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995B1 -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995B1
KR100541995B1 KR1020047002517A KR20047002517A KR100541995B1 KR 100541995 B1 KR100541995 B1 KR 100541995B1 KR 1020047002517 A KR1020047002517 A KR 1020047002517A KR 20047002517 A KR20047002517 A KR 20047002517A KR 100541995 B1 KR100541995 B1 KR 10054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rake
braking
plate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953A (ko
Inventor
사가와히로후미
카지타나오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권양기(100)에서 로프를 걸어서 회전하는 활차(14)와, 활차 1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60)와, 일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활차(14)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의 수용부(2)와, 일면에 개구부를 소유하고, 상기 브레이크 60)를 내부에 수용하고, 또 상기 브레이크(60)를 수용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상기 제1의 수용부(2)의 개구에 계합하는 제2의 수용부(40)를 구비한다.
권양기, 하우징, 정면판부, 중간판부, 측벽부.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양기{HOIST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걸어서 승강에 사용하는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2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권양기(200)의 횡단면, 도 6은 권양기(200)의 종단면도를 표시한다.
도 5,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양기(200)는 권양기(200)의 정면을 덮는 하우징과 배면을 닫는 지지판(7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은 1면에 개구부를 갖는 완(椀)상태(BOWL)의 모양을 하고 있다. 하우징(2)의 내부의 중심에는 중심축(1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중심축(12)의 중심에는 활차(14)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활차(14)의 중심축(12)에 접해서 부착되는 부분은 원주상이다.
원주상부분의 중심축(12)과 접하는 부분에는 윤활유 주입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원주상부분의 표면에는 로프를 감기 위한 로프받이 홈(30)이 설치되어 있다.
원주상부분의 배면측에는 원주상부분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는 원형의 1면 에 개구를 갖는 완(椀)상태(BOWL)가 부착되어 있다. 완상태부분의 내측에는 제동면(32)이 설치되고, 완상체부분의 외측에는 자석(34)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2)의 자석(34)의 대향위치에 솔레노이드 코일(36)이 구비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기구(60)는 지지판에 부착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이로 인해 브레이크기구(60)는 활차(14)의 완상체부분의 내부에 배치된다. 브레이크기구(60)는 중심축(1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권양기(200)의 작동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완상체부분의 내벽에 설치된 제동면에 브레이크기구(60)의 제동편 (60)을 대여줌으로서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권양기(200)의 구조에서는 지지판(74)에 직접 브레이크기구(60)를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기구(60)의 제동편(66)을 밀어서 접촉되는 제동면(32)은 지지판(74)의 내부에서 박리된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활차(14)의 회전에 의해 분진 등 이물이 발생하였을 때, 이 이물은 제동면(32)에 부착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원활하게 활차(14)를 회전시키기 위해 활차의 윤활유 주입부(26)에는 윤활유가 주입된다. 그러나 이 윤활유도 활차(14)의 회전과 함께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있고 누출된 윤활유가 제동면(32)에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제동면(32)에 이물이나 윤활유가 부착하면 제동면(32)의 마찰계수가 불안정하게 되고 브레이크 보존력의 저하에 연결되어 버린다.
