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783B1 -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용 안전 주사 기구 - Google Patents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용 안전 주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783B1
KR100567783B1 KR1020037010150A KR20037010150A KR100567783B1 KR 100567783 B1 KR100567783 B1 KR 100567783B1 KR 1020037010150 A KR1020037010150 A KR 1020037010150A KR 20037010150 A KR20037010150 A KR 20037010150A KR 100567783 B1 KR100567783 B1 KR 10056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rtridge
plunger
need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414A (ko
Inventor
체리프-체이크롤랜드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더 콘세이유 더 레세르세 에 다플리까띠옹 시엔띠피끄,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더 콘세이유 더 레세르세 에 다플리까띠옹 시엔띠피끄,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더 콘세이유 더 레세르세 에 다플리까띠옹 시엔띠피끄,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3008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57Semi-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extens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55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 A61M5/2466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by piercing without internal pressure increase
    • A61M2005/247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by piercing without internal pressure increase with fixed or steady piercing means, e.g. piercing under movement of ampo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5Degree of extension of sleeve to its needle covering position is progressively established by the degree of piston insertion into the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48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Lubric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하우징, 중공의 바늘, 플런저, 및 중공의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까운쪽 말단 및 먼쪽 말단을 갖고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을 담도록 설계되며, 상기 바늘은 상기 하우징의 먼쪽 말단에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의 가까운쪽 말단 내에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중공의 슬리브는 주사 놓기 전에는 상기 바늘을 커버하며 주사 놓는 도중에는 상기 하우징 내로 후퇴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주사 기구는 상기 슬리브가 대상물에 맞대어 압착될 때 상기 슬리브는 하우징 내로 후퇴하고 상기 약제 조성물은 상기 바늘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로 전달되는 주사 기구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바늘, 플런저, 슬리브, 약제 조성물, 주사 기구

Description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용 안전 주사 기구 {SAFETY INJECTION DEVICE FOR A LIQUID OR SEMI-SOLID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을 주사 전후에 보호되는 바늘을 통해 투여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징후, 예를 들면, 투여될 약물이 소화기관을 부분적으로나 또는 전체적으로 퇴화시키거나 또는 생체학적 반응을 신속하게 얻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약학 활성 화합물을 입을 통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주사될 액체가 기구 내에 이미 들어 있는 사전 장입식 투여 기구(예를 들면, 사전 장입식 주사기)를 사용함으로써 긴급하게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그 준비가 간단해진다. 그러나, 상기 사전 장입식 기구는 바늘을 무균 또는 살균 상태로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노출된 바늘을 사용하게 되는 일반적인 위험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는, 주사 이전 및 이후에 바늘을 주위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을, 예를 들면, 사람과 같은 포유류의 대상물에 투여하기 위한 주사 이전 및 이후에 보호되는 바늘을 갖는 비교적 저 가의 주사 기구를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하우징, 중공의 바늘, 플런저, 및 중공의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까운쪽 말단 및 먼쪽 말단을 갖고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을 담도록 설계되며, 상기 바늘은 하우징의 먼쪽 말단에 부착되며 하우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런저는 하우징의 가까운쪽 말단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중공의 슬리브는 주사하기 전에는 바늘을 커버하며 주사하는 도중에는 하우징 내로 후퇴하는 주사 기구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사 기구는 슬리브가 대상물에 맞대어 압착될 때, 슬리브는 하우징 내로 후퇴하고 약제 조성물은 바늘을 통해 대상물 내로 투여되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 기구는 약제 조성물이 하우징으로부터 밀어 넣어질 때, 플런저가 슬리브를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여 바늘을 커버하도록 또한 설계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을 담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 기구는 격벽 플런저(septum plung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 플런저는 하우징 내에서 하우징의 먼쪽 말단과 플런저 사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 기구는 약제 조성물이 하우징으로부터 밀어 넣어질 때, 플런저는 격벽 플런저를 하우징 내로 밀어 넣고 격벽 플런저는 슬리브를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여 바늘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플런저와 격벽 플런저 사이에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을 담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액체 또는 건성 약제 조성물을 담고 있고, 기구는 주사하기 전에 액체 및 건성 약제 조성물이 결합되도록 설계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 기구는 플런저가 하우징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가능한 로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 기구는 슬리브를 커버하는 제거가능한 캡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의 가까운쪽 말단은 플랜지를 포함하고, 또한 플런저도 플랜지를 포함한다.
주사 기구의 선택적인 특징부로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 가까운쪽 말단, 및 저장부(reservoir)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캡, 시일 또는 격벽에 의하여 폐쇄되는 먼쪽 말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까운쪽 말단은 카트리지 또는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 팁에 의하여 폐쇄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캡, 시일 또는 격벽과 상기 플런저 팁 사이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캡, 시일 또는 격벽은 종래의 클립 수단, 예를 들면, 금속 링을 사용하여 상기 먼쪽 말단에 부착될 수 있다. 캡, 시일 또는 격벽 및 플런저 팁 각각은 적합한 소재, 즉 주사 기구의 원하는 용도에 적합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캡, 시일 또는 격벽 및 플런저 팁 각각은 고무, 폴리브로모부틸, 등과 같은 연성 고체 소재로 각각 별개로 만들어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캡, 시일 또는 격벽 및 플런저 팁 각각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을 저장부 내에 담고 있고, 예를 들면, 하우징의 가까운쪽 말단을 통해 기구의 하우징 내로 주입되도록 구 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 예를 들면, 바늘의 가까운쪽 말단을 향하거나 또는 멀어지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다양한 규격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주사 기구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가 바늘의 가까운쪽 말단에 연결, 즉 바늘의 가까운쪽 말단이 카트리지 또는 튜브의 먼쪽 말단에 위치된 캡, 시일 또는 격벽을 관통한 후, 슬리브가 대상물에 맞대어 압착될 때 슬리브가 하우징 내로 후퇴함으로써 바늘의 먼쪽 말단이 노출되어 바늘의 먼쪽 말단이 대상물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카트리지 또는 튜브의 가까운쪽 말단의 플런저 팁이 카트리지 또는 튜브 내로, 즉 카트리지 또는 튜브의 먼쪽 말단을 향하여 밀어질 때, 약제 조성물이 카트리지 또는 튜브로부터 바늘을 통하여 대상물 내로 주입된다.
