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122B1 -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122B1
KR100553122B1 KR1020030068169A KR20030068169A KR100553122B1 KR 100553122 B1 KR100553122 B1 KR 100553122B1 KR 1020030068169 A KR1020030068169 A KR 1020030068169A KR 20030068169 A KR20030068169 A KR 20030068169A KR 100553122 B1 KR100553122 B1 KR 100553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antistatic
film
parts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161A (ko
Inventor
김상필
박병식
문기정
이규석
서보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1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갖는 불활성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하드코트용 대전방지 코팅필름을 제조함으로서, 광범위한 습도레벨에서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기술구성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그리고 사슬연장제로서 2,2-디메틸올프로필온산을 주로 포함하는 우레탄계 수지 100∼500부, 멜라민계 가교제로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50부, 그리고 대전방지 특성을 지닌 무기미립자로 실리카 사면체 시트와 알루미나 혹은 마그네슘 팔면체 시트로 이루어진 1종 이상의 층상 실리케이트 미네랄 화합물 50∼1000부를 첨가하고, 전체 고형분 중량%가 0.2 내지 20인 혼합 수분산 코팅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으로서, 안정적인 대전방지 기능 및 탁월한 표면 경도를 갖는 대전방지 하드코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Polyester coating film for hard coat having excellent prevention against charge}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갖는 불활성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대전방지성 하드코트용 코팅필름을 제조함으로서, 광범위한 습도레벨에서 안정적인 대전방지 기능과 탁월한 표면경도 및 점착성을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특성, 내열특성, 고투명성, 내약품성 등 많은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진용, 제도용, OHP용(Over head projector용), 전기전자 부품용, 일반산업용, 포장용 등 많은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면의 고유저항이 크고, 또 마찰등으로 쉽게 대전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전하로 대전되면, 필름 표면에 먼지나 불순물이 부착되며, 이들이 원인이 되어 제품 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 다. 또한 필름의 제조공정이나 가공공정에서 방전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 공정에서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인화의 위험성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필름의 대전에 따르는 문제점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는 종래에 알려진 것으로 유기설폰산염 또는 유기인산염 등을 사용하는 내부 첨가법, 금속화합물을 증착시키는 방법, 도전성 무기입자를 도포하는 방법,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도포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유기설폰산염 또는 유기인산염 화합물을 사용하는 내부 첨가법은 경시변화나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필름 지지체 고유의 특성을 저해하는 단점과 대전방지 효과에 한계가 있고, 금속화합물을 증착시키는 방법과 도전성 무기입자를 도포하는 방법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최근에는 투명 도전성 필름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조원가가 너무 높아 특정의 용도에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이용한 도포법은 대전방지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고, 제조비 면에서도 유리하므로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습도 의존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름 지지체 상에 대전방지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혼합조성물의 대전방지용 수분산액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신공정 중 또는 연신 열고정된 필름 표면에 도포하여, 특히 광범위한 습도레벨에서 우수한 대전방지 특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그리고 사슬연장제로서 2,2-디메틸올프로필온산을 그외의 다른 잔여성분의 합보다도 많이 포함하는 수분산 우레탄계수지 100∼500부, 멜라민계 가교제로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50부, 그리고 대전방지 특성을 갖는 무기 미립자 실리카 사면체 시트와 알루미나 혹은 마그네슘 팔면체 시트로 이루어지는 1종 이상의 층상 실리케이트 미네랄 화합물 50∼1000부 범위이고, 전체 고형분 중량%가 0.2 내지 20인 혼합 수분산 코팅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슬연장제로서 2,2-디메틸올프로필온산을 주로 포함하는 (A) 수분산 우레탄계수지를 바인더로 하고, (B) 구조식 (I)로 표시되는 대전방지 특성을 지닌 무기 미립자로 된 혼합조성물의 대전방지용 수분산액을 제공하고, 또는 이것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코팅조성물을 사용하여 연신공정 중 또는 연신 열고정 된 필름 표면에 상기 코팅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특히 광범위한 습도레벨에서 우수한 대전방지 특성을 가지는 코팅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수분산 도포 조성물의 혼합비 (A):(B)가 고형분 중량비로 100:20∼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50∼100:800 이 고, (A)+(B)의 전체 고형분에 대한 중량 %는 0.2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식 (I)
Figure 112003036731142-pat00001
이러한 대전방지 특성을 지닌 무기입자의 예로는, 예를 들면 중층(layered) 실리케이트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수도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중층 실리케이트 미네랄은 천연 및 합성 미네랄을 포함한다. 이들은 실리카 사면체 시트와 알루미나 혹은 마그네슘 팔면체 시트로 이루어진 중층 실리케이트 미네랄 화합물이며, 대표적으로 스멕타이트(Smectite) 또는 몬모릴로나이트(Mont- morillo-nite)군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미네랄화합물을 포함한다.
