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550B1 -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550B1
KR100756550B1 KR1020070019002A KR20070019002A KR100756550B1 KR 100756550 B1 KR100756550 B1 KR 100756550B1 KR 1020070019002 A KR1020070019002 A KR 1020070019002A KR 20070019002 A KR20070019002 A KR 20070019002A KR 100756550 B1 KR100756550 B1 KR 10075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yperlipidemia
liver
fatty liv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선
김하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지방식이의 섭취로 인해 증가된 간 조직 및 혈장의 지질농도를 감소시키고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을 정상화하여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자단향추출물, 고지혈증, 지방간

Description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Pterocarpus santalinus extrac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단향 열수추출물을 섭취한 동물모델의 간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A : 고지방대조식이군(HFD)
B :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
bar: 200um
본 발명은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단향(Pterocarpus santalinus)은 동남아시아나 인도에서는 염색제로 사용 되어 왔으며(Palevitch & Yaniv, Oryx Press, Arizona, 1986), 한국에서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예전부터 염증치료, 정신이상, 궤양 등의 민간치료에 사용해 왔었다. 그러나 자단향의 여러 가지 효능에 대한 정확한 근거 자료는 밝혀진 바가 없다. 최근, 소비자의 기능성식품에 대한 욕구가 높은 기호도와 함께 건강 지향적, 기능 지향적으로 패턴이 변화됨에 따라 보다 효능 여부를 검증하고, 고지혈증 저하관련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식생활 형태의 변화에 기인하여, 고지혈증 및 지방간 환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지방의 과다 섭취는 혈중 LDL 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키고 체내 지방의 축적을 초래하며, 결국 동맥경화 등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한다.
따라서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를 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특히 국내외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다양한 기능성 식품들이 생산, 판매되고 있으나,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2007년 2월까지 혈중 지질저하 효능이 인정된 원료라 할지라도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거나, 인체시험을 통한 추가 확인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자단향추출물이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단향(Pterocarpus santalinus)의 추출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코올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한 수추출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정선된 자단향을 추출기에 넣고, 자단향의 중량에 대해 4 ~ 8배의 열수에 넣어 80 ~ 100℃에서 8 ~ 3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면서 자단향 내의 성분들이 추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뒤 여과기기를 이용하여 10미크론으로 여과하여 자단향 본체를 제거하고 고형분 함량이 10% 이상이 되도록 감압 농축하였다. 자단향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자단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시의 자단향과 추출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자단향 1g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4 ~ 8배(중량기준)로 사용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100℃일 수 있다. 추출시간은 추출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3 ~ 8시간 바람직하게는, 4 ~ 6시간 일 수 있다. 또한 추출시 교반기로 교반하는 경우 더욱 추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자단향 추출물은 분쇄한 자단향에 5 ~ 7(중량비율)의 열수를 첨가하고 85 ~ 95℃ 에서 4 ~ 5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한 다음에 여과액을 감암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8 ~ 12% 이 되도록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거나 분말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단향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지혈증”이란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에 지방량이 많아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보다 구 체적으로 고지혈증이란 혈액내에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등의 지질 성분이 증가된 상태로 발생 빈도가 높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지방간”이란 간의 지방대사 장애로 지방이 간세포에 과도한 양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이는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동맥경화, 지방간, 췌장염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자단향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 또는 개선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의 형태적, 구조적, 생리학적 기능을 유지하도록 고지혈증 및 지방간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고, 치료할 수 있으며, 더불어 그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장 및 간 조직 내에 존재하는 지질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지혈증을 예방 및 치료 또는 개선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을 정상화하여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하여 지방간 발생의 예방, 진행 억제 및 질병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지방식이를 지속적으로 섭취시킨 고지혈증 유도 동물모델을 제조하고(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자단향열수추출물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실험예 2 참조) 및 지방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실험예 3 참조). 그 결과 자단향열수추출물이 간 조직의 지질 농도를 낮추고 혈장의 지질 농도를 낮추어 고지혈증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표 3, 표 4 참조),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을 정상화하여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지방간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또한 확인하였다.(표 5, 도 1)
