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052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052B1
KR100547052B1 KR1020040015998A KR20040015998A KR100547052B1 KR 100547052 B1 KR100547052 B1 KR 100547052B1 KR 1020040015998 A KR1020040015998 A KR 1020040015998A KR 20040015998 A KR20040015998 A KR 20040015998A KR 100547052 B1 KR100547052 B1 KR 10054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supply container
image
develop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326A (ko
Inventor
아와야데쯔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7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e.g. 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현상부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제1 및 제2 현상 장치와, 제1 및 제2 현상 장치를 지지하고 현상부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서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 상에 지지되며 제1 현상 장치와 제2 현상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1 현상제 공급 용기 및 제2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고, 제1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회전 부재의 회전을 이용하여 이송되고, 제2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회전 부재의 회전을 이용하지 않고 이송된다.
현상 장치, 현상 담지 부재, 회전 부재, 현상제 공급 용기, 이송 스크류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3은 교반 중에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내부 부재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4는 몰드가 제거되는 방향으로부터 본, 현상제 교반 이송 내부 부재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부 및 저부 반부의 내측면의 평면도.
도5는 현상제 교반 이송 내부 부재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부 및 저부 반부의 내측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교반 중에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내부 부재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와 호환 가능한 전형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9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사시 투시도.
도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사시도.
도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 장치
2a, 2b : 순환 스크류
6 : 현상제 출구
7 :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
8a : 이송 스크류
9 : 현상제 입구
16, 17 : 현상제 공급 용기
17d : 현상제 이송 리지
18 : 로터리
28 : 감광 드럼
본 발명은 전자 사진식, 정전식 등의 기록법을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스기 및 상기 장치들의 두 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다기능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립자 형태의 현상제가 전자 사진식 복사기,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로서 장기간 사용되어 왔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현상제의 양이 소비에 의해 임계 레벨로 감소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현상제는 극미세 미립자의 형태이고, 따라서 작업자가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할 때 현상제가 산란되어 그 인접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거나 실용화되어 왔다. 이들 중 일부에 따르면, 현상제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배치되고, 용기 내의 현상제는 용기의 소형 출구로부터 증분되어 토출된다. 이러한 방식의 방법의 경우, 자연력, 더 구체적으로는 중력만을 사용하여 현상제를 자동적으로 토출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다. 달리 말하면,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용기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수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다색 화상을 형성할 때,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화상이 색상이 상이한 토너로 하나씩 감광 부재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용지와 같은 전사 매체 상에 층상으로 전사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색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소위 로 터리 현상법 중 하나를 채용하고, 예를 들면 블랙,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 장치와 같은 복수의 현상 장치를 포함하고, 이 현상 장치들은 이들이 현상을 위해 감광 부재에 대면하는 위치로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가능한 로터리 내에 장착된다. 이 화상 형성법, 또는 소위 로터리 현상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이들 중 몇몇은 실용화되어 있다.
다음, 도3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리 현상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98144호에는 이러한 현상제 공급 용기 중 하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 용기(10)의 각각이 한 쌍의 나선형 교반기(88)를 구비하고, 이 교반기는 용기(10) 내에 위치 설정되고, 용기(10)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위치 설정된 현상제 출구를 향해 용기(10)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고 출구로부터 현상제를 토출하도록 회전 가능하다.
다음, 도11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44183호에 개시된 현상제 공급 용기(322)의 각각은, 현상제 출구(327)를 향해 현상제를 안내하도록 용기(322) 내에 위치 설정된 복수의 리지(333)를 구비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322)는 로터리형 현상 장치(300)에 고정 부착된다. 따라서, 로터리(300)가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현상제 공급 용기(322)는 로터리(300)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이동하고, 현상제 용기(322)가 선회 이동함에 따라, 그 내부의 현상제가 용기(322)의 출구로 이송되어, 용기(322) 내의 복수의 리지에 의해 대응 현상 장치 의 현상 챔버 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는 이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98144호에 개시된 현상제 공급 용기는 교반기에 부가하여 교반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기구를 필요로 한다. 달리 말하면, 부품 수가 더 많아 비용이 더 높다.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의 프레임은 교반기용 베어링을 구비해야 하고, 베어링은 용기 내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밀봉부를 구비해야 한다. 이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리 현상 장치가 복수의 교체식 구성의 현상제 공급 용기와, 또한 복수의 교체식 구성의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사실을 감안하면, 로터리 현상 장치의 전체 비용에 대한 이 구조적 배열의 영향은 상당하다.
