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318B1 - 부스팅 전압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부스팅 전압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318B1
KR100543318B1 KR1020020060998A KR20020060998A KR100543318B1 KR 100543318 B1 KR100543318 B1 KR 100543318B1 KR 1020020060998 A KR1020020060998 A KR 1020020060998A KR 20020060998 A KR20020060998 A KR 20020060998A KR 100543318 B1 KR100543318 B1 KR 10054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oltage
signal
driven
pmo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865A (ko
Inventor
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6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318B1/ko
Priority to US10/615,046 priority patent/US6812775B2/en
Priority to JP2003348701A priority patent/JP4482306B2/ja
Publication of KR2004003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865A/ko
Priority to US10/978,728 priority patent/US71230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02M3/077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with parallel connected charge pump stages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트림비트를 이용하여 부스팅 전압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전압 강하된 부스팅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부스팅 된 전압이 소자의 리드 동작뿐만 아니라 평상의 동작에도 일정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부스팅 전압, 트림비트, 비교기준 전압, 비교부

Description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Boosting voltage control circu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션 블록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전압 생성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생성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레귤레이션 블록 200 : 클럭 생성기
300, 310 : 펌프 수단 110 : 부스팅 전압 분배부
120 : 비교부 130 : 기준전압 생성부
140 : 클럭 제어신호 출력부 150 : 패키지 전압 생성부
152 : 트림 비트 입력부 154 : 전압 레벨 변환부
155 : 패키지 전압 출력부
210, 220, 230, 240, 250 : 클럭 발생부
본 발명은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쉬 메모리의 독출 동작시에 워드라인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낮은 전원전압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장치에서는 셀(Cell)의 독출 동작 때마다 셀의 워드라인 게이트(Word Line Gate) 전압을 올리기 위한 전압 부스팅(Boosting)을 하게 된다. 즉, 부스팅은 낮은 전원전압(VCC)을 독출동작에 사용할 수 있는 전압레벨(Level)로 전원전압을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부스팅 동작은 외부에서 독출 명령이 입력되면 0V의 전압을 5.3V 까지 끌어 올리게 된다. 하지만 0V 에서 5.3V 까지 전압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부스팅 회로 내부의 RC 지연(RC Delay)과 같은 다양한 지연요소들에 의해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출 동작뿐만 아니라 대기 상태에서도 항상 일정한 레벨의 전압을 유지하여 독출 동작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대기 상태에서 흐르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에 의해 부스팅된 전압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부스팅 전압을 강하하기 위한 부스팅 전압 분배수단; 외부의 트림비트에 따라 다양한 전압 레벨을 갖는 패키지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패키지 전압 생성 수단; 상기 패키지 전압 생성 수단의 상기 패키지 전압 신호에 따라 전압레벨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변 기준전압과 가변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기준전압 생성 수단; 상기 가변 제어전압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전압 강하된 부스팅 전압과 상기 가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 결과신호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에 의해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기; 및 상기 클럭신호에 의해 부스팅 전압을 항상 출력하는 제 1 펌프와 외부의 독출 신호와 상기 클럭 신호에 의해 부스팅 전압을 출력하는 제 2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클럭 생성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펌핑된 전압을 출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출력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클럭생성기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션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션 블록은, 상기 출력의 전압을 일정한 레벨로 강하하기 위한 부스팅 전압분배수단과, 외부의 트림비트에 따라 다양한 전압레벨을 갖는 패키지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패키지 전압 생성수단과, 상기 패키지 전압신호에 따라 전압레벨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변 기준전압과 가변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기준 전압 생성수단, 및 상기 가변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분배 수단의 출력과 상기 가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클럭 생성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귤레이션(Regulation) 블록(100)이 부스팅 전압 출력단(OBvt)과 클럭 생성기(200)간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펌프(300 및 310)는 클럭 생성기(200)와 부스팅 전압 출력단(OBvt)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제 1 펌프(300)는 외부의 독출인에이블 신호(ERead)에 따라 구동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압 레귤레이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제 2 펌프(310)는 독출상태 뿐만 아니라 대기 상태에서도 클럭 생성기(200)의 클럭 신호들(CLK<0:4>)에 의해 일정 레벨의 부스팅 전압(BOOST)을 생성하고, 제 1 펌프(300)는 외부의 독출인에이블 신호(ERead)와 클럭 생성기(200)의 클럭 신호(CLK<0:4>)에 의해 일정레벨의 부스팅 전압(BOOST)을 생성한다. 레귤레이션 블록(100)은 부스팅 전압(BOOOST)을 내부 트림 비트에 의해 생성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제 1 및 제 2 펌프(300 및 310)에서 출력된 부스팅 전압(BOOST)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를 출력한다. 클럭 생성기(200)는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에 따라 클럭 신호들(CLK<0:4>)의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펌프(300 및 31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귀환 방식으로 출력단의 부스팅 전압(BOOST)을 레귤레이션 블록(100)에서 감지하다가 부스팅 전압(BOOST)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레귤레이션 블록(100)의 출력인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에 의해 클럭 생성기(200)의 출력인 클럭 신호(CLK)를 제어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펌프(300 및 310)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부스팅 전압(BOOST)을 제어하게 된다.
제 1 펌프(300)는 소자의 독출 동작이 수행될 경우 워드라인 게이트 전압을 부스팅 하기 위한 제 1 부스팅 수단이고, 제 2 펌프(310)는 워드라인 게이트 전압을 부스팅 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하도록 평상시에 부스팅 전압을 생성하는 제 2 부스팅 수단이다. 이는 대기 상태보다 독출 상태일 경우 더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되 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펌프(300 및 310)를 두었다. 즉, 대기 상태에서는 제 2 펌프(310)만 동작하여 낮은 전류와 일정레벨의 부스팅 전압을 생성하고, 독출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및 제 2 펌프(300 및 310)가 동작하여 높은 전류와 일정레벨의 부스팅 전압이 공급된다. 이로써, 소자의 독출시간을 줄일 수 있고, 대기상태의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부스팅 전압(BOOST)의 레벨을 비교 판단하여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를 출력하는 레귤레이션 블록(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션 블록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귤레이션 블록(100)은 부스팅 전압 분배부(110), 비교부(120), 기준전압 생성부(130), 클럭 제어신호 출력부(140),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스팅 전압 분배부(110)의 입력은 도 1의 부스팅 전압 출력단(OBvt)에 접속되고, 출력은 비교부(120)의 제 1 비교신호(VBDIV)입력에 접속된다. 기준전압 생성부(130)의 입력은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의 출력에 접속된다. 기준전압 생성부(130)의 제 1 및 제 2 출력은 각각 비교부(120)의 제 2 비교신호(REFCRV)입력과 제어신호(NGATE)입력에 접속된다. 비교부(120)의 출력은 클럭 제어신호 출력부(140)의 입력에 접속된다. 클럭 제어신호 출력부(140)의 입력은 비교부(120)의 출력에 접속되고, 클럭제어신호 출력부(140)의 제 1 및 제 2 출력은 클럭 생성기(200)의 입력에 접속된다.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의 제 1 및 제 3 입력은 각각 외부의 트림비트(TE1 내지 TE3)에 접속되고, 출력은 기준전압 생성 부(130)의 입력에 접속된다.