따라서 본 발명의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자단향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단향 추출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는 0.1 내지 5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 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경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 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단향추출물은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자단향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단향추출물과 간 질환 또는 고지혈증의 개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자단향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단향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단향열수추출물의 제조
자단향은 품질이 양호하고 변질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자단향 5kg의 표면을 세척하고, 추출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였다. 정선된 자단향을 추출기에 넣고, 자단향의 중량에 대해 6배의 열수에 넣어 90℃에서 5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면서 자단향 내의 성분들이 추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뒤 여과기기를 이용하여 10미크론으로 여과하여 자단향 본체를 제거하고 여과된 자단향추출물은 감압 농축하여 자단향농축액 500g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고형분 함량이 90 ~ 100%의 70 ~ 80g 자단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동물모델의 제조
<1-1> 실험동물의 설계 및 실험식이 조성
수컷 흰쥐(5주령, 체중 110-120g, Sprague-Dawley계통)들을 고형사료로 1주일간 실험실환경에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따라 고지방식이군(n=8)과 자단향열수추출물 첨가군(n=8)으로 임의 배치하여 11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식이는 매일 오전 8∼9시 사이에 물과 함께 매일 공급하였으며 본 실험식이는 고지혈증을 유도할 수 있는 실험식이로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고지방식이(40% 지방 칼로리(fat calorie), 17g 라드(lard) + 3% 옥수수 오일/ 100g 식이)이다. 상기 고지혈증 식이는 일반적으로 섭취 칼로리의 40%를 지방으로 제조하여 동물에게 섭취시켰을 경우, 체중과 체지방률을 현격히 증가시키고, 이는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를 증가시켜 비만을 유발한다. 상기 실험식이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식이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성분(g/kg 식이) 고지방대조식이군(HFD)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
카제인 200 200
DL-메티오닌 3 3
옥수수 녹말(Corn starch) 111 101
수크로오스(Sucrose) 370 370
셀룰로오스(Cellulose) 50 50
옥수수 오일(Corn oil) 30 30
라드(lard) 170 170
미네랄 혼합물(AIN-76A)1 ) 42 42
비타민 혼합물(AIN-76A)2 ) 12 12
주석산수소콜린(choline bitartrate) 2 2
콜레스테롤(Cholesterol) 10 10
tert-Butyhydeoquinone 0.04 0.04
자단열수추출물 - 10
1) 미네랄 혼합물(g/kg of mix): CaHPO4 500; NaCl 74; K2H6O7H2O 220; K2SO4 52; MgO 24; MnCO3 3.5; Fe(C6H5O7)·6H2O 6; ZnCO3 1.6; CuCO3 0.3; KIO3 0.01; Na2SeO3· 5H2O 0.01; CrK(SO4)2 0.55; 설탕분말 118.03.
2) 비타민 혼합물(g/kg of mix): 티아민· HCl 0.6; 리보플라빈 0.6; ; 피리독신· HCl 0.7; 니코틴산 3; D-칼슘 판토테네이트 1.6; 엽산 0.2; D-비오틴 0.02; 시아노코발라민(Vitamin B12)(0.1%) 1.0; 비타민 A 팔미틴산염 (500,000 IU/g); 콜레칼시페롤(Vitamin D3)(400,000 IU/gm) 0.25; 비타민 E 아세테이트 (500 IU/g) 10; 메나디온 나트륨 중아황산염 0.08; 설탕 분말 981.15.
<1-2>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효율 및 조직 무게 조사
실험기간 동안 상기 실험예 <1-1>의 각 실험동물에 대하여 3일에 한번씩 체중증가량을 측정하고 사료섭취에 따른 갑작스런 체중변화를 막기 위해 사료통을 제거하고 2시간 후에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식이효율(FER, food efficiency ratio)은 실험식이 공급일로부터 희생일까지를 총 실험기간으로 하여 실험기간 동안의 누적체중증가량을 총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또한, 실험식이 공급 11주 후 실험동물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상태에서 동물을 부검하여 조직 중량을 측정하여 체중단위당 조직무게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실험식이로 11주간 사육한 흰쥐의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의 누적 체중증가량은 고지방대조식이군(HFD)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고(p<0.05), 식이효율(FER)도 PD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p<0.05). 체중 당 조직의 무게는, PD군이 HFD군보다 유의적으로 더 가벼웠다(p<0.05).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및 체중 단위당 조직무게(평균± SEM)
구분 체중 증가량 (g/11 주) 식이효율1 ) 조직무게(g/100g 체중)
비장
고지방대조식이군(HFD) 426.6± 17.2 0.25± 0.01 4.13± 0.17 0.17± 0.01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 366.6± 16.5* 0.21± 0.01* 3.64± 0.13* 0.15± 0.01
1) 식이효율=[실험기간 동안 증가한 체중(g/day)]/[실험기간 동안 섭취한 식품의 양(g/day)]
*t-test를 통해 고지방대조식이군(HFD)과 비교할 때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p<0.05).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자단향열수추출물을 섭취하는 경우 고지방 식이에 의해 간과 비장의 무게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 증가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자단향열수추출물의 고지혈증 개선 효과의 측정
자단향열수추출물이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동물 모델의 혈장의 지질농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version 8.01, SAS Institure Inc, Cary, NC) PC 패키지를 사용하여 통계분석하였고, 분석 수치는 평균± SEM으로 나타내었다.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Student`s-test를 실시하여 검증하였고,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이 관찰하였다.
