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556B1 -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556B1
KR100543556B1 KR1020030060672A KR20030060672A KR100543556B1 KR 100543556 B1 KR100543556 B1 KR 100543556B1 KR 1020030060672 A KR1020030060672 A KR 1020030060672A KR 20030060672 A KR20030060672 A KR 20030060672A KR 100543556 B1 KR100543556 B1 KR 10054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composition
browning
present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514A (ko
Inventor
박정숙
김기영
Original Assignee
박정숙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김기영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102003006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5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61K36/8905Cyperus (flats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알코올해독용 및/또는 간장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초두구, 갈화, 갈근,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산사, 후박, 신국, 양강, 창출, 적복령, 작약, 당귀, 천궁, 황기 또는 감초 등의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위(胃)와 장(腸)을 보호하고 간 기능(肝機能)을 강화하여 체내에 섭취된 알코올을 신속히 대사시킴으로써 숙취해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알코올 해독용 및/또는 간장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숙취 해소, 알코올 분해, 갈화, 초두구

Description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Alpiniae Semen and Pueraria Flow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비글(beagle)에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알코올의 혈중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알코올해독용 및/또는 간장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초두구, 갈화, 갈근,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산사, 후박, 신국, 양강, 창출, 적복령, 작약, 당귀, 천궁, 황기 또는 감초 등의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여 위와 장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강화하여 체내에 섭취된 알코올을 신속히 대사시킴으로써 숙취해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알코올 해독용 및/또는 간장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있어 음주의 기회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 숙취 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일이 반복됨에 따라 알코올 중독에 걸릴 위험성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체내의 알코올 대사는 주로 세 가지 효소계에 의해 대사 되는 데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 이하 "ADH"라 약칭함), 마이크로좀의 알코올 산화 효소군(microsomal ethanol oxidation system ; 아하 'MEOS'라 함), 카탈라아제(catalase)에 의한 계가 있다. 알코올은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되고, 이것은 다시 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 이하 "ALDH"라 약칭함)에 의하여 아세테이트로 산화된다. 이 과정에서 두 효소 모두 조효소 NAD+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한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 체내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되고 NADH/NAD+ 비가 높아지게 된다. 이들은 알코올 독성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간 손상은 물론이고 소화기, 심혈관계, 중추신경계, 비뇨생식계 및 근골격계 장애 등 인체 전반적인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포유류에 있어 ADH는 ADH 1 ∼ ADH 6의 여섯 종류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들 중 다섯 가지는 사람에게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ADH 4를 제외한 모든 ADH들이 간에 존재한다(J.O. Hoog etc., Chemco-Biological Interactions, 1-7 (2002)). 이들 ADH 중 알코올 섭취 후 체내 대사에는 ADH 1 및 ADH 4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섭취된 알코올은 일단 위와 장의 점막에 존재하는 ADH 4에 의해 대사 되고, 뒤이어 간에 의해 대사를 받는 데 여기에는 두 가지 경로, 즉 ADH 1 의존성 과 시토크롬(cytochrom) 의존성 경로가 있다.