상술한 접속관계를 갖는 레귤레이션 블록의 동작 및 구성을 도 3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되는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라 함은 게이트 단자와, 소스 또는 드레인 단자중 하나가 접속되어 트랜지스터가 다이오드로써 동작하는 것을 지칭한다.
부스팅 전압 분배부(110)는 다이오드 접속된 제 10 내지 제 15 PMOS 트랜지스터(P10 내지 P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단자가 소스단자에 접속된 제 10 내지 제 15 PMOS 트랜지스터(P10 내지 P15) 각각은 부스팅 전압 입력단(OBvt)과 접지전원(VSS)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접속된다. 즉, 제 10 PMOS 트랜지스터(P10)의 드레인 단자는 부스팅 전압 입력단(OBvt)에 접속되고, 제 10 PMOS 트랜지스터(P10)의 소스 단자는 제 11 PMOS 트랜지스터(P11)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제 11 PMOS 트랜지스터(P11)의 소스 단자는 제 12 PMOS 트랜지스터(P12)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제 12 PMOS 트랜지스터(P12)의 소스 단자는 제 13 PMOS 트랜지스터(P1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제 13 PMOS 트랜지스터(P13)의 소스 단자는 제 14 PMOS 트랜지스터(P14)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제 14 PMOS 트랜지스터(P14)의 소스 단자는 제 10 노드(Q10)에 접속되고 제 15 PMOS 트랜지스터(P15)의 드레인 단자 또한 제 10 노드(Q10)에 접속된다. 제 15 PMOS 트랜지스터(P15)의 소스 단자는 접지전원(VSS)에 접속된다.
기준전압 생성부(130)는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와 다이오드 접속된 제 10 및 제 11 NMOS 트랜지스터(N10 및 N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패 키지 전압 생성부(150)의 출력인 패키지 전압(PVT)에 의해 구동되는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는 전원전압(VCC)과 제 1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된다.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제 10 NMOS 트랜지스터(N10)는 제 11 노드(Q11)와 제 12 노드(Q12) 사이에 접속된다.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제 11 NMOS 트랜지스터(N11)는 제 12 노드(Q12)와 접지전원(VSS) 사이에 접속된다.
비교부(120)는 제 17 및 제 18 PMOS 트랜지스터(P17 및 P18)와 제 12 내지 제 13 NMOS 트랜지스터(N12 및 N13)로 구성된 차동증폭기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 14 NMOS 트랜지스터(N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 17 PMOS 트랜지스터(P17)는 전원전압(VCC)과 제 13 노드(Q13)에 접속되고, 제 13 노드(Q13)의 전위에 따라 구동된다. 제 18 PMOS 트랜지스터(P18)는 전원전압(VCC)과 제 14 노드(Q14)에 접속되고, 제 13 노드(Q13)의 전위에 따라 구동된다. 제 12 NMOS 트랜지스터(N12)는 제 13 노드(Q13) 및 제 15 노드(Q15) 사이에 접속되고, 제 10 노드(Q10)(부스팅 전압 분배 수단의 출력; VBDIV)에 의해 구동된다. 제 13 NMOS 트랜지스터(N13)는 제 14 노드(Q14) 및 제 15 노드(Q15) 사이에 접속되고, 제 11 노드(Q11)(비교 기준전압 생성수단의 출력; REFCRV)에 의해 구동된다. 제 14 NMOS 트랜지스터(N14)는 제 15 노드(Q15) 및 접지전원(VSS) 사이에 접속되고, 제 12 노드(Q12)의 전위에 의해 구동된다.
클럭 제어신호 출력부(140)는 제 19 PMOS 트랜지스터(P19) 및 제 15 NMOS 트랜지스터(N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오드 접속된 제 19 PMOS 트랜지스터(P19)와 제 15 NMOS 트랜지스터(N15)가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원(VSS) 사이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단자가 소스단자에 접속된 제 19 PMOS 트랜지스터(P19)는 전원전압(VCC)과 제 2 클럭 제어신호(NBIAS) 출력단에 접속된다. 제 15 NMOS 트랜지스터(N15)는 제 1 클럭 제어신호(PBIAS) 출력단과 접지전원(VSS) 사이에 접속되고, 제 14 노드(Q14)의 전위에 의해 구동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레귤레이션 블록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스팅 전압 분배부(110)는 다이오드 접속된 제 10 내지 제 15 PMOS 트랜지스터(P10 내지 P15)를 통해 입력된 부스팅 전압(BOOST)을 전압 강하하고, 전압강하된 부스팅 전압인 제 1 비교신호(VBDIV)를 비교부(120)의 제 1 비교신호(VBDIV) 입력단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부스팅 전압(BOOST)이 9V이면 제 10 내지 제 15 PMOS 트랜지스터(P10 내지 P15) 각각의 양단에 걸린 전압은 각각 1.5V가된다. 제 15 PMOS 트랜지스터(P15)의 양단에 걸린 전압은 부스팅 전압(BOOST)을 6등분한 전압 즉, 1.5V가 된다.
기준전압 생성부(130)는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와, 제 10 및 제 11 NMOS 트랜지스터(N10 및 N11)를 통해 전원전압(VCC)을 분배하여, 부스팅 전압의 레벨을 비교하는 제 2 비교신호(REFCRV)와 비교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NGATE)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의 출력인 패키지 전압(PVT)에 의해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준전압 생성부(130)의 출력인 제 2 비교신호(REFCRV)와 제어신호(NGATE)의 전압레벨이 변화하게 된다. 이는 패키지 전압 신호(PVT)에 따라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의 채널폭이 조절되어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에 걸리는 전압이 변화하게 된다. 전원전압에서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 양단에 걸린 전압을 뺀 나머지 전압이 다이오드 접속된 제 10 및 제 11 NMOS 트랜지스터(N10 및 N11)에 의해 양분된다. 이로써,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조절함으로 인해 제 11 및 제 12 노드(Q11 및 Q12)의 전압을 변화시킨다. 예컨대, 전원전압(VCC)이 5V라 하고, 패키지 전압 신호(PVT)에 의해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에 걸리는 전압이 1V라고 가정하면, 제 10 및 제 11 NMOS 트랜지스터(N10 및 N11)에 의해 제 11 노드(Q11) 및 제 12 노드(Q12)에 각각 2V가 인가된다.