한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44183호에 개시된 현상제 공급 용기의 경우,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현상 장치가 현상 위치에 있을 때 현상 장치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당한 수의 고농도 단색 화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화상 형성 작업은 작동 중인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로터리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야 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화상 형성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현재, 상당한 수의 단색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풀 컬러(full-color)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되는 빈도는 상당히 높다. 따라서, 연속적인 단색 화상 형성의 생산성의 감소는 사용자가 용이하기가 상당히 곤란하다.
요약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로터리 현상 장치의 구조적 배열은 이하의 문제 점을 갖는다. 즉, 로터리 현상 장치에 사용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각각에 회전 구동해야 하는 현상제 이송 내부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로터리 현상 장치의 비용이 상당히 증가한다. 한편, 현상제 공급 용기의 각각으로부터 현상제를 토출하기 위해 현상 장치의 로터리의 회전을 사용하는 로터리 현상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당한 수의 단색 화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생산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장치의 비용 및 생산성 모두의 견지에서 만족스러운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비용의 감소 및 단색 화상 형성의 생산성의 증가 모두의 견지에서 만족스러운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고찰하여 더 명백해질 것이다.
먼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와 호환 가능한 전형적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와 호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 101로 나타낸 것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이다. 주 조립체(101)는, 투명 유리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1)의 상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원고 보유 플래튼(102)을 갖는다. 도면 부호 103으로 나타낸 것은 원고(100)의 화상 담지면이 하향 지향된 상태로 원고(100)가 원고 보 유 플래튼(102) 상에 배치된 후에, 원고(100)를 원고 보유 플래튼(102) 상에 평탄하게 가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원고 가압 플레이트이다. 원고 보유 플래튼(102)의 하부에 위치 설정된 광학 시스템은 원고(100)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104)와, 조명된 원고(100)의 광학 화상을 화상 처리 유닛(108)으로 안내하기 위한 반사 미러(105, 106, 107) 등을 포함한다. 광학 시스템[램프(104), 반사 미러(105, 106, 107) 등]은 원고(100)를 주사하도록 미리 정해진 속도로 이동된다.
도면 부호 115로 나타낸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28)과, 감광 드럼(28)의 주위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대전 롤러(160)와, 감광 드럼(28) 상에 토너의 화상(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로터리 현상 유닛(151)과, 현상에 의해 감광 드럼(28)의 주위면 상에 형성된 토너가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152)와, 중간 전사 벨트(152) 상의 토너 화상을 용지(S)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롤러(150)와, 토너 화상의 전사 후에 감광 드럼(28)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cleaner)(126) 등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 먼저 감광 드럼(28)의 주위면이 대전 롤러(160)에 의해 대전되고, 감광 드럼(28)의 대전된 주위면은 레이저 유닛(109)으로부터 투영된 광학 화상에 노출되어, 감광 드럼(28)의 주위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정전 잠상은 토너로 형성된 화상으로 현상되고, 토너로 형성된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152) 상에 전사된다. 다음, 중간 전사 벨트(152) 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롤러(150)에 의해 용지(S) 상에 전사된다. 용지(S)는 용지 카세트(27)로부터 공급된다.
화상 형성 스테이션(115)의 하류부에는, 정착 장치(122) 및 한 쌍의 배출 롤 러(124)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122)는 용지(S)가 정착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동안 용지(S) 상의 토너 화상을 용지(S)에 정착하여 영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배출 롤러(124)는 정착 장치(122)에서의 용지(S)로의 토너 화상의 정착 후에 복사기의 주 조립체(101)로부터 용지(S)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복사기 주 조립체(101)의 외부에 부착된 것은 한 쌍의 배출 롤러(124)에 의해 주 조립체(101)로부터 용지가 배출될 때 용지(S)를 포획하는 배출 트레이(125)이다.
