko) 2006-04-12

Family

ID=3726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784A KR100570878B1 (ko) 2003-12-30 2003-12-30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8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286A (ko)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카오디오의 전면패널 제어방법
KR980007643U (ko) * 1996-07-31 1998-04-30 배순훈 카 오디오용 착탈식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방지구조
KR19980017652U (ko) * 1996-09-24 1998-07-06 배순훈 카 오디오의 경고 엘이디 구동회로
KR20000031614A (ko) * 1998-11-07 2000-06-05 전주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286A (ko)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카오디오의 전면패널 제어방법
KR980007643U (ko) * 1996-07-31 1998-04-30 배순훈 카 오디오용 착탈식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방지구조
KR19980017652U (ko) * 1996-09-24 1998-07-06 배순훈 카 오디오의 경고 엘이디 구동회로
KR20000031614A (ko) * 1998-11-07 2000-06-05 전주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전원 공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354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5117A1 (en) Protection device for a power source and power unit using same
US20110018621A1 (en) Current mirror circuit
JP2848106B2 (ja) リセット回路
JP4936698B2 (ja) パワーアンプシステム
KR100570878B1 (ko) 카오디오 셋의 오동작 방지장치
KR960004456B1 (ko) 전자기기장치
KR20040076833A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JP5107137B2 (ja) バイアス電流検出電源回路
JP6579382B2 (ja) 断線検知回路及び電気接続箱
KR100678620B1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전원 및 앰씨유 감시를 이용한릴레이 구동회로
JP3911268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JP2005149092A (ja) 車載電子装置の電源制御回路
US5578950A (en) Low voltage indicator with a self-biased driver circuit
US20040150425A1 (en) Output signal circuit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polarity
CN210309935U (zh) 一种汽车仪表
JP2001165817A (ja) 断線検出回路
JP3147808B2 (ja) 異常検出回路
KR200348831Y1 (ko)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JP2001231290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3218683A (ja) 電気回路配置
JP2936214B2 (ja) 活線挿抜回路
JPH07141583A (ja) 断線検出装置
KR200333753Y1 (ko) 차량용 스피커 레벨메터의 경보시스템
JP2872029B2 (ja) プリント基板実装回路の誤動作防止装置
JP2000244256A (ja) 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