본 발명의 특정 변형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의 가까운쪽 말단을 향하여 위치된 가까운쪽 컴파트먼트 및 카트리지 또는 튜브의 먼쪽 말단을 향하여 위치된 먼쪽 컴파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까운쪽 컴파트먼트 및 먼쪽 컴파트먼트는 플런저에 의하여 분리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가까운쪽 컴파트먼트는 상기 조성물의 액체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먼쪽 컴파트먼트는 상기 조성물의 고체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변형예에서 주사 기구는, 동작 시, 액체 및 고체 성분이 주사하기 전에 혼합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 기구는 약제 조성물이 카트리지 또는 튜브로부터 밀어 넣어질 때, 카트리지 또는 튜브가 슬리브를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함으로써, 주사 후에 바늘을 커버하고, 선택적으로는 바늘이 대상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또는 튜브에는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이 담겨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튜브의 먼쪽 말단을 폐쇄하는 격벽 캡 또는 시일 및 튜브의 가까운쪽 말단을 폐쇄하는 격벽 플런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 캡 또는 시일은 팁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격벽 플런저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구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가 하우징 내로 충분히 들어 갔을 때 바늘의 가까운쪽 말단이 격벽 캡 또는 시일을 통과하고, 약제 조성물이 격벽 플런저에 의하여 카트리지 또는 튜브로부터 빠져 나왔을 때 상기 격벽 플런저가 카트리지 또는 튜브를 밀어 카트리지 또는 튜브가 바늘을 커버하도록 슬리브를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또는 튜브에는 격벽 캡 또는 시일과 격벽 플런저 사이에 액체 또는 반고체 약제 조성물이 담겨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또는 튜브에는 액체 또는 건성 약제 조성물이 담겨 있고, 주사 기구는 주사하기 전에 액체 및 건성 약제 조성물이 결합되도록 설계된다.
주사 기구는, 예를 들면, 카트리지 또는 튜브가 바늘에 연결된 후, 카트리지 또는 튜브가 하우징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 로킹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가까운쪽 말단은 플랜지를 가질 수 있고 플런저도 또한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주사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먼쪽 말단에 부착되며 상기 저장부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바늘을 포함한다. 하우징 또는 보호 슬리브가 플런저 상에 구성되며 저장부 둘레에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된다. 주사 기구는, 약제 조성물이 저장부로부터 빠져 나올 때, 플런저 하우징이 상기 저장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주사 종료 시, 플런저는 예를 들면 저장부의 가까운쪽 말단에 의하여 플런저 하우징으로부터 릴리스되어 상기 플런저 하우징 내로 슬라이딩하여 플런저 하우징이 바늘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을 대상물 내에 주사하는 주사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사 기구는 가까운쪽 말단 및 먼쪽 말단을 갖는 저장부, 중공의 바늘, 및 상기 저장부의 가까운쪽 말단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열된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먼쪽 말단은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이 담겨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늘은 저장부의 먼쪽 말단에 부착되며 상기 저장부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런저는 주사 후 저장부의 가까운쪽 말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플런저 하우징 내로 후퇴하도록 배열되고 플런저, 저장부 및 바늘을 커버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주사 기구는 플런저 하우징이 저장부 둘레로 밀어 넣어질 때, 플런저가 저장부 내로 밀어 넣어지고, 조성물이 저장부로부터 바늘을 통해 대상물 내로 주입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주사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하우징은 릴리스 메커니즘 때문에 상기 플런저로부터 저장부의 상기 가까운쪽 말단 내로 연결해제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늘이 보호된 후 보호 슬리브가, 예를 들면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역행할 수 없는 방식으로 로크되도록 설계된다.
달리 한정되지 않은 경우,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동일한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방법 및 소재가 본 발명의 실행 또는 실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 및 소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특허출원, 및 다른 인용 참증은 전체를 참조하여 결합시켰다. 차이가 있는 경우,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를 수정하였다. 또한, 소재, 방법,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사용하기 전의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사용 도중의 도 1에 도시된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바늘이 대상물 내에 주입된 상태의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약제 조성물이 대상물 내에 잔류된 상태에서 대상물로부터 빠져 나온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바늘이 대상물로부터 완전하게 빠져 나온 후의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선 6-6을 따라 절취된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주사 기구 슬리브의 도면이다.
도 8은 카트리지를 미리 끼워 넣기 전의 카트리지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사용하기 전의 카트리지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카트리지를 바늘에 연결한 후 사용하는 도중의, 도 9에 도시된 카트리지 주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플런저를 세팅한 후 사용 도중의, 도 10에 도시된 카트리지 주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바늘이 대상물에 주입된 상태의 카트리지 주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약제 조성물이 대상물에 잔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상물로부터 빼내어진 카트리지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바늘이 대상물로부터 완전하게 빠져 나온 후의 카트리지 주사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8의 선 6-6을 따라 절취된 주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이 담겨 있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액체 또는 건성 약제 조성물이 담겨 있는 카트리지의 단면도로서, 도 17(A)는 수화(rehydration)되기 전의 도면이고 도 17(B)는 수화된 후의 도면이다.
도 18은 두 가지 옵션 즉 카트리지(우측) 및 튜브(좌측)를 가진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수화되기 전후의 액체 및 건성 약제 조성물이 담겨 있는 튜브의 단 면도이다.
