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831Y1 -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831Y1
KR200348831Y1 KR2019980016789U KR19980016789U KR200348831Y1 KR 200348831 Y1 KR200348831 Y1 KR 200348831Y1 KR 2019980016789 U KR2019980016789 U KR 2019980016789U KR 19980016789 U KR19980016789 U KR 19980016789U KR 200348831 Y1 KR200348831 Y1 KR 200348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ignal
terminal
transis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874U (ko
Inventor
조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6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83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25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specially adapted for switching ac currents or vol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4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 H03K19/00353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in bipolar transist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디오 본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제1 스위칭소자와, 오디오신호에 직류성분이 검출될 경우 릴레이를 차단시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제2 스위칭소자와, 제어신호 인가시 제2 스위칭소자를 턴온 시키지 않기 위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회로이다.
본 고안의 효과에 따르면, 초기 회로 설계에서 공간적인 여유가 생기게 되어 제품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고가의 부품을 대체하여 해당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본 고안은 오디오 신호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제어하고, 그 신호에 직류성분이 포함될 경우 직류 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는 공중파 방송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나중에 청취할 목적으로 저장된 음성 데이터로서, 필요에 따라 이 음성 신호를 적절한 정도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런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의 트랜지스터와 같은 일부 소자가 열이나 발진으로 인하여 파괴될 경우, 직류 전원의 직류 성분이 오디오신호에 포함된 채로 출력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스피커에 무리한 부하를 가하기 때문에 오디오 시스템에서도 상기와 같은 돌발적인 상황을 초기설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된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통상의 회로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의 입력단(a)과 연결된 직류검출부(10)의 일 단은 신호절환부(12)의 일단과도 연결되고, 직류 검출부(10)의 타단은 신호처리부(14)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어 신호의 입력단(b)과 다른 단이 연결된 신호처리부(14)는 또 다른 단이 신호 절환부(12)의 다른 단과 연결되고, 신호 절환부(12)의 또 다른 단은 신호출력부(16)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회로의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L)이 연결된 릴레이(12a)의 일 단은 제1 저항(R1)의 일단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의 우측 채널(R)이 연결된 릴레이(12a)의 타단은 제2 저항(R2)의 일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12a)의 일 단에 대응되는 소정 단자는 제1 스피커(SP1)와 연결되고, 타 단에 대응되는 소정 단자는 제2 스피커(SP2)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저항(R1)의 타단은 집적회로(14a)의 핀 2에 연결되고, 제2 저항(R2)의 타단 또한 집적회로(14a)의 핀 2에 연결되며, 집적회로(14a)의 핀 2와 접지점 사이에는 제2 콘덴서(C2)가 순방향으로 실장된다. 이때, 이 집적회로(14a)는 NEC에서 제조된 μPC1237로서 8개의 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집적회로(14a)의 핀 1 및 핀 5는 접지점과 연결되고, 집적회로(14a)의 핀 4는 제3 저항(R3)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3 저항(R3)의 타단은 제어신호 입력단(b)에 연결된다. 또한, 제3 저항(R3)의 타단은 제4 저항(R4)의 일단에도 연결되고, 제4 저항(R4)의 타단은 접지된다.
한편, 상기 집적회로(14a)의 핀 6은 상기 릴레이(12a)의 구동코일의 일단과 연결되고, 릴레이(12a)의 구동코일의 타단은 직류전원(+Vcc)과 연결된다. 그리고, 일 단에 직류전원(+Vcc)이 인가된 제5 저항(R5)의 타단은 상기 집적회로(14a)의 핀 8과 연결되고, 일 단에 직류전원(+Vcc)이 또한 인가된 제6 저항(R6)의 타단은 집적회로(14a)의 핀 7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제어 회로의 동작을 정상 동작시와 오디오 신호에 직류성분이 포함될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정상 동작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신호 입력단(b)을 통하여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제어신호는 제3 저항(R3)을 흐르면서 전압강하가 발생된다. 강하된 제어 신호는 집적회로(14a)의 핀 4에 입력되고, 집적회로는 핀 6을 통하여 소정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신호는 릴레이(12a)를 구동시켜 해당 접점을 연결함으로써, 좌 우측 채널(L, R)의 오디오 신호를 제1 스피커(SP1) 및 제2 스피커(SP2)로 출력한다.
비정상 동작시 즉, 오디오 신호에 직류 성분이 포함될 경우를 다음에 설명한다.
