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496B1 -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496B1
KR100543496B1 KR1020007011722A KR20007011722A KR100543496B1 KR 100543496 B1 KR100543496 B1 KR 100543496B1 KR 1020007011722 A KR1020007011722 A KR 1020007011722A KR 20007011722 A KR20007011722 A KR 20007011722A KR 100543496 B1 KR100543496 B1 KR 10054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catalyst
surface area
weigh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2913A (ko
Inventor
보리스 브라이트샤이델
롤프 핑코스
프랑크 스타인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4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13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 C07C29/13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 C07C29/14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7C29/14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with hydrogen or hydrogen-contain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60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디프산 디알킬 에스테르 또는 필수 성분으로서 아디프산 디아킬 에스테르와 불순물로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헥산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 따라, 아디프산 디알킬 에스테르 또는 아디프산 디알킬 에스테르 함유 혼합물을 수소화 반응 전에 50 내지 250℃ 온도 및 1 내지 100 바아의 압력에서 구리 촉매 상으로 통과시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다. 이 구리 촉매는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0.5 내지 80 중량%이고, 표면적이 5 내지 1500 ㎡/g이며, 다공도가 0.05 내지 1.5 ㎤/g이며, 구리 표면적이 0.1 내지 20 ㎡/g이다.
헥산디올의 합성 방법, 아디프산 디알킬 에스테르, 구리 촉매, 수소화

Description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Hexanediol}
본 발명은 아디프산 에스테르, 또는 이를 함유하고 불순물로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1,6-헥산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출발 물질을 수소화 반응 전에 구리 촉매 상으로 통과시켜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한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7/31882호에서는 본질적으로 아디프산과 6-히드록시카프론산을 함유하며,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기체를 사용하여 시클로헥사논/시클로헥산올을 산화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로 추출하는 반응에서 부산물로서 수득되는 카르복실산 혼합물을 저분자량 알코올을 사용하여 에스테르화시켜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얻고, 제1 증류 공정으로 수득한 에스테르화 혼합물에서 과량의 알코올과 저비점 성분들을 제거하고, 제2 증류 공정으로 저부(bottom) 생산물을 본질적으로 1,4-시클로헥산디올이 없는 에스테르 분획과 적어도 대부분의 1,4-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는 분획을 분리시키고, 본질적으로 1,4-시클로헥산디올이 없는 이 에스테르 분획을 촉매적으로 수소화시키는, 1,6-헥산디올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였다.
현재 수소화 촉매의 활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 으며, 이러한 불활성화는 출발 물질 내의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즉, 잔류 함량 0.5 ppm 미만, 바람직하게 0.1 ppm 미만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다른 기질로부터 유기 할로겐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614,644호에서는 구리 함유 촉매를 사용하여 푸란 및 수소화 푸란으로부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여기서는 불순물 함량을 50 내지 2000 ppm으로부터 단지 15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ppm 미만으로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이 성취되며 놀랍게도, 디아킬 아디페이트 또는 필수 성분으로서 디아킬 아디페이트와 불순물로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헥산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디알킬 아디페이트 또는 디아킬 아디페이트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수소화 반응 전에 50 내지 250℃ 및 1 내지 100 바아(bar)에서 바람직하게는 액상으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0.5 내지 80 중량%이고, 표면적이 5 내지 1500 ㎡/g이며, 다공도가 0.05 내지 1.5 ㎤/g이며, 구리 표면적이 0.1 내지 20 ㎡/g (각 경우 촉매 1 g 당)인 구리 촉매 상으로 통과시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하면,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함량을 극히 낮은 값, 예를 들면, 0.5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ppm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수소화 촉매의 스트림 상에서의 시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기 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라 구리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할로겐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에스테르 혼합물에 대해 화학적으로 안정하다는 사실, 즉,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제거한 에스테르 혼합물에서 촉매 성분이 검출되지 않으며, 이러한 할로겐 함유 불순물의 제거 이외에, 이들은 에스테르 혼합물의 조성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더욱 특징으로 한다.
구리 촉매를 사용하는 출발 물질 스트림의 처리에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절단이 일어나며 구리 촉매가 유리된 할로겐에 대한 흡착제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용어 '촉매'와 '흡착제'는 이하 동의어로 사용한다.
구리 함유 할로겐 흡착제로서 지지되지 않은 구리 촉매와 지지된 구리 촉매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된 구리 촉매로서는 구리 성분이 불활성 담체 상에 미분형으로 존재하는 지지된 구리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적당한 담체의 예로는 활성탄, 탄화규소, 알루미나, 실리카, 이산화티탄, 이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황산바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고, 활성탄과 이산화지르코늄이 바람직하다. 담체는 예를 들면 압출물, 펠렛, 정제 또는 과립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지지되지 않은 구리 촉매로서는 구리 외의 추가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TiO2, Al2O3, ZrO2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 이들 중 바람직하게 TiO2를 함 유하는 지지되지 않은 구리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촉매는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0.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0 중량%이고, 표면적이 5 내지 1500 ㎡/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g이며, 다공도가 0.05 내지 1.5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g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지지된 촉매로서는 한편으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2 내지 8 중량%이고, 표면적이 50 내지 150 ㎡/g이며, 다공도가 0.2 내지 0.4 ㎤/g이며, 구리 표면적이 1.0 내지 3.0 ㎡/g인 ZrO2로 지지된 구리 촉매와, 다른 한편으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2 내지 8 중량%이고, 표면적이 500 내지 1000 ㎡/g이며, 다공도가 0.5 내지 0.8 ㎤/g이며, 구리 표면적이 1.0 내지 5.0 ㎡/g인 활성탄으로 지지된 구리 촉매가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지지되지 않은 촉매로서는 구리 외의 추가 성분으로서 TiO2를 함유하고,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20 내지 60 중량%이고, 표면적이 10 내지 150 ㎡/g이며, 다공도가 0.1 내지 0.5 ㎤/g이며, 비표면적이 0.5 내지 3.0 ㎡/g인 지지되지 않은 구리 촉매가 있다.