다음, 로터리 현상법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로터리(18)는 복수의 현상 장치(1K, 1Y, 1M, 1C)를 보유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로터리의 중심 샤프트(18a)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감광 드럼(28) 상에 블랙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로터리(18)는, 현상 장치(1K)가 현상을 위해 감광 드럼(28)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현상 위치(P1)로 현상 장치(1K)를 이동시키도록 회전되고, 반면에 현상 장치(1K)의 사용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과 상이한 색상의 토너 화상, 예를 들면 옐로우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로터리(18)는 현상을 위한 현상 위치(P1)로 현상 장치(1Y)를 이동시키도록 재차 회전된다. 현상 장치(1K, 1Y)에 의해 형성된 화상과 상이한 색상의 토너 화상이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2는 제1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3은 제1 실시예의 현상제를 교반하는 동안에 용기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내부 부재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4는 몰드가 제거되는 방향으로부터 본, 현상제 교반 이송 내부 부재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부 및 저부 반부의 내측면의 평면도이다. 도5는 현상제 교반 이송 내부 부재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상부 및 하부 반부의 내측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현상 장치(1) 각각에는, 본질적으로는 비자성 토너 및 자성 캐리어의 혼합물인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제의 초기 토너 함량은 대략 8 중량%이다. 초기 토너 함량은 토너 대전량, 캐리어의 직경 및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 등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초기 토너 함량은 상기의 8%의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현상 장치(1)는 감광 드럼(28)에 대면하는 현상 개구를 갖는다. 현상 장치(1)에서,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의 현상 슬리브(3)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현상 개구를 통해 감광 드럼(28)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현상 중에, 현상 슬리브(3)는 도1에 도시된 화살표 A로 지시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됨에 따라 현상 장치(1)의 2성분 현상제는 현상 장치(1)의 주위면 상에 층상으로 담지되고 현상 개구로 이송되며, 여기서 현상 장치(1)의 현상 슬리브(3)의 주위면과 감광 드럼(28)의 주위면이 실질적으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현상 영역에서, 현상 장치(1)의 현상 슬리브(3)의 주위면 상의 2성분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3)에 대면하는 감광 드럼(28)의 주위면의 부분으로 공급되어, 감광 드럼(28) 상에 정전 잠상 을 현상한다. 감광 드럼(28) 상의 정전 잠상의 현상 후에, 감광 드럼(28) 상에 잔류하는 2성분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3)의 회전에 의해 더욱 이송되어 현상 장치(1) 내로 회수된다. 현상 장치(1)에서, 2성분 현상제는 제1 현상제 순환 스크류(2a)[현상 슬리브(3)에 근접한 스크류]와 제2 현상제 순환 스크류(2b)[현상 슬리브(3)로부터 멀리 이격된 스크류]에 의해 현상 장치(1) 내에서 교반 및 혼합되면서 순환된다. 현상제 순환 방향과 관련하여, 현상제는 제1 현상제 순환 스크류(2a)에 의해 도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그리고 제2 현상제 순환 스크류(2b)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동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 슬리브(3), 제1 현상제 순환 스크류(2a) 및 제2 현상제 순환 스크류(2b)가 이들이 속한 현상 장치(1)가 현상 위치에 있을 때에만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현상제 용기로서의 현상제 공급 용기(16)가 현상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되어 현상제 공급을 저장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 공급 용기(16) 내의 현상제를 현상제 출구(6)를 향해 이송하기 위한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를 포함한다.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는 강성 샤프트 및 강성 샤프트에 부착된 복수편의 수지막을 포함하여, 강성 샤프트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6) 내의 현상제가 교반되면서 현상제 출구(6)를 향해 이송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6)와 현상 장치(1)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봉부가 제공되어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현상 장치(1)가 현상 위치에 있을 때에만,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가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에 연결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6)를 갖는 현상 장치(1)가 현상제가 부족한 상태로 작동될 때, 이하의 방식으로 현상제가 보충된다. 즉, 현상 장치(1)가 현상 위치(P1)로 이동할 때, 현상제 공급 용기(16)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를 회전시킨다.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가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6)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용기(16)의 현상제 출구(6)로 이송되어 그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현상제는 회전하는 이송 스크류(8a) 상으로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그 결과, 현상제는 이송 스크류(8a)에 의해 현상 장치(1)의 현상제 입구(9)를 통해 현상 장치(1) 내로 이송되어, 현상 장치(1)에 현상제가 보충된다. 달리 말하면, 현상제 공급 용기(16)는, 현상제 공급 용기(16) 내의 현상제가 로터리(18)의 회전에 의존하지 않고 그의 출구(6)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7)와는 상이하다.
현상제 공급을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17)는 현상 장치(1)의 상부에 또한 위치 설정된다. 이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 공급 용기(17) 내의 현상제를 현상제 출구(6)를 향해 이송하기 위한 현상제 이송 수단으로서의 두 세트의 현상제 이송 리지(17d)를 구비한다. 두 세트의 현상제 이송 리지(17d)는 현상제 공급 용기(17)의 내부면 상에 위치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17)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현상제 이송 리지(17d) 각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져 있다.
