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695B1 - 접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695B1
KR100547695B1 KR1020030072184A KR20030072184A KR100547695B1 KR 100547695 B1 KR100547695 B1 KR 100547695B1 KR 1020030072184 A KR1020030072184 A KR 1020030072184A KR 20030072184 A KR20030072184 A KR 20030072184A KR 100547695 B1 KR100547695 B1 KR 10054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rame
diffuser
holder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491A (ko
Inventor
강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 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 아성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6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프레임이 거치되는 프레임 거치대; 상기 프레임 거치대에서 일정 정도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프레임 거치대의 변을 따라서 이동되는 접착제 토출기; 상기 접착제 토출기의 토출 단부에 형성되어, 접착제가 선형으로 확산되어 토출되는 접착제 확산기; 및 상기 접착제 확산기의 인접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제 확산기와 상기 프레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 롤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서 접착제가 프레임의 측면에 적절히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도포의 신뢰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 두께의 접착제가 프레임의 외측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남는 접착제가 없도록 하고, 자동화 장비에 의해서 접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도포되는 프레임의 외측면의 폭에 무관하게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반사미러, 접착제 도포

Description

접착제 도포장치{adhesive pas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반사 미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사상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접착제 토출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접착제 확산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확산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착제 확산기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확산기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거치대 15 : 접착제 토출기 21 : 접착제 확산기
30 : 프레임 이송 레일 35 : 프레임 이송기 40 : 컨베이어
45 : 조작 패널 50 : 경고수단
본 발명은 접착제를 넓은 면에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반사미러에 사용되는 반사필름을, 소정의 프레임에 접착하는 때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그 크기를 작게하기 위하여 투사 광원과 스크린의 사이에 반사 미러를 구비하고, 투사 광이 상기 반사 미러에 반사되어 스크린에는 보다 대형의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먼 거리에서도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한편, 반사 미러는 유리로 된 반사 미러와, 편평도가 유지되는 반사 필름을 프레임에 고정하여서 형성되는 필름으로 된 반사 미러가 있다.
그러나, 유리로 된 반사 미러는 편평도와 내구성에 있어서는 탁월하나, 고 중량의 단점과, 파손의 위험 및 고 비용의 단점이 있어,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최근에는 장력이 가하여진 얇은 필름으로 구성되는 필름형 반사 미러(이하, '반사 미러'라 한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젝션 텔레비전(1)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와, 투사광(6)을 투사하는 광원으로서 프로젝터(3)와, 상기 투사광(6)이 반사되는 반사 미러(4)와, 상기 투사광(6)이 투사되어 화면을 형성하는 스크린(5)이 포함된다.
도 2는 일반적인 반사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반사 미러(4)는 사다리꼴 형상의 프레임(7)과, 상 기 프레임(7)의 상면에 팽팽한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프레임(7)에 부착 형성되는 반사 필름(8)이 포함된다.
상기 반사 필름(8)은 반사 성능이 탁월한 금속박막과, 상기 금속박막의 편평도를 유지하고, 입사되는 빛이 완벽하게 반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성이 뛰어난 수지층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은 상기 반사 필름(8)의 장력이 유지되기에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고, 무게가 최소가 되는 것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반사 필름(8)이 상기 프레임(7)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소정의 틀에 상기 프레임(7)을 안착한다. 그리고, 안착된 프레임(7)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도포된 접착제가 일정 정도 경화된 뒤에, 사각형의 반사필름(8)을 프레임(7)의 상측에 두고서, 작업자가 동시에 반사필름(8)을 당겨서 일정의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지그로 반사필름을 고정한다.
그리고, 프레임(7)의 측면과 반사필름(8)이 접착제에 의해서 일정 정도 접착 고정된 뒤에, 반사필름을 모서리를 절단함으로써, 반사미러가 제조된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반사미러 제조과정에서, 종래에는 상기 접착제를 상기 프레임(7)의 테두리에 도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붓에 접착제를 묻혀서, 접착제를 직접 프레임의 외측면에 칠을 하는 과정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착제 도포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접착제의 도포량이 일정치 못하여 접착효율이 높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둘째, 너무 많이 도포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외관상 좋지 못하다.