본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촉매는 특히 구리 표면적이 0.1 내지 20.0 ㎡/g(촉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g,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g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리 표면적이 큰 것은 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할로겐에 대한 구리 함유 흡착제의 높은 흡착 용적을 위해 중요하다. 청구항에 특정된 구리 비표면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하는 N2O 펄스 화학흡착에 의해 측정한다.
장치 :
PulseChemiSorb 2705 (Micromeritics)
샘플 예비처리 :
환원된 촉매 약 0.3 g을 샘플부가 넓은(da-11 ㎜) 수정 U-튜브 반응기에 넣는다. 샘플을 5% H2/Ar 스트림 (30 ㎖/분) 중에서 5 K/분의 가열 속도로 240℃로 가열한다. 이어서, 240℃에서 2시간 동안 수소로 환원시킨다. 이후, 샘플을 30분간 30 ㎖/분의 헬륨 스트림 중에서 세척하고 이 기체 하에 70℃로 냉각시킨다.
측정 수행 :
반응성 N2O 화학흡착을 측정하기 위해, N2O 펄스를 계량 루프 (부피 1000 ㎕)를 사용하여 30 ㎖/분의 헬륨 스트림 중으로 계량해 넣고, 70℃에서 샘플을 통해 통과시켰다. 4개의 동일한 펄스들 (각 경우 동일량의 N2O)이 연속하여 검출될 때까지 계속 펄싱시켰다. N2O 소비량 또는 N2 생성량 분석은 열 전도도 검출기를 사용하여 Porapale-N(등록상표)를 함유하는 반응기 하류의 짧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칼럼 상에서 수행하였다.
측정치의 평가 :
1. 펄스 면적의 평균값(MPA) (독단 단위[a.U.])은 각각 면적 성분 PAi을 갖는 4개 펄스의 상수로부터 측정한다.
즉, 전체 n개 펄스에 대해:
(1)
Figure 112000022129707-pct00006
이 MPA 값으로부터, 참조 부피 RV의 도움으로 펄스 면적을 ㎕로 전환시킬 수 있다.
(2)
Figure 112000022129707-pct00007
2. 흡착된 기체의 양 AdG는 n개의 개별 펄스의 면적 성분 PFi로부터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한다:
(3)
Figure 112000022129707-pct00008
3. 흡착된 기체의 양 AdG [㎕]은 식 (2)에 따라 계산한다.
4. 흡착된 기체의 양 AdG [㎕]을 표준 상태 AdGs [㎕]로 전환시킨다.
(4)
Figure 112000022129707-pct00009
pm: 압력 [mmHg]; Tm: 흡착 온도 [K]
pm과 Tm은 측정 전에 파라미터로서 출력된다.
5. AdGs로부터, 샘플 중량 W에 대해 표준화시켜 기체 특정 흡착량 Vm [㎤/g]을 계산한다.
(5)
Figure 112000022129707-pct00010
6. Vm [μmol/g]의 계산:
(6)
Figure 112000022129707-pct00011
7. 구리 비표면적 Sm [㎡/gCat]의 계산:
(7)
Figure 112000022129707-pct00012
S: 화학량론적 인수 (Cu = 2로 가정함)
K: 금속 원자수/㎡ (Cu에 대해 1.46×1019/㎡)
N1: 아보가르도수 (6.022052×1023 mol-1)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지지된 촉매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소공 침액법 (pore impregnation method)에 의해 수행한다. 구리 화합물을 담체의 소공 부피에 상응하는 양의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으로 담체를 침액시킨 다음, 침액된 담체를 8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4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다. 소공 침액법의 별법으로서, 담체의 소공 부피보다 더 많은 양의 용매를 사용하여 또한 침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청액을 사용한 침액). 또한, 건조시킨 촉매를 일반적으로 기류 하에 200 내지 600℃,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에서 0.5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시간 동안 하소시킬 수 있다.
적합한 구리 화합물의 예로는 질산구리, 할로겐화구리, 탄산구리, 카르복실산구리,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또는 구리 아민 착물이 있다. 탄산구리를 암모니아 수용액에 용해시켜 제조한 암모니아 함유 탄산구리 용액이 촉매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지지되지 않은 촉매의 제조는 예를 들면, 구리 염 용액을 다른 촉매 성분, 바람직하게는 TiO2, Al2O3, ZrO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 침전시킴으로써 수행하며,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2 성분은 수성 현탁액 중에 분말로서 존재한다. 구리는 구리 염 용액으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침전시킨다.
분리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무알칼리 세척하고,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20℃에서 건조시킨 다음, 필요한 경우 일반적으로 200 내지 400℃, 특히 200 내지 220℃에서 하소시킨다.
원칙적으로 모든 가용성 Cu(I) 및(또는) Cu(II) 염들, 예를 들면, 황산염, 질산염, 염화물, 탄산염, 아세트산염, 옥살산염 또는 암모늄 착물들을 출발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질산구리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한 건조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또는 유사한 성형물로 한다. 성형 공정을 위한 타정 보조제로서 흑연을 바람직하게는 건조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양으로 첨가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한 분말과 흑연 이외에 촉매 제조를 위한 추가의 첨가제로서 금속 구리 분말을 도입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건조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 특히 15 내지 20 중량%의 금속 구리 분말을 첨가한다.