도 20은 수화되기 전후의 액체 및 건성 약제 조성물이 담겨 있는 튜브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사용하기 전의 저장부 주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약제 조성물 주입 후의 저장부 주사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바늘이 대상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온 후의 저장부 주사 기구의 단면도이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을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가까운쪽 말단 및 먼쪽 말단(14a, 14b)을 갖춘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주사 기구(1)의 도면이다. 하우징(10)의 먼쪽 말단은 상기 먼쪽 말단의 두 부분(14a, 14b)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두 개의 구멍(40a, 40b)을 갖는다(도 6에 잘 나타나 있음). 바늘(12)은 먼쪽 말단 부분(14a)에 부착된다. 하우징(10)은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늘(12)은 중공이고 양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외측에 있는 먼쪽 말단은 대상물의 피부를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포인트를 가지고, 하우징(10)의 내측에 있는 가까운쪽 말단은 격벽 플런저(16)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하우징(10)의 가까운쪽 말단 상에는, 주사 후, 기구(1)를 대상물로부터 빼어내는데 도움이 되는 플랜지(28)가 있다.
바늘(12)이 사용될 때까지 환경에 완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슬리브(22)가 바늘(12)을 둘러싼다. 슬리브(22)는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의 슬롯(45a, 45b)을 갖는다(도 7 참조: 슬롯(45b)은 슬리브의 후면 상에 있으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먼쪽 말단의 두 부분(14a, 14b)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42a, 42b)에 의하여 접합된다(도 6 참조). 연결 부재(42a, 42b)는 슬리브(22)의 슬롯(45a, 45b) 내를 각각 슬라이딩하는 한편, 슬리브(22)는 하우징(10)의 구멍(40a, 40b) 내를 슬라이딩한다. 슬리브(22)는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시일(24)이 슬리브(22)의 개구(23)를 커버하여 바늘(12)의 살균 상태를 유지하고, 주사 전에 슬리브(22)가 구멍(40a, 40b)을 통해 하우징(10) 내로 부주의로 후퇴하지 않도록 한다.
시일(24)은 주사 도중에 바늘(12)이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왁스와 같은 얇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유사한 시일로 슬리브(22)의 슬롯(45b)을 또한 커버하여 바늘(12)의 살균 상태를 더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에 포함된 격벽 플런저(16)는 바늘(12)이 격벽 플런저(16)를 뚫고 들어가기 전에 위치되는 구멍(26)을 포함한다.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20)은 하우징(10) 내의 플런저(29)에 부착된 플런저 팁(30)과 격벽 플런저(16) 사이에 격리된다. 격벽 플런저(16) 및 플런저 팁(30)은 이 격벽 플런저(16) 및 플런저 팁(30)이 하우징(10)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지만 조성물(20)이 하우징(10) 내에 밀봉되도록 하우징(10)의 내측과 충분한 마찰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 폴리브로 모부틸 등과 같은 연성 고체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런저(29)의 가까운쪽 말단은 플런저(29)를 하우징(10) 내로 압착하는데 보조하는 업지손가락 플랜지(18)를 갖고, 플런저(29)의 먼쪽 말단은 조성물(20)을 바늘(12)을 통해 주사한 다음 바늘(12)을 수용하는 길이방향 구멍(27)을 갖는다. 플런저(29)는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기구(1)가 활성화된 후, 즉 하우징(10)이 약제 조성물로 채워지고 바늘의 가까운쪽 말단이 격벽 플런저(16)를 뚫은 다음, 플런저(29)가 하우징(10) 내로 더 압착되지 않도록 플랜지(18)와 플랜지(28) 사이에 착탈가능한 로크(25)가 위치될 수 있다. 착탈가능한 캡(21)을 또한 사용하여 바늘(12) 및 슬리브(22)를 사용하기 전에 보호할 수 있다. 캡(21) 및 로크(25) 양자 모두는 플라스틱, 금속, 고무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기구(1)가 다음과 같이 활성화되도록 플런저(29)가 하우징(10) 내에 압착된 상태에 있는 기구(1)의 도면이다. 플런저(29)가 압착될 때, 플런저 팁(30), 조성물(20), 및 격벽 플런저(16)는 하우징(10)의 먼쪽 말단을 향하여 변위된다. 격벽 플런저(16)의 구멍(26)을 바늘(12)이 뚫고 들어간다. 그 결과, 바늘(12)의 가까운쪽 말단은 조성물(20)에 노출된다. 다음에, 기구(1)는 활성화 상태로 된다. 로크(25)는, 플랜지(18)와 플랜지(28)를 접촉시킴으로써, 기구(1)가 활성화된 다음, 즉 조성물(20)이 바늘(12)에 채워질 때 조성물(20)이 하우징(10)으로부터 더 배출되지 않도록 하지만, 로크(25)는 조성물(20)이 바늘(12)을 통해 많은 양으로 릴리스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바늘(12)이 치료하려는 대상물의 피부(32)를 뚫고 들어간 상태에 있는 기구(1)의 도면이다. 기구(1)를 피부(32)에 맞대어 압착할 때, 슬리브(22)는 피부에 맞대어진 압착력으로 인하여 구멍(40a, 40b)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로 후퇴한다. 바늘(12)은 개구(23)에서 슬리브(22)를 통과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2)은 피부(32)를 통해 피하층(34) 내로 뚫고 들어간다.