합성 미네랄 또는 합성 필로실리케이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식회사 락우드 (Rockwood Additives, Ltd.)에서 제조한 "라포나이트"(LAPONITE), "메가다이트" 및 "플루오로헥토라이트" 및 주식회사 쿠니민 (Kunimine Industries, Ltd)에서 제조한 "쿠니피아"(KUNIPIA) 및 "수맥톤"(SUMECTON)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라포나이트"(LAPONITE) 와 쿠니피아"(KUNIPIA) 이다.
이들 1종 이상의 무기물은 전형적으로 점토 표면의 알짜 음(陰)전하에 끌리는 갤러리 내에 존재하는 최소 하나의 자연발생 양이온 또는 포타슘, 칼슘, 소디움과 같은 제1 양이온을 가질 수 있고, 소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어, 외부 혹은 마찰에 의해 표면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도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10% 내외의 자연적 수분함량과 내부 전하에 의해 광범위한 습도레벨에서도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코팅기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기재 필름으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래에 대전방지 코팅의 기재필름으로서 알려져 있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의 기재는 폴리에스테르 시트 또는 필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제3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카르복시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그 취급성을 고려한 경우, 투명성을 손상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필름에 상기 대전방지 특성을 지닌 중층(layered) 실리케이트 미네랄 화합물 이외의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입자로는 예컨대, 실리카, 탈크, 칼슘카보네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늄옥사이드, 제올라이트, 폴리스티렌,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불화리튬, 황산바륨, 카본블랙 등의 무기,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입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투명성의 측면에서 입자의 양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은 입자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입자의 평균입경은 통상 0.02∼2㎛, 바람직하게는 0.05∼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이다. 또한, 첨가량은 5000ppm 이하의 비율이 바람직하며, 3000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 첨가제, UV흡수제, 안정제 또는 색소를 폴리머의 고유 성질이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필름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제조공정의 임의의 단계에서 입자를 첨가할 수 있다. 특히,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중축합반응 개시 전 단계에서 에 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제조는, 압출법에 따라 압출구에서 용융,압출된 시트를 세로 및 가로 방향의 2축방향으로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압출법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압출구로 부터 용융압출하고, 냉각롤로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트와 회전냉각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여 줄 필요가 있고, 정전인가 밀착법 또는 액체도포 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정전인가 밀착법은 통상, 시트의 상면 측에 시트의 흐름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선상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전극에 약 5∼10㎸의 직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트에 정전하를 부여하여 시트와 드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액체도포 밀착법은 회전냉각드럼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예컨대 시트 양 단부와 접촉하는 부분만)에 액체를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드럼과 시트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인가 밀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2축방향 연신배향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동시 2축 연신법, 순차 2축연신법 등이 이용된다. 동시 2축연신법으로는, 상기 미연신 시트를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에서 온도가 조정된 상태로 기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으로, 연신배율에 있어서는 면적배율로 통상 4∼50배, 바람직하게는 7∼3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배가 적당하다.
그리고, 계속해서 통상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 하에서 열처리 하고, 연신배향 필름을 얻는다. 순차 2축 연신법으로서는 상기 미연신 시트를 1방향으로 롤 또는 텐터 방식의 연신기에 의해서 연신한다. 연신 온도는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이고, 연신 배율은 통상 2.5∼7배, 바람직하게는 3.0∼6배이다. 그 다음, 1단계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 온도는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5℃이고, 연신 배율은 통상 3.0∼7배, 바람직하기로는 3.5∼6배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 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상태하에서 열처리를 하여 연신 배향필름을 얻는다.
