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598A -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598A
KR20040101598A KR1020030032751A KR20030032751A KR20040101598A KR 20040101598 A KR20040101598 A KR 20040101598A KR 1020030032751 A KR1020030032751 A KR 1020030032751A KR 20030032751 A KR20030032751 A KR 20030032751A KR 20040101598 A KR20040101598 A KR 2004010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besity
leprdb
extract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태환
박명규
노태철
김은주
김지연
신지연
박종국
신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Priority to KR102003003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1598A/ko
Publication of KR2004010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3Gleditsia (loc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렙틴 수용체 (leptin receptor) 이상으로 비만을 일으키는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서 비만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적으로 동양에서 사용해온 생약자원으로부터 비만 모델동물(Leprdb/Leprdb마우스)에서 비만예방 및 치료효과 활성분획 조성물과 이를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하는 방법 그리고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 조성물 {Active fraction having weight loss effects on Leprdb/Leprdb mice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s}
본 발명은 생약자원으로부터 분리된 비만 실험동물에 대한 체중 증가 저해 활성분획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적으로 동양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해온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의 추출 분획물로부터 비만 실험 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의 체중증가를 저해 하는 활성분획 조성물과 이를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하는 방법 그리고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비만 동물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비만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비만(OBESITY)이라는 어학적 의미는 비대함을 뜻하는데 "obes"는 라틴어의 "obesus"에서 유래된 단어로 '철저하게 먹어치우다, 끝까지 먹어치우다' 라는 뜻을 지닌 (obedere)의 과거분사로 '아주 잘 먹었다' 라는 의미이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비만은 체지방이 개인의 체중에 대하여 최적의 상태를 초과하는 중량을 뜻하고 일반적으로 체지방이 남자의 경우 25% 이상, 여자의 경우 30%이상인 경우를 말하나 다소의 차이가 있다.
비만은 섭취한 열량 중에서 소모되고 남은 부분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에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 비만의 원인은 유전적, 심리적 요인도 있지만 환경적 요인 특히 잘못된 식생활과 생활습관과 운동부족에 의해 생기기 쉽습니다. 즉, 에너지를 필요량보다 더 많이 섭취하거나 영양의 불균형으로 인한 지방대사 장애로 지방의 이용과 연소가 효율적으로 되지 않아서 비만이 되기도 합니다. 비만은 이제 선진국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국민건강관리에 있어서 커다란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불편하고 보기 싫은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성인병을 유발시키고 사망률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93년 국민 영양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의 100명중 약 20명이 비만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소아 및 청소년들의 비만도는 위험수위를 넘었다고 합니다. 비만은 과식이나 운동부족이 원인이 되어 정상아보다 큰 단순성비만, 유전적 질환, 내분비질환, 신경증세의 원인으로 정상아 보다 골 연령이 늦게 나타나는 증후성비만, 지방세포수가 증가하여 소아비만으로 60-80%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는 증식형 비만, 지방세포의 크기가 증대되는 성인 비만으로 중년이후 뚱뚱해지는 비대형 비만이 있다.