비교부(120)는 부스팅 전압 분배부(110)의 출력인 제 1 비교신(VBDIV)호와 기준전압 생성부(130)의 출력인 제 2 비교신호(REFCRV)의 차에 의해 비교부(120)의 출력인 비교결과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기준전압 생성부(130)의 제어신호(NGATE)에 의해 제 14 NMOS 트랜지스터(N14)가 턴온되어 차동 증폭기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차동 증폭기의 특성에 따라 두 입력의 차에 의해 출력이 결정되게 된다. 즉, 제 12 NMOS 트랜지스터(N12)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제 1 비교신호(VBDIV)와 제 13 NMOS 트랜지스터(N13)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는 제 2 비교신호(REFCRV)의 전압 차에 의해 제 14 노드(Q14)의 로직 상태가 바뀌게 된다. 예컨대, 제 10 노드(Q10)의 전압이 제 11 노드(Q11)보다 낮을 경우는 제 14 노드(Q14)의 출력은 로직 로우 상태의 신호가 출력된다. 제 10 노드(Q10)의 전압이 제 11 노드(Q11)보다 높을 경우는 제 14 노드(Q14)의 출력은 로직 하이 상태의 신 호가 출력된다.
클럭 제어신호 출력부(140)는 비교부(120)의 출력인 비교결과 신호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 출력단의 로직 상태를 변화 한다. 즉, 비교부(120)의 출력인 비교결과 신호는 제 1 클럭 제어신호(PBIAS)가 되고, 제 15 NMOS 트랜지스터(N15)를 제어한다. 제 2 클럭 제어신호(NBIAS)의 출력단에는 다이오드 접속된 제 19 PMOS 트랜지스터(P19)에 의해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전원전압(VCC)이 인가되어 있다가 제 15 NMOS 트랜지스터(N15)의 동작 유무에 따라 그 값이 변화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4 노드(Q14)의 출력인 비교결과 신호가 로직 하이가 되면, 제 15 NMOS 트랜지스터(N15)가 턴온되어 제 2 클럭 제어신호(NBIAS)의 로직 상태가 로직 로우로 변화하게 된다. 또한, 제 14 노드(Q14)의 출력인 비교결과 신호가 로직 로우가 되면, 제 15 NMOS 트랜지스터(N15)가 턴오프 되어 제 2 클럭 제어신호(NBIAS)의 로직 상태가 로직 하이가 된다. 레귤레이션 블록(100)으로 입력되는 부스팅 전압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의 로직 상태는 각각 로우와 하이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비교신호의 차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의 로직 상태가 결정되게 된다. 이는 부스팅 전압의 제어를 위해 일정한 레벨의 제 2 비교신호의 생성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를 위해 패키지 전압 신호(PVT)를 통해 기준전압 생성부 내의 제 16 PMOS 트랜지스터(P16)의 채널폭을 조절함으로써 제 2 비교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전압 생성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는 트림비트 입력부(도 3a 참조; 152), 전압레벨 변환부(도 3b 참조; 154) 및 패키지 전압 출력부(도 3c 참조; 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림비트 입력부(152), 전압레벨 변환부(154) 및 패키지 전압 출력부(156)는 직렬로 연결된다. 도 3a의 'A', 'B', 'C', 'D', 'E', 'F'는 각각 도 3b의 'A', 'B', 'C', 'D', 'E', 'F'에 각각 순차적으로 대응된다. 또한, 도 3b의 'G'는 도 3c의 'G'에 대응된다.
트림비트 입력부(152)는 외부의 트림비트들의 상태에 따라 다수의 레벨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압레벨 변환부(154)를 제어하고, 전압레벨 변환부(154)는 트림비트 입력부의 출력인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패키지 전압 출력부(156)는 전압레벨 변환부(154)의 출력전압의 누설을 막고 패키지 전압 신호(PVT)를 기준전압 생성부(13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패키지 전압 생성부는 트림비트 입력부(152), 전압레벨 변환부(154) 및 패키지 전압 출력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림비트 입력부(152)는 제 10 내지 제 13 인버터(I10 내지 I13)와, 제 10 내지 제 13 낸드게이(ND10 내지 ND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압레벨 변환부(154)는 제 30 내지 제 63 PMOS 트랜지스터(P30 내지 P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패키지 전압 출력부(156)는 제 30 내지 제 35 NMOS 트랜지스터(N30 내지 N35)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다.
이하, 트림비트 입력부(도 3a), 전압레벨 변환부(도 3b) 및 패키지 전압 출력부(도 3c)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트림비트 입력단(TE1)은 제 10 인버터(I10)를 경유해 제 10 낸드게이트(ND10)의 제 1 입력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 12 낸드게이트(ND12)의 제 1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트림비트 입력단(TE1)은 제 11 낸드게이트(ND12)의 제 2 입력단자과 제 13 낸드게이트(ND13)의 제 1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제 2 트림비트 입력단(TE2)은 제 11 인버터(I11)를 경유해 제 10 낸드게이트(ND10)의 제 2 입력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 11 낸드게이트(ND11)의 제 1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트림비트 입력단(TE2)은 제 12 및 제 13 낸드게이트(ND12 및 ND13)의 제 2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제 3 트림비트 입력단(TE3)은 제 12 인버터(I12)를 경유해 제 53 PMOS 트랜지스터(P53)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제 3 트림비트 입력단(TE3)은 제 12 및 제 13 인버터(I12 및 I13)를 경유해 제 33 PMOS 트랜지스터(P33)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제 10 낸드게이트(ND10)의 출력단자는 제 30 및 제 38 PMOS 트랜지스터(P30 및 P38)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제 11 낸드게이트(ND11)의 출력단자는 제 31 및 제 41 PMOS 트랜지스터(P31 및 P41)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제 12 낸드게이트(ND12)의 출력단자는 제 32 및 제 46 PMOS 트랜지스터(P32 및 P46)의 게이트 단 자에 접속된다. 제 13 낸드게이트(ND13)의 출력단자는 제 54 PMOS 트랜지스터(P54)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제 33 PMOS 트랜지스터(P33)는 전원전압(VCC)과 제 20 노드(Q20) 사이에 접속된다. 제 53 PMOS 트랜지스터(P53)는 전원전압(VCC)과 제 25 노드(Q25) 사이에 접속된다. 제 30 PMOS 트랜지스터(P30)는 제 20 노드(Q20)와 제 23 노드(Q23) 사이에 접속된다. 제 31 PMOS 트랜지스터(P31)는 제 20 노드(Q20)와 제 2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된다. 제 32 PMOS 트랜지스터(P32)는 제 20 노드(Q20)와 제 21 노드(Q21) 사이에 접속된다.