정제 성형물을 300 내지 600℃, 특히 330 내지 350℃에서 바람직하게는 2시간 동안 가열한다. 종래의 방법들에서 타정 보조제로서 흑연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 타정 방법은 분말을 정제로 성형하기가 특히 용이하며, 화학적 및 기계적으로 매우 안정한 촉매를 제공한다.
촉매/할로겐 흡착제로서 사용하기 전에, 구리 성분을 금속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구리 촉매를 더욱 환원시켜야 한다. 환원은 예를 들면, 수소 함유 기체, 바람직하게는 H2 함량이 50 내지 100 부피%인 H2/N2 혼합물을 1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에서 10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시간 동안 반응기에 이미 존재하는 구리 촉매 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수행한다.
구리 함유 촉매/할로겐 흡착제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은 액상 및 기상으로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절차를 액상으로 수행한다. 에스테르 혼합물로부터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은 배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연속 운전이 바람직하게 사용 된다.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액상으로 연속 운전하여 제거하는데 있어서, 예를 들면, 튜브 반응기에 구리 함유 할로겐 흡착제를 도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수소 함유 기체로 처리하여 활성화시키고,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함유하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80℃에서, 기체상이 형성될 수 없도록 높게 선택된 압력, 예를 들면, 1 내지 100 바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바아에서 저부에서부터 상단부로 (액상 절차) 또는 상단부에서부터 저부로 (세류층(trickle-bed) 절차) 에스테르 혼합물 0.05 내지 50 ㎏/ℓ(촉매)/시의 액체 공간 속도로 촉매 상으로 통과시킨다. 액상 절차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정제된 에스테르 혼합물 중 할로겐 함유 화합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Cl 0.5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ppm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정제되는 적합한 디알킬 아디페이트, 특히 아디프산과 저분자량 알코올,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에스테르 혼합물은 그의 제법 때문에 불순물로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임의의 원하는 기원의 출발 물질이다.
그러나, 출발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a) 아디프산, 6-히드록시카프론산 및 소량의 1,4-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며,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기체를 사용하여 시클로헥산을 시클로헥사논/시클로헥산올로 산화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저분자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n-부탄올, 이소부 탄올 또는 특히 메탄올을 사용하여 물로 추출하는 반응에서 부산물로서 수득되는 수성 디카르복실산 혼합물을 에스테르화시키고;
b) 제1 증류 공정에서 과량의 알코올과 저비점 성분들을 제거하며;
c) 제2 증류 공정에서 저부 생산물을 적어도 대부분의 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는 분획과 본질적으로 1,4-시클로헥산디올이 없는 수소화시킬 에스테르 분획으로 분리함으로써 수득된 에스테르 분획을 사용한다.
이러한 에스테르 분획의 제법은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7/31882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는 증류에 의해 분리시킬 수 없는 불순물로서 1000 ppm 이하, 보통 100 ppm 이하, 특히 10 ppm 미만의 할로겐 함유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염소화 시클로헥산, 특히 모노클로로시클로헥산, 1,2-디클로로시클로헥산, 1,3-디클로로시클로헥산 및 1,4-디클로로시클로헥산을 함유한다.
이들 유기 할로겐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구리 촉매 상에서 절단되고 흡착되어 보통 0.1 ppm 미만, 종종 검출 한계 미만으로 된다.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없는 디알킬 아디페이트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에스테르 혼합물의 수소화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그 자체로 공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수소화 조건과 촉매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7/31882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 문헌을 특별히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7/31882호에 기재된 방법의 특징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다: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을 도 1에 예시하며, 여기서 개별 방법 단계들은 추가 공정들, 즉, 방법에 필수적인 공정 2, 3, 4, 5, 6, 7로 나누어지며, 또한 공정 3과 4 및 공정 6과 7을 합할 수도 있다. 공정 8, 9, 10 및 11은 임의 공정이지만, 방법의 비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용할 것이다.
디카르복실산 용액(DAS)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80%의 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이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평형 반응이므로, 존재하는 임의의 물을 반응 전에 제거하는 것이, 특히 예를 들면, 메탄올을 사용하는 에스테르화의 경우, 특히, 에스테르화 반응 동안 물이 제거할 수 없는, 예를 들면, 공비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유용하다. 공정 1에서 물을 제거하는 것은 예를 들면, 막계를 사용하여 또는 바람직하게는 증류 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때, 1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및 1 내지 1500 밀리바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100 밀리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0 밀리바아에서 물은 상단부를 통해 분리되고 고급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및 1,4-시클로헥산디올은 저부를 통해 분리된다. 저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저부 생산물이 액체형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칼럼의 저부에서 물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물은, 물이 주로 산이 없는 상태로 수득되거나, 또는 DAS에 함유된 저급 모노카르복실산 (본질적으로 포름산)이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임의의 에스테르화 알코올과 결합하지 않도록 대부분 물과 함께 증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다.
공정 1로부터의 카르복실산 스트림에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즉, 변법 A에서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코올, 즉,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및 변법 B에서는 탄소 원자수 4 내지 10, 특히 4 내지 8의 알코올, 특히 바람직하게는 n-부탄올, 이소부탄올, n-펜탄올 및 이소펜탄올을 혼합시킨다.
알코올:카르복실산 스트림의 혼합비 (질량비)는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일 수 있다.
용융물 또는 용액 형태인 이 혼합물은 공정 2의 반응기에 도달하며, 여기서, 카르복실산이 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된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5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외부압을 인가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를 반응계의 자생압 하에 수행한다. 에스테르화 장치로서 교반 케틀 또는 유동 튜브 또는 이들 중 다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를 위해 요구되는 체류 시간은 0.3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시간이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일어날 수도 있지만; 반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촉매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촉매는 균질하게 용해되거나, 또는 고상 촉매일 수 있다. 균질 촉매의 예로는 황산, 인산, 염산, 술폰산, 예를 들면, p-톨루엔술폰산, 헤테로다가산, 예를 들면, 텅스토인산, 또는 루이스산,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바나듐, 티탄 또는 붕소 화합물이 있다. 광산, 특히 황산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 용융물에 대한 균질 촉매의 중량비는 보통 0.00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3이다.