도 4는 로크(25)가 제거되고 플런저(29)를 압착시켜 플런저 팁(30)이 격벽 플런저(16)를 향하여 이동하게 함으로써 조성물(20)이 바늘(12)을 통하여 피하층(34) 내로 주입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기구(1)의 도면이다. 조성물(20)이 주입되고 플런저 팁(30)이 격벽 플런저(16)에 맞대어 위치되면, 하우징(10)은 플랜지(28)의 하단부에 대항하는 압력이 가해지는 한편, 플런저(29)의 플랜지(18) 상에는 이에 반발하는 압력이 동시에 가해짐으로써 피부(32)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플런저(29)와 하우징(10)의 이러한 상대 이동으로 인하여 플런저 팁(30) 및 격벽 플런저(16) 양자 모두가 하우징(10)의 먼쪽 말단의 부분(14a, 14b)을 향하여 슬라이딩할 때 플런저 팁(30)이 격벽 플런저(16)를 슬리브(22)에 강제로 맞대어지도록 하고, 또한 슬리브(22)가 구멍(40a, 40b)을 통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강제로 빠져나오도록 한다. 플런저 팁(30) 및 격벽 플런저(16)가 하우징(10)의 먼쪽 말단을 향하여 이동할 때, 바늘(12)은 격벽 플런저(16), 플런저 팁(30)을 뚫고 들어가서 플런저(29)의 구멍(27) 내로 들어간다.
도 5는 바늘(12)이 피부(32)로부터 완전히 후퇴하여 슬리브(22)가 바늘(12)을 완전하게 커버하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조성물(20)은 환자의 피하층에 잔류 한다. 도 5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늘(12)의 가까운쪽 말단은 격벽 플런저(16) 및 플런저 팁(30)을 통해 밀어 넣어져서 플런저(29)의 구멍(27) 내에 위치된다.
도 6은 도 1의 선 6-6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10) 내 구멍(40a, 40b)의 도면이다.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42a, 42b)가 슬롯(45a, 45b)을 각각 관통하여 먼쪽 말단의 부분(14a, 14b)을 연결시킨다. 바늘(12)은 먼쪽 말단의 중앙부(14a)에 고정되고, 슬리브(22)는 구멍(40a, 40b)을 통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7은 슬롯(45a, 45b)(슬롯(45b)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슬리브(22) 타단의 슬롯(45a)과 정반대쪽에 위치된다) 및 개구(23)를 갖는 격리된 슬리브(22)의 도면이다.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42a, 42b)는 슬롯(45a, 45b)을 통해 각각 슬라이딩한다.
도 8은 가까운쪽 말단 및 먼쪽 말단을 갖춘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주사 기구(1)의 도면이다.
하우징(10)의 먼쪽 말단은 이 먼쪽 말단의 두 부분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예를 들면 두 개의 구멍(40a, 40b)을 갖는다(도 15에 잘 나타나 있음). 바늘(12)은 먼쪽 말단에 부착된다. 하우징(10)은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늘(12)은 중공이고 양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외측에 있는 먼쪽 말단은 대상물의 피부를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포인트를 가지고, 하우징(10)의 내측에 있는 가까운쪽 말단은 카트리지 또는 튜브(11)의 격벽 캡(17) 및 격벽 플런저(3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다. 하우징(10)의 가까운쪽 말단 상에는 주사 시 보조하는 플랜지(28)가 있다. 슬리브(22)를 연장시킴으로써 주사 후에 기구(1)를 대상물로부터 빼어내는데 도움이 된다.
슬리브(22)는 바늘(12)이 사용될 때까지 환경에 완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바늘(12)을 둘러싼다. 슬리브(22)는 자신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슬롯, 예를 들면 두 개의 슬롯(45a, 45b)을 갖는다(도 15 참조). 먼쪽 말단의 두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42a, 42b)에 의하여 접합된다(도 15 참조). 연결 부재(42a, 42b)는 슬리브(22) 내 슬롯(45a, 45b)을 통해 각각 슬라이딩하는 한편, 슬리브(22)는 하우징(10) 내 구멍(40a, 40b)을 통해 슬라이딩한다. 슬리브(22)는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늘(12) 상의 시일(24)(도시되지 않음)은 주사 도중에 바늘(12)이 용이하게 뚫을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 플라스틱 포장재 또는 백과 같은 얇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늘(12)의 살균 상태를 더 보호하기 위하여 유사한 시일을 또한 사용하여 슬리브(22)를 커버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에 포함된 격벽 플런저(16)는 바늘(12)이 추후에 격벽 플런저(16)를 뚫기 전에 위치되는 구멍(26)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20)은 카트리지(11) 내의 격벽 플런저(16)와 플런저 팁(30) 사이에 격리된다. 격벽 플런저(16) 및 플런저 팁(30)은 이 격벽 플런저(16) 및 플런저 팁(30)이 카트리지(11)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지만 조성물(20)이 카트리지(11) 내에 밀봉되도록 카트리지(11)의 내측과 충분한 마찰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 폴리브로모부틸 등과 같은 연성 고체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플런저(29)의 가까운쪽 말단은 플런저(29)를 카트리지(11) 내로 압착하는데 보조하는 업지손가락 플랜지(18)를 갖고, 플런저(29)의 먼쪽 말단은 조성물(20)을 바늘(12)을 통해 주사한 다음 바늘(12)을 수용하는 길이방향 구멍(27)을 갖는다(도 11 참조). 플런저(29)는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기구(1)가 활성화된 후, 즉 하우징(10)이 튜브 또는 카트리지로 채워지고 바늘의 가까운쪽 말단이 격벽 캡(17)를 뚫은 다음, 플런저(29)가 하우징(10) 내로 더 압착되지 않도록 플랜지(18)와 플랜지(28) 사이에 착탈가능한 로크(25)가 위치될 수 있다.