ADH는 알코올의 대사가 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진 간 이외에도 피부, 위 및 장에도 상당히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장, 내분비선 및 뇌 등에도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 Buhler etc.,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18(1), 55-59 (1983)). 신장의 경우 ADH는 세뇨관의 상피에 존재하며, 부신의 경우 ADH의 함량은 비교적 낮으며 수질보다는 피질 쪽에 존재한다. ADH는 전립선과 부고환의 상피에도 상당히 존재하며, 고환의 정액을 생성하는 상피 및 간질세포(Leydig cell)에도 상당히 존재한다. 반면 난소와 자궁에는 아주 소량만이 존재한다.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는 특히 고농도의 ADH가 존재한다. 뇌에 있어서 ADH는 대뇌 피질, 시상, 뇌하수체의 누두상(漏斗狀) 줄기와 소뇌의 푸르키니에 세포(Purkinje's cell)의 뉴론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사실로부터 ADH는 알코올 독성의 목표가 되는 것으로 알려진 세포에 일차적으로 분포하는 것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알코올의 다량 섭취 후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부위는 일차적으로 간 이외에 췌장, 정소 및 두뇌 등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알코올 섭취로 인한 숙취를 제거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점은 일차적으로 간 문맥을 통과하기 전인 위와 소장의 흡수단계에서 알코올을 신속히 분해시키며, 뒤이어 간장에서의 대사를 촉진시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정소 및 두뇌 등에서 알코올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된 약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에 알려진 알코올 대사 촉진제로는 아스파르트산, 각종 아미노산 및 비 타민류, 효소제제, 각종 식물 추출액 등 다양한 물질 또는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으나 숙취의 제반 증상을 전체적으로 개선하기에는 역부족이며, 한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들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숙취의 제반 증상은 물론 장기적이며 반복적인 음주에 의한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위장관전반 나아가 간장, 신장, 두뇌, 폐 및 정소 등에 작용하여 주독을 해소하고, 부작용은 없으면서 체내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알코올 해독 효과가 우수한 경구용 성분을 찾고자 초두구 및/또는 갈화 추출물을 흰쥐에 투여한 결과 혈중 에탄올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고 알코올 해독 및 간장 보호에 높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알코올해독용 및/또는 간장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두구를 함유하는 알코올 해독용 및/또는 간장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두구에 더하여 갈화 및/또는 갈근을 함유하는 알코올 해독용 및/또는 간장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두구, 갈화 및/또는 갈근에 더하여 선택적으로 갈근,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산사, 후박, 신국, 양강, 창출, 적복령, 작약, 당귀, 천궁, 황기 또는 감초를 더 함유하는 알코올 해독용 및/또는 간장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를 제공한다. 이 때 경구용 제제는 정제, 캡슐제, 연질 캡슐제, 환제, 과립제 또는 액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초두구 등의 "천연물"은 그 천연물이 존재하는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나, 건조된 천연물의 분말이나 천연물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수용매,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일정시간 천연물을 담그고 때로 교반하여 천연물의 유효성분이 추출되게 한 후 여과하거나 경우에 따라 농축하여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두구를 함유하는 알코올 해독용 및/또는 간장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초두구(Alpiniae katsumadai Hayata)는 생강과(Zingiberaceae) 식물인 초두구의 종자단(種子團; Alpiniae Semen)으로서 그 효능은 위장을 따듯하게 하고 과다 분비된 위장의 점액성 물질 및 과잉의 수분대사를 촉진시키므로 구토, 설사, 복부 팽만 및 식욕부진 등에 사용된다.
초두구는 다량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성분은 d-4-Terpinyl acetate, d-α-Terpineol 등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한편 정유는 구조 내에 다량의 탄소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H+를 얻어 안정화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초두구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초두구 추출물을 알코올과 함께 실험동물에 투여하고 그 동태를 살핀 결과, 초두구 추출물이 혈중의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는 NAD+/NADH 비율을 낮추어준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알코올 해독 기전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초두구를 주재로 사용함으로써 위장관에서의 빠른 알코올 해독에 따른 우수한 숙취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초두구에 더하여 갈화 및/또는 갈근을 함유하는 알코올 해독용 및/또는 간장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갈화 및/또는 갈근은 초두구의 중량에 대하여 각각 0.5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갈근(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만목으로 뿌리(Puerariae Radix)를 사용하며, 주성분으로는 다이드제인(daidzein), 다이드진(daidzin), 퓨에라린(puera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칡뿌리에서 추출한 플라본(flavone)은 뇌 및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다이드제인(daidzein)은 마우스(mouse)와 기니아피그(guineapig)의 적출 장관에 대하여 파파베린(papaverine) 양 진경작용이 있으며 또한 에스트론(estrogen) 양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한방에서는 발한해열약, 진경약으로 쓴다.
