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692B1 -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692B1
KR100564692B1 KR1019997011609A KR19997011609A KR100564692B1 KR 100564692 B1 KR100564692 B1 KR 100564692B1 KR 1019997011609 A KR1019997011609 A KR 1019997011609A KR 19997011609 A KR19997011609 A KR 19997011609A KR 100564692 B1 KR100564692 B1 KR 10056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foil
soldering
producing
s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3599A (ko
Inventor
롤프 브뤽크
Original Assignee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filed Critical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to KR101999701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6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4Brazing of honeycomb sandwi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33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박판층(2,3)으로부터 권취, 적층, 또는 꼬여진 금속 벌집체(1)를 제조하는 방법 및 금속 벌집체(1)를 제조하기 위한 납땜 호일에 관한 것이다. 박판층(2,3)으로부터 제조된 벌집체(1)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4)이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6)과 접촉된다. 이후, 납땜 호일(6)을 갖춘 벌집체(1)가 박판층(2,3)을 금속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납땜된다.

Description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GAS PERMEABLE SOLDERING FOIL AND METHOD FOR PRODUCING A METALLIC HONEYCOMB ELEMENT BY MEANS OF THE FOIL}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박판층으로부터 권취, 적층, 또는 꼬여진 금속 벌집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금속 벌집체를 제조하기 위한 납땜 호일에 관한 것이다.
금속 벌집체는 예컨대 자동차에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촉매 활성 재료의 지지체(carrier body)로서 사용된다. 또한, 예컨대 열교환기와 같은 비교적 미세한 박판 금속 구조물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벌집체는 금속 박판층의 금속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납땜된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 29 24 592호에는 납땜 재료를 금속 벌집체 내로 도입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납땜 재료를 금속 벌집체 내로 도입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되는 납땜 재료에 따라 좌우된다. 만일 재료가 분말 형태의 납땜 재료인 경우, 분말 재료 유체화 베드에 의해 벌집체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납땜 공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때까지 납땜 분말이 벌집체 내에 잔존할 수 있도록, 납땜 분말용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하여 납땜 분말이 벌집체에 달라붙도록 한다. 이러한 납땜 공정은 국제특허공보 WO 94-06594호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 29 24 592호에는 납땜 재료가 납땜 호일의 형태, 특히 납땜 스트립의 형태로 벌집체로 도입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금속 박판층을 권취하거나 적층하는 공정 동안, 납땜 스트립이 구조화된 금속 박판층들 사이로 도입된다. 납땜 스트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납땜 분말을 사용할 때 요구되는 접착제의 사용을 제거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금속 박판층들 사이로 납땜 스트립을 도입한다는 사실은 납땜 공정 동안 벌집체 내에서의 예비응력(prestress) 손실을 유발하여서 금속 박판층들 사이에 납땜 결합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 29 24 592 호에 따르면, 벌집체 내로 납땜 재료를 도입하는 또다른 방법으로써, 원통형 벌집체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금속 박판층을 권취, 적층, 또는 꼬이게 한 후, 소정 두께의 납땜 호일을 벌집체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으로 가압시킨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납땜 재료가 납땜 공정 동안 개별적인 벌집체에 잔존할 수 있는 범위로 납땜 호일이 벌집체로 가압된다.
이러한 공정 모드의 문제점은 벌집체가 반경방향으로 열팽창할 때 납땜 부분이 벌집체의 개별적인 벌집들로부터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납땜 호일이 금속 박판층의 에지에 의해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벌집체의 두 개의 단부면의 영역에서의 벌집체의 납땜은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즉, 납땜 재료와 함께 벌집체를 납땜 온도로 가열하는 동안, 벌집체 내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팽창함으로써 벌집체 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의 증가는 납땜 재료가 개별적인 벌집들로부터 떨어지도록 가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벌집체 뿐만 아니라, 금속 벌집체 제조용 금속 호일, 및 간단한 방식으로 금속 벌집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박판층 사이에 양호한 납땜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at least partially structured) 박판층으로부터 권취(wound), 적층(stacked), 또는 꼬여진(twisted) 금속 벌집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 투과성 금속 호일을 벌집체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배열하고, 이를 박판층의 하나 이상의 영역과 적어도 접촉하도록 하고, 박판층을 금속적으로 납땜 결합하기 위해 벌집체를 납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납땜 호일이 가스투과성이라는 사실은 벌집체 내의 가스가 납땜 공정 동안 납땜 호일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매우 미약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모세관 작용에 의해 납땜 호일이 벌집체 내로 흡인되도록 한다. 따라서, 납땜 호일이 종래 기술과 같이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여 요구되는 정도로 벌집체 내로 가압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금속적 결합이 벌집체의 박판층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납땜 호일의 적절한 형태에 의해, 호일이 벌집체의 단부면의 둘레선과 필수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외부 형태를 가지도록, 벌집체의 박판층은 개별적인 영역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또한 분말을 사용하여 납땜 공정을 수행하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벌집체의 단부면이 단지 선택적으로 납땜되도록 하는 마스크(mask)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박판층에 대한 금속적 결합의 선택적 또는 영역별 형성은 단부면에 배치된 다수의 납땜 호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벌집체의 박판층에 대한 금속적 결합의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벌집체의 각각의 단부면에서 박판층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이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과 접촉될 수 있다.