근래에는 비만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비만으로 인해 동반되는 여러 가지 질병, 즉 당뇨병 발생률이 일반인에 비해 5-6배가 많고, 비만인이 정상인보다 10-15배의 원인 통계가 있는 고혈압, 살이 찌개 되면 세포로 보내주는 인슐린수용체가 근육이나 지방 조직에서 감소되기 때문에 인슐린 감수성이 떨어지고 , 인슐린에 의한 지방 합성은 줄어든 대신 취장에서의 인슐린 분비가 더욱 왕성해져 간에서의 중성 지방을 만들어간세포에 쌓이게 되는 지방간, 간에서의 지방합성으로 담즙산에 녹는 콜레스테롤의 한계로 녹지 않고 남은 콜레스테롤이 담낭속에 침착하여 담석증이 되고 , 복부에 축적된 지방분이 담낭이나 담도를 압박하여 수축기능을 방해하여 만성적인 기능 장애도 오는 콜레스테롤 담석, 비만이 심각해지면 목 주위에 지방이 붙기 때문에 누우면 기도를 압박하여 숨쉬기가 답답해지고 코를 많이 곤다, 또한 이로 인하여 누어서 잠을 자기도 어렵고 수면에 장애를 일으켜 만성적인 수면부족의 증후를 나타내는 피크워크 증후근(수면중 무호흡증)등 그 밖의 동맥경화, 고지혈증, 성장호르몬 분비 이상, 뼈관절 장애, 난기능 장애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이제는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 (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줌으로써 최근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를리스타트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작으며 보다 나은 비만 치료 및 예방법을 찾기 위하여 비만 모델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비만 치료 및 예방에 활성이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게 되었다. 즉, 비만의 치료 및 예방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동물에 유해하지 않는 새로운 약물을 검색하고 동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분의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기존 약제의 실험적 변형 또는 새로운 물질의 합성과 기능검색은 매우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하다. 이에 비하여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 약제들을 이용할 경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개발될 약물에 의한 독성 염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을 뿐 만 아니라 확인된 약효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활성 성분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생약자원으로부터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를 사용하여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를 탐색한 결과 우절,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와 천문동이 현저하게 비만의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꽃(Nelumba nucifera)은 연못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재배한다. 지하경의 연근은 식용으로, 전초의 각 부위는 약으로 사용되어 이용 가치가 높은 경제 식물이다. 연꽃은 인도 원산의 식물로서, 인도에서도 옛날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왔다. 산스 크리트에서는 Kamala, 힌두어로서는 Kanwal이라고 하며, 꽃을 하리의 수렴약, 콜레라, 열병, 간장병 등에 강심약으로 사용하였다. 종자는 진토, 리뇨 및 약으로서 어린이 들 한테 사용하고, 또한 피부병 및 라병에 해독약으로 외용한다. 연수는 수렴약으로 사용하며, 또한 치질의 출혈, 월경과다등에 지혈약으로 사용해 왔다. 뿌리는 분말로 하여 완화약으로 적리 및 소화불량에 사용한다.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상품은 [석연자], [연육(연자)], [연방], [연수]등이 있다. 영양물 저장 조직으로서 잘 발달한 지하경을 연근이라고 부르며, 음식물로서 주로 사용한다. 연근에는 아스파라긴 약 2%을 비롯하여 알기닌, 티로신, 트리코네린 등의 아미노산, 류지체인 레시틴, 그밖에 라피노즈, 스타키오즈 등의 당, 효소, 비타민 등을 함유 하고 있다. 중국의 명의별록에 [열갈, 류혈을 제거하고, 피부를 생기게한다. 오래복용 하면 사람의 마음을 기쁘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또한 식료본초에는 [날 것을 먹으면, 곽란후의 허갈을 치료한다. 삶아서 먹으면 오장을 도우고 하초를 튼튼히 한다. 꿀과 더불어 먹으면 배를 튼튼히 하고 충이 생기지않는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신선가에서 많이 복용하는 자양강장약으로 되어 있다.
더덕은 식용과 약용을 겸한 다년생 덩굴성 식물로서 덩굴은 시계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며 일명 사삼, 양유, 산해, 백삼이라고 한다. 더덕의 주요성분으로는 Saponin, Inulin, Phytoderin, Leoithin, Pentosan, bergapten등의 약효성분이 들어 있으며 약용으로는 강장, 해열, 거담, 해독, 인후염, 인파선염, 종기치료 등에 쓰이고 식용으로는 구이, 잼, 절임, 부침, 가공식품으로는 넥타, 술, 차, 드링크 등으로 사용되고 더덕순 나물은 향기와 맛이 독특하여 고급 영양요리로 사용되며 약용외 건강식품으로 그 소비가 증가추세에 있다.