오디오 신호의 좌 우측 채널(L, R)을 통하여 직류성분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가 들어오면, 직류성분만 상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을 흐르면서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강하된 직류는 제2 콘덴서(C2)에 의해서 평활한 상태로 집적회로의 핀 2에 입력되고, 집적회로는 오디오 신호에 직류성분이 포함되었음을 판단하여 핀 6을 통하여 소정신호를 출력한다. 그 신호는 릴레이(12a)가 해당접점을 개방(open)시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SP1, SP2)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피커(SP1, SP2)를 과도한 부하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제어회로는 신호처리부(14)를 μpc1237(14a)과 같은 집적회로로 사용함으로써, 기판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회로설계시 어려움이 있었고, 고가의 부품이어서 제품의 원가상승 요인이 되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적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낮은 신호처리회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종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직류 성분이 포함된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신호처리회로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 : 제1 트랜지스터 Q2 : 제2 트랜지스터
20 : 직류 검출부 22 : 릴레이
24 : 신호처리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제어회로는 오디오 신호입력부와 ; 오디오 제어신호입력부와 ; 입력된 오디오신호의 직류성분을 검출하는 직류검출부와 ;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와 ; 상기 직류검출부를 통과한 오디오신호가 상기 오디오출력부로 전달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릴레이와 ;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제1 스위칭소자와 ; 상기 오디오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제1 스위칭 소자와 ; 상기 오디오 제어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가 접속되는 소정의 위치와 ; 상기 직류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직류성분이 입력되는 위치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소자와 다이오드로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직류 성분 입력부에 직류성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접속되는 소정의 위치와 직류 성분이 입력되는 위치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그러한 제2 스위칭소자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스위칭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단자와 ; 직류 성분의 입력단자로서 기능하는 제2 단자와 ; 제어 신호의 입력단자로서 기능하는 제3 단자와 ; 소정신호가 베이스에 인가되면, 제1 단자와 연결된 컬렉터와 접지된 이미터간을 도통시키는 제1 트랜지스터와 ;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8 저항과 ;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단자와 연결된 제2 저항과 ; 베이스에 연결된 제3 단자를 통하여 소정 신호가 인가되면, 컬렉터와, 접지된 이미터간을 도통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와 ;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제2 단자 사이에 순방향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직류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출력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라 직류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회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신호의 출력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류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직류성분이 포함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제1 단자(A)에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가 연결되고, 그 베이스는 제7 저항(R7)의 일 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는 접지되고, 상기 제7 저항(R7)의 타단은 제3 단자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제8 저항(R8)의 일단과도 연결되고, 그 타단은 접지된다. 상기 제7 저항(R7)의 일단은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 연결되고, 그 베이스는 제3 단자(C)와 연결된다. 상기 제7 저항(R7)의 일 단은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와 연결된다. 또한,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는 제2 단자(B)에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도 연결된다.
이와같이, 상기 신호처리회로는 3개의 입출력 단자(A, B, C)를 가지는데, 스위칭을 위하여 구비된 제1 단자(A)와, 양 및 음의 직류가 입력되는 제2 단자(B)와,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3 단자(C)가 그것들로서, 신호의 입출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각 회로 소자별 세부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제1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컬렉터와 연결된 제1 단자(A)와 접지된 이미터를 도통시키고, 제2 트랜지스터(Q2)는 제2 단자(B)로 양의 직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단자(B)로 음의 직류가 입력되어도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는 턴온되지 않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는 안정된 스위칭을 위하여 그 베이스와 그 이미터 사이와, 베이스에 각각 저항이 내장된 저항 내장형 트랜지스터이다.