제 34 PMOS 트랜지스터(P34)는 제 20 노드(Q20)와 제 21 노드(Q21) 사이에 접속되고, 제 35 PMOS 트랜지스터(P35)는 제 21 노드(Q21)와 제 2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되며, 제 36 PMOS 트랜지스터(P36)는 제 22 노드(Q22)와 제 23 노드(Q23) 사이에 접속되며, 제 37 PMOS 트랜지스터(P37)는 제 23 노드(Q23)와 제 24 노드(Q24) 사이에 접속된다. 이는 제 34 내지 제 37 PMOS 트랜지스터(P34 내지 P37)가 제 20 노드(Q20)와 제 24 노드(Q24) 사이에 직렬로 접속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 34 내지 제 37 PMOS 트랜지스터(P34 내지 P37)의 게이트 단자들은 제 24 노드(Q24)에 각기 접속된다.
제 38 내지 제 40 PMOS 트랜지스터(P38 내지 P40)는 제 24 노드(Q24)와 제 25 노드(Q25)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 39 및 제 40 PMOS 트랜지스터(P39 및 P40)의 게이트 단자는 제 24 노드(Q24)에 각기 접속된다.
제 41 PMOS 트랜지스터(P41)는 제 25 및 제 26 노드(Q25 및 Q26) 사이에 접 속된다. 제 42 및 제 43 PMOS 트랜지스터(P42 및 P43)는 제 24 및 제 26 노드(Q24 및 Q26)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 42 및 제 43 PMOS 트랜지스터(P42 및 P43)의 게이트 단자는 제 24 노드(Q24)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제 44 및 제 45 PMOS 트랜지스터(P44 및 P45)는 제 24 및 제 26 노드(Q24 및 Q26)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 44 및 제 45 PMOS 트랜지스터(P44 및 P45)의 게이트 단자는 제 24 노드(Q24)에 의해 구동된다. 즉, 직렬접속된 제 42 및 제 43 PMOS 트랜지스터(P42 및 P43)와 제 44 및 제 45 PMOS 트랜지스터(P44 및 P45)는 제 24 및 제 26 노드(Q24 및 Q26)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다.
제 46 PMOS 트랜지스터(P46)는 제 25 및 제 27 노드(Q25 및 Q27) 사이에 접속된다. 제 47과 제 48 PMOS 트랜지스터(P47과 P48), 제 49와 제 50 PMOS 트랜지스터(P49와 P50), 및 제 51과 제 52 PMOS 트랜지스터(P51과 P52) 각각은 제 24 및 제 27 노드(Q24 및 Q27)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 47 내지 제 52 PMOS 트랜지스터(P47 내지 P52) 각각은 제 24 노드(Q24)에 의해 구동된다. 직렬접속된 제 47과 제 48 PMOS 트랜지스터(P47과 P48), 제 49와 제 50 PMOS 트랜지스터(P49와 P50) 및 제 51과 제 52 PMOS 트랜지스터(P51 과 P52)는 제 24 및 제 27 노드(Q24 및 Q27)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다.
제 54 PMOS 트랜지스터(P54)는 제 25 및 제 28 노드(Q25 및 Q28) 사이에 접속된다. 제 55와 제 56 PMOS 트랜지스터(P55와 P56), 제 57과 제 58 PMOS 트랜지스터(P57과 P58), 제 59와 제 60 PMOS 트랜지스터(P59와 P60), 및 제 61과 제 62 PMOS 트랜지스터(P61과 P62) 각각은 제 24 및 제 28 노드(Q24 및 Q28) 사이에 직렬 로 접속되고, 제 55 내지 제 62 PMOS 트랜지스터(P55 내지 P62) 각각은 제 24 노드(Q24)에 의해 구동된다. 직렬접속된 제 55와 제 56 PMOS 트랜지스터(P55와 P56), 제 57과 제 58 PMOS 트랜지스터(P57과 P58), 제 59와 제 60 PMOS 트랜지스터(P59와 P60) 및 제 61과 제 62 PMOS 트랜지스터(P61 및 P62)는 제 24 및 제 28 노드(Q24 및 Q28)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다. 제 63 PMOS 트랜지스터(P63)는 제 24 노드(Q24)와 제 25 노드(Q25) 사이에 접속되고, 게이트 단자는 제 24 노드(Q24)에 접속된다.