금전초를 우리말로는 긴병꽃풀이라고 부르며, 활혈단, 연전초 등의 다른 이름이 있으며, <본초강목습유>에 제일 먼저 기록돼 있다. 이것은 널리 쓰이고 있는 이수통림약이다. 본 품의 전초는 대부분 덩어리 형태로 오그라져 있다.줄기는 네모진 기둥인데 가늘고 연약하여 뒤틀어져 있다. 길이는 10~20cm가량이며 황록색, 다갈색 또는 자홍색이다. 줄기의 마디에는 오그라진 뿌리수염 또는 뿌리의 자국이 많이 남아 있다. 성질은 취약하여 잘 부러진다. 횡단면을 보면 수부 가운데는 비어 있다. 잎은 마주 나 있고 잎의 자루는 섬유가 가늘다. 꽃을 펴보면 화관은 입술형이며 엷은 남색을 띄고 있다. 냄새는 약한데 손으로 비비면 냄새가 그윽해진다. 맛은 약간쓰다. 청열해독하며 이뇨 배석시키고 어혈을 풀어부기를 가라앉힌다. 요로결석, 담결석, 습열황달, 타박상,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과도 크다. 습진, 종기 같은 피부병에도 날 것을 짓찧어 붙이면 잘 낫는다.
조각자가 사용된 예로는 화장품 미백제의 첨가물로서 사용되었고, 조각자나무를 중탕시켜 추출한 생약성분이 암세포 Sarcoma 180 cell에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혈등에서 추출된 성분이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과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등의 식물 에스트로겐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골다공증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으로도 응용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문동은 식물병 방제용 한약추출물 비료에 성분으로 사용되었고, 귀전우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과 구강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시키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었고, 만형자 또한 충치 및 치주질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에 의한 글루칸의 형성에 관여하는 G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을 위한 구강용 조성물로서 사용되었다.
만형자는 모발 생장 촉진의 작용을 하는 조성물에 포함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의보감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어온 약제들을 대상으로 렙틴 수용체 (leptin receptor) 이상으로 비만을 일으키는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서 비만예방 및 치료 효과 등을 관찰한 결과, 특이적인 저해활성을 보이는 활성분획 조성물인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으로부터 획득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만예방 및 치료 등에 뚜렷한 효과가 있는 약물인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추출물을 활성이 가장 우수한 조성으로 추출하는 방법과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약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연근Nelumbo nucifera)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 경구투여한 후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더덕 (Codonopsis lanceolata)으로부터 추출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 경구투여한 후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금전초 (Glechoma longituba)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 경구투여한 후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산딸나무 (Cornus kousa Buerg)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경구 10일, 복강5일) 투여하여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조각자 (Gleditsae spina)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경구 10일, 복강15일) 투여하여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만형자 (Viticis fructus)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경구 10일, 복강5일) 투여하여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자단향 (Santaliniu lignum ruberum)으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경구 10일, 복강5일) 투여하여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계혈등 (Mucunae caulis)으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경구 10일, 복강5일) 투여하여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는 귀전우 (Euonymilignum suberalatum)로부터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경구 10일, 복강5일) 투여하여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천문동 (Asparagus tuber)으로부터 추출 분리한 활성분획을 비만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 15일간(경구 10일, 복강5일) 투여하여 체중증가 저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 등의 생약제로부터 얻은 렙틴 수용체 (leptin receptor) 이상으로 비만을 일으키는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서 비만예방 및 치료 효과 활성분획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한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을 실온에서 무게대비 5~50배의 유기용매 및 물을 넣어환류한 상태에서 최소한 24시간 이상 추출한다. 유기용매라 함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핵산 등을 말한다. 추출한 용액을 40도이하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한다. 농축된 추출물은 유기용매 및 물을 사용하여 완전히 녹인다. 완전 용해된 추출액의 일부를 건조하여 전체의 무게를 환산한 다음 무게대비 1.5 ∼5배의 실리카겔을 넣어 40도이하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에 추출물을 흡착한다. 칼럼에 전개용매로 활성화된 실리카(흡착된 실리카겔 량의 1.5배 이상)를 충진한 후 전개용매로 충분히 흘려준다. 충진된 실리카겔 칼럼위에 추출물이 흡착된 실리카겔을 충진하고, 전개용매로 활성물질을 용출해낸다. 용출된 활성물질은 40도이하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한 후 잔류 유기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물로 현탁한 다음 동결건조를 한다. 건조방법은 일반적인 열풍, 진공건조, 동결건조, 분무건조 중 하나를 택하여 건조한다. 목적하는 제제 또는 용도에 따라, 좀 더 효과적이고 부가적인 분리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그 예로 상기 추출액의 칼럼 작업을 실리카겔이 아닌 다른 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충진제라 함은 활성탄, 엠브라이트 XAD-4 등을 말한다. 감압 농축한 상기 추출액을 정제수로 현탁하여 pH 10으로 조정한 후 pH 3.5로 낮추어 침전물을 원심분리를 통하여 회수 하여 정제수로 현탁한 다음 동결 건조한다. 또한 pH 10으로 조정된 상태에서 pH10으로 평형을 이룬 HP-20칼럼을 행하여 충진제에 흡착한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회수한 다음,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한다.