<2-1> 혈장의 지질농도 분석
실험식이 공급 11주 후 상기<실험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흰쥐를 12시간 절식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상태에서 개복하고 복부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혈은 헤파린(heparin)을 처리한 주사기를 사용하였으며, 채취된 혈액은 4℃,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시킨 후 분석 시까지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 tube)에 나누어 -70℃에 냉동 보관한 후 이들 혈장의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농도는 상업용 kit(영동제약)를 이용하여 2회 반복 측정하였다. 유리지방산농도는 SICDIA NEFAZYME kit (Eiken Chemical,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혈중 LDL+VLDL 콜레스테롤농도는 총콜레스테롤농도에서 HDL 콜레스테롤농도를 제하여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혈장 중성지방(TG)의 농도 및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농도는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이 고지방대조식이군(HFD)에 비해 각각 39%, 25% 가 더 낮았다(p<0.05). 혈장 총콜레스테롤 및 LDL+VLDL-콜레스테롤은 PD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한편, HDL-콜레스테롤은 PD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지질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자단향열수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지방간 및 면역기능 저하를 개선시킴으로서 간과 비장의 무게 증가를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혈장의 지질농도(mg/dL)(평균± SEM)
구분 고지방대조식이군(HFD)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
중성지방 98.95 ± 8.30 45.93 ± 3.08*
총 콜레스테롤 153.6 ± 4.12 118.8 ± 10.87*
HDL-콜레스테롤 22.25 ± 1.39 29.78 ± 2.90*
LDL+VLDL-콜레스테롤 132.4 ± 4.6 88.98 ± 11.63*
유리지방산 823 ± 48.2 618 ± 36.6*
*t-test를 통해 고지방대조식이군(HFD)과 비교할 때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p<0.05).
<실험예 3>
자단향열수추출물의 지방간 개선 효과의 측정
자단향열수추출물이 지방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동물 모델의 간 조직의 지질농도와 간 손상 지표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고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3-1> 간 조직의 지질농도 분석
실험식이 공급 11주 후 실험동물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상태에서 혈액채취 후 간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간은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하여 여과지에 놓아 여분의 물을 제거하였다. Folch 등에 의해 공지된 방법(Folch et al., 1957, J Biol Chem, 226: 497-509)에 준해 간 조직의 지질성분을 추출하였다. 즉, 0.5g의 간 조직에 2ml의 증류수를 가한 후 폴리트론 균질기(polytron homogenizer; IKA-WERKE GmbH & Co., 독일)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균질화시켰다. 균질액에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2:1, v/v) 5ml을 가하고 1분간 혼합한 후 1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하층액만을 분리하였다. 남은 상층액과 펠렛에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 (2:1, v/v) 2ml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1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하층액만을 분리하여 간의 지질성분을 완전히 분리하였다. 분리된 하층액들을 클로로포름:메탄올:0.05% CaCl2 (3:48:47, v/v/v) 용액 3ml을 가하여 1분간 혼합한 후 10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후 하층액만을 취하여 질소가스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총 지질량을 측정하고 1 ml의 에탄올(95%)에 녹여 지질분석에 사용하였다.
간 조직 지질추출액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상업용 지질분석 kit(영동제약) 를 사용하고 유리지방산 농도는 시크디아 네파자임 키트 (Eiken Chemical, Tokyo, Japan)를 각각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간조직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는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이 고지방대조식이군(HFD)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지질농도(평균± SEM)
구분 중성지방(mg/g) 콜레스테롤 (mg/g)
고지방대조식이군(HFD) 17.9 ± 0.21 5.13 ± 0.12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 13.8 ± 0.24* 4.13 ± 0.21*
*t-test를 통해 고지방대조식이군(HFD)과 비교할 때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p<0.05).