따라서, 로터리(18)가 회전함에 따라, 중력 방향에 대한 현상제 공급 용기(17) 내의 각각의 리지(17d)의 각도 및 각각의 현상제 입자의 주어진 지점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변화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7) 내의 현상제는 교반되는 동시에 현상제 출구(6)를 향해 이송되어, 그로부터 토출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7)와 현상 장치(1) 사이에는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밀봉 부재가 위치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7)를 갖춘 현상 장치(1)가 현상제가 부족해짐에 따라, 다음의 방식으로 현상제가 보충된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7)로부터 현상제의 새로운 공급으로 현상 장치(1)를 보충하기 위하여, 로터리(18)는 회전되어야만 한다. 로터리(18)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7) 내의 현상제는 교반됨과 동시에 현상제 공급 용기(17)의 현상제 출구(6)로 이송되고 그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현상제는 회전되고 있는 이송 스크류(8a) 상으로 이의 자중에 의해 토출된다. 그 결과, 현상제는 현상 장치(1)의 현상제 입구(9)를 통해 현상 장치(1)로 이송되어, 현상 장치(1)에 현상제의 새로운 공급을 보충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전술된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가 배치된 현상제 공급 용기(16)는 로터리(18) 내의 복수의 현상 장치(1) 중에서 현상 장치(1K)(블랙 토너, 즉 무색 토너를 저장하고 블랙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됨)과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현상 장치(1K)는 블랙 잉크에 부가하여 캐리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된 구조를 가짐].
현상제를 토출하기 위하여 로터리(18)의 회전을 이용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17)가 현상 장치(1K) 이외의 현상 장치(1) 즉, 색채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 장치(1)인 현상 장치(1Y)(옐로우 토너를 저장하고 옐로우 토너 화상을 형상함), 현상 장치(1M)(마젠타 토너를 저장하고 마젠타 토너 화상을 형성함) 및 현상 장치(1C)(시안 토너를 저장하고 시안 토너 화상을 형성함)를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로서 채용된다. 그러나, 4개의 현상 장치는 기본 구조에 있어서는 동일하다[현상 장치(1Y, 1M 및 1C)에는 유색 토너에 부가하여 캐리어가 또한 공급되도록 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된 구조적인 구성의 채용은 전술된 4개의 현상제 공급 용기 중에서 3개의 현상제 공급 용기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의 비용에 더해지는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 베어링, 밀봉부 등을 제거하여, 로터리 현상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는 전체적인 화상 형성 비용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현상제 공급 용기(16)에는 현상 장치(1K)가 현상 위치에 있는 동안에 현상 장치(1K)에 현상제를 보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당한 수의 고농도의 블랙 화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되는 이러한 화상 형성 작업 동안에서도, 로터리는 회전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작업은 화상 형성 생산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처리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 실시예는 상당한 수의 블랙 화상의 연속적인 형성에서의 생산성 면에서, 회전식 현상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로터리 현상 장치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향상시키는 2개의 전술된 목적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7은 제2 실시예의 내부 현상제 교 반 이송 부재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많은 면에서 유사하다. 따라서, 이의 특징적인 측면에 대해서만 설명될 것이다.
먼저, 이 실시예에서 회전 현상 장치와 호환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로터리(18)는 복수의 현상 장치(1K, 1Y, 1M, 1C)를 보유하고,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로터리(18)의 중심 샤프트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감광 드럼(28) 상에 블랙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로터리(18)는 현상 장치(1)의 현상 롤러가 현상을 위해 감광 드럼(28)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위치되는 현상 위치(P1)로 현상 장치(1K)를 이동시키도록 회전되고, 반면에 현상 장치(1K)를 사용하여 형성된 토너 화상과 색상이 상이한 토너 화상, 예를 들면 옐로우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로터리(18)는 다시 회전되어 현상 장치(1Y)를 현상을 위한 현상 위치(P1)로 이동시킨다. 현상 장치(1K, 1Y)에 의해 형성된 화상과 색상이 상이한 토너 화상이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블랙 현상제 공급 용기(16)는 현상 장치(1K) 상부에 위치되어 그 내부에 블랙 현상제 공급을 저장한다. 이는 현상제 공급 용기(16) 내의 현상제를 현상제 출구(6)를 향해 이송시키기 위한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를 포함한다.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는 강성 샤프트와 강성 샤프트에 부착된 복수편의 수지막을 포함하여, 강성 샤프트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6) 내의 현상제가 교반되는 동시에 현상제 출구(6)를 향해 이송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6)와 현상 장치(1) 사이에는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밀봉부가 위치한다.