또한, 실온에서 무게 대비 5~50배의 알코올성용매 및 물을 넣어 환류한 상태에서 최소한 24시간 이상 추출한다. 알코올성용매라 함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말한다. 추출한 용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일정 농도의 알코올농도로 만든다. 일정 농도란 시료에 따라 침전이 없이 녹으면서, 활성부분이 HP-20칼럼에 용출되는 농도로, 현재 30%에탄올, 50%에탄올, 70%에탄올로 한다. HP-20레진을(추출시료의 무게 대비 5∼10배 용량) 알코올성용매로 충분히 안정화 한 다음 칼럼에 충진한다. 충진 된 칼럼에 알콜성용매을 흘려주어 레진을 씻어 준 다음 전개용매(칼럼부피 5배 이상)를 충분히 흘려주어 안정화한다. 희석된 추출물을 칼럼에 주입하여 활성분획을 받는다. 용출된 활성물질은 40도이하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한 후 잔류 유기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물로 현탁한 다음 동결건조를 한다.
또한, 건조한 상기 생약제에 무게대비 5∼50배의 3% 마그네슘옥사이드가 함유된 정제수로 중탕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 및 여과를 통하여 침전물을 제거한다. 침전물이 제거된 추출물을 HP-20컬럼에 로딩 하여 활성부분을 흡착한 후 알코올성 용매를 통하여 활성부분을 용출해낸다. 용출된 부분은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한다. 상세한 정제를 위하여 상기 활성물질을 크기배제크로마토그래피(LH-20), 역상컬럼 충진제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도 있다.
즉,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으로부터 분획하여 얻은 활성분획 조성물이 렙틴 수용체 이상으로 비만을 일으키는 모델동물인Leprdb/Leprdb마우스에서 비만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하여,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 효과 등을 지닌 활성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조성물 이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정제, 산제, 과립, 캅셀제, 현탁액, 유화액 또는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제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분획물로 표시되는 유효성분의 유효투입량은 환자의 나이, 신체적 조건, 몸무게 등에 의해 다양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 내지 500 ㎎/㎏ (몸무게)/1일 범위 내에서 투여된다. 그리고, 1일 유효투입량 범위 내에서 하루에 한번 또는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한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에 대한 독성 실험결과, 건강한 랫트 및 마우스에 유효성분을 최대 500mg/체중 Kg까지 투여하고 일주일 이상 관찰한 결과, 아무런 이상증세를 발견할 수 없어 독성이 없음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아니다.