모든 박판층이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서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과 접촉된 후 납땜 공정이 수행된다면, 특별히 기계적으로 안정한 벌집체가 달성된다.
바람직한 방법 중 하나는 박판층으로부터 제조된 벌집체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을 가스투과성 다공성 납땜 호일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다. 특히, 납땜 호일은 기공성 셀 구조를 갖는 포말형 납땜 호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포말형(foam) 납땜 호일은 벌집체의 단부면에 특히 양호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정의 또다른 장점은 대기와 벌집체 사이에서 포말형 납땜 호일을 통해 비교적 양호한 가스 교환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벌집체의 개별적인 박판층을 서로 금속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또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벌집체의 전체 단부면을 납땜 호일과 접촉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금속 벌집체의 특별히 양호한 안정성은 벌집체의 각각의 단부면을 납땜 호일과 접촉시킨 후 납땜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납땜 호일이 가스 투과 성질을 갖는다는 사실은 벌집체의 각각의 단부면에서의 박판층이 동시에 납땜될 수 있음을, 다시 말하면 단일 납땜 공정 동안에 납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벌집체의 단부면에 대한 납땜 호일의 접착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납땜 호일이 벌집체 내로 부분적으로 가압되는 것이 제안된다. 그렇지만, 납땜 호일의 가스 투과성이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가압된다.
금속 벌집체의 제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납땜 호일은 초기에 벌집체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도포되고, 이후 납땜 호일을 갖춘 벌집체가 관형 케이싱 내로 도입되는 것이 제안된다. 대안적으로, 먼저 벌집체가 관형 케이싱 내로 도입되고, 이후 납땜 호일이 벌집체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도포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납땜 호일을 갖춘 벌집체는 진공 납땜된다. 납땜 호일이 가스 투과성이며 또한 벌집체가 진공 납땜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박판층에 대해 특별히 양호한 금속적 결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벌집체를 갖춘 관형 케이싱과 벌집체의 박판층은 단일 납땜 공정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벌집체는 관형 케이싱 내에 배열되고,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이 케이싱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박판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이는 관형 케이싱과 벌집체 사이에 비교적 견고한 결합을 제공한다.
벌집체의 탄성이 관형 케이싱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에서 유지되어서 관형 케이싱과 벌집체의 반경방향으로의 상이한 열팽창이 보상되게 하려면,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을 벌집체의 단부면에서 관형 케이싱의 내부면에 대한 공간에 배열할 것이 제안된다.
박판층에 대한 금속적 결합의 또다른 개선을 제공하기 위해, 납땜 호일을 갖춘 벌집체가 먼저 진공 챔버 내에서 진공하에서 정화되고, 이후 처리 챔버로 이송되어 납땜 공정이 수행되는 것이 제안된다. 납땜 호일이 벌집체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접착된다는 사실은 분말형태의 납땜 재료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접착제 등을 사용할 필요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열정화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는 납땜 재료가 다른 제조 단계에서 떨어지도록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접착제의 증발로 인한 정화 챔버의 오염은 발생하지 않는다. 예컨대 진공 생성 후에 보호 가스 분위기가 정화 챔버 내로 도입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는, 증발 효과에 기인한 가스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거나 단지 미약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보호 가스 분위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가스가 여러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박판층으로부터 권취, 적층, 또는 꼬여진 금속 벌집체를 제조하기 위한 가스 투과성을 갖는 납땜 호일이 제안된다. 금속 벌집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러한 납땜 호일을 사용함으로써, 박판층 표면에 납땜 분말을 도포하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고가의 단계를 제거할 수 있다. 벌집체를 납땜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는 공정 동안 납땜 분말로 코팅된 벌집체가 납땜 분말이 떨어지는 위험에 항상 노출된다면, 미세 구조물인 납땜 호일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더 이상이 이러한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또한 벌집체의 제조를 간단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납땜 호일은 다공성, 특히 기공성이며, 이에 의해 납땜 호일의 가스 투과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납땜 호일은 포말형 납땜 호일이 형태를 갖는다.