한편, 제8 저항(R8)은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베이스간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 즉, 차단전류(ICBO)를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실제로 제8 저항(R8)이 없으면 상기 차단전류(ICBO)가 베이스-이미터간을 흐르면서 차단 전류가 증폭되어 제1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이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는 오디오 본체의 제어신호가 제7 저항(R7)을 통하여 인가될 때 두 개의 다이오드(D1, D2)가 전압을 강하시켜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문턱전압 (threshold voltage : Vth)이상의 전압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해서, 제7 저항(R7)을 통하여 전압 강하된 후의 전압이 0.7V 라면 제1 트랜지스터(Q1)에 가해지는 전압은 0.7V 겠지만, 제1 다이오드(D1)에서 0.7V를 소모해버리기 때문에 제2 다이오드(D2)조차도 통과하지 못한다. 설령, 불특정 원인으로 인한 전압 변동률 때문에 문턱전압의 2배 즉, 1.4V가 가해진다 해도 2개의 다이오드(D1, D2)를 통과하면서 전압강하가 일어나서 제2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지는 못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회로 동작을 설명하면, 제3 단자(C)를 통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1 단자(A)와 접지간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제2 단자(B)를 통해 직류성분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제3 단자(C)를 통한 제어동작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같은 신호처리회로(24)는 직류성분을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는 전자기기의 부속회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오디오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설명의 명료함을 위하여 상기 신호 처리 회로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의 좌측채널(L)은 릴레이(22)의 제1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좌측 릴레이(L)는 제1 저항(R1)의 일 단과도 연결된다. 우측채널(R)은 릴레이(22)의 제2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우측 채널(R)은 제2 저항(R2)의 일 단에도 연결된다. 그리고, 릴레이(22)의 제 3단자 및 제4 단자는 스피커(SP1, SP2)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저항(R1)의 타단은 콘덴서(C1)의 일단과 연결되고, 콘덴서(C1)의 일단은 상기 제2 저항(R2)의 타단에도 연결된다. 상기 콘덴서(C1)의 타 단은 접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콘덴서(C1)의 일 단은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도 또한 연결된다. 상기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접지되고, 그 컬렉터는 제7 저항(R7)의 일단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제7 저항(R7)의 타단은 제어신호 입력단(b)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도 연결된다. 제1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상기 릴레이(22)의 구동 코일의 일단과 연결되고, 그 타 단은 전원(Vcc)와 연결되며, 제1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접지된다.
한편,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제8 저항(R8)의 일 단과도 연결되고, 그 타단은 접지된다.
이와같이 연결된 회로의 각 부분을 기능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호처리부(24)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 제7 및 제8 저항(R7, R8)으로 구성되어, 오디오 본체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고, 직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직류검출부(20)는 제1 및 제2 저항(R1, R2),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오디오 신호속에 직류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신호 절환부인 릴레이(22)는 상기 신호처리부(24)에서 전달되는 소정 신호에 따라 해당신호 접점을 단락(short)시키거나 개방(open)시킨다. 오디오 신호의 출력수단인 스피커(SP1, SP2)는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자연음으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실시예의 도면과 달리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가 아닌 모노일 경우 하나의 스피커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회로 동작을 정상동작시와, 오디오신호에 직류성분이 포함된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정상동작시 즉, 오디오 신호에 직류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디오 본체로부터 제어신호가 제어신호 입력단(b)을 통하여 입력되면, 제7 저항(R7)은 직류 성분인 제어 신호의 전압을 강하시켜 제1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릴레이(20)의 구동코일에 가해지던 직류전압(Vcc)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이미터간을 경유하여 접지로 흐르게 된다. 이 순간, 상기 릴레이(20)는 자화되어 해당접점을 도통시켜 오디오 신호는 해당 접점을 따라서 흐르게되어 스피커(SP1, SP2)에 의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 된다. 이때,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은 제7 저항(R7)에 의해 전압 강하되어 0.6∼0.7V 인데 반하여,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은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를 거치며 모두 소진되기 때문에 제2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에서 각각 0.6∼0.7V씩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이와는 반대로, 오디오 신호에 직류 성분이 포함된 경우를 설명한다.