셋째, 다수의 작업자가 접착제를 칠하게 됨으로, 생산성이 좋지 못하고 생산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접착의 신뢰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 두께의 접착제가 프레임의 외측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남는 접착제가 없도록 하고, 자동화 장비에 의해서 접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프레임이 거치되는 프레임 거치대; 상기 프레임 거치대에서 일정 정도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프레임 거치대의 변을 따라서 이동되는 접착제 토출기; 상기 접착제 토출기의 토출 단부에 형성되어, 접착제가 선형으로 확산되어 토출되는 접착제 확산기; 및 상기 접착제 확산기의 인접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제 확산기와 상기 프레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 롤러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장치는 소정 폭의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면과의 간격 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 도포면과 면접되는 간격 유지 롤러; 상기 접착제 도포 장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간격 유지 롤러의 뒷쪽에 형성되어, 접착제가 선형으로 확산되어 도포되도록 하기 위한 선형의 노즐부가 형성되는 접착제 확산기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서 접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 반사미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등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사상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장치는, 접착제가 도포될 소정의 프레임이 안착되는 프레임 거치대(10)와, 상기 프레임 거치대(10)에 놓여서 접착제가 도포된 프레임이 이송되는 프레임 이송 레일(30)과, 상기 프레임 이송 레일(3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며 프레임을 나르는 프레임 이송기(35)와, 상기 프레임 이송기(35)에 의해서 이송되는 프레임이 운반되는 중에 접착제가 적정하게 응고되거나, 작업자가 나르기 전에 대기 상태로 있도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40)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인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어하고 그 동작 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45)과, 작업 중에 오류가 발생될 때 신속하게 도포장치가 정 지되도록 하기 위한 경고수단(50)이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프레임 거치대(10)에서 인접되는 위치에는, 프레임 거치대(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정도 외측에 형성되는 토출기 이송 가이드(17)와, 상기 토출기 이송 가이드(17)를 따라서 움직이며 접착제를 토출하기 위한 접착제 토출기(15)와, 상기 접착제 토출기(15)가 상기 토출기 이송 가이드(17)를 따라서 안정되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토출기 이송 밸트(16)와, 상기 토출기 이송 밸트(16)의 일 부분이 감겨져 토출기 이송 밸트(16)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 모터(18)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프레임 이송기(35)에는, 공압 펌프(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 호스(37)와, 상기 공압 호스(37)의 일단에 형성되어 진공 상태를 조작하여 프레임을 들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흡착구(38)와, 상기 흡착구(38)가 포함되는 일단의 지지체를 전체적으로 들고 내리도록 하기 위한 실린더(36)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작업자에 의해서 프레임 거치대(10)에 반사미러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안착된다. 프레임이 안착되면, 상기 구동 모터(18)가 동작되고, 상기 구동 모터(18)의 동력은 토출기 이송 밸트(16)에 의해서 상기 접착제 토출기(15)로 전달되어 상기 접착제 토출기(15)가 상기 토출기 이송 가이드(17)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 토출기(15)가 상기 토출기 이송 가이드(17)를 따라서 이동되는 중에, 접착제 토출기(15)의 노즐을 통해서 접착제가 토출되면서, 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특히, 상기 접착제 토출기(15)등은 프레임 거치대(10)의 네 면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네 면에는 동시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신속하게 접착제 도포 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뒤에는, 상기 프레임 이송기(35)에 의해서 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거치대(10)로부터 들어올려져, 상기 프레임 이송 레일(30)을 따라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 이송기(35)는 흡착구(38)에 조성되는 진공압에 의해서 프레임이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공정이 진행되는 중에, 미리 프레임 이송기(35)는 상기 프레임 거치대(10)의 상측에 이동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이송기(35)가 프레임을 들고 내리는 작업은, 공압이 가하여지는 상기 실린더(36)의 상하 이동 과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이송기(35)가 상기 컨베이어(40)의 상측으로 이동된 뒤에는, 실린더(36)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흡착구(38)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프레임이 컨베이어(40)의 상측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이 컨베이어(40) 상에 놓이면, 컨베이어(40)에 의한 이송 동작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이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 감지센서(41)가 컨베이어(40)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어, 적정한 시간 간격으로 프레임이 컨베이어 상에서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작업의 진행 중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서, 접착제 도포장치를 정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접착제 토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토출기(15)는 토출기 이송 밸트(16)와 연계되는 소정의 지그(19)와, 상기 지그(19)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착제 확산기(21)와, 상기 접착제 확산기(21)와 프레임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간격 유지 롤러(22)와 접착제 공급 호스(20)가 포함된다.