적합한 고상 촉매로는 산성 또는 초산성(superacidic) 물질, 예를 들면, 산 성 및 초산성 금속 산화물, 예를 들면, SiO2, Al2O3, SnO2 또는 ZrO2, 또는 실리케이트 또는 제올라이트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산도를 증강시키기 위해 광산 라디칼, 예를 들면,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또는 술폰산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유기 이온 교환기로 도핑될 수 있다. 고상 촉매는 고정층으로서 배열될 수 있거나, 현탁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중에 생성된 물은 유리하게 예를 들면, 막에 의해 또는 증류에 의해 연속 제거된다.
카르복실산 용융물에 존재하는 유리 카르복실기의 전환 완료는 반응 이후 측정한 산가 (㎎ KOH/g)에 의해 결정한다. 촉매로서 첨가된 임의의 산을 빼면, 산가는 0.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이다. 계 내에 존재하는 모든 카르복실기가 사용된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 존재하지는 않으며, 대신 일부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카프론산의 OH 단부와의 다이머 또는 올리고머 에스테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 혼합물을 공정 3, 즉, 막계 또는 바람직하게는 증류 칼럼에 공급한다. 에스테르화 반응에 대한 촉매로서 용해된 산을 사용하는 경우, 에스테르화 혼합물은 유리하게는 염기로, 촉매 ℓ의 산 당량 당 1 내지 1.5 염기 당량을 첨가하여 중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염기로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탄산염, 수산화물 또는 알코올레이트, 또는 아민을 그 자체로 또는 에스테르화 알코올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공정 3에서 칼럼을 사용하는 경우, 칼럼으로의 공급은 바람직하게는 상단부 스트림과 저부 스트림 사이에서 수행한다. 과량의 에스테르화 알코올 ROH, 물 및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및 프로피온산의 상응하는 에스테르들은 1 내지 1500 밀리바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0 밀리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0 밀리바 및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0℃, 특히 25 내지 75℃에서 상단부를 통해 제거한다. 이 스트림은 소각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공정 11에서 추가로 후처리할 수 있다.
저부 생산물로서, 주로 사용된 알코올 ROH과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디프산 및 글루타르산,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6-히드록시카프론산 및 5-히드록시발레르산과의 에스테르, 및 올리고머 및 유리 또는 에스테르화 1,4-시클로헥산디올로 이루어진 에스테르 혼합물이 수득된다. 에스테르 혼합물 중 물 및(또는) 알코올 ROH의 잔류 함량이 각각 10% 이하가 되도록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저부 온도는 7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90℃이다.
실질적으로 물과 에스테르화 알코올 ROH가 없는, 공정 3으로부터의 스트림을 공정 4로 공급한다. 공정 4는 일반적으로 저비점 성분과 고비점 성분 사이에서 공급을 수행하는 증류 칼럼이다. 칼럼은 1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7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50℃ 및 1 내지 1000 밀리바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밀리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밀리바아에서 작동한다.
변법 A, 즉, C1-C3 알코올, 특히 메탄올을 사용하는 에스테르화에서는, 공정 3으로부터의 스트림은 이제 수소화시킬 상단부 분획과 1,4-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는 저부 분획으로 분리된다.
상단부 분획은 주로 잔류수와 잔류 알코올 ROH, 알코올 ROH와 모노카르복실산, 주로 C3-C6 모노카르복실산과의 에스테르,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6-히드록시카프론산 및 5-히드록시발레르산과의 에스테르, 및 특히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및 숙신산과의 디에스테르, 및 더욱 1,2-시클로헥산디올, 카프로락톤 및 발레로락톤으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성분들은 상단부를 통해 함께 분리되어 수소화 공정 (공정 5)에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칼럼에서 주로 잔류수와 잔류 알코올 뿐만 아니라 C3-C5 카르복실산의 상기 언급한 에스테르들을 포함하는 상단부 스트림과 주로 C6-카르복실산과 디카르복실산의 상기 언급한 에스테르들을 포함하는 측부(side) 스트림으로 분리된 후 수소화 공정에 이른다.
주로 1,4-시클로헥산디올 또는 그의 에스테르, 다이머 또는 올리고머 에스테르들과 DCL의 비규정 성분들(이들 중 일부는 고분자성임)로 이루어진 공정 4로부터의 스트림의 고비점 성분들은 칼럼의 스트리핑 구역을 통해 분리 제거된다. 이들은 함께, 또는 주로 1,4-시클로헥산디올은 스트리핑 구역에서 칼럼의 측부 스트림을 통해 분리되고 나머지는 저부를 통해 분리되는 방식으로 수득될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1,4-시클로헥산디올은 예를 들면, 활성 성분에 대한 출발 물질로서 사용 할 수 있다. 1,4-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고비점 성분들은 소각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공정 8의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으로 통과된다.
변법 B, 즉, C4-C10 알코올, 특히 n-부탄올 또는 이소부탄올을 사용하는 에스테르화에서는, 공정 3으로부터의 스트림은 공정 4에서 1,4-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는 상단부 분획, 주로 C6-에스테르들을 함유하며 수소화 공정으로 통과되는 측부 스트림과 고비점 성분들을 함유하며 공정 8로 통과될 수 있는 저부 스트림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단부 분획은 주로 잔류 알코올 ROH, 알코올 ROH의 C1-C3 모노에스테르, 발레로락톤 및 1,2- 및 1,4-시클로헥산디올로 이루어진다.