서로 결합될 부분들, 특히 박판층 사이의 납땜 결합 및 납땜 공정을 개선시키기 위해, 납땜 호일은 하나 이상의 융제(fluxing agent)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납땜 호일은 니켈 기초 재료이다. 납땜 호일은 소량의 탄소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탄소를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납땜 온도를 감소시키고 납땜 결합을 개선시키기 위해, 납땜 호일은 붕소 및/또는 규소를 함유한다. 납땜 호일에서의 붕소의 함유량은 최대 8.5 중량%이다. 납땜 호일의 재료는 또한 실질적으로 크롬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금속 벌집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벌집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납땜 호일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납땜 호일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납땜 호일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납땜 호일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벌집체 2,3 : 박판층
4,5 : 단부면 6,7,16,26,36 : 납땜 호일
8 : 경로 9 : 관형 케이싱
10 : 관통공 11 : 내부면
12 : 개구 13 : 둘레부
14 : 돌출부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벌집체는 종방향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벌집체(1)는 관형 케이싱(9) 내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벌집체는 단부면(4,5)을 가지고 있다. 납땜 호일 또는 쉬이트(6,7)는 각각의 단부면(4,5)에 각각 배열되어 있다. 납땜 호일(6,7)은 벌집체(1)에 접착되도록 각각 단부면(4,5)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납땜 호일(6,7)은 실질적으로 전체 단부면(4,5)을 덮는다. 납땜 호일(6,7)은 관형 케이싱(9)의 내부면(11)의 일부분에 대항하여 지지되어 있다.
벌집체(1)는 편평한 금속 박판층(2)과 구조화된 금속 박판층(3)으로부터 형성된다. 박판층(2,3)은 실질적으로 벌집체(4)의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경로(8)를 형성한다. 이러한 벌집체(1)는 자동차 배기 시스템의 촉매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도 2는 납땜 호일(6)이 단부면(4)에 배열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납땜 호일(6,7)의 외형은 각각 관형 케이싱(9)의 내부 형태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이에 의해 전체 단부면(4,5)이 납땜 호일로 덮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벌집체는 납땜 공정을 겪는다. 납땜 호일이 단부면(4 또는 5)에 각각 접착되는 것은 벌집체가 상방 위치(upright position)에서 납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벌집체의 종방향 축선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고 있다. 납땜 호일이 가스 투과성이기 때문에, 납땜 공정은 진공 납땜로(vacuum brazing furnace)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납땜 호일의 특성에 기인하여, 벌집체의 개별적인 경로(8)가 배기(evacuated)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벌집체는 진공 납땜 공정을 행하기 전에 정화 챔버 내에서 정화된다. 정화 단계는 정화 챔버 내의 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예컨대 가스, 특히 불활성 가스,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불활성 가스가 정화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 가스는 벌집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발생되는 잔유물, 예컨대 롤링 오일을 제거한다. 이후, 벌집체는 처리 챔버에서 납땜될 수 있다.
납땜 호일(6,7)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포말형 납땜 호일 또는 쉬이트(sheet)의 형태를 갖는다. 포말형 납땜 호일은 관통공(10)을 갖추고 있다. 납땜 호일은 이러한 관통공에 기인하여 가스 투과성을 가지게 된다. 납땜 호일은 바람직하게는 융제를 포함하고 있다. 납땜 호일은 니켈 기초 재료로 구성된다.
도 4는 납땜 호일(16)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납땜 호일(16)은 관통공(12)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관통공을 통해 박판층의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관통공(12)의 형태와 갯수는 원하는 납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5는 납땜 호일(26)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납땜 호일(26)은 중앙으로부터 연장하는 핑거형 돌출부(14)를 갖추고 있다. 돌출부(14)의 단부 영역은 공통의 둘레부(13) 상에 놓인다. 둘레부(13)는 벌집체의 단부면의 외측 둘레부와 일치한다. 벌집체의 중앙으로부터 방사형태로 연장하는 납땜 호일(26)의 형태는 박판층에 대해 납땜 결합을 제공한다.
납땜 호일(36)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납땜 호일(36)의 외부 둘레부에는 공통의 둘레부(13) 상에 배치된 부분(15)이 제공되어 있다. 둘레부(13)의 중앙 또는 납땜 호일(36)에서 볼 때, 인접하는 부분(15)들 사이에는 둘레부(13)에 대해 공간을 두고 배치된 부분(17)이 제공되어 있다. 만일 외부 둘레부(13)가 관형 케이싱의 내부면의 내부 둘레부와 일치한다면, 박판층은 부분(15)에서 관형 케이싱에 결합된다. 부분(15)들 사이의 부분(17)에서는, 벌집체의 박판층이 관형 케이싱에 결합되지 않는다.