또 브레이크기구(60)는 지지판(7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보수 는 쉽게 되나, 예를 들면 브레이크의 교환 등의 경우에는 지지판(74) 전체를 떼어내어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보수작업의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또 브레이크기구(60)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본체(62)를 지지판(74)에 부착볼트(64)로 부착하고 다시 브레이크본체(62)에 제동편(66)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오차에 기인해서 브레이크 제동력이 저하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제동 보전력은 지지판(74)에 부착한 부분의 체결강도에 의존하므로, 철저한 체결이 필요해진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된 브레이크 제동력을 소유하고 또 보수작업이 용이한 개량된 권양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로프를 걸어서 회전하는 활차와, 상기 활차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와 일면에 개구되고, 상기 활차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의 수용부와 일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를 내부에 수용하고 또 상기 브레이크를 수용한 면에서 상기 제1의 수용부의 개구부에 계합하는 제2의 수용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활차와 브레이크를 갈라서 수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권양기내의 이물이나 권양기로부터 누설되는 윤활유 등에서 제동면 등을 보호할 수가 있고 안정된 브레이크 보존력을 갖는 권양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상기 브레이크가 제동편을 갖고 또 상기 활차의 제동면에 상기 제동편을 접촉함으로써 상기 활차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2의 수용부는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편과 계합하는 계합부를 소유하고 상기 제동편은 상기 계합부가 계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동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브레이크의 제동편을 계합부에 따라 유도함으로서 브레이크 제동면의 일정한 위치에 닿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안정된 브레이크 보존력을 갖는 권양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상기 활차가 로프를 걸어주는 원주체부와, 상기 원주체부의 배면에 부착된 완상체부와, 상기 완상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제동면을 소유하고 상기 제2의 수용부는 상기 완상체부에 따르도록 해서 상기 제1의 수용부에 계합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완상체부의 제동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관통공인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는 다시 상기 제2의 수용부의 개구측에 분리할 수 있는 뚜껑부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우선 도 1에서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4는 권양기(100)를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은 횡단면, 도 2는 종단면을 표시한다. 또 도 3은 도 1, 2에서의 A-A'방향의 배면에서 본 단면, 도 4는 도 1, 2에서의 B-B'방향의 배면에서 본 단면을 표시한다.
도 1에서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권양기(100)의 정면측은 하우징(2)으로 덮혀 있다.
하우징(2)은 정면판부(4)와 중간판부(6)와, 측벽부(8),(10)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정면판부(4)는 원반상체이고, 권양기(100)의 가장 정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판부(6)는 중앙을 원형으로 파낸 도너쓰형의 원반상체이고, 정면판부(4)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중간판부(6)의 내주의 경은 정면판부(4)의 외경과 같고, 외주의 경은 정면판부(4)의 경보다도 크다.
측벽부(8)는, 정면판부(4)의 외경 및 중간판부(6)의 내주의 경과, 같은 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상체이다.
측벽부(8)는 벽면이 정면판부(4)와 중간판부(6)에 대해 거의 수직이 되도록 해서 일단에서 정면판부(4)의 외주를 따라 접속되고 타단에서 중간판부(6)의 외주를 따라 접속한 상태로, 정면판부(4)와 중간판부(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부(10)는 중간판부(6)의 외주의 경과 같은 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상체이다.
측벽부(10)는 중간판부(6)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중간판부(6)의 측벽부(8)가 접속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외주에 따르도록 해서 접속되어 있다.
즉 하우징(2)은 권양기(100)의 배면측에 측벽부(10), 중간판부(6), 측벽부 (8), 정면판부(4)로 덮힌 공간을 갖는 완상체이다.
또 이 명세서에서 하우징(2)의 개구가 있는 면측을 권양기의 배면측으로 하고 개구면에 대향하는 면측을 권양기(100)의 정면측으로 하고 있다.
하우징(2)의 내측에는 중심축(12)이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12)은 정면판부(4)의 중심부에 하우징(2)의 정면판부(4)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하우징(2)의 내부에 정면판부(4)에서 배면측에 이르도록 설치된 원주상체이다.
또, 하우징(2)의 내측에는 중심축(12)을 중심으로 활차(14)가 설치되어 있다. 활차(14)는 원주체부(16), 중간판부(18), 내주벽부(20) 및 외주벽부(22)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원주체부(16)는 중앙에 중심축(12)을 관통시키는 관통공을 갖는 원주상체이 다. 원주체부(16)는 하우징(2)의 정면판부(4)에 대향하고 중심축(12)을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또 중간판부(18)는 중앙에 중심축(12)을 관통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도너쓰형의 원반체이다. 중간판부(18)는 원주체부(16)의 정면측과는 반대의 면에 원주체부 (16)의 관통공과, 중간판부(18)의 관통공을 합치시키도록 해서 접속되어 있다.
내주벽부(20)는 중간판부(18)의 중앙에 설치된 개구와 같은 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상체이다. 내주벽부(20)는 중간판부(18)의 개구를 따라 중간판부(18)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중간판부(18)에 접속되어 있다.