측부 스트림은 주로 숙신산, 글루타르산 및 아디프산의 디에스테르들과 5-히드록시발레르산 및 6-히드록시카프론산의 모노에스테르들을 포함한다. 이 측부 스트림은 칼럼의 공급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거하여 수소화 공정 (공정 5)로 공급할 수 있다.
올리고머 에스테르와 다른 고비점 성분들을 함유하는 저부 스트림은 소각하거나, 또는 유리하게는 공정 8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으로, 공정 4에서, C6-에스테르는 저부 스트림과 함께 분리한 다음, 추가의 칼럼에서, 이미 설명한 상단부 분획 (이는 주로 잔류 알코올 ROH, 알 코올 ROH의 C1-C3 모노에스테르, 발레로락톤 및 1,2- 및 1,4-시클로헥산디올로 이루어짐)으로부터 저부 생성물로서 분리하거나, 고비점 성분들로부터 상단부 스트림으로서 분리한다.
1,4-시클로헥산디올이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없는 공정 4의 분획, 즉, 전체 스트림 또는 주로 C6-산의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측부 스트림을 수소화 공정 5로 통과시킨다.
공정 3과 4는 특히 소량만을 처리하는 경우 합쳐질 수 있다. 이 목적으로, C6-에스테르 스트림은 예를 들면, 다시 1,4-시클로헥산디올을 수소화 공정으로 공급되는 스트림에 넣지 않으면서 배치식으로 수행하는 분획 증류로 얻을 수 있다.
수소화는 기상 또는 액상으로 촉매적으로 수행한다. 적합한 촉매는 원칙적으로 카르보닐기를 수소화하기에 적합한 모든 균질 및 불균질 촉매, 예를 들면,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균질 촉매의 예는 예를 들면, 문헌[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ume IV/1c,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80, p. 45-67]에 기재되어 있고, 불균질 촉매의 예는 예를 들면, 문헌[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ume IV/1c, p. 16-26]에 기재되어 있다.
원소 주기율표의 I 및 VI 내지 VIII아족의 원소들, 바람직하게는 구리, 크롬, 몰리브덴, 망간, 레늄, 루테늄, 코발트, 니켈 및 팔라듐,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코발트 또는 레늄 중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촉매는 활성 성분 단독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활성 성분이 담체에 도포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물질은 예를 들면, Cr2O3, Al2O3, SiO2, ZrO2, ZnO2, BaO 및 Mg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유럽 특허 제0 552 46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촉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산화형으로 다음 조성을 갖는 촉매이다.
CuaAlbZrcMndOx
여기에서, a>0, b>0, c>0, d>0, a>b/2, b>a/4, a>c 및 a>d이고, x는 단위식 당 전자적 중성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산소 이온의 수이다. 이들 촉매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제552 463호에 따라 상응하는 금속 이온을 그들의 염 형태로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난용성 화합물을 침전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적합한 담체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물, 황산염 및 질산염이다. 적합한 침전제는 열 처리에 의해 산화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불용성 중간체를 형성시키는 모든 제제이다. 특히 적합한 중간체는 수산화물 및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이고,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침전제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탄산암모늄이다. 500℃ 내지 1000℃에서 중간체를 열 처리하는 것은 촉매 제조에 있어서 중요하다. 촉매의 BET 표면적은 10 내지 150 ㎡/g이다.
고정층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현탁액으로 사용되는 불균질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정층 촉매 상에서 기상으로 수소화를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150 내지 300℃의 온도와 1 내지 100 바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0 바아의 압력이 이 용된다. 수소화제 겸 담체 기체로서 수소가 적어도 출발 물질, 중간체 및 생성물이 반응 중에 결코 액체가 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과량의 수소는 바람직하게는 순환되며, 메탄과 같은 불활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폐기체로서 소량을 제거할 수 있다. 1개 반응기 또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반응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층 또는 현탁된 촉매를 사용하여 액상으로 수소화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300℃ 및 30 내지 350 바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 바아에서 수행한다.
수소화는 1개 반응기 또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반응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고정층 상에서의 액상으로의 수소화는 세류층 절차와 액상 절차 모두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다수의 반응기들을 사용하며, 여기서, 대부분의 에스테르는 제1 반응기에서 수소화되고, 이 제1 반응기는 바람직하게는 열 제거를 위해 액체 순환과 함께 작동되며, 후속 반응기(들)은 바람직하게는 전환을 완료시키기 위해 순환 없이 작동된다.
수소화는 배치식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연속식으로 수행한다.
수소화 배출물은 주로 1,6-헥산디올과 알코올 ROH로 이루어진다. 추가의 성분은 특히 공정 4의 전체 저비점 스트림이 변법 A에 따라 사용된 경우 1,5-펜탄디올, 1,4-부탄디올, 1,2-시클로헥산디올과 소량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모노알코올 및 물이다.
이 수소화 배출물은 예를 들면, 막계 또는 바람직하게는 증류 칼럼인 공정 6 에서 알코올 ROH (이는 추가로 대부분의 추가의 저비점 성분들을 함유한다)와 1,5-펜탄디올과 1,2-시클로헥산디올 이외에 주로 1,6-헥산디올을 함유하는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10 내지 1500 밀리바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0 밀리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밀리바에서, 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상단부 온도와 100 내지 27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50℃의 저부 온도를 설정한다. 저비점 스트림은 에스테르화 공정 2로 직접 재순환되거나, 또는 공정 8 또는 공정 11로 전달될 수 있다.