실시예 1 : 연근( Nelumbo nucifera ),더덕 ( Codonopsis lanceolata ), 금전초 (Glechoma longituba), 산딸나무 ( Cornus kousa Buerg ), 조각자 ( Gleditsae spina ), 만형자 ( Viticis fructus ), 자단향 ( Santaliniu lignum ruberum ), 계혈등 ( Mucunae caulis ), 귀전우 ( Euonymilignum suberalatum ), 천문동 (Asparagus tuber) 으로부터 활성 분획물의 제조
건조하여 분쇄한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을 함량대비 5∼50 배량의 메탄올을 넣어 활성물질이 용출할 수 있도록 24시간이상 환류 추출한 후 메탄올 추출액을 40도이하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상기 추출액을 유기용매로 완전히 녹인 후 일부를 사용하여 전체의 무게를 환산한다. 용해된 시료 액에 실리카 레진(시료 무게대비 1.5∼10배)을 넣어 감압 농축한다. 흡착에 사용된 량 대비 1.5배 이상의 실리카겔을 메탄올로 충분히 적신다음 칼럼에 충진한다. 충진 후 충분히 메탄올을 흘려준다. 충진된 칼럼위에 추출물이 흡착된 실리카겔을 기포가 들어가지 않게 충진한다. 그 후 칼럼부피의 5배 이상의 메탄올을 흘려주어 활성물질이 용출되게 한다. 활성물질이 실리카컬럼에 대한 상용성을 보기위해 1차적으로 전개용매를 메탄올을 사용하였지만, 다음단계에서는 극성이 보다 낮은 유기용매로 활성물질이 용출되지 않는 조건에서 불순물을 제거 후 활성물질이 나오는 조건의 용매로 용출할 수 있다.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라 함은 핵산, 클로로포름, 메칠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벤젠, 에탄올, 아세토나이트릴, 이소프로필알콜등이 있다.
상기에서 얻어진 활성분획을 40도이하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 및 농축과정에서 사용한 용매 중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분획 함유량에 소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뒤 동결건조시켜 분말상태의 활성분획을 얻었다.
실시예 2 : 연근( Nelumbo nucifera) , 더덕 ( Codonopsis lanceolata ), 금전초 (Glechomalongituba), 산딸나무 ( Cornus kousa Buerg ), 조각자 ( Gleditsae spina ), 만형자 ( Viticis fructus ), 자단향 ( Santaliniu lignum ruberum ), 계혈등 ( Mucunae caulis ), 귀전우 ( Euonymilignum suberalatum ), 천문동 (Asparagus tuber) 로부터 활성 분획물의 제조
건조하여 분쇄한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을 함량대비 5~50배량의 70%에탄올을 사용하여 활성물질이 용출할 수 있도록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상기 70%에탄올 추출액을 물로 치환하면서 감압 농축하였다. 정제수로 현탁된 추출액에 1M NaOH로 pH 10으로 조정하여 현탁액을 완전히 녹인다. HP-20레진을(추출시료의 무게 대비 5∼10배 용량) 에탄올로 충분히 안정화 한 다음 칼럼에 충진한다. 충진 된 칼럼에 에탄올을 흘려주어 레진을 씻어 준 다음 pH10 정제수(칼럼부피 5배 이상)를 충분히 흘려주어 칼럼 내의 에탄올을 pH10 정제수로 치환한다. 상기 추출액을 칼럼에 주입한 후 pH 10 정제수를 충분히 흘려주어 레진에 흡착되지 않는 비활성부분을 제거한다. 그 후 100%에탄올을 흘려주어 활성물질을 용출한다. 상기에서 얻어진 활성분획을 감압농축한 후 추출 및 농축과정에서 사용한 용매 중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분획 함유량에 소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뒤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태의 활성분획을 얻었다.
실시예 3 : 연근( Nelumbo nucifera) ,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 금전초 (Glechoma longituba), 조각자 ( Gleditsae spina ), 만형자 ( Viticis fructus ), 자단향 ( Santaliniu lignum ruberum ), 계혈등 ( Mucunae caulis ), 귀전우 ( Euonymilignum suberalatum ), 천문동 (Asparagus tuber) 로부터 활성 분획물의 제조
건조하여 분쇄한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을 함량대비 5∼50 배량의 70%에탄올을 사용하여 활성물질이 용출할 수 있도록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상기 70%에탄올 추출액에 정제수를 넣어 50%에탄올로 희석한다.
HP-20레진을(추출시료의 무게 대비 5∼10배 용량) 에탄올로 충분히 젖신 후 다음 칼럼에 충진한다. 충진 된 칼럼에 에탄올을 흘려주어 레진을 씻어 준 다음 50%에탄올(칼럼부피 5배 이상)을 충분히 흘려주어 칼럼 내부의 용매를 50%에탄올로 치환한다. 상기 추출액을 칼럼에 주입한 후 50%에탄올을 충분히 흘려주어 레진에 흡착되지 않는 활성부분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활성분획을 감압농축한 후 추출 및 농축과정에서 사용한 용매 중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분획 함유량에 소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뒤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태의 활성분획을 얻었다.