갈화(葛化)는 칡꽃으로서 갈화 역시 주성분으로 다이드제인, 다이드진, 퓨에라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예로부터 해열작용과 가래를 잘 나오게 하는 효과가 있고 주독을 풀기 위한 한방 처방으로 갈화해성탕 등의 주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갈근 및 갈화의 주성분이 뇌 및 관상동맥의 혈류량 증가작용 및 에스트론 양작용이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갈근 및/또는 갈화를 부가함으로써 반복적인 알코올 섭취에 따라 만성적인 알코올의 독성이 나타날 수 있는 장기인 중추신경계 및 비뇨기계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초두구와 갈화 추출물을 혼합하여 실험동물에 투여한 결과 초두구 또는 갈화를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한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초두구와 갈화의 활성성분이 알코올 대사에 있어서 상승 및 상가작용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초두구, 갈화 및/또는 갈근에 더하여 선택적으로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산사, 후박, 신국, 양강, 창출, 적복령, 작약, 당귀, 천궁, 황기 및 감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 때 초두구, 갈화 및/또는 갈근의 중량에 대하여 선택되는 천연물은 그 전체로서 1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초두구 5 내지 10 중량%, 갈근 8 내지 10 중량%, 갈화 8 내지 10 중량%, 진피 8 내지 10 중량%, 향부자 5 내지 7 중량%, 창출 5 내지 7 중량%, 작약 5 내지 7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후박 3 내지 5 중량%, 신국 3 내지 5 중량%, 양강 3 내지 5 중량%, 창출 3 내지 5 중량%, 적복령 3 내지 5 중량%, 작약 3 내지 5 중량%, 당귀 3 내지 5 중량%, 천궁 3 내지 5 중량%, 황기 3 내지 5 중량% 또는 감초 3 내지 5 중량%이 바람직하다.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양강, 후박, 창출 등은 한방에서 위장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요약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주성분 및 작용은 서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각기 다양한 정유 성분들은 다량 함유하고 있다.
신국(Massa Medicata Fermentata)은 참밀의 껍질과 다른 약물을 혼화한 후 발효시켜 가공한 약누룩으로써 주성분은 아밀라제(Amylase), 효모(Yeast), 비타민 B 복합체(Vitamin B complex) 등이며 그 효능은 소화불량 및 설사 등에 사용된다.
산사자(Crataegus pinnatifida Bunge)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과실을 산사자(Crataegi fructus)라 하며 열매의 주성분은 하이퍼린(hyperin), 아미그달린 (amygdalin), 우르소릭 산 (ursolic acid) 및 비타민 C, 클로르게닉 산(chlorogenic acid). 구연산 등이며, 그 효능은 막힌 곳을 풀어주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등의 작용이 있어 심장병, 소식(消食), 건위, 소화, 강장, 고혈압, 월경통 등에 사용되고 있다.
백작약, 천궁 당귀 등은 한방에서 사물탕의 주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주작용은 간혈(肝血)을 보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기(Astragalus membranceus Bunge)는 콩과의 다년초로써 뿌리(Astragali Radix)를 사용하며, 주성분은 수종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 트리테펜(triterpene)인 소야사포닌(soyasaponin), 아스트라갈로사이드(astragaloside) Ⅰ∼Ⅷ 및 칼리코신 (calycosin) 등이 있다. 그 효능으로는 이뇨(利尿) 및 이수(利水) 작용이 있어 만성 신장염 및 소변불리(小便不利)에 사용된다. 또한 이것은 폐기허(肺氣虛)에 의한 자한(自汗)을 다스리기 위해 민간에서 황기백숙의 재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적복령은 신장에서의 수분대사를 촉진시키고 정신을 맑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주로 이수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두구 및 갈화 외에 갈근,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산사, 후박, 신국, 양강, 창출, 적복령, 작약, 당귀, 천궁, 황기, 감초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알코올과 함께 실험동물에 공투여한 경우, 시간에 따른 알코올의 혈중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며, 혈중 알코올의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조성물에 사용된 약재 중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양강 등은 정유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본 조성물에 이들을 첨가함으로써 상승 및 상가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혈중 알코올의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빨라진 것은 이들이 주로 위장관계에 작용점을 가지고 있어서 에탄올이 간에 도달되기 전인 위장관의 흡수단계에서 대사된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와 같이 본 조성물의 구성 성분들은 위장관, 간, 심장, 폐 및 신장 등에 작용하는 약재들을 고루 함유하고 있어, 알코올 섭취 후 이들의 협동 작용에 의해 각 장기의 대사 능력을 활성화시켜줌으로써 신속한 해독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 인다.