1,6-헥산디올 함유 스트림은 공정 7에서 칼럼에서 정제한다. 1,5-펜탄디올, 가능하게는 1,2-시클로헥산디올과 임의의 추가의 저비점 성분들이 상단부를 통해 분리된다. 1,2-시클로헥산디올 및(또는) 1,5-펜탄디올을 추가의 바람직한 생성물로서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추가의 칼럼에서 분리할 수 있다. 존재하는 임의의 고비점 성분들은 저부를 통해 제거된다. 1,6-헥산디올은 칼럼의 측부 스트림으로부터 99% 이상의 순도로 제거된다. 1 내지 1000 밀리바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0 밀리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밀리바아에서, 5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의 상단부 온도와 130 내지 27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의 저부 온도를 설정한다.
신규 방법을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도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촉매 A의 제조:
2-5 ㎜ 과립형의 활성탄 담체를, 탄산구리를 25 중량% 농도의 암모니아 수용액에 용해시켜 제조한 암모니아 함유 탄산구리 용액에 침액시켰고, 이때, 침액 용액의 부피는 사용된 담체의 양의 세공 부피에 상응한다. 침액시킨 담체를 12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촉매의 구리 함량은 CuO로서 산출할 때 6.0 중량%이고, 표면적은 820 ㎡/g이며, 다공도는 0.65 ㎤/g이며, 환원시킨 후 구리 표면적은 2.9 ㎡/g이다.
촉매 B의 제조:
3 ㎜ 압출물형의 이산화지르코늄 담체를, 탄산구리를 25 중량% 농도의 암모니아 수용액에 용해시켜 제조한 암모니아 함유 탄산구리 용액에 침액시켰고, 이때, 침액 용액의 부피는 사용된 담체의 양의 세공 부피에 상응한다. 침액시킨 담체를 12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350℃에서 1시간 동안 하소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촉매의 구리 함량은 CuO로서 산출할 때 5.0 중량%이고, 표면적은 74 ㎡/g이며, 다공도는 0.30 ㎤/g이며, 환원시킨 후 구리 표면적은 1.1 ㎡/g이다.
촉매 C의 제조:
촉매 C는 질산구리의 용액을 탄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침전시켜 제조하였다. 물 중 TiO2의 현탁액을 초기에 취한 혼합물로서 사용하였다. 침전시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세척하고 12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분말을 200℃에서 2시간 동안 하소시킨 후, 흑연 3%와 금속 구리 분말 20%와 함께 압착시켜 3 ㎜ 정제를 얻 었다. 이들 정제를 33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촉매의 구리 함량은 CuO로서 산출할 때 44.0 중량%이고, 표면적은 39 ㎡/g이며, 다공도는 0.22 ㎤/g이며, 환원시킨 후 구리 표면적은 1.4 ㎡/g이다.
실시예 1
a) Cl 함유 불순물의 제거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7/31882호에 따른 공정 1 내지 4))
공정 1 (탈수):
디카르복실산 용액 (본질적으로 아디프산, 6-히드록시카프론산, 1,4-시클로헥산디올, 글루타르산, 5-히드록시발레르산, 포름산 및 물로 이루어짐) 0.1 ㎏/h를 충전된 칼럼 (약 4개 이론단, 상단부에 환류 없음)이 부착된 증류 장치 (외부 오일 가열 순환을 갖는 3개 트레이(three-tray) 버블 트레이 칼럼: 오일 온도 150℃, 트레이 부피 각각 약 50 ㎖, 버블 트레이를 통해 공급)에서 연속 증류시켰다. 물 중 포름산 함량이 약 3%인 상단부 생성물 0.045 ㎏/h를 수득하였다. 저부 스트림 (5.5 ㎏)에서 물 함량은 약 0.4%이었다.
공정 2 (에스테르화):
공정 1로부터의 저부 스트림 5.5 ㎏/h를 튜브 반응기 (10.7 m, Ø1.8 ㎝, 체류 시간 2.7 h)에서 메탄올 8.3 ㎏/h 및 황산 14 g/h와 연속 반응시켰다. 황산을 제외한 배출물의 산가는 약 10 ㎎ KOH/g이었다.
공정 3 (과량의 알코올과 물의 제거):
공정 2로부터의 에스테르화 스트림을 20 ㎝ 충전된 칼럼 (1015 밀리바아, 상단부 온도 65℃, 저부 온도 125℃ 이하)에서 증류시켰다. 상단부를 통해 7.0 ㎏가 빠져 나왔다. 저부 생산물로서 6.8 ㎏를 얻었다.
공정 4 (분획화: 1,4-시클로헥산디올 단리):
공정 3으로부터의 저부 스트림을 50 ㎝ 충전된 칼럼 (1 밀리바아, 상단부 온도 70-90℃, 저부 온도 180℃ 이하)에서 분획 증류시켰다. 저부 생산물 (1.9 ㎏)은 실질적으로 모든 1,4-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였다.
저비점 성분 (1,2-시클로헥산디올, 발레로락톤, 메틸 5-히드록시발레레이트, 디메틸 글루타레이트, 디메틸 숙시네이트 등)으로서 0.6 ㎏가 증류되었다. 주로 디메틸 아디페이트 및 메틸 6-히드록시카프로에이트를 함유하는 분획으로서 4.3 ㎏가 수득되었다.