상기 연신에 있어서는, 1방향의 연신을 2단계 이상으로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2방향의 연신배율이 각각 상기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를 하기 전 또는 후에 다시 세로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통상 5∼250㎛, 보다 좋게는 10∼18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수지바인더, 대전방지제 및 기타 첨가제로 조성된 혼합물을 1) 필름 지지체의 제조과정에서 연신 고정 중에 도포하여 대전방지 처리하는 방법과 2) 필름 지지체의 연신, 열고정 후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방법으로는, 상기 1), 2)의 방법 모두 적용 가능한데, 대전 방지용 도포조성물의 바인더로는 아크릴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 화합물. 스티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비닐계 수지 및 그 유도체 등 다양한 물질이 제시되어 있고 대전방지제로서도 양이온, 음이온, 비이온계 등의 계면활성제를 비롯하여, 폴리머 타입의 대전방지제, 도전성 입자 등이 사용 가능하다.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방법으로는 그라비아 롤(gravure roll)이나 리버스 그라비아 롤(reverse gravure roll)과 같은 롤을 이용하는 도포법, 메이어바(mayer bar)를 이용하는 도포법, 에어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는 도포법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포하기 전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필름표면에 극성기 도입 및 표면 장력을 높여 조성물의 코팅성에 유리하도록 하고 조성물과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열성, 접착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광범위한 습도레벨에서 우수한 대전방지 특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코팅 조성물에서 바인더 수지로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그리고 사슬연장제로서 2,2-디메틸올프로필온산을 주로 포함하는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였고, 가교제는 멜라민계 가교제로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그리고 대전방지제로는 Widnes,U.K의 (주)락우드(Rockwood Additives,Ltd)에서 제조한 "라포나이트"
(LAPONITE)와 (주)쿠니민 (Kunimine Industries, Ltd)에서 제조한 "쿠니피아"
(KUNIPIA)를 사용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은 하기 실시예에서 보 다 명백하게 보여질 것이며,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필름의 물성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측정평가 방법]
1. 표면 저항
25℃×55%RH 조건하에서 측정시료를 8시간 방치한 후, 표면저항 측정기로 대전방지성을 평가하였고, 단위는 Ω/square이다.
2. 헤이즈(Haze)
헤이즈 측정기(AUTOMATIC DIGITAL HAZEMETER, 일본 니폰덴소쿠사 제작)에 10㎝×10㎝ 크기로 샘플링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1매를 수직으로 놓고, 수직으로 놓여진 시료의 직각방향으로 400∼700㎚의 파장을 갖는 빛을 투과시켜 나타난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헤이즈(HAZE) 값은 아래 식으로 계산되어 헤이즈 측정기에 표시된다.
Haze(%) = (1- DF / TT) * 100
DF : 산란광의 량
TT : 광의 총 투과량
3. 내열성
열풍 건조기내에서 공중합체를 온도 200℃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색조의 변화를 관찰하여 우수한 수준일 때 ◎로, 양호한 수준일 때 ○로, 다소 미흡한 수준 일 때 ×로 표시하였다.
4. 코팅 균일성
도포된 필름의 외관 상태를 육안 관찰하여 균일하게 도포된 정도를 판정함.
○ : 코팅 상태가 균일한 경우.
× : 코팅 상태가 불균일 하거나, 상용성이 불량한 경우.
5. 락카 접착력
n-부탄올 10부, 메틸셀로솔브 250부, 메틸에틸케톤 10부,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25부, 로다민비(염료) 3부로 된 유성타입의 평가용 락카를 도포필름 시료상에 와이어바 #18로 도포하여, 건조기내에서 90℃×1분간 충분히 건조한 후, 크로스컷터를 사용하여 표면에 100개의 눈금을 그은 후, 접착 테이프를 붙여 박리시킨다. 이때 100개의 눈금 중 박리되지 않은 잔여 눈금 갯수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예) 100 : 전혀 박리되지 않음. (우수)
0 : 전부 박리됨. (불량)
6. 이활성
ASTM-D1894에 준하여 동양테스터사 제품 "슬리퍼리(SLIPPERY)측정기"를 사용하여 하중을 200g주고, 도포면의 정마찰(μs) 및 동마찰계수(μk)를 측정하여 이활성을 평가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이온교환 수지를 통과한 순수에 계면활성제와 대전방지 특성을 지닌 무기미립자인 라포나이트 (Rockwood Additives 제품)를 투입하고, 잘 교반하여 나노졸을 만든 다음, 수분산 우레탄계수지, 멜라민계 가교제를 투입하고, 다시 재 교반하여 코팅액을 조제한다. 혼합물은 우레탄계수지 100부, 라포나이트 200부, 멜라민계 가교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부, 그리고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닛본유지(주)제품) 2.5부로 전체 고형분 3.125%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제조 및 코팅 방법]
평균 입경이 3.7㎛의 다공성 무정형 구형 실리카 입자가 60ppm 들어있는 극한 점도 0.625㎗/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pellet)을 진공 드라이어를 이용 하여 7시간, 160도에서 충분히 건조 시킨 후, 용융하여 압출 다이를 통하여 냉각드럼에 정전인가법으로 밀착시켜 무정형 미연신 시트를 만들고, 이를 다시 가열하여 100℃에서 필름 진행 방향으로 3.5배 연신을 행한다. 다음으로 필름의 도포되어 질 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후, 메이버바 코팅방식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도포한다. 105∼140℃ 텐터구간에서 필름의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3.5배 연신을 한 후, 24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25㎛ 두께의 필름을 얻었다. 그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상기 우레탄계수지 100부, 라포나이트 500부, 멜라민계 가교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부, 그리고 계면활성제 5부로 전체 고형분 6.150%의 혼합 수분산 도 포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3]
상기 수분산 우레탄계수지 100부, 쿠니피아(Kunimine Industries 제품) 200부, 멜라민계 가교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부, 그리고 계면활성제 2.5부로 전체 고형분 3.125%로 이루어진 혼합 수분산 도포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상기 수분산 우레탄계수지 100부, 멜라민계 가교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부, 그리고 계면활성제 2.5부로 전체 고형분 1.125%로 이루어진 혼합 수분산 도포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2]