착탈가능한 캡(21)을 또한 사용하여 바늘(12) 및 슬리브(22)를 사용하기 전에 보호할 수 있다. 캡(21) 및 로크(25) 양자 모두는 플라스틱, 금속, 고무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카트리지(11)의 먼쪽 말단 상의 격벽 캡(17)은, 예를 들면, 금속 링(도시되지 않음)으로 밀봉된다.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20)은 카트리지 또는 튜브(11) 내에서 플런저(29)에 부착되는 플런저 팁(30)과 격벽 캡(17) 사이에 격리된다(도 11 참조). 카트리지 또는 튜브(11)는,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을 밀어서 카트리지 또는 튜브의 가까운쪽 말단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바늘(12)의 가까운쪽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도 10 참조).
격벽 캡(17) 및 플런저 팁(30)은 바늘(12)이 격벽 캡(17) 및 플런저 팁(30)을 뚫을 수 있고 플런저 팁(30)이 카트리지 또는 튜브(11) 내에서 밀봉가능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고무, 폴리브로모부틸 등과 같은 연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9는 기구(1)를 사용하는 도중에 카트리지 또는 튜브(11)가 하우징(10) 내에 도입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바늘(12) 상의 카트리지 또는 튜브(12)가 격벽 캡(17)을 통해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플런저 팁(30) 상에 플런저(29)가 세팅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슬리브(22)가 하우징(10) 내로 후퇴한 상태에서 바늘(12)이 주사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조성물(20)을, 예를 들면, 플런저 플랜지(18) 상에는 업지손가락을 하우징 플랜지(28) 상에는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조직 내로 주사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주사 후 대상물로부터 기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으로서, 카트리지 또는 튜브(11)가 바늘(12) 둘레의 하우징(10)으로부터 슬리브(22)를 밀어, 그 결과 바늘(12)이 대상물 조직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5는 도 8의 선 6-6을 따라 절취된 도면으로서, 슬리브(22)의 슬롯(45a, 45b)이 슬라이딩하는 두 개의 애퍼춰 또는 구멍(40a, 40b)을 구비한 하우징(10)의 먼쪽 말단(14b)의 단면도이다. 두 개의 연결 부재(42a, 42b)가 구멍을 분리시키고 하우징(10)의 외부를 바늘(12)이 고정되어 있는 내부와 연결시킨다.
도 16은 격벽 캡(17)과 플런저 팁(30) 사이에 조성물(20)이 담겨 있는 기구(1)의 하우징(10) 내에 사용된 카트리지 또는 튜브(11)의 도면이다.
도 17(A)는 릴리스가능한 로크(50)를 구비한 기구(1)의 하우징(10) 내에 사용된 카트리지 또는 튜브(11)의 도면이다. 조성물(20B)의 액체부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11) 내의 두 개의 격벽 플런저(30A)와 격벽 플런저(30B) 사이에 채워진다. 격벽 플런저(30A)는 바이패스(by-pass)(51) 바로 앞의 카트리지 또는 튜브(11) 내에 위치된다. 격벽 플런저(30B)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11)와 접촉된 로크(50)로 로킹된다. 조성물(20A)의 고체부는, 예를 들면, 진공 상태로 카트리지 또는 튜브(11) 내의 격벽 플런저(30A)와 격벽 캡(17) 사이에 채워진다.
도 17(B)는 릴리스가능한 로크(50)를 제거한 후의 도 17(A)에 도시된 카트리지 또는 튜브(11)의 도면이다. 조성물(20)은 조성물(20B)의 액체부를 바이패스(51)를 통하여 진공 상태의 고체부 내로 통과시킴으로써 준비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이중 쳄버 배열을 갖춘 튜브 옵션(11A) 또는 카트리지 옵션(11B)을 구비한 기구(1)의 도면이다. 하우징(10)은 두 가지 옵션(11A 또는 11B) 양자 모두에 대하여 동일할 수 있다. 착탈가능한 로크(50)를 제거하기 전에, 튜브(11A) 또는 카트리지(11B)는 격벽 캡(17)을 통해 바늘(12) 상에 연결될 수 없다. 착탈가능한 로크(50)를 제거한 후, 도 17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가 실행되고, 튜브(11A) 또는 카트리지(11B)는 바늘(1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플런저(29)는 격벽 플런저(30B)에 부착되고 주사가 실행된다.
도 19는 로크(50)를 제거함으로써 실행된 튜브(11A)에 대한 도 17에 기재된 수화 공정의 도면이다. 도 12(A) 상의 로크(50)를 제거하기 전에, 튜브(11A)는 바늘(12)을 격벽 캡(17)을 통하여 튜브(11A) 내로 도입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깊이 하우징 내로 도입될 수 없다. 착탈가능한 로크(50)는 조성물(20A)의 고체부의 진공에도 불구하고 플런저(30A)를 바이패스(51)의 상단에 또한 유지시킨다. 도 12(B) 상의 로크(50)를 제거한 후, 튜브(11A)는 하우징 내로 도입되거나 또는 바늘(12)이 격벽 캡(17)을 통하여 튜브(11A)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로크(50)를 제거하여 도입하기 전에, 조성물(20)은 고체부(20A)를 포함하는 쳄버의 진공에 의하여 얻어진 수화 때문에, 고체부(20A)와 액체부(20B)를 혼합시켜 준비된다.
도 20은 바늘(12)이 하우징(10)의 먼쪽 말단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슬리브(22)가 부착되는 방식으로 하우징(10)의 먼쪽 말단에 해당하는 서포트(52)에 부착될 때 바늘(12) 상에 카트리지 또는 튜브(11)를 연결시킨 후 사용하는 도중에 있는 도 8에 도시된 배열의 변형예의 도면이다.
상기 각기 다른 서포트(52)는, 예를 들어 펜 또는 카트리지 일회용 바늘이 연결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바늘(12)이 격벽 캡(17)을 통해 도입된 후 하우징(10) 상에 나사로 조임으로써 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0(A)에 있어서, 주사 후 기구는 카트리지 또는 튜브(11)의 변위로 인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2)에 의하여 대상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도 20(B)는 주사 후에 카트리지 또는 튜브(11)를 변위시키지 않고 스프링(51)에 의하여 슬리브(22)가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는 다른 예의 도면이다. 이로써 나사산이 표준으로 될 수 있고 기구는 임의의 다른 카트리지 펜 또는 주사 기 상에 적합할 수 있다.