튜브 반응기를 촉매 A 50 ㎖로 채웠다. 반응기에 존재하는 촉매 상으로 순수 수소를 180℃에서 24시간 동안 통과시켜 먼저 촉매를 환원시켰다. 이어서, 주로 메틸 아디페이트와 메틸 히드록시카프로에이트를 함유하고 Cl 함량이 0.7 ppm인 공정 4에 따른 분획을 170℃ 및 1바아에서 시간 당 촉매 ℓ당 에스테르 혼합물 0.5 ㎏의 액체 공간 속도로 저부에서부터 상단부 (액상 절차)로 촉매 상으로 통과시켰다. 반응기 배출물의 Cl 함량은 0.1 ppm의 검출 한계 미만이었다. 반응기 배출물에서 촉매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즉, 촉매는 에스테르 혼합물에 대해 화학적으로 전적으로 안정하다. GC 분석에 의해 Cl 함유 불순물을 제거하기 전후에 에스테르 혼합물의 조성 변화는 검출되지 않았다.
b) 수소화 (공정 5)
Cl 함유 불순물이 제거된 공정 a)에서 기원하는 C6-에스테르 혼합물 27 ㎏를 25 ㎖ 반응기에서, 180℃에서 수소 스트림 내에서 미리 활성화시킨 촉매 (촉매: 70 중량% CuO, 25 중량% ZnO, 5 중량% Al2O3) 상에서 연속 수소화시켰다 (수소화 조건: 공급 20 g/h, 순환 없음, 220 바아, 220℃). 에스테르 전환율은 전체 실험 기간에 걸쳐 99.5%이었고, 1,6-헥산디올 선택율은 99%이었다.
실시예 2
공정 a)에서 튜브 반응기를 촉매 B 50 ㎖로 채우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반응기에 존재하는 촉매 상으로 순수 수소를 180℃에서 24시간 동안 통과시켜 먼저 촉매를 환원시켰다. 주로 메틸 아디페이트와 메틸 히드록시카프로에이트를 함유하고 Cl 함량이 0.7 ppm인 실시예 1에 따른 분획을 170℃ 및 1바아에서 시간 당 촉매 ℓ당 에스테르 혼합물 0.5 ㎏의 액체 공간 속도로 저부에서부터 상단부 (액상 절차)로 촉매 상으로 통과시켰다. 반응기 배출물의 Cl 함량은 0.1 ppm의 검출 한계 미만이었다. 반응기 배출물에서 촉매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즉, 촉매는 에스테르 혼합물에 대해 화학적으로 전적으로 안정하다. GC 분석에 의해 Cl 함유 불순물을 제거하기 전후에 에스테르 혼합물의 조성 변화는 검출되지 않았다. 수소화 결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3
할로겐 함유 C6-에스테르 혼합물을 수소화 이전에 구리 함유 할로겐 흡착제 상으로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즉 공정 a)를 제외하고는, 방법을 수소화를 포함하여 여기까지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수행하였다. 수소화 개시 시에, 에스테르 전환율은 99.5%이고 선택율은 99%이었다. 그러나, 전체 27 ㎏의 수소화시킬 C6-에스테르 혼합물 중 6.0 ㎏ 만이 전환된 후, 할로겐 함유 불순물에 의한 수소화 촉매 불활성화 때문에, 에스테르 전환율이 단지 90%로 감소되고 선택율은 97%로 감소되었다.
실시예 4
공정 a)에서 튜브 반응기를 촉매 C 50 ㎖로 채우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반응기에 존재하는 촉매 상으로 순수 수소를 180℃에서 24시간 동안 통과시켜 먼저 촉매를 환원시켰다. 주로 메틸 아디페이트와 메틸 히드록시카프로에이트를 함유하고 Cl 함량이 0.7 ppm인 실시예 1에 따른 분획을 150℃ 및 1 바아에서 시간 당 촉매 ℓ당 에스테르 혼합물 0.5 ㎏의 액체 공간 속도로 저부에서부터 상단부 (액상 절차)로 촉매 상으로 통과시켰다. 반응기 배출물의 Cl 함량은 0.1 ppm의 검출 한계 미만이었다. 반응기 배출물에서 촉매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즉, 촉매는 에스테르 혼합물에 대해 화학적으로 전적으로 안정하다. GC 분석에 의해 Cl 함유 불순물을 제거하기 전후에 에스테르 혼합물의 조성 변화는 검출되지 않았다. 수소화 결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Claims (10)

  1. 디알킬 아디페이트, 또는 필수 성분으로서 디알킬 아디페이트와 불순물로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헥산디올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소화 이전에 디알킬 아디페이트 또는 디알킬 아디페이트 함유 혼합물을 50 내지 250℃ 및 1 내지 100 바아에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0.5 내지 80 중량%이고, 표면적이 5 내지 1500 ㎡/g이며, 다공도가 0.05 내지 1.5 ㎤/g이며, 구리 표면적이 0.1 내지 20 ㎡/g인 구리 촉매 상으로 통과시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2 내지 60 중량%이고, 표면적이 10 내지 1000 ㎡/g이며, 다공도가 0.1 내지 0.8 ㎤/g이며, 구리 비표면적이 0.5 내지 10.0 ㎡/g인 구리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20 내지 60 중량%이고, 표면적이 10 내지 150 ㎡/g이며, 다공도가 0.1 내지 0.5 ㎤/g이며, 구리 비표면적이 0.5 내지 3.0 ㎡/g인, TiO2를 함유하는 지지되지 않은 구리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2 내지 8 중량%이고, 표면 적이 50 내지 150 ㎡/g이며, 다공도가 0.2 내지 0.4 ㎤/g이며, 구리 비표면적이 1.0 내지 3.0 ㎡/g인 ZrO2로 지지된 구리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구리 함량이 CuO로서 산출할 때 2 내지 8 중량%이고, 표면적이 500 내지 1000 ㎡/g이며, 다공도가 0.5 내지 0.8 ㎤/g이며, 구리 비표면적이 1.0 내지 5.0 ㎡/g인 활성탄으로 지지된 구리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50 내지 250℃ 및 1 내지 100 바아에서 시간 당 촉매 ℓ당 에스테르 혼합물 0.05 내지 50 ㎏의 액체 공간 속도로 액상으로 연속 운전하여 제거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100 내지 200℃ 및 1 내지 10 바아에서 시간 당 촉매 ℓ당 에스테르 혼합물 0.1 내지 10 ㎏의 액체 공간 속도로 액상으로 연속 운전하여 제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불순물을 150 내지 180℃ 및 1 내지 5 바아에서 시간 당 촉매 ℓ당 에스테르 혼합물 0.2 내지 1.0 ㎏의 액체 공간 속도로 액상으로 연속 운전하여 제거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출발 물질이
    (a) 아디프산, 6-히드록시카프론산 및 소량의 1,4-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며,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기체를 사용하여 시클로헥산을 시클로헥사논/시클로헥산올로 산화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저분자량 알코올을 사용하여 물로 추출하는 반응에서 부산물로서 수득되는 수성 디카르복실산 혼합물을 에스테르화시키고;
    (b) 제1 증류 공정에서 과량의 알코올과 저비점 성분들을 제거하며;