제 30 내지 제 35 NMOS 트랜지스터(N30 내지 N35)는 제 24 노드(도 3b 및 도 3c의 'G'; Q24)와 접지전원(VSS)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제 30 내지 제 35 NMOS 트랜지스터(N30 내지 N35)의 게이트 단자들은 각기 접지전원(VSS)에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고, 외부의 트림비트들을 입력받아 다양한 레벨의 패키지 전압을 출력하는 본 발명의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트림비트 입력단(TE1)의 제 1 트림비트 신호(STE1)는 제 11 및 제 13 낸드게이트(ND11 및 ND13)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제 10 인버터(I10)에 의해 반전되어 제 10 및 제 12 낸드 게이트(ND10 및 ND12)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제 2 트림비트 입력단(TE2)의 제 2 트림비트 신호(STE2)는 제 12 및 제 13 낸드게이트(ND12 및 ND13)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제 11 인버터(I11)에 의해 반전되어 제 10 및 제 11 낸드 게이트(ND10 및 ND11)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제 10 낸드게이트(ND10)는 반전된 제 1 및 제 2 트림비트 신호(STE1 및 STE2)를 입력받아 이들의 로직 조합을 통해 제 1 전압 레벨 제어신호(VLC1)를 제 30 및 제 38 PMOS 트랜지스터(P30 및 P38)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한다. 제 11 낸드게이트(ND11)는 반전된 제 2 트림비트 신호(STE2)와 제 1 트림비트 신호(STE1)를 입력받아 로직 조합을 통해 제 2 전압 레벨 제어신호(VLC2)를 제 31 및 제 41 PMOS 트랜지스터(P31 및 P41)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한다. 제 12 낸드 게이트(ND12)는 반전된 제 1 트림비트 신호(STE1)와 제 2 트림비트 신호(STE2)를 입력받아 이의 로직 조합을 통해 제 3 전압 레벨 제어신호(VLC3)를 제 32 및 제 46 PMOS 트랜지스터(P32 및 P46)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한다. 제 13 낸드게이트(ND13)는 제 1 및 제 2 트림비트 신호(STE1 및 STE2)를 입력받아 이의 로직 조합을 통해 제 4 전압 레벨 제어신호(VLC4)를 제 54 PMOS 트랜지스터(P54)의 게이트 단자에 출력한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트림 비트 신호(STE1 및 STE2)의 로직 상태가 모두 로우일 경우에 제 10 낸드 게이트(ND10)는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1 전압레벨 제어신호(VLC1)를 출력하고, 제 11 내지 제 13 낸드 게이트(ND 11 내지 N13)들 각각은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2 내지 제 4 전압레벨 제어신호(VLC2 내지 VLC4)를 출력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트림 비트 신호(STE1 및 STE2)의 로직 상태가 각각 하이와 로우일 경우에 제 11 낸드 게이트(ND11)는 로직상태가 로우인 제 2 전압레벨 제어신호(VLC2)를 출력하고, 제 1 및 제 2 트림 비트 신호(STE1 및 STE2)의 로직 상태가 각각 로우와 하이일 경우에 제 12 낸드 게이트(ND12)는 로직상태가 로우인 제 3 전압레벨 제어신호(VLC3)를 출력하며, 제 1 및 제 2 트림 비트 신호(STE1 및 STE2)의 로직 상태가 모두 로우일 경우에 제 13 낸드 게이트(ND13)는 로직상태가 로우인 제 4 전압레벨 제어신호(VLC4)를 출력한다.
제 3 트림비트 입력단(TE3)의 제 3 트림비트 신호(STE3)는 제 12 인버터(I12)에 의해 반전되어(제 1 경로 제어신호; RTE) 제 53 PMOS 트랜지스터(P53)에 인가된다. 또한, 제 12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제 3 트림비트 신호(STE3)는 제 13 인버터(I13)에 의해 반전되어(제 2 경로 제어신호; IRTE) 제 33 PMOS 트랜지스터(P33)에 인가된다. 제 3 트림비트 신호(STE3)에 의해 전압 레벨 변환부(154) 내의 제 33 및 제 53 PMOS 트랜지스터(P33 및 P53)를 제어하여 전원전압(VCC)의 경로를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3 트림비트 신호(STE3)가 입력될 경우 제 12 인버터(I12)에 의해 반전된 로직 로우인 제 1 경로 제어신호(RTE)가 출력되고, 제 13 인버터(I13)에 의해 로직 하이인 제 2 경로 제어신호(IRTE)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 1 경로 제어신호(RTE)에 의해 제 53 PMOS 트랜지스터(P53)가 구동하여 제 25 노드(Q25)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다. 또한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3 트림비트 신호(TE3)가 입력될 경우 제 12 인버터(I12)에 의해 로직 하이인 제 1 경로 제어신호(RTE)가 출력되고, 제 13 인버터(I13)에 의해 로직 로우인 제 2 경로 제어신호(IRTE)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 2 경로 제어신호(IRTE)에 의해 제 33 PMOS 트랜지스터(P33)가 구동하여 제 20 노드(Q20)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전압 레벨 제어신호(VLC1 내지 VLC4)와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신호(RTE 및 IRTE)에 의해 전압 레벨 변환부(154)에서는 제 1 내지 제 7 전압레벨의 패키지 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먼저, 제 2 경로 제어신호(IRTE)에 의해 제 53 PMOS 트랜지스터(P53)가 턴오프 되고, 제 33 PMOS 트랜지스터(P33)가 턴온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제 1 내지 제 3 전압 레벨 제어신호(VLC1 내지 VLC3)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전압레벨의 전압이 출력단에 인가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전압레벨 제어신호(VLC1)에 의해 제 30 PMOS 트랜지스터(P30)가 턴온된다. 제 33, 제 30 및 제 37 PMOS 트랜지스터(P33, P30 및 P37)에 의해 전압강하 및 전압 분배되어 출력단에 제 1 전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 2 전압레벨 제어신호(VLC2)에 의해 제 31 PMOS 트랜지스터(P31)가 턴온되고, 제 33 및 제 31 PMOS 트랜지스터(P33 및 P31)와 제 36 및 제 37 PMOS 트랜지스터(P36 및 P37)에 의해 전압강하 및 전압 분배되어 출력단에 제 2 전압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 3 전압레벨 제어신호(VLC3)에 의해 제 32 PMOS 트랜지스터(P32)가 턴온되고, 제 33 및 제 32 PMOS 트랜지스터(P33 및 P32)와 제 35 내지 제 37 PMOS 트랜지스터(P35 내지 P37)에 의해 전압강하 및 전압 분배되어 출력단에 제 3 전압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먼저, 제 1 경로 제어신호(RTE)에 의해 제 33 PMOS 트랜지스터(P33)가 턴오프 되고, 제 53 PMOS 트랜지스터(P53)가 턴온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제 1 내지 제 4 전압 레벨 제어신호(VLC1 내지 VLC4)에 의해 제 4 내지 제 7 전압레벨의 전압이 출력단에 인가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전압레벨 제어신호(VLC1)에 의해 제 38 PMOS 트랜지스터(P38)가 턴온되고, 제 53 및 제 38 PMOS 트랜지스터(P53 및 P38), 제 39 및 제 40 PMOS 트랜지스터(P39 및 P40)와 제 63 PMOS 트랜지스터(P63)에 의해 전압강하 및 전압 분배되어 출력단에 제 4 전압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 2 전압레벨 제어신호(VLC2)에 의해 제 41 PMOS 트랜지스터(P41)가 턴온되고, 제 53 및 제 41 PMOS 트랜지스터(P53 및 P41), 제 42 및 제 43 PMOS 트랜지스터(P42 및 P43), 제 44 및 제 45 PMOS 트랜지스터(P44 및 P45)와 제 63 PMOS 트랜지스터(P63)에 의해 전압강하 및 전압 분배되어 출력단에 제 5 전압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 3 전압레벨 제어신호(VLC3)에 의해 제 46 PMOS 트랜지스터(P46)가 턴온되고, 제 53 및 제 46 PMOS 트랜지스터(P53 및 P46), 제 47 및 제 48 PMOS 트랜지스터(P47 및 P48), 제 49 및 50 PMOS 트랜지스터(P49 및 P50), 제 51 및 제 52 PMOS 트랜지스터(P51 및 P52)와 