블랙 현상 장치(1K)가 현상 위치(P1)로 이동됨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현상제 공급 용기(16)의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가 회전되도록 한다. 현상제 교반 이송 부재(7)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16)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용기(16)의 현상제 출구(6)로 이송되고, 그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현상제는 회전되고 있는 이송 스크류(8a) 상으로 이의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그 결과, 현상제는 현상 장치(1K)의 현상제 입구(9)를 통해 현상 장치(1K)로 이송되고, 화상 형성에 의해 현상제가 소모되고, 현상 장치(1K)는 현상제가 보충된다.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제 공급 용기(17Y, 17M, 17C)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 장치(1Y, 1M, 1C) 상부에 위치되고,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제를 포함한다.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제 공급 용기(17Y, 17M, 17C)의 각각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용기의 현상제 출구(6)를 향해 이송하기 위한 2 세트의 현상제 이송 리지(17d)가 제공된다. 2세트의 리지(17d)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내측면에 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위치된다. 각각의 리지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져 있다. 따라서, 로터리(18)가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제 공급 용기(17Y, 17M, 17C) 내의 현상제는 각각 현상제 공급 용기(17) 내의 현상제 이송 리지(17d)의 작용 및 중력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이송된다. 각각의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제 공급 용기(17Y, 17M, 17C)와 대응하는 현상 장치(1) 사이에는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밀봉부가 제공된다.
컬러 현상 장치(1) 중 하나에 현상제가 부족해짐에 따라, 다음의 방식으로 컬러 현상제가 보충된다. 즉, 컬러 현상 장치(1)에 현상제의 새로운 공급으로 보충하기 위하여, 로터리(18)는 회전된다. 로터리(18)가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제 공급 용기(17Y, 17M, 17C) 내의 현상제가 교반됨과 동시에 현상제 공급 용기(17)의 현상제 출구(6)로 이송되고 그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현상제는 이의 자중에 의해서 이송 스크류(8a) 상으로 낙하한다. 그런 후, 이송 스크류(8a)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제는 현상 장치(1)의 현상제 입구(9)를 통해 현상 장치(1)로 이송된다. 현상 장치(1)에는 현상제의 새로운 공급이 보충된다.
도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블랙 현상제 공급 용기(16)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현상제 공급 용기(17Y, 17M, 17C)보다 현상제 용량 면에서 더 크다.
달리 말하면, 이 실시예에서, 로터리 형태의 다색 화상 형성 장치를 위한 블랙 현상제 공급 용기가 블랙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로터리가 회전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서의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블랙 현상제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여, 블랙 화상 형성 작동의 생산성, 특히 다색 화상 형성 장치가 컬러 화상 형성을 위해서보다 실질적으로 더 많은 회수가 이용되는 상당한 수의 고농도의 블랙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블랙 화상 형성 작동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 장치의 비용을 추가하는 현상제 교반 이송 내부 부재, 베어링, 밀봉부 등과 같은 이러한 부품을 컬러 현상제 공급 용기에 공급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실시예는 컬러 현상제 공급 용기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화상 형성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현상제 교반 이송 내부 부재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관해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는 상당한 수의 고농도의 단색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때에도 로터리를 회전시키는 것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들은 화상 형성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요지는 컬러 현상제 공급 용기가 용기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하여 로터리의 회전을 이용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 것이고, 블랙 현상제 공급 용기가 로터리의 회전에 의하지 않고 그 내부에서 현상제를 이송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하여 로터리의 회전을 이용하기 위한 구조, 또는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하여 로터리의 회전을 이용하지 않기 위한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명백하게는, 전술된 구조적인 구성은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구조적인 구성 중 하나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정해진 컬러의 단색 화상의 실질적인 수의 연속적인 형성에서 비용 및 생산성 모두에서 종래 기술의 화상 형성 장치에 비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세부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 출원은 후속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 드는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2)

  1. 현상부에서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제1 현상 장치 및 제2 현상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현상 장치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부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회전가능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 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제1 현상 장치 및 상기 제2 현상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1 현상제 공급 용기 및 제2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이용하여 공급되고, 상기 제2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이용하지 않고 공급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현상 장치와 상기 제2 현상 장치를 사용하여 다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와, 상기 제2 현상 장치를 사용하여 단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에서 작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장치는 컬러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제2 현상 장치는 블랙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실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현상 장치 및 제1 현상제 공급 용기의 부가적인 쌍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현상부에서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제1 현상 장치 및 제2 현상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현상 장치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부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 상에 실질적으로 비회전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현상 장치 및 상기 제2 현상 장치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동일한 용기가 아닌 제1 현상제 공급 용기 및 제2 현상제 공급 용기와,
    상기 제1 현상제 공급 용기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부재와,