    (c) 제2 증류 공정에서 저부 생산물을 적어도 대부분의 시클로헥산디올을 함유하는 분획과 본질적으로 1,4-시클로헥산디올이 없는 수소화시킬 에스테르 분획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수득된 에스테르 분획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함량을 0.1 ppm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007011722A 1998-04-23 1999-04-12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KR100543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8118096 DE19818096A1 (de) 1998-04-23 1998-04-2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exandiol
DE19818096.9 1998-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913A KR20010042913A (ko) 2001-05-25
KR100543496B1 true KR100543496B1 (ko) 2006-01-20

Family

ID=786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722A KR100543496B1 (ko) 1998-04-23 1999-04-12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13358B1 (ko)
EP (1) EP1082282B1 (ko)
JP (1) JP2002512992A (ko)
KR (1) KR100543496B1 (ko)
CA (1) CA2329040C (ko)
DE (2) DE19818096A1 (ko)
ES (1) ES2203112T3 (ko)
TW (1) TW505625B (ko)
WO (1) WO1999055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0946A1 (ja) * 2006-01-13 2007-07-19 Ube Industries, Ltd. 1,6-ヘキサンジオールの製造方法
JP2008120116A (ja) * 2006-11-08 2008-05-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屈曲式の建設車両
JP4805118B2 (ja) * 2006-12-13 2011-11-02 日立建機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052147B2 (ja) * 2007-01-25 2012-10-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EP2376421A4 (en) * 2008-12-18 2012-12-12 Invista Tech Sarl BY-PRODUCTS DERIVATIVES FROM A CYCLOHEXANOXIDATION PROCESS AND METHOD OF USE THEREOF
GB201205764D0 (en) * 2012-03-30 2012-05-16 Johnson Matthey Plc Catalyst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2014113197A1 (de) * 2014-09-12 2016-03-17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Fettalkoholen
CN113683483B (zh) * 2021-06-07 2022-05-13 浙江博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纯1,6-己二醇的生产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8050B (ko) 1991-07-05 1993-06-21 Kitamura Youzi
DE4141199A1 (de) 1991-12-13 1993-06-17 Sued Chemie Ag Chromfreier katalysator fuer die hydrierung von organischen verbindungen, die die carbonylfunktionen enthalten
US5614644A (en) * 1995-09-01 1997-03-2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removal of organic chlorides from furan and hydrogenated furans
CN1092174C (zh) * 1996-03-01 2002-10-09 巴斯福股份公司 纯度超过99%的1,6-己二醇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2992A (ja) 2002-05-08
EP1082282B1 (de) 2003-06-18
CA2329040C (en) 2009-11-10
ES2203112T3 (es) 2004-04-01
EP1082282A1 (de) 2001-03-14
DE19818096A1 (de) 1999-10-28
CA2329040A1 (en) 1999-11-04
DE59906012D1 (de) 2003-07-24
WO1999055653A1 (de) 1999-11-04
US6313358B1 (en) 2001-11-06
TW505625B (en) 2002-10-11
KR20010042913A (ko) 200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4366B2 (ja) 99%を越える純度を有する1,6−ヘキサンジオールの製法
KR100468182B1 (ko) 1,6-헥산디올및카프롤락톤의제조방법
JP5566450B2 (ja) 1,6−ヘキサンジオールおよびカプロラクトンの製造方法
JP5586686B2 (ja) 1,6−ヘキサンジオールの製造方法
US7449609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1,6-hexanediol with a purity in excess of 99.5%
CA2755293A1 (en) Method for producing 1,6-hexanediol by hydrogenation of oligo- and polyesters
EP2781499A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purity 1,5-pentanediol
JP2011506527A (ja) ε−カプロラクタムの製造法
KR20070074464A (ko) 1,6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KR100543496B1 (ko)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EP2412696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3-methyl-cyclopentadecenone, process for production of r/s-muscon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optically active muscone
US6288286B1 (en) Method for producing hexanediol-1,6
US20100305339A1 (en) Method for producing lactones from diols
CN102239131A (zh) 制备1,6-己二醇的方法
RU257108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ε-КАПРОЛАКТОНА И 1,6-ГЕКСАНДИОЛА
US5910612A (en) Preparation of anhydrous 2-amino-1-methoxypropane
CA2247991C (en) Process for preparing 1,6 hexane diol with a level of purity over 99 %
KR100602970B1 (ko) 헥산디올의 제조 방법
EA007002B1 (ru) Одностадий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3,4,5-триметокситолуола
JPH0640972A (ja) アルコ−ルの合成方法
JPH10168031A (ja) ジアセトキシブテ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