실시예 4 : 비만 모델동물인 Leprdb/Leprdb 마우스에서 비만예방 및 치료효과 검정
Leprdb/Leprdb마우스는 렙틴 수용체의 결핍으로 식욕이 조절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게 된다. 그 결과, 지방이 체내에 과도하게 축적되며 이로 인하여 출생 후 약 3개월 정도가 되면 일반적인 마우스 체중의 2배에 달하는 50g 내외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비만예방 및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이 50 g 정도 되는 성숙한Leprdb/Leprdb마우스를 각 군당 10 마리씩을 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개의 실험군당 10 마리씩으로 하여 연근, 더덕, 금전초,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으로부터 추출된 활성분획을 1% DMSO (dimethyl sulfoxide)에 희석하여 각각 50 ㎎/㎏ 농도로 1일 1회씩 15일 동안 일정한 시간에 경구투여 및 경구10일 후 복강5일 투여하였다. 대조군 10마리의 경우에는 동일량의 1%DMSO만을 투여하였다. 투여시작 15일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중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경구 투여 시험의 경우 대조군의 체중은 실험을 시작할 때 보다 5.6% 증가 ( 50.2±1.3→ 53±2.4)되었으나, 연근 5.0% (49.4 ±0.4 → 46.9 ±0.6), 더덕 9.9% (49.1 ±0.5 → 44.3 ±0.1), 금전초 11.9% (53.4 ±1.2 → 47.1 ±3.1), 산딸나무 3.2% (60.15 ±0.4 → 58.2 ±1.3), 조각자 9.2% (54.4±1.0 → 49.6 ±3.4), 만형자 2.9% (57.6±0.1 →56.0±0.3), 자단향 4.0% (52.9±0.9 → 50.8±1.2), 계혈등 9.2 % (52.5±0.1 → 47.8±0.5) 및 귀전우 8.5%(53.8±0.9 →49.3±0.8), 천문동2.5%(51.7±0.7 → 50.4±1.7) 정도로 실험군 모두가 유의하게 (p < 0.01) 체중이 낮아지는 수준을 보여 비만이 예방 및 치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1∼10 ].
실시예 5 :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0g
락토스 70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5g
총량 100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한 후 직타법 (direct tableting method) 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각 정제의 총량은 500mg 이고, 그 중 유효성분의 함량은 50mg 이다.
실시예 6 : 분말제의 제조
유효성분 10g
옥수수 전분50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0g
총량 100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6을 경질 캡슐에 분말 500mg을 넣어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근, 더덕, 금전초, 산딸나무, 조각자, 만형자, 자단향, 계혈등, 귀전우, 천문동으로부터 얻은 활성분획 조성물은 비만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약제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연근(Nelumbo nucifera),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금전초(Glechoma longituba),조각자 (Gleditsae spina), 만형자 (Viticis fructus), 자단향 (Santaliniu lignum ruberum), 계혈등 (Mucunae caulis), 귀전우 (Euonymilignum suberalatum), 천문동(Asparagus tuber)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분획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치료 또는 예방적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2종 이상의 활성 분획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근(Nelumbo nucifera),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금전초(Glechoma longituba),조각자 (Gleditsae spina), 만형자 (Viticis fructus), 자단향 (Santaliniu lignum ruberum), 계혈등 (Mucunae caulis), 귀전우 (Euonymilignum suberalatum), 천문동(Asparagus tuber)의 활성 분획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 저해 활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함량이 성인 체중 1Kg 당 1~500 mg/일 범위로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제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정제, 산제, 경질 또는 연질캅셀제, 현탁제, 주사용 제제, 유화액,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제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0.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용음료 또는 식품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1. 연근(Nelumbo nucifera),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금전초(Glechoma longituba),조각자 (Gleditsae spina), 만형자 (Viticis fructus), 자단향 (Santaliniu lignum ruberum), 계혈등 (Mucunae caulis), 귀전우 (Euonymilignum suberalatum), 천문동(Asparagus tub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으로부터 a)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하여 조 추출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조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c) 선택적으로,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하여 조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25~100도의 온도범위에서 환류추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류, 또는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탄올 수용액, 또는 메탄올 수용액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은 건조약재 또는 생약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인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 11항 에 있어서, 조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실리카겔 흡착컬럼 및/또는 HP-20컬럼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1항에 의해 제조된 연근(Nelumbo nucifera),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금전초(Glechoma longituba),조각자 (Gleditsae spina), 만형자 (Viticis fructus), 자단향 (Santaliniu lignum ruberum), 계혈등 (Mucunae caulis), 귀전우 (Euonymilignum suberalatum), 천문동(Asparagus tuber)추출물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19. 