제 63 PMOS 트랜지스터(P63)에 의해 전압강하 및 전압 분배되어 출력단에 제 6 전압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 4 전압레벨 제어신호(VLC4)에 의해 제 54 PMOS 트랜지스터(P54)가 턴온되고, 제 53 및 제 54 PMOS 트랜지스터(P53 및 P54), 제 55 및 제 56 PMOS 트랜지스터(P55 및 P56), 제 57 및 제 58 PMOS 트랜지스터(P57 및 P58), 제 59 및 제 60 PMOS 트랜지스터(P59 및 P60), 제 61 및 제 62 PMOS 트랜지스터(P61 및 P62)와 제 63 PMOS 트랜지스터(P63)에 의해 전압강하 및 전압 분배되어 출력단에 제 7 전압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즉, 제 38, 제 41, 제 46 및 제 54 PMOS 트랜지스터(P38, P41, P46 및 P54)의 턴온 상태에 따라 병렬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고 이로써 다양한 레벨의 전압 및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출력부(156)는 제 30 내지 제 35 NMOS 트랜지스터(N30 내지 N35)를 이용한 누설 통로를 두고, 전압레벨 변환부(154)의 출력인 제 1 내지 제 7 전압레벨 신호(PVT)를 비교기준전압 생성수단(130)에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과 동작을 하는 패키지 전압 생성부(150)에서 출력된 패키지 전압(PVT)(제 1 내지 제 7 전압레벨)에 의해 기준전압 생성부(130)의 출력인 제 2 비교기준 신호(REFCRV)와 제어신호(NGATE)가 변화하게 된다. 이로써, 부스팅 전압을 일정한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기준전압(제 2 비교기준 신호(REFCRV))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귤레이션 블록(100)은 내부에서 기준전압을 생성하여 입력된 부스팅 전압과 이를 비교하여 입력된 부스팅 전압의 레벨이 기준전압에 비하여 높고 낮음에 따라서 클럭 생성기(200)를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의 로직 상태를 변화시킨다. 레귤레이션 블록(100)은 이와 같이 클럭 생성기(200)를 제어하여 부스팅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레귤레이션 블록(100)의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에 의해 제어되는 클럭 생성기(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생성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럭 생성기(200)는 제 1 내지 제 5 클럭 발생부(210 내지 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5 클럭 발생부(210 내지 250)는 각각 외부의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와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5 클럭 발생부(210 내지 250)의 출력단은 앞단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한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5 클럭 발생부(210 내지 250)의 회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클럭 발생부(2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 1 클럭 발생부(210)는 외부의 제 1 클럭 제어신호(PBIAS)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와 제 5 클럭 출력단(CLK4)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P2)가 전원전압(VCC)과 제 1 클럭 신호(CLK0)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 2 클럭 제어신호(NBIAS)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N1)와 제 5 클럭 출력단(CLK4)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N2)가 제 1 클럭 출력단(CLK0)과 접지전원(VSS)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즉, 제 1 PMOS 트랜지스터(P1), 제 2 PMOS 트랜지스터(P2),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와 제 1 NMOS 트랜지스터(N1)가 전원전압(VCC)과 접지전원(VSS)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접속 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1)와 제 1 NMOS 트랜지스터(N1)는 각각 외부의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에 의해 구동되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P2)와 제 2 NMOS 트랜지스터(N2)는 제 5 클럭발생부(250)의 출력인 제 5 클럭 신호(CLK4) 출력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술한 클럭 생성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클럭 제어신호(PBIAS)에 의해 제 1 PMOS 트랜지스터(P1)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전원전압(VCC)을 제 2 PMOS 트랜지스터(P2)의 드레 인 단자에 인가하는 것을 제어하게 되고, 제 2 클럭 제어신호(NBIAS)에 의해 제 1 NMOS 트랜지스터(N1)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접지전원(VSS)을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 단자에 인가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때, 제 5 클럭 발생부(250)의 출력인 제 5 클럭 신호(CLK4)의 로직 상태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와 제 2 NMOS 트랜지스터(N2) 중 어느 하나가 턴온되어 제 5 클럭 신호(CLK4)와 로직 상태가 반대인 제 1 클럭 신호(CLK0)를 제 1 클럭 발생부(210)의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즉, 제 1 내지 제 5 클럭 발생부(210 내지 250)는 앞단의 출력신호의 로직 상태와 반대되는 로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내지 제 5 클럭 신호(CLK0 내지 CLK4)의 초기 로직 상태가 각각 하이, 로우, 하이, 로우 및 하이상태이고,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의 로직 상태가 각각 로우와 하이가 인가될 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클럭 발생부(210)의 제 1 PMOS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P1 및 N1)는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PBIAS 및 NBIAS)에 의해 턴온되고,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5 클럭 신호(CLK4)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2)가 턴온된다. 이로써 제 1 클럭 발생부(210)는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5 클럭 신호(CLK4)를 입력받아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1 클럭 신호(CLK0)를 출력한다. 제 2 클럭 발생부(220)는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1 클럭 신호(CLK0)를 입력받아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2 클럭 신호(CLK1)를 출력한다. 제 3 클럭 발생부(230)는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2 클럭 신호(CLK1)를 입력받아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3 클럭 신(CLK2)호를 출력한다. 제 4 클럭 발생부(240)는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3 클럭 신호(CLK2)를 입력받아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4 클럭 신호(CLK3)를 출력한다. 제 5 클럭 발생부(250)는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4 클럭 신호(CLK3)를 입력받아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5 클럭 신호(CLK4)를 출력한다. 제 1 클럭 발생부(210)는 로직 상태가 로우인 제 5 클럭 신호(CLK4)를 입력받아 로직 상태가 하이인 제 1 클럭 신호(CLK0)를 출력한다.