도 21은 먼쪽 말단(14a) 및 가까운쪽 말단(14b)을 갖는 저장부(10)를 포함하는 주사 기구(1)의 도면이다. 저장부(10)의 가까운쪽 말단은 암(22a, 22b)을 동작가능하게 수용하는데 적합한 두 개의 구멍(40a, 40b)을 갖는다. 바늘(12)은 먼쪽 말단(14a)에 동작가능하게 부착된다. 저장부(10)는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늘(12)은 중공이고, 저장부(10)의 외측에 대상물의 피부를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양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팁을 갖는다. 하우징의 가까운쪽 말단 상에는 저장부 내에서의 플런저의 이동을 보조하고 주사 후 기구(1)를 슬리브의 연장부를 거쳐 대상물로부터 빼내는 것을 보조하는, 예를 들면 타원 형상을 갖는 플랜지(28)가 위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슬리브(22)는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적당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된 플런저 하우징을 포함한다. 플런저 하우징(22)은 플런저(29)가 저장부(10) 내로 슬라이딩할 때 플런저 하우징(22)이 저장부(10) 둘레를 슬라이딩하도록 플런저(29)를 둘러싼다. 플런저 하우징(22)은 자신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 슬롯(도시되지 않음) 및 암(22a, 22b)을 갖는다. 암(22a, 22b)은 가까운쪽 말단(14b)의 구멍(40a, 40b)을 각각 통과한다.
플런저(29)의 가까운쪽 말단은 플런저 하우징(22)에 의하여 플랜지(18)까지 커버된다. 플랜지(18)는 착탈가능한 로크(53) 또는 플런저(29)를 플런저 하우징(22)내에 연결하는 수단 때문에 플런저 하우징(22)을 저장부(10) 둘레에 압착하는 동시에 플런저(29)를 저장부(10) 내로 압착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기구(1)의 도면으로서, 플런저(29)는 플런저 하우징(22)에 의하여 압착되므로 조성물이 저장부(10)로부터 바늘(12)을 통해 주사된다.
조성물이 주사되면, 플런저(29)는 저장부(10)의 저면 또는 먼쪽 말단에 맞대어 위치되고, 또한 플런저 하우징(22)에 의하여 완전하게 커버된다.
저장부(10)는 이 저장부(10)의 가까운쪽 말단(14b) 상의 플랜지 하단부에 맞대어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플런저 하우징(22)의 플랜지(28) 상에 대향하는 압력을 가함으로써 주사 바늘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플런저 하우징(22) 및 저장부(10)의 상기 상대적인 이동으로 인하여 저장부 가까운쪽 말단(14b) 상의 슬라이딩 가이드 및 릴리스 메커니즘 때문에 플런저(29)가 착탈가능한 로크(53)로부터 릴리스되고, 플런저 하우징은 저장부(10) 및 바늘(12) 둘레를 슬라이딩하며, 또한 바늘(12)을 밀어 주사 위치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한다.
도 23은 주사 위치로부터 완전하게 회수된 바늘(12), 및 저장부(10) 및 바늘(12)을 커버하는 플런저 하우징(22)의 도면이다.
도 18에는 바늘(12)이 보호될 때 플런저 하우징(22)을 고정, 선택적으로는 역행할 수 없도록 하는 수단(46)이 구비된다.
조성물(20)은 약제를 포함하는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이다. 조성물(20)의 약제는 액체 또는 반고체로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약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약제는 백신, 펩티드, 단백질, 또는 소량의 화학 물질일 수 있다. 적합한 약제의 예로는 예를 들면 인슐린 및 헤파린이 포함된다. 장기간에 걸쳐 액체로서는 부적 합한 약제를 위하여, 액체 및 건성 약제가 하우징(10) 내 각기 다른 쳄버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기구는 액체 및 건성 약제가 주사 전에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 내 격벽 플런저(16)와 플런저 팁(30) 사이에 형성된 쳄버(예를 들어, 도 1 참조)는 예를 들면, 플런저(29)를 플런저 팁(30) 상에 압착하거나, 또는 천공 수단에 의하여 천공될 수 있는 고정 벽 또는 필름에 의하여 두 개의 각기 다른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쳄버의 두 부분은 이동 벽 또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벽 또는 격벽 상측의 쳄버의 상단 또는 가까운쪽 부분에는 조성물의 액체부가 들어 있고, 쳄버의 먼쪽 부분에는 조성물의 고체부, 예를 들면 분말이 들어 있다. 플런저(29)가 하우징(10) 내로 밀어 넣어졌을 때, 플런저는 플런저 팁(30)에 압력을 가하고, 플런저 팁(30)은 조성물의 액체부에 압력을 가한다. 또한, 이것은 이동 벽 상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이동 벽이 먼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에는 쳄버 중 한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으로 초기에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액체 바이패스(예를 들면, 벌지 또는 하우징 벽 내의 통로)가 구성되지만, 이동 격벽이 특정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바이패스로 인하여 액체가 쳄버의 상단 또는 가까운쪽 부분으로부터 이동 격벽의 다른쪽에 있는 쳄버의 하단 또는 먼쪽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다.