제 18항 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실리카겔 흡착컬럼 및/또는 HP-20컬럼에 흡착된 것 혹은 흡착되지 않는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 1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활성 분획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분획물이 연근(Nelumbo nucifera),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금전초(Glechoma longituba),조각자 (Gleditsae spina), 만형자 (Viticis fructus), 자단향 (Santaliniu lignum ruberum), 계혈등 (Mucunaecaulis), 귀전우 (Euonymilignum suberalatum), 천문동(Asparagus tuber)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로부터 유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분획물
KR1020030032751A 2003-05-23 2003-05-23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KR20040101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51A KR20040101598A (ko) 2003-05-23 2003-05-23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51A KR20040101598A (ko) 2003-05-23 2003-05-23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598A true KR20040101598A (ko) 2004-12-03

Family

ID=3737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751A KR20040101598A (ko) 2003-05-23 2003-05-23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159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25B1 (ko) * 2005-07-27 2007-03-09 학교법인 동의학원 자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56550B1 (ko) * 2007-02-26 2007-09-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911623B1 (ko) * 2008-05-19 2009-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분획물
KR101157508B1 (ko) * 2010-02-22 2012-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0749B1 (ko) * 2010-11-18 2013-07-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30742B1 (ko) * 2011-04-12 2013-11-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더덕 및 찐더덕 추출물을 이용한 지방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101877401B1 (ko) * 2016-07-28 2018-07-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1002546A1 (ko) * 2019-07-02 2021-01-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7445A (ko) * 2020-05-29 2021-12-07 임대업 환 형상의 다이어트용 보조식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525B1 (ko) * 2005-07-27 2007-03-09 학교법인 동의학원 자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56550B1 (ko) * 2007-02-26 2007-09-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911623B1 (ko) * 2008-05-19 2009-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분획물
KR101157508B1 (ko) * 2010-02-22 2012-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0749B1 (ko) * 2010-11-18 2013-07-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30742B1 (ko) * 2011-04-12 2013-11-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더덕 및 찐더덕 추출물을 이용한 지방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101877401B1 (ko) * 2016-07-28 2018-07-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1002546A1 (ko) * 2019-07-02 2021-01-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7445A (ko) * 2020-05-29 2021-12-07 임대업 환 형상의 다이어트용 보조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4156B2 (ja) 深部体温上昇剤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51304B1 (ko) 원지와 석창포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KR20040101598A (ko)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EP4205558A1 (en)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siberian chrysanthemum extract, for pain relief or antioxidation
KR10080035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JP4516958B2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0543556B1 (ko)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75090A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20200061285A (ko) 가랑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0137897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KR20160086457A (ko) 가미방기황기탕의 주정추출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40016579A (ko) 비만 및 당뇨병 예방 및 치료효과를 보이는 자생식물 추출물
CN114533835B (zh) 一种具有芳香、祛风利湿功效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1678A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88007B1 (ko) 석벽려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16578A (ko)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를 보이는 자생식물 추출물
JP2000236836A (ja) 紅豆杉を主原料とした食品及びその製造法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N116942742B (zh) 一种降尿酸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074475A (ko) 한방생약 관절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