제 1 클럭 신호(CLK0)의 로직 상태를 살펴보면 하이에서 로우로 다시 로우에서 하이로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제 1 내지 제 5 클럭 발생부(210 내지 250)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제 1 내지 제 5 클럭 신호(CLK0 내지 CLK4)를 출력하여 제 1 및 제 2 펌프(300 내지 31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 1 클럭 제어신호(PBIAS)에 로직 상태가 하이인 신호가 입력되거나, 제 2 클럭 제어신호(NBISA)에 로직 상태가 로우인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가 턴오프 되거나, 제 2 NMOS 트랜지스터(N2)가 턴오프된다. 이로써, 제 1 내지 제 5 클럭 발생부(210 내지 250)의 클럭 신호가 소정의 로직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게 되어 클럭 주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림 비트를 이용하여 PVT 전압의 레벨을 조정 비교기준전압 생성부 제어하고, 전압 강하된 부스팅 전압과 비교기준전압 생성부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부스팅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안정적인 부스팅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부스팅 전압을 평상시에도 유지할 수 있어, 소자의 읽기 동작의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Claims (7)

  1. 펌프에 의해 부스팅된 전압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부스팅 전압을 강하하기 위한 부스팅 전압 분배수단;
    외부의 트림비트에 따라 다양한 전압 레벨을 갖는 패키지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패키지 전압 생성 수단;
    상기 패키지 전압 생성 수단의 상기 패키지 전압 신호에 따라 전압레벨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변 기준전압과 가변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기준전압 생성 수단;
    상기 가변 제어전압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전압 강하된 부스팅 전압과 상기 가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 결과신호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 제어신호에 의해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생성기; 및
    상기 클럭신호에 의해 부스팅 전압을 항상 출력하는 제 1 펌프와 외부의 독출 신호와 상기 클럭 신호에 의해 부스팅 전압을 출력하는 제 2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2. 클럭 생성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펌핑된 전압을 출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출력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클럭생성기를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션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션 블록은,
    상기 출력의 전압을 일정한 레벨로 강하하기 위한 부스팅 전압분배수단;
    외부의 트림비트에 따라 다양한 전압레벨을 갖는 패키지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패키지 전압 생성수단;
    상기 패키지 전압신호에 따라 전압레벨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변 기준전압과 가변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기준 전압 생성수단; 및
    상기 가변 제어전압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전압분배 수단의 출력과 상기 가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클럭 생성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전압 생성수단은,
    제 1 내지 제 3 트림비트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내지 제 4 전압 레벨 제어신호와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트림비트 입력부;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압 레벨 제어신호와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신호에 의해 제 1 내지 제 7 전압레벨을 갖는 패키지 전압신호를 생성하는 전압레벨 변환부; 및
    상기 패키지 전압신호를 상기 비교 기준전압 생성수단으로 출력하는 패키지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비트 입력부는,
    제 1 트림비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트림비트 신호를 반전하는 제 1 인버터;
    제 2 트림비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트림비트 신호를 반전하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1 및 제 2 인버터에 접속되어, 상기 반전된 제 1 및 제 2 트림비트 신호의 로직조합을 통해 제 1 전압 레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낸드 게이트;
    상기 제 2 인버터 및 상기 제 1 트림비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반전된 제 2 트림비트 신호 및 상기 제 1 트림비트 신호의 로직조합을 통해 제 2 전압 레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낸드 게이트;
    상기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2 트림비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반전된 제 1 트림비트 신호 및 상기 제 2 트림비트 신호의 로직조합을 통해 제 3 전압 레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낸드 게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트림비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트림비트 신호의 로직 조합을 통해 제 4 전압 레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4 낸드 게이트;
    제 3 트림비트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 3 트림비트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 1 경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3 인버터; 및
    상기 제 3 인버터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경로 제어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 2 경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 4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레벨 변환부는,
    전원전압과 제 1 노드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전원전압과 제 2 노드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경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노드와 제 3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전압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노드와 제 4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압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노드와 제 5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압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5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6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4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7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4 노드와 상기 제 5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8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5 노드와 상기 제 6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9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6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압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10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11 및 제 1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노드와 제 7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압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13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7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14 및 제 15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7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16 및 제 17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노드와 제 8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전압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18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8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19 및 제 20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8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21 및 제 2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8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23 및 제 24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노드와 제 9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4 전압 레벨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 25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9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26 및 제 27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9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28 및 제 29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9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30 및 제 3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6 노드와 상기 제 9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32 및 제 33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6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6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34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팅 전압 분배수단은,
    상기 부스팅 전압 분배수단의 입력단과 접지전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각기 소스단자와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6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준 전압 생성부는,
    전원전압과 제 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패키지 전압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노드와 접지전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노드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팅 전압 제어 회로.
KR1020020060998A 2002-10-07 2002-10-07 부스팅 전압 제어회로 KR10054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998A KR100543318B1 (ko) 2002-10-07 2002-10-07 부스팅 전압 제어회로
US10/615,046 US6812775B2 (en) 2002-10-07 2003-07-08 Boosting voltage control circuit
JP2003348701A JP4482306B2 (ja) 2002-10-07 2003-10-07 ブースト電圧制御回路
US10/978,728 US7123078B2 (en) 2002-10-07 2004-11-01 Boosting voltage control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998A KR100543318B1 (ko) 2002-10-07 2002-10-07 부스팅 전압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865A KR20040031865A (ko) 2004-04-14
KR100543318B1 true KR100543318B1 (ko) 2006-01-20

Family

ID=3204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998A KR100543318B1 (ko) 2002-10-07 2002-10-07 부스팅 전압 제어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812775B2 (ko)