본 발명은 갈화 또는 초두구를 주재로 하며, 그 외에 향부자, 갈근 갈화, 진피, 산사, 창출, 후박, 적복령, 사인, 신곡, 감초, 초두구, 양강, 작약, 당귀, 천궁, 황기, 목향 등의 한약재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해독 및 간장보호를 위한 정제, 캡슐제, 연질 캡슐제, 과립제, 환제, 액제와 같은 경구용 제제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경구용 제제는 통상의 식품공학적 또는 제제학적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보완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갈화 추출물의 제조
갈화를 한약업사(청주, 원창약업사)로부터 구입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와 에탄올 1 : 1 혼합액을 잠길만큼 붓고 1일간 상온에 방치하면서 때때로 흔들어 주어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였다. 다시 증류수와 에탄올 1 : 1 혼합액을 삼각플라스크에 붓고 1일간 방치한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먼저 채취한 여액과 합쳐서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실시예 2> 초두구 추출물의 제조
초두구를 한약업사(청주, 원창약업사)로부터 구입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와 에탄올 1 : 1 혼합액을 잠길 만큼 붓고 1일간 상온에 방치하면서 때때로 흔들어 주어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취하였다. 다시 증류수와 에탄올 1 : 1 혼합액을 삼각플라스크에 붓고 1일간 방치한 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먼저 채취한 여액과 합쳐서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실시예 3> 환제의 제조
초두구 8g, 갈근 16g, 갈화 16g, 진피 16g, 향부자 12g, 창출 12g, 작약 12g, 산사 8g, 후박 8g, 적복령 8g, 사인 8g, 신국 8g, 양강 8g, 당귀 8g, 천궁 8g, 황기 8g, 목향 8g, 감초 8g 등을 분쇄한 후 잘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제로 하였다.
<실시예 4> 과립제의 제조
초두구 8g, 갈근 16g, 갈화 16g, 진피 16g, 향부자 12g, 창출 12g, 작약 12g, 산사 8g, 후박 8g, 적복령 8g, 사인 8g, 신국 8g, 양강 8g, 당귀 8g, 천궁 8g, 황기 8g, 목향 8g, 감초 8g 등을 분쇄한 후 잘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제로 하였다.
<실시예 5> 정제의 제조
초두구 8g, 갈근 16g, 갈화 16g, 진피 16g, 향부자 12g, 창출 12g, 작약 12g, 산사 8g, 후박 8g, 적복령 8g, 사인 8g, 신국 8g, 양강 8g, 당귀 8g, 천궁 8g, 황기 8g, 목향 8g, 감초 8g 등의 추출물 분말에 옥수수전분 44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g을 잘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로 하였다.
<실시예 6> 캡슐제의 제조
초두구 8g, 갈근 16g, 갈화 16g, 진피 16g, 향부자 12g, 창출 12g, 작약 12g, 산사 8g, 후박 8g, 적복령 8g, 사인 8g, 신국 8g, 초두구 8g, 양강 8g, 당귀 8g, 천궁 8g, 황기 8g, 목향 8g, 감초 8g 등의 추출물 분말에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오스 칼슘 3g,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오스 나트륨 3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g을 잘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에 500mg씩 충진하여 캡슐제로 하였다.
<실시예 7> 연질캡슐제의 제조
초두구 8g, 갈근 16g, 갈화 16g, 진피 16g, 향부자 12g, 창출 12g, 작약 12g, 산사 8g, 후박 8g, 적복령 8g, 사인 8g, 신국 8g, 양강 8g, 당귀 8g, 천궁 8g, 황기 8g, 목향 8g, 감초 8g 등의 추출물 분말에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오스 칼슘 3g,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오스 나트륨 3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g을 잘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라틴을 기제로 1연질캡슐에 500mg씩 충진하여 연질캡슐제로 하였다.