살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구는 사용하기 전에 종래의 블리스터 팩(blister pack) 또는 파우치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 인 것이며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양태, 장점, 및 변형도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을 대상물 내에 주사하는 주사 기구에 있어서,
    가까운 쪽 말단 및 먼쪽 말단을 갖는 중공의 하우징,
    카트리지 또는 튜브,
    가까운쪽 말단 및 먼쪽 말단을 갖는 중공의 바늘,
    가까운 쪽 말단 및 먼쪽 말단을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의 가까운쪽 말단 내에 슬라이딩(sliding) 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플런저 및
    상기 하우징의 먼쪽 말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주사 놓기 전에는 상기 바늘을 커버하고 주사 놓는 도중에는 상기 하우징 내로 후퇴하도록 배열된 슬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격벽 캡에 의하여 폐쇄되는 먼쪽 말단 및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 팁에 의하여 폐쇄되는 가까운쪽 말단, 및 상기 격벽 캡과 상기 플런저 팁 사이에 형성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늘은 상기 하우징의 먼쪽 말단에 부착되며, 상기 바늘의 상기 가까운쪽 말단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사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격벽 캡이 상기 중공의 바늘의 상기 가까운쪽 말단과 동작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플런저 팁이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 내로 밀어 넣어질 때, 상기 조성물이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로부터 상기 바늘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 내로 밀어 넣어지는
    주사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기구는 상기 조성물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밀어 넣어질 때, 주사를 놓는 도중 및 주사를 놓은 후에 상기 바늘을 커버하도록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슬리브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신장되도록 하는 주사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격벽 캡과 격벽 플런저 사이에 상기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을 담고 있는 주사 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가능한 로크를 더 포함하는 주사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는 가까운쪽 컴파트먼트, 먼쪽 컴파트먼트, 및 바이패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까운쪽 컴파트먼트 및 상기 먼쪽 컴파트먼트는 상기 카트리지 또는 튜브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 제1 격벽 플런저에 의하여 분리되는
    주사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까운쪽 컴파트먼트는 상기 조성물 중 액체 성분을 담고 있고, 상기 먼쪽 컴파트먼트는 상기 조성물 중 고체 성분을 담고 있으며,
    상기 주사 기구는 상기 액체 및 고체 성분이 주사 놓기 전에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주사 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성분은 상기 가까운쪽 컴파트먼트로부터 상기 바이패스를 통해 상기 먼쪽 컴파트먼트로 통과하는 주사 기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먼쪽 쳄버는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주사 기구.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먼쪽 말단은 주사 놓기 전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별개의 먼쪽 말단인 주사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먼쪽 말단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먼쪽 말단의 상기 슬리브에 상기 바늘을 커버하도록 힘을 가하는
    주사 기구.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격벽 캡과 격벽 플런저 사이에 상기 액체 또는 반 고체 조성물을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구.
  2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구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 가능한 로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구.
  2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구.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성분은 상기 가까운 쪽 컴파트먼트로부터 상기 바이패스를 통해 상기 먼쪽 컴파트먼트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구.
  2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먼쪽 챔버는 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구.
  2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먼쪽 말단은 주사 놓기 전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별개의 먼쪽 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구.
KR1020037010150A 2001-04-10 2002-04-09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용 안전 주사 기구 KR100567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276501P 2001-04-10 2001-04-10
US60/282,765 2001-04-10
PCT/EP2002/004008 WO2002096488A1 (en) 2001-04-10 2002-04-09 Safety injection device for a liquid or semi-solid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414A KR20030081414A (ko) 2003-10-17
KR100567783B1 true KR100567783B1 (ko) 2006-04-04

Family

ID=2308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150A KR100567783B1 (ko) 2001-04-10 2002-04-09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용 안전 주사 기구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20040171991A1 (ko)
EP (1) EP1377329B1 (ko)
JP (2) JP2004526552A (ko)
KR (1) KR100567783B1 (ko)
CN (2) CN1820796A (ko)
AT (1) ATE446113T1 (ko)
AU (1) AU2002317721C1 (ko)
BR (1) BR0208787A (ko)
CA (1) CA2433895C (ko)
CZ (1) CZ298721B6 (ko)
DE (1) DE60234089D1 (ko)
ES (1) ES2332449T3 (ko)
HK (1) HK1057494A1 (ko)
HU (1) HUP0303741A3 (ko)
IL (2) IL156740A0 (ko)
MX (1) MXPA03008737A (ko)
NO (1) NO20034534L (ko)
NZ (1) NZ526658A (ko)
PL (1) PL204227B1 (ko)
RU (1) RU2257919C9 (ko)
SG (1) SG151089A1 (ko)
TW (1) TW526069B (ko)
WO (1) WO2002096488A1 (ko)
ZA (1) ZA200308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8638A1 (en) * 2004-12-03 2006-08-10 Reynolds David L Device and method for pharmaceutical mixing and delivery
TWI574707B (zh) * 2006-01-30 2017-03-21 海波泰克公司 注射裝置及注射活塞
WO2008019898A1 (en) * 2006-08-16 2008-02-21 Novo Nordisk A/S Injection device with storing means for a needle
ES2389683T3 (es) * 2009-10-23 2012-10-30 Forteq Nidau Ag Dispositivo para la inyección de una sustancia sólida
ITPA20100002A1 (it) * 2010-01-05 2010-04-06 Gabriele Rubino Siringa con incappuciamento facilitato dell'ago che limita i rischi di puntura accidentale da parte dell'operatore.