JP (1) JP4482306B2 (ko)
KR (1) KR100543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0117B2 (en) 2008-05-14 2011-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flash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2066B2 (ja) 2003-06-27 2008-01-1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7719343B2 (en) 2003-09-08 2010-05-18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noise charge pump method and apparatus
ITRM20030512A1 (it) * 2003-11-05 2005-05-06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a pompa di carica a basso tempo di assestamento
JP4257196B2 (ja) * 2003-12-25 2009-04-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駆動方法
US20050225376A1 (en) * 2004-04-08 2005-10-13 Ati Technologies, Inc. Adaptive supply voltage body bias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077429B2 (ja) * 2004-06-09 2008-04-16 株式会社東芝 昇圧回路
KR100680441B1 (ko) * 2005-06-07 2007-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안정적인 승압 전압을 발생하는 승압 전압 발생기
JP2008005374A (ja) * 2006-06-26 200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ストリーム対応マルチプレクサ及びデマルチプレクサシステム
JP2008112507A (ja) * 2006-10-30 2008-05-15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8816659B2 (en) * 2010-08-06 2014-08-26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noise high efficiency bias generation circuits and method
US9660590B2 (en) 2008-07-18 2017-05-23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noise high efficiency bias generation circuits and method
EP2311184A4 (en) * 2008-07-18 2014-02-26 Peregrine Semiconductor Corp SOFTENER HIGH PERFORMA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S AND METHOD
KR100944322B1 (ko) * 2008-08-04 2010-03-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 변화 메모리 장치
WO2010018068A1 (en) * 2008-08-13 2010-02-18 Audioasics A/S Temperature compensated voltage pump
JP5554910B2 (ja) * 2008-09-08 2014-07-23 ローム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回路の制御回路およびそれらを利用した電源回路
CN101674011B (zh) * 2008-12-16 2012-05-30 昆山锐芯微电子有限公司 电荷泵
KR20100098954A (ko) * 2009-03-02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벨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압 발생기
US8339185B2 (en) 2010-12-20 2012-12-25 Sandisk 3D Llc Charge pump system that dynamically selects number of active stages
KR101196911B1 (ko) 2010-12-30 2012-11-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압 생성 방법
US8686787B2 (en) 2011-05-11 2014-04-01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voltage ring pump with inverter stages and voltage boosting stages
US9413362B2 (en) 2011-01-18 2016-08-09 Peregrine Semiconductor Corporation Differential charge pump
US8836412B2 (en) 2013-02-11 2014-09-16 Sandisk 3D Llc Charge pump with a power-controlled clock buff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output voltage ripple
US8981835B2 (en) 2013-06-18 2015-03-17 Sandisk Technologies Inc. Efficient voltage doubler
US9024680B2 (en) 2013-06-24 2015-05-05 Sandisk Technologies Inc. Efficiency for charge pumps with low supply voltages
US9077238B2 (en) 2013-06-25 2015-07-07 SanDisk Technologies, Inc. Capacitive regulation of charge pumps without refresh operation interruption
US9007046B2 (en) 2013-06-27 2015-04-14 Sandisk Technologies Inc. Efficient high voltage bias regulation circuit
JP5894565B2 (ja) * 2013-08-13 2016-03-30 株式会社東芝 レギュレータ、および、スイッチ装置
US9083231B2 (en) 2013-09-30 2015-07-14 Sandisk Technologies Inc. Amplitude modulation for pass gate to improve charge pump efficiency
US20150109500A1 (en) * 2013-10-18 2015-04-23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including spread spectrum charge pump
US9154027B2 (en) * 2013-12-09 2015-10-06 Sandisk Technologies Inc. Dynamic load matching charge pump for reduced current consumption
US9917507B2 (en) 2015-05-28 2018-03-13 Sandisk Technologies Llc Dynamic clock period modulation scheme for variable charge pump load currents
KR20170003025A (ko) * 2015-06-30 2017-01-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내부전압 생성회로
US9647536B2 (en) 2015-07-28 2017-05-09 Sandisk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generation using low voltage devices
KR102374228B1 (ko) * 2015-08-27 202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성 메모리 장치의 부스트 전압 생성기, 이를 포함하는 전압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저항성 메모리 장치
US9520776B1 (en) 2015-09-18 2016-12-13 Sandisk Technologies Llc Selective body bias for charge pump transfer switches
US10365833B2 (en) 2016-01-22 2019-07-3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signal lines for multi-level communication architectures
KR102504615B1 (ko) * 2016-09-09 2023-03-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대기전류 감소를 위한 펌프 스위칭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펌핑 장치
US10283187B2 (en) 2017-07-19 2019-05-07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onal drive to multilevel signals representing data
CN108170021B (zh) * 2018-02-12 2023-05-23 宗仁科技(平潭)有限公司 一种电子表驱动电路和电子表
WO2020033597A1 (en) 2018-08-07 2020-02-13 Battery Savers Inc. Method and system to boost battery voltage
US11489441B2 (en) * 2020-06-02 2022-11-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851B1 (ko) * 1996-12-16 1999-10-15 윤종용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독출전압 부스팅회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6974A (en) * 1987-12-24 1991-04-09 Waferscale Integration Inc. On-chip high voltage generator and regulator in an integrated circuit
US5553030A (en) * 1993-09-10 1996-09-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provided by a charge pump circuit
JP2917877B2 (ja) * 1995-10-11 1999-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基準電流発生回路
KR19990047008A (ko) * 1997-12-02 1999-07-05 구본준 외부조건 변화에 둔감한 기준전압 발생회로
JP2000173266A (ja) * 1998-12-07 2000-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昇圧回路
JP3583703B2 (ja) * 2000-09-22 2004-11-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6891426B2 (en) * 2001-10-19 2005-05-10 Intel Corporation Circuit for providing multiple voltage sign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851B1 (ko) * 1996-12-16 1999-10-15 윤종용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독출전압 부스팅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0117B2 (en) 2008-05-14 2011-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flash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35164B1 (ko) 2008-05-14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2306B2 (ja) 2010-06-16
US20040066225A1 (en) 2004-04-08
US20050062518A1 (en) 2005-03-24
JP2004134074A (ja) 2004-04-30
US6812775B2 (en) 2004-11-02
KR20040031865A (ko) 2004-04-14
US7123078B2 (en)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318B1 (ko) 부스팅 전압 제어회로
KR100339023B1 (ko) 문턱전압을조절할수있는플래쉬메모리장치의센싱회로
US7595682B2 (en) Multi-stage charge pump without threshold drop with frequency modulation between embedded mode operations
US10192594B2 (en) Semiconductor device
US6188590B1 (en) Regulator system for charge pump circuits
US6429725B1 (en) Pump circuit with active-mode and stand-by mode booster circuits
KR100467918B1 (ko) 낮은동작전압에서유효한전압변환회로를구비한반도체집적회로
US6154412A (en) Microcomputer and microprocessor having flash memory operable from single external power supply
KR100363749B1 (ko) 복수레벨플래쉬메모리프로그래밍을위한고정밀전압조절회로
JPH06282987A (ja) 集積回路用電力供給装置
JP2003308126A (ja) 電位発生回路
US20050212575A1 (en)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of delay locked loop and the delay locked loop having the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US5903513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clock frequency invariant voltage step-down circuit
US5875146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burst length invariant internal circuit
US640467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table read operation and read method thereof
US6781439B2 (en) Memory device pump circuit with two booster circuits
EP0594162A1 (en) Wide range power supply for integrated circuits
US779194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pparatus for detecting threshold voltage
KR100401520B1 (ko) 저전력 동작모드용 내부 강압 전원 드라이버 회로
JPH11214978A (ja) 半導体装置
KR100554135B1 (ko)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
KR100464435B1 (ko) 저 전력의 하프 전압 발생 장치
KR100282728B1 (ko) 플래쉬메모리장치
US11961569B2 (en) Clock-generating circuit
US20240013841A1 (en) Clock-generat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