상기 수분산 우레탄계수지 100부, 4급 암모늄염 (닛폰가야구(주) 제품) 200부, 멜라민계 가교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부, 그리고 계면활성제 2.5부로 전체 고형분 3.125%의 혼합 수분산 도포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3]
상기 수분산 우레탄계수지 100부, 멜라민계 가교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부, 설포네이트 폴리스틸렌(sulfonated polystyrene)(일본 내셔날스타치사 제품) 200부로 전체 고형분 3.100%의 혼합 수분산 도포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표면저항 헤이즈 내열성 코팅균일성 락카접착력 이활성
μs μk
실시예 1 2.1×E9 1.33 100 0.43 0.39
실시예 2 3.0×E7 1.55 100 0.41 0.36
실시예 3 4.8×E9 1.47 100 0.47 0.43
비교예 1 3.0×E15 1.15 100 0.51 0.43
비교예 2 7.2×E10 1.57 × 80 0.43 0.34
비교예 3 6.0×E10 1.48 100 0.57 0.41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물을 함유함으로서, 대전방지 기능 및 탁월한 표면 경도를 갖는 대전방지 하드코트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하드코트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적층되는 부가기능 필름에 대한 점착성 및 표면경도를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 하드코트에 ATO 및/또는 ITO 전도성 미립자가 배합되면 매우 안정된 대전방지 기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드코트에 기재필름을 통하여 점착층이 제공되면, 유리와 같은 광학부품들이 하드코트에 신속히 점착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4)

  1.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그리고 사슬연장제로서 2,2-디메틸올프로필온산을 그외의 다른 잔여성분의 합보다도 많이 포함하는 우레탄계 수지 100∼500부, 멜라민계 가교제로서 메톡시메틸올멜라민 10∼50부, 그리고 대전방지 특성을 지닌 무기미립자로 실리카 사면체 시트와 알루미나 혹은 마그네슘 팔면체 시트로 이루어진 1종 이상의 층상 실리케이트 미네랄 화합물 50∼1000부를 첨가하고, 전체 고형분 중량%가 0.2 내지 20인 혼합 수분산 코팅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필름은 상기 혼합 수분산 코팅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일 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코팅한 후, 상기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70 내지 120℃ 온도에서 3∼7배 연신시킨 후 17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분산 코팅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방지 특성을 지닌 무기 미립자 이외에 유기 또는 무기입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KR1020030068169A 2003-10-01 2003-10-01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KR100553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69A KR100553122B1 (ko) 2003-10-01 2003-10-01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169A KR100553122B1 (ko) 2003-10-01 2003-10-01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161A KR20050032161A (ko) 2005-04-07
KR100553122B1 true KR100553122B1 (ko) 2006-02-22

Family

ID=3723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169A KR100553122B1 (ko) 2003-10-01 2003-10-01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88B1 (ko) * 2009-11-30 2012-01-17 유한회사 피피지코리아 자동차 오이엠용 용접성 프리-프라임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GB201409063D0 (en) * 2014-05-21 2014-07-02 Dupont Teijin Films Us Ltd Coated polyester films
CN112159172B (zh) * 2020-09-24 2022-06-17 安徽汇辽新型装饰材料有限公司 防静电釉面超高强混凝土水磨石板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161A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1611B2 (ja) 高解像度用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936512B1 (ko) 필름
JP476571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4245806A (zh) 层合聚酯膜
CN105829104A (zh) 层叠聚酯膜
KR100553122B1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용 폴리에스테르 코팅필름
JP2008221560A (ja) 積層フィルム
KR20040086334A (ko) 도포 필름
JP5295822B2 (ja) 帯電防止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64436B1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0215738A (ja) 帯電防止性絵柄印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064453B1 (ko) 수분산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70003246A (ko) 대전방지용 수분산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784457B2 (ja) 塗布フィルム
KR101136276B1 (ko) 내수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295823B2 (ja) 帯電防止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214627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119102B2 (ja) 制電易接着性フイルム、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カード
KR100557402B1 (ko) 대전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코팅필름
KR100784912B1 (ko)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60066887A (ko) 내수성 및 비전사 특성이 우수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필름
JP2015016677A (ja)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781396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JPH08118572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527051B2 (ja)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