상기 간격 유지 롤러(22)의 미끄럼 면이 상기 프레임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제 토출기(15)와 프레임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착제 토출기(15)와 프레임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접착제 토출기(15)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제가 정확하게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도포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접착제 확산기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확산기(21)는 접착제 공급 호스(20)를 통하여 공급된 접착제가 주입되는 접착제 주입체(25)와, 상기 접착제 주입체(25)의 일단이 물려 상기 접착제 주입체(25)의 위치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23) 및 하부 케이스(24)와, 상기 하부 케이스(24) 및 상부 케이스(23)의 간격이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하는 조절 나사(26)가 포함된다.
상기 접착제 주입체(25)는, 상기 상부 케이스(23) 및/또는 하부 케이스(24)에 형성되는 소정의 걸림 구조에 의해서 걸리게 됨으로써 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확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접착제 확산기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접착제 확산기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4), 상부 케이스(23), 접착제 주입체(25), 조절 나사(2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23)에는 상부 케이스(2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주입되는 접착제가 양측으로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 돌기(27)와, 상기 조절 나사(26)가 삽입되는 상측 조절홈(232)과, 상기 접착제 주입체(25)가 안착되어 걸리도록 하기 위한 상부 안착홈(231)과, 상기 접착제 주입체(25)를 통하여 주입되는 접착제가 일차원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홈(233)과, 상기 확산홈(233)의 양측 장벽을 형성하는 확산벽(2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4)에는 상기 접착제 주입체(25)의 일단이 걸리기 위한 하부 안착홈(241)과, 상기 조절 나사(26)가 삽입되는 하부 조절홈(242)과, 상기 확산 돌기(27)가 삽입되는 돌기 안착홈(243)이 포함된다.
상기되는 접착제 확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접착제 주입체(25)로 주입되는 접착제는, 확산홈(233)을 따라서 확산되어 공급되는데, 상기 확산 돌기(27)는 접착제의 진행 방향에서 확산이 일차원 방향으로 보다 균등하게 보다 널리 퍼지도록 한다. 그리고, 접착제가 주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나사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데, 느슨하게 조으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면접 간격이 넓어지므로 접착제의 주입량이 많아지고, 강하게 조으면 면접 간격이 좁아지므로 접착제의 주입량이 적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함으로써, 접착제의 주입량을 안정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확산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착제 확산기의 전면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는 노즐(28)과, 상기 노즐(28)의 대략 가운데 부분에 상하로 형성되는 확산돌기(27)를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28)은, 하부 케이스(24)의 내면과, 상부 케이스(23)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개공으로서, 상기 확산홈(233)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노즐(28)이 프레임의 외측면에 닿을 정도로 근접하면서, 상기 노즐을 통하여 접착제가 토출되고, 토출되는 접착제가 프레임의 외측면에 닿으면서 접착제 도포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28)의 전체 부분(직선형의 개공)을 통하여 접착제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프레임의 적절한 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55)과 상기 프레임(55)의 길이방향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접착제 확산기(21) 및 간격 유지 롤러(22)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5)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 확산기(21)와 상기 간격 유지 롤러(22)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중에, 접착제 확산기(21)로부터 접착제가 토출되어 상기 프레임(55)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특히, 접착제 확산기(21)가 놓이는 방향은, 접착제 확산기(21)의 진행 방향(도 9의 화살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도포되는 접착제의 도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제가 도포되지 아니하는 프레임의 외측면을 줄이고, 프레임 외측면의 전체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 이 접착제 확산기(21)가 비스듬히 놓여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 주입체(25)는 상기 안착홈(231)(241)에 대해서 고정되지 아니하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 확산기(21)의 놓이는 위치가 조정된 뒤에는, 조정된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조임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확산기(21)는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간격 유지 롤러(22)의 뒷쪽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접착제가 간격유지롤러(22)에 묻지 않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의 외측면의 폭이 다른 경우에는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접착제 확산기(21)가 놓이는 경사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프레임의 전체 면에 대해서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서 접착제가 프레임의 측면에 적절히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도포의 신뢰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 두께의 접착제가 프레임의 외측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남는 접착제가 없도록 하고, 자동화 장비에 의해서 접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도포되는 프레임의 외측면의 폭에 무관하게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0)