Claims (19)

  1.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박판층(2,3)으로부터 권취, 적층, 또는 꼬여진 금속 벌집체(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벌집체(1)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4,5)에 하나 이상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6,7,16,26,36)을 배열하고,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을 적어도 상기 박판층(2,3)중 하나 이상의 영역과 접촉시키고, 적어도 상기 박판층(2,3)과 금속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벌집체(1)를 납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스 투과 다공성 납땜 호일(6,7,16,26,36)을 적어도 상기 박판층(2,3)중 하나 이상의 영역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포말형 납땜 호일(6,7,16,26,36)을 적어도 상기 박판층(2,3)중 하나 이상의 영역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체(1)의 각각의 단부면(4,5)에서 상기 박판층(2,3)중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6,7,16,26,36)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부면(4,5)에서의 모든 박판층(2,3)을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6,7,16,26,36)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체(1)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4,5)의 박판층(2,3)중 하나 이상의 영역을 각각의 납땜 호일(6,7,16,26,36)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납땜 호일(6,7,16,26,36)을 상기 벌집체(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6,7,16,26,36)을 상기 벌집체(1)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4,5)에 도포한 후,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을 갖춘 상기 벌집체(1)를 관형 케이싱(9) 내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체(1)를 관형 케이싱(9)에 도입한 후,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6,7,16,26,36)을 상기 벌집체(1)의 상기 하나 이상의 단부면(4,5)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체(1)를 관형 케이싱(9)에 배열시키고,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6,7,16,26,36)을 적어도 상기 관형 케이싱(9)의 내부면(11)의 일부분 및 상기 박판층(2,3)중 하나 이상의 영역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체(1)를 관형 케이싱(9)에 배열시키고, 하나 이상의 납땜 호일(6,7,16,26,36)을 상기 관형 케이싱(9)의 내부면(11)에 대해 하나 이상의 부분(17)과 이격시키고,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을 상기 박판층(2,3)중 하나 이상의 영역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을 갖춘 상기 벌집체(1)를 진공 납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을 갖춘 상기 벌집체(1)를 정화 챔버 내에서 진공하에서 열적으로 정화시킨 후, 납땜 공정을 위해 처리 챔버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벌집체의 제조 방법.
  14.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박판층(2,3)으로부터 권취, 적층, 또는 꼬여진 금속 벌집체(1)를 제조하기 위한 납땜 호일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이 가스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호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이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호일.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이 포말형 납땜 호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호일.
  17.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이 하나 이상의 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호일.
  18.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이 니켈 기초 재료(nickel-based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호일.
  19.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호일(6,7,16,26,36)이 붕소 및 규소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 호일.
KR1019997011609A 1997-06-13 1998-06-09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KR10056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11609A KR100564692B1 (ko) 1997-06-13 1998-06-09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5177.3 1997-06-13
KR1019997011609A KR100564692B1 (ko) 1997-06-13 1998-06-09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599A KR20010013599A (ko) 2001-02-26
KR100564692B1 true KR100564692B1 (ko) 2006-03-30

Family

ID=4174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609A KR100564692B1 (ko) 1997-06-13 1998-06-09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6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599A (ko) 200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120B1 (ko)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를 담지하기 위한 금속제 담지모체(擔持母體)
JPH07204522A (ja) 触媒物質担持マトリックスの製造方法
US6276595B1 (en) Process and gas-permeable brazing foil for the production of a metallic honeycomb body
JPH048107B2 (ko)
JP2545564B2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を担持するための金属製担持母体の製造方法
KR100564692B1 (ko) 가스 투과성 납땜 호일 및 그에 의한 금속 벌집체 제조 방법
JP2688763B2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を担持するための金属製担持母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85398A (ja) 金属製触媒担体
JP2000296316A (ja) 耐圧水素透過膜とその製造方法
JP3267840B2 (ja) 排気ガス浄化触媒用メタル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240952A (ja) メタル担体の製造方法
JP3287976B2 (ja) 排気ガス浄化触媒用メタル担体の製造方法
JP2833656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754017B2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を担持するための金属製担持母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61317A (ja) メタル担体とその製造方法
JPS62250949A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の金属担持母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67474B2 (ja) 触媒担体
JPH02126942A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を担持するための金属製担持母体
WO2005056183A1 (ja) 排気ガス浄化メタル担体用積層物、排気ガス浄化メタル担体の製造方法、排気ガス浄化メタル担体および排気ガス浄化フィルター
JPH0699081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H0611405B2 (ja) 耐熱疲労性を有する自動車触媒用金属基体
JPS62250950A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の金属担持母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3693706B2 (ja) 排気ガス浄化用メタル担体
JPH06106075A (ja) 排気ガス浄化用ハニカム体
JPH08131846A (ja) メタル担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