직류는 음의 직류와 양의 직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 신호에 음의 직류성분이 포함된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오디오 신호에 음(-)의 직류전압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를 통해 흐르게 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역방향 바이어스인 음의 전압이 가해지게 되므로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 되어 구동전압이 릴레이(20)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도 음의 전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턴오프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SP1, SP2)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오디오신호에 양의 직류성분이 포함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디오 신호에 양(+)의 직류 성분이 포함될 경우, 오디오 신호는 저항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저항 및 제2 저항(R1, R2)으로 인하여, 그 직류성분만 전압 강하가 일어난다. 이에따라, 제2 트랜지스터(Q2)는 컬렉터와 이미터는 도통상태에 놓이게 되기 때문에,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이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접지와 등전위 즉, 0V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는 문턱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지 못하여 그 컬렉터와 이미터는 턴오프됨에 따라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SP1, SP2)를 통하여 출력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오디오 신호에 양이든 음이든 직류성분이 포함되면 상기 릴레이(20)를 차단함으로써, 직류성분이 포함된 오디오신호가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여 스피커(SP1, SP2)를 보호한다. 물론, 후속조치로서 이와같은 상황을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등의 기능이 필요하지만, 그것은 오디오 본체의 기능에 속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에 직류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도 앰프의 문제로 인해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직류전원장치의 평활도와 같은 정도를 기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콘덴서(C1)를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병렬로 연결하여 안정된 스위칭 성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오디오 신호의 좌, 우측 채널(L, R)에 각각 연결된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은 정상동작시 오디오신호가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신호에서 직류를 검출할 때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저항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오디오 본체의 앰프 고장으로 인하여 오디오 신호속에 직류 성분이 포함되더라도 릴레이(22)를 차단하여 스피커(SP1, SP2)로 출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피커(SP1, SP2)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개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변형된 실시예도 포함하고, 이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됨을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초기 회로 설계에서 공간적인 여유가 생기게 되어 제품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고가의 집적회로를 저렴한 부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6)

  1. 오디오 신호입력부(L, R)와,
    오디오 제어신호입력부(b)와,
    입력된 오디오신호의 직류성분을 검출하는 직류검출부(20)와,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SP1, SP2)와,
    상기 직류검출부를 통과한 오디오신호가 상기 오디오출력부로 전달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릴레이(22)와,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제1 스위칭소자(Q1)와,
    상기 오디오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제1 스위칭 소자(Q2)와,
    상기 오디오 제어신호 입력부(b)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Q1)가 접속되는 소정의 위치와,
    상기 직류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직류성분이 입력되는 위치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스위칭소자(Q2)와 다이오드(D1, D2)로서, 상기 제2 스위칭 소자(Q2)는 상기 직류 성분 입력부에 직류성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Q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1, D2)는 상기 접속되는 소정의 위치와 직류 성분이 입력되는 위치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그러한 제2 스위칭소자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Q1, Q2)는 트랜지스터인 오디오 신호의 출력제어회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D1, D2)는 두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연결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4. 신호속에 포함된 직류 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회로로서,
    스위칭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단자(A)와,
    직류 성분의 입력단자로서 기능하는 제2 단자(B)와,
    제어 신호의 입력단자로서 기능하는 제3 단자(C)와,
    소정신호가 베이스에 인가되면, 제1 단자(A)와 연결된 컬렉터와 접지된 이미터간을 도통시키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8 저항과 ;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단자(C)와 연결된 제7 저항(R7)과 ;
    베이스에 연결된 제3 단자(C)를 통하여 소정 신호가 인가되면, 컬렉터와, 접지된 이미터간을 도통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Q2)와 ;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 제2 단자 사이에 순방향 연결된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D1, D2)는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베이스간에 두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의 직렬로 연결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6.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는 안정된 스위칭을 위하여 그 베이스와, 그 베이스와 그 이미터에 각각 저항이 내장된 저항 내장형 트랜지스터인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KR2019980016789U 1998-09-04 1998-09-04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KR200348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89U KR200348831Y1 (ko) 1998-09-04 1998-09-04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89U KR200348831Y1 (ko) 1998-09-04 1998-09-04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74U KR20000005874U (ko) 2000-04-06
KR200348831Y1 true KR200348831Y1 (ko) 2004-06-17

Family

ID=4942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789U KR200348831Y1 (ko) 1998-09-04 1998-09-04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8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74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6051A (en) Signal switching apparatus
JP2673919B2 (ja) 保護回路
US4453092A (en) Comparator circuit having reduced input bias current
US6603353B2 (en) Switching power amplifier
EP0280327B1 (en) Audio output amplifier
JPH03178216A (ja) 信号切換え装置
KR900008757B1 (ko) Btl 전력증폭회로
US4924343A (en) Solid state optical relay
KR200348831Y1 (ko)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US6211730B1 (en) Pre-amplifier circuit
US6903610B2 (en) Operational amplifying circuit and push-pull circuit
JP2003308123A (ja) 電源保護回路
KR100287613B1 (ko) 전원제거시필요동작을유지시키는스위칭회로를구비한제어시스템
US6590446B2 (en) Amplifier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5229197A (ja) 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
JPS5938762B2 (ja) Otl回路の保護回路
US11693474B2 (en) Circuitry applied to multiple power domains
JP2004112019A (ja) 音声電力増幅装置の地絡保護装置
US20070021061A1 (en) Current detector with variable output voltage level
US4521737A (en) Bipolar-MOS current amplifier having active turn-off circuitry
KR100264892B1 (ko) 전류제한회로
JP3202227B2 (ja) 負荷回路の断線を検出する手段を備える回路装置
JPH11136850A (ja) 過電流防止回路
JPH0669732A (ja) 電力増幅回路
JPH024525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