    상기 제2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현상 장치와 상기 제2 현상 장치를 사용하여 다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와, 상기 제2 현상 장치를 사용하여 단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에서 작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장치는 컬러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제2 현상 장치는 블랙 현상제로 화상을 형성하도록 실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 현상 장치 및 제1 현상제 공급 용기의 부가적인 쌍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현상부에서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현상부에 상기 현상 장치를 선택적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한 회전 부재와,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각각의 것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 장치를 사용하여 다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와, 상기 현상 장치 중 미리 정해진 하나를 사용하여 단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에서 작동 가능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현상 장치 이외의 상기 현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이용하여 공급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현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이용하지 않고 공급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현상 장치는 블랙 화상을 형성하도록 실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현상부에서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 장치를 현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하기 위한 회전 부재와,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 장치의 각각의 것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현상제 공급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 장치를 사용하여 다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와 상기 현상 장치 중 미리 정해진 하나를 사용하여 단색 화상이 형성되는 모드에서 작동 가능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현상 장치 이외의 상기 현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와 일체식으로 회전 가능한 제1 공급 부재와,
    상기 미리 정해진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현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제2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현상 장치는 블랙 화상을 형성하도록 실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15998A 2003-03-10 2004-03-10 화상 형성 장치 KR100547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3385 2003-03-10
JP2003063385A JP3840191B2 (ja) 2003-03-10 2003-03-10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326A KR20040081326A (ko) 2004-09-21
KR100547052B1 true KR100547052B1 (ko) 2006-01-31

Family

ID=3282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98A KR100547052B1 (ko) 2003-03-10 2004-03-10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96359B2 (ko)
EP (1) EP1462865B1 (ko)
JP (1) JP3840191B2 (ko)
KR (1) KR100547052B1 (ko)
CN (1) CN15307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0470B2 (ja) * 2003-12-03 2010-06-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69260B2 (ja) * 2004-10-20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862419B2 (ja) * 2006-02-14 2012-0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器
US8485737B2 (en) 2009-10-29 2013-07-16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Optical fiber array connectivity system for multiple transceivers and/or multiple trunk cab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808B2 (ja) 1994-04-11 2002-10-21 株式会社リコー 回転型現像装置
JPH07333978A (ja) * 1994-06-05 1995-12-2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3629863B2 (ja) 1996-12-27 2005-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3456122B2 (ja) * 1997-09-10 2003-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装置
JPH11316479A (ja) * 1997-12-09 1999-11-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82735B2 (ja) * 1999-01-29 2007-09-26 株式会社リコー 回転型現像装置または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3015409A (ja) * 2001-07-05 2003-01-17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ー現像装置
JP3854893B2 (ja) * 2002-04-25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2004109438A (ja) * 2002-09-18 2004-04-0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19683B2 (ja) * 2003-03-10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2865B1 (en) 2012-10-24
EP1462865A2 (en) 2004-09-29
US6996359B2 (en) 2006-02-07
EP1462865A3 (en) 2011-11-02
JP2004271967A (ja) 2004-09-30
KR20040081326A (ko) 2004-09-21
JP3840191B2 (ja) 2006-11-01
CN1530766A (zh) 2004-09-22
US20040223788A1 (en) 200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6093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carri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56288B2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agitation effect
EP160780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99368B2 (en)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ing the development device
US651942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ixed toner consumption mode
CN102012656B (zh) 图像形成设备
JP2009237043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547052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904003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6938B2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3057929A (ja) 現像装置
JP2010038939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3859101B2 (ja) 現像装置
JP5284002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6162810A (ja)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65493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3541568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38740A (ja) 画像形成装置
JP347985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22764A (ja) 補給トナーの混合撹拌方法、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254225A (ja) 画像形成装置
JP4331665B2 (ja) 現像装置
JPH08179666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6282165A (ja) トナー補給装置
JPH0824875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