<실시예 8> 액제의 제조
초두구 8g, 갈근 16g, 갈화 16g, 진피 16g, 향부자 12g, 창출 12g, 작약 12g, 산사 8g, 후박 8g, 적복령 8g, 사인 8g, 신국 8g, 양강 8g, 당귀 8g, 천궁 8g, 황기 8g, 목향 8g, 감초 8g 등의 추출물을 잘 혼합하고, 폴리소르베이트 80 10g과 정제수 500ml를 가하고 약간 가온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액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흰쥐에서 갈화 또는 초두구 추출물의 혈중 에탄올농도 감소효과
실험동물은 체중 250±5g의 스프래그 다우리(Sprague-Dawley)계 웅성 랫트을 삼육동물센타(경기도 오산)에서 공급받아 항온, 항습과 빛을 유지한 동물실에서 3일 간 미리 적응시켜 사용하였다. 이 기간동안 사료 및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토록 하였으며, 실험동물의 수는 각 군당 5마리로 하였다.
시험시작 2시간 전에 식이 및 물 공급을 중지하고, 대조군은 99% 에탄올 3g/kg에 해당하는 양을 30%로 희석한 후 경구투여(2.5ml) 하였으며, 시험군은 알코올 투여 1시간 전에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갈화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초두구 추출물) 하기 표 1의 중량에 따라 각각 투여한 후,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알코올을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 1시간 후에 에테르를 써서 실험동물을 마취한 후, 복부를 절개하고 간문맥을 통해 혈액(1ml)를 채혈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의 측정은 시그마사(Sigma Chem. Co., U.S.A.)의 에탄올 분석용 키트를 사용하여 알코올의 체내 반응산물인 NADH의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체내 알코올 농도를 산출하였다. 즉, 에탄올은 간세포에 존재하는 ADH에 의해 하기 반응식에서와 같이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되며, 이때 생성된 NADH는 적외선/자외선 분광광도계의 특정 파장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3032513348-pat00001
상기에서 채취한 혈액을 원심 분리(6000rpm, 5분)하여 혈장을 얻은 후, 3.0㎖의 NAD-ADH 용액에 상기 혈장 10㎕를 가하여 조심스럽게 섞은 다음 30℃에서 10 분 간 반응시킨 후 색의 변화를 적외선/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알코올 농도는 표준 용액을 이용하여 각 군별 혈중 알코올 농도를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투여량(g/kg) 혈중에탄올농도(mg/dL)
대조군 104.60 ± 4.15
갈화추출물 0.5 87.90 ± 4.74
1.0 70.10 ± 5.47
초두구추출물 0.5 87.30 ± 5.50
1.0 69.44 ± 4.72
갈화+초두구 추출물 0.5+0.5 49.39 ± 7.78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갈화 추출물 투여군 및 초두구 추출물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혈중 에탄올 농도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투여량이 많은 경우 더 낮은 알코올 혈중 농도를 보였다.
더욱이, 초두구 및 갈화 추출물을 공투여한 경우 혈중 에탄올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각 천연물의 유효성분이 상가 및 상승작용을 일으킨 결과이다.