CN103842008B (zh) 2011-09-26 2016-09-14 泰尔茂株式会社 液体注入器具
US11109849B2 (en) 2012-03-06 2021-09-07 Ferrosan Medical Devices A/S Pressurized container containing haemostatic paste
CN104349797B (zh) 2012-06-12 2017-10-27 弗罗桑医疗设备公司 干止血组合物
AU2014361291B2 (en) 2013-12-11 2017-11-30 Ferrosan Medical Devices A/S Dry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usion enhancer
EP3206726B1 (en) 2014-10-13 2020-05-27 Ferrosan Medical Devices A/S Dry composition for use in haemostasis and wound healing
BR112017013565B1 (pt) 2014-12-24 2021-12-28 Ferrosan Medical Devices A/S Seringa para retenção e mistura de primeira e segunda substâncias
AU2016287632B2 (en) * 2015-07-02 2018-07-26 Mannkind Corporation Needle control and drug mixing systems for a fluid delivery device
BR112017027695A2 (pt) * 2015-07-03 2018-09-04 Ferrosan Medical Devices As seringa para retenção e mistura de primeira e segunda substâncias
WO2018085458A1 (en) 2016-11-01 2018-05-11 Credence Med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syringe
CN109224268A (zh) * 2018-11-18 2019-01-18 刘尚耀 一种鼻科临床手术给药装置
FR3094644B1 (fr) 2019-04-04 2021-06-04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injection de produit fluid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178A (en) * 1982-11-03 1987-12-01 Micro-Mega S.A. Precision in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raligmental anesthesia
IL86799A (en) * 1987-07-02 1993-03-15 Kabi Pharmacia Ab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on
US5370628A (en) * 1991-07-31 1994-12-06 Allison; Alan C. Safety needle and syringe
JPH0775673A (ja) * 1993-06-16 1995-03-20 Kyowa Shinku Gijutsu Kk 薬品容器兼注射器における注射筒本体
IS4223A (is) * 1993-11-03 1995-05-04 Astra Ab Tæki til að nota við blöndun lyfjablöndu saman við annað efni
JP3117900B2 (ja) * 1995-06-20 2000-12-18 株式会社大協精工 注射器兼容器
FR2736553B1 (fr) * 1995-07-12 1998-01-09 Soc Et Et D Applic Tech Sedat Seringue d'injection, notamment de produits medicaux liquides, a protecteur d'aiguille mobile
US5658259A (en) * 1995-10-19 1997-08-19 Meridian Medical Technologies, Inc. Dental cartridge assembly auto-injector with protective needle cover
FR2749169B1 (fr) * 1996-06-04 1998-08-21 Delab Procede pour constituer une preparation injectab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5713871A (en) * 1996-08-16 1998-02-03 Stock; David M. Protective sleeve for hypodermic needle
US5776107A (en) * 1996-12-31 1998-07-07 Delab Injection device
CA2307131A1 (fr) * 1997-10-30 1999-05-14 Laboratoire Aguettant Seringue de securite a usage medical
FR2770405B1 (fr) * 1997-10-30 1999-12-10 Aguettant Lab Seringue de securite a usage medical
JPH11155951A (ja) * 1997-12-01 1999-06-15 Kaken Pharmaceut Co Ltd 減圧シリン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51938B1 (ja) * 1998-03-19 1999-09-20 日本ケミカルリサーチ株式会社 薬剤溶解機構を内蔵した注射器
FR2782011B1 (fr) * 1998-08-07 2000-11-03 Sedat Seringue d'injection a protecteur d'aiguille mobile exterieurement
DE19947998B4 (de) * 1999-10-06 2004-04-15 Bünder Glas GmbH Injektionsspritze mit Nadelschu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34089D1 (de) 2009-12-03
BR0208787A (pt) 2004-03-09
CZ298721B6 (cs) 2008-01-09
JP2004526552A (ja) 2004-09-02
NO20034534D0 (no) 2003-10-09
CN1820796A (zh) 2006-08-23
JP2006297126A (ja) 2006-11-02
IL156740A0 (en) 2004-02-08
CA2433895A1 (en) 2002-12-05
CA2433895C (en) 2008-12-02
CZ20031871A3 (cs) 2003-10-15
HUP0303741A2 (hu) 2004-03-01
ATE446113T1 (de) 2009-11-15
AU2002317721C1 (en) 2006-06-08
NZ526658A (en) 2005-08-26
HUP0303741A3 (en) 2005-07-28
CN1332721C (zh) 2007-08-22
EP1377329B1 (en) 2009-10-21
RU2257919C9 (ru) 2006-02-27
RU2257919C2 (ru) 2005-08-10
MXPA03008737A (es) 2003-12-12
WO2002096488A1 (en) 2002-12-05
KR20030081414A (ko) 2003-10-17
ES2332449T3 (es) 2010-02-05
AU2002317721B2 (en) 2005-03-10
CN1489482A (zh) 2004-04-14
IL156740A (en) 2010-12-30
NO20034534L (no) 2003-10-09
SG151089A1 (en) 2009-04-30
ZA200308207B (en) 2003-11-28
RU2003129514A (ru) 2005-04-10
HK1057494A1 (en) 2004-04-08
EP1377329A1 (en) 2004-01-07
TW526069B (en) 2003-04-01
PL362318A1 (en) 2004-10-18
PL204227B1 (pl) 2009-12-31
US20040171991A1 (en) 200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83B1 (ko)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용 안전 주사 기구
US5776107A (en) Injection device
US7713244B1 (en) Syringes for administering pasty or semi-solid formulations
JP5165381B2 (ja) 安全注射器
EP2331170B1 (en) Auto-injector with filling means
US4955868A (en) Disposable safety medical syringe
JP5978320B2 (ja) 薬剤の再構成のためのフローティングニードルを備えた移送セット
ES2249486T3 (es) Conjunto de inyeccion automatico humedo/seco.
CN109758667A (zh) 药剂装置
AU2002317721A1 (en) Safety injection device for a liquid or semi-solid composition
KR102492571B1 (ko)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0058838A (ja) 骨髄内注射器具
KR20210048662A (ko) 주사기
US7445612B2 (en) Safety injection device for a liquid or semi-solid composition
JP2021528133A (ja) 医薬製品調製デバイス及び方法
US7083607B2 (e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njecting capsules
WO2011076852A2 (en) Medical device with bypass arrangement
AU2007203528A1 (en) Safety injection device for a liquid or semi-solid composition
HU226720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blending two-component subst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