  1. 접착제가 도포되는 프레임이 거치되는 프레임 거치대;
    상기 프레임 거치대에서 일정 정도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프레임 거치대의 변을 따라서 이동되는 접착제 토출기;
    상기 접착제 토출기의 토출 단부에 형성되어, 접착제가 선형으로 확산되어 토출되는 접착제 확산기; 및
    상기 접착제 확산기의 인접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면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제 확산기와 상기 프레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 롤러가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확산기는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또는 하부 케이스에 일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는 확산홈이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확산기는 내부에 일방향으로 넓게 형성되는 확산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확산홈의 진행 경로에 형성되어 접착제의 확산을 증진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는 확산돌기가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확산기는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면접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소정의 나사홀에 끼워지는 조절나사가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확산기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노즐부가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대에 놓여있는 프레임이 이송되도록 하는 프레임 이송기;
    상기 프레임 이송기가 이동되는 프레임 이송 레일이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거치대로부터 프레임을 꺼내기 위한 공압 이송 수단;
    상기 공압 이송 수단에 의해서 이송된 프레임이 놓여, 도포되는 접착제가 건조되는 시간을 벌고, 일정 간격으로 프레임이 적재되어 하역처로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가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프레임의 유무를 감지하는 프레임 감지센서가 형성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9. 소정 폭의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면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 도포면과 면접되는 간격 유지 롤러;
    상기 접착제 도포 장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간격 유지 롤러의 뒷쪽에 형성되어, 접착제가 선형으로 확산되어 도포되도록 하기 위한 선형의 노즐부가 형성되는 접착제 확산기가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접착제가 노즐부의 전체를 통하여 고르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가운데 부위에 형성되는 확산 돌기가 형성되는 접착제 도포장치.
KR1020030072184A 2003-10-16 2003-10-16 접착제 도포장치 KR10054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84A KR100547695B1 (ko) 2003-10-16 2003-10-16 접착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84A KR100547695B1 (ko) 2003-10-16 2003-10-16 접착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91A KR20050036491A (ko) 2005-04-20
KR100547695B1 true KR100547695B1 (ko) 2006-01-31

Family

ID=3723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184A KR100547695B1 (ko) 2003-10-16 2003-10-16 접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1A (ko) 2015-07-10 2017-01-18 (주)에스에스이티 방진부싱용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의 접착제 도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61A1 (ko) * 2012-07-12 2014-01-16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101389137B1 (ko) * 2012-07-13 2014-04-24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20140022620A (ko) * 2012-08-14 2014-02-25 주식회사 지엔테크 접착제 도포장치
KR101489317B1 (ko) * 2014-04-29 2015-02-04 (주) 유피테크 메탈 마스크용 접착제 도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1A (ko) 2015-07-10 2017-01-18 (주)에스에스이티 방진부싱용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의 접착제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91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361B1 (ko)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KR20120082338A (ko) 수지 도포 장치
US9067234B2 (en) Substrate coating device and substrate coating method
KR20110067713A (ko) 스크라이빙 조립체 및 스크라이빙 방법
JP6763843B2 (ja) 超音波洗浄装置及び超音波洗浄システム
KR100547695B1 (ko) 접착제 도포장치
KR101931814B1 (ko) 부상식 도포 장치
JP4364690B2 (ja) 接着剤塗布方法
JP5771432B2 (ja) 塗布装置
JP2018114475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US7067009B2 (en) Strand guide implements or mechanisms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terial dispensing and coating nozzles
KR20170140567A (ko) 코팅장치
KR101727937B1 (ko) 표면처리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TWI519354B (zh) 滾筒搬送式塗佈機
JP2013229332A (ja) 導光板における光漏出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反射材が塗布された導光板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7170365A (ja) 塗装装置
KR102472229B1 (ko) 거울 유리 엣지부의 코팅장치
JP2018114476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KR200485246Y1 (ko) 기판 필름 접착용 습식 자동 커팅 라미네이팅 장치
JP3168708U (ja) 接着剤の塗布装置
JPH1035882A (ja) 板状物の作業位置への非接触連続搬送装置
JP3864641B2 (ja) 紫外線照射装置及び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H04279440A (ja) パッケージへのシール片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72219A (ja) 板状物の直立搬送方法と直立搬送装置
TW202337563A (zh) 基板處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