<시험예 2> 비글에 있어 본 조성물의 혈중 에탄올농도 감소효과
실험동물은 체중 10±0.5kg의 비글(Beagle)을 삼육동물센타(경기도 오산)에서 공급받아 항온, 항습과 빛을 유지한 동물실에서 7일간 미리 적응시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시험시작 24시간 전에 식이를 중지하고, 대조군은 99% 에탄올 1.5 g/kg에 해당하는 양을 30%로 희석한 후 경구투여(50ml) 하였으며, 시험군은 알코올 투여 1시간 전에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 500mg/kg을 투여 후, 대조군과 마찬 가지로 알코올을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 1시간 후에 시간별로 비글의 앞다리 정맥으로부터 혈액(1ml)를 채혈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의 측정은 가스크로마토그라피-헤드 스페이스법(gas chromatography-head space method)를 사용하였다. 즉 혈액 200㎕에 염화나트륨 포화용액 200㎕ 및 내부 표준물질로써 부탄올(t-butanol) 200㎕를 10㎖ 바이알에 넣고 밀봉한 후 60℃로 가온하여 기체상 및 액상이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기체상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에 주입하여 알코올 농도를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에탄올 에탄올+실시예3
곡선하면적(AUC) 45.23 ±7.32 23.18 ± 6.73
혈중최고농도(Cmax;mg/ml) 0.162 ± 0.02 0.127 ± 0.02
최고농도도달시간(Tmax;분) 30 ± 7.50 20 ± 4.33
상기 표 2 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3마리 모두 에탄올 단독 투여 시에 비해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 후 에탄올 투여 시, 혈중 에탄올 농도가 현저히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어 곡선하면적(AUC)이 약 1/2로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 후 에탄올의 혈중 최고 농도가 27.5% 정도 감소하였으며, 최고 혈중농도에 도달하는 시간도 단축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간장 대사를 받기 전에 상당량의 알코올을 해독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우수한 알코올 해독제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 강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위장관에서의 알코올 흡수가 억제되고, 이차적으로 간에서의 알코올 대사가 촉진된 것의 이중효과로 인해 상승적으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 해독 및 간장보호 효과를 갖는 건강식품,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이며,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정제, 캡슐제, 연질 캡슐제, 환제, 과립제, 액제로 제조하여 복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초두구를 함유하는 알코올해독용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갈근, 향부자, 목향, 사인, 진피, 산사, 후박, 신국, 양강, 창출, 적복령, 작약, 당귀, 천궁, 황기 및 감초를 함유하는 조성물.
  4. 제1 항 내지 제3 항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알코올해독용 경구용 제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정제, 캡슐제, 연질 캡슐제, 환제, 과립제 또는 액제인 경구용 제제.
KR1020030060672A 2003-09-01 2003-09-01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4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672A KR100543556B1 (ko) 2003-09-01 2003-09-01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672A KR100543556B1 (ko) 2003-09-01 2003-09-01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14A KR20050024514A (ko) 2005-03-10
KR100543556B1 true KR100543556B1 (ko) 2006-01-20

Family

ID=3723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672A KR100543556B1 (ko) 2003-09-01 2003-09-01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74B1 (ko) * 2008-02-04 2010-07-06 강홍구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KR101346244B1 (ko) * 2011-06-30 2014-01-02 이철희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N104547828A (zh) * 2015-01-11 2015-04-29 施伟杰 一种用于治疗消化性溃疡的中药
CN104524376A (zh) * 2015-01-19 2015-04-22 王春东 一种治疗慢性肾积脓的清淤化脓汤及制备方法
CN105079763B (zh) * 2015-09-16 2019-05-28 河南中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用于治疗黄疸的中药膏
CN105233168A (zh) * 2015-11-09 2016-01-13 谢桂凤 用于治疗小儿黄疸的药物
CN107898898B (zh) * 2017-12-22 2021-03-26 河南省食品药品检验所 艾附软胶囊及其生产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514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CN104799146A (zh) 一种改善亚健康的功能性营养食品组合及其制备方法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N105942498A (zh) 具有治疗糖尿病作用的功能性营养食品组合及其制备方法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CN108524814A (zh) 一种用于降低血糖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947278B1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Pal et al. Fenugreek (Trigonella foenum) seeds in health and nutrition
KR100543556B1 (ko)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06266112A (zh) 一种健脾止泻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387345A (zh) 一种复合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798854B (zh) 余甘桑叶片及其制备方法
CN105876783A (zh) 一种铁皮石斛花组合物及其制法和保肝解酒制品
KR20040101598A (ko)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KR20110121246A (ko) 비만개선 다이어트용 웰빙 한방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514132B1 (ko) 체중 감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소용 키트
JP2007131605A (ja) 不定愁訴改善組成物及び食品
KR20090081062A (ko) 당뇨병 예방 치료 및 내장 기능 치료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KR101992174B1 (ko) 복합 한방약초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정제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76306B1 (ko) 혈액순환 촉진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020012434A (ko) 간장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170024689A (ko) 한방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조성물
CN105597083B (zh) 一种对肝肾有辅助保护作用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