<3-2>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 분석
간 기능 지표가 되는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ferase)와 GPT(Glutamate pyruvate transferase)의 활성이 증가되면 고지방식이나 알코올의 과다섭취로 인한 지방대사의 저해로 간실질세포의 장애가 발생하여 혈중으로 방출이 항진되는 것을 의미한다(김희숙 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1(3): 312-318, 19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단향 추출물이 GOT와 GPT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험예 <2-1>에서 흰쥐에서 분리된 혈장의 GOT 및 GPT 활성을 자동분석용 시약(Bayer, Co., 미국)를 이용하여 생화학 자동분석기(Express Plus, Chiron Diagnostics Co., 미국)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이 고지방대조식이군(HFD)에 비해 GOT 수치가 유의하게 18% 감소하였으며(p<0.05) GPT 수치가 유의적이지 않았지만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에게서의 자단향열수추출물 투여는 GOT, GPT 활성 감소로 인한 간 조직의 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8마리 마우스들에서 평균± SEM)
GOT1 )(Unit/L) GPT2 )(Unit/L)
고지방대조식이군(HFD) 84.94 ± 2.53 26.87 ± 1.26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 69.26 ± 5.66* 23.24 ± 1.64
1)GOT : 글루타메이트 옥살로아세테이트 트랜스퍼라제(Glutamate oxaloacetate transferase)
2)GPT : 글루타메이트 피루베이트 트랜스퍼라제(Glutamate pyruvate transferase)
*t-test를 통해 고지방대조식이군(HFD)과 비교할 때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p<0.05).
<3-3> 간 조직의 병리학적 검사
상기 실험예 <2-1>에서 혈액채취가 끝난 즉시 각 흰쥐에서 장기를 적출하여, 적출된 장기를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하여 여과지에 놓아 여분의 물을 제거시켰다. 간은 4등분하여 액체질소에서 급속 냉동시킨 후 -70℃에 보관하고 그 간조직의 일부를 0.5mm3 크기로 잘게 조각낸 후 파라핀으로 포매한 후, 5um두께로 박편하여 절편 슬라이드를 만들었다. 그리고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핵과 세포질을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Axioplan 2, Zeiss, Gottingen, 독일)과 현미경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상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단향열수추출물섭취군(PD)에서 고지방대조식이군(HFD)에 비해 간세포내 지방축적량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자단향열수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의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단향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고지방식이의 섭취로 인해 증가된, 간 조직 및 혈장의 지질농도를 경감시키고,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을 정상화하여 간 조직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자단향(Pterocarpus santalinus)의 물 추출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자단향(Pterocarpus santalinus)의 물 추출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단향의 물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자단향(Pterocarpus santalinus)의 물 추출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자단향(Pterocarpus santalinus)의 물 추출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삭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단향의 물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070019002A 2007-02-26 2007-02-26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5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02A KR100756550B1 (ko) 2007-02-26 2007-02-26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02A KR100756550B1 (ko) 2007-02-26 2007-02-26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550B1 true KR100756550B1 (ko) 2007-09-07

Family

ID=3873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002A KR100756550B1 (ko) 2007-02-26 2007-02-26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23B1 (ko) * 2008-05-19 2009-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분획물
WO2015068935A1 (ko) * 2013-11-05 2015-05-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59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59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생약자원으로부터 얻은 비만 치료 및/또는 예방 활성분획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al Product Sciences 12(1), pp.8-13, 200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23B1 (ko) * 2008-05-19 2009-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분획물
WO2015068935A1 (ko) * 2013-11-05 2015-05-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5772B2 (ja) 胆肝機能改善剤
EP1983989B1 (en) Combinations of botanical extracts for promoting cardiovascular health
KR101640258B1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JPWO2004105739A1 (ja) 高級脂肪酸誘導体含有組成物及び飲食物
KR101071894B1 (ko) 카바크롤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및 당뇨병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JP5443979B2 (ja) 新規のロイコトリエン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EP2027783B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that is rich in phenolic compounds and use of said composition
JP2018070570A (ja) クロモジ抽出物
KR100756550B1 (ko) 자단향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206543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619752B2 (ja) パンドラチン誘導体またはボエセンベルギアパンドラタ抽出物の新規な用途
WO2011145909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근육 증가 촉진, 항-피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관한 새로운 용도
KR100631073B1 (ko)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 및 알코올성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70298136A1 (en) Cholesterol regulating agent
KR101565232B1 (ko)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3607B1 (ko) 미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3060380A (ja) 黒酢由来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脳機能改善用組成物
EP1666035A1 (en)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ment for fatty liver or liver disease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JP2011132147A (ja) 濃縮赤ワイン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中性脂肪吸収阻害剤
KR20110076053A (ko) 스페니쉬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여름세이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6240A (ko)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428521B1 (ko) 울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9173556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e2受容体、ep4アゴニスト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