외주벽부(22)는 중간판부(18)의 외주와 같은 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체이다. 외주벽부(22)는 중간판부(18)의 외주를 따라 중간판부(18)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중간판부(18)에 접속되어 있다.
즉 활차(14)는 원주부분(16)을 다리부로 보았을 때, 중앙에 중심축(12)을 통과하는 관통공을 소유하고, 다시, 내주벽부(20)와, 중간판부(18)와, 측벽부(22)로 덮인 도너쓰형의 개구부를 갖는 변형된 완상체이고, 이 개구부를 배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활차(14)의 원주체부(16)에는 베어링(24)이 설치되고, 이로 인해 활차(14)는 원주체부(16)에서 중심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베어링(24)은 윤활유 주입부(26)를 가지고 있다. 윤활유 주입부(26)의 주위에는 실재료(28)가 구비되어 있다. 또 원주체부(16)의 외측에는 로프받이 홈 (30)이 마련되어 있다.
활차(14)의 측벽부(22)의 내벽측에는 제동면(32)이 설치되고 활차(14)의 측벽부(22)의 외벽측에는 자석(3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자석(34)에 대향하도록 하우징(2)의 측벽부(10)의 내벽에는 솔레노이드 코일(36)이 구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감는 휠(100)의 배면측의 노출부분을 덮도록 해서 배판(40)이 설치되어 있다.
배판(40)은 정면판부(42)와, 배면 중앙판부(44)와, 배면 외주판부(46)와, 중앙측벽부(48)와 중간측벽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정면판부(42)는 중심부에 원형의 개구를 갖는 도너쓰형의 원반상체이다. 정면판부(42)의 개구부의 경은 활차(14)의 내주벽부(20)의 경보다도 크다.
정면판부(42)는 활차(14)의 중간판부(18)에 대향해서 평행으로 배치되고, 개구부에는 활차(14)의 내주벽부(20)가 관통하고 이다. 또 정면판부(42)의 외주의 경은 활차(14)의 외주벽부(22)의 경보다 작게되어 있다.
배면 중앙판부(44)는 중심부에 원형의 개구를 갖는 4각형의 반상체이다. 배면 중앙판부(44)는 정면판부(42)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배면 중앙판부(44)의 개구부의 경은 중심축(12)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심축(12)의 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부(44)에는 중심축(12)이 배면 중앙판부(44)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다.
또 배면 외주판부(46)는 중앙에 원형상의 따내기를 갖는 도너쓰형의 원반상체이다. 배면 외주판부(46)의 내주의 경은 배판(40)의 정면판부(42)의 외경과 같 고, 배면 외주판부(46)의 외주의 경은, 하우징(2)의 측벽부(10)의 경과 같다. 배면 외주판부(46)는 정면판부(42)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측벽부(48)는 2개가 평행하게 배치된 사각형의 반상체이다. 중앙측벽부 (48)는 일단에서 배면 중앙판부(44)의 상변 또는 하변에 따라 거의 수직으로 접속되고 타단에서 정면판부(42)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정면판부(42)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측벽부(50)는 중공의 원통상체이다. 중간측벽부(50)의 경은 정면판부 (42)의 외주의 경 및 배면 외주판부(46)의 내주의 경과 거의 일치한다. 중간측벽부(50)는 일단에서 정면판부(42)의 외주에 따라 정면판부(42)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정면판부(42)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배면 외주판부(46)의 내주를 따라 배면 외주판부(46)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배면 외주판부(46)에 접속되어 있다.
또 중간측벽부(50)는 활차(14)의 외주벽부(22)보다 내측에 외주벽부(2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외주벽부의 제동면(32)에 대향하는 위치의 중간측벽부(50)에는 가이드 구멍(52)이 설치되어 있다.
즉, 배판(40)은 배판 외주판부(46)와, 중간측벽부(50)와, 정면판부(42)로 둘러싸인 개구를, 그 중앙에 있는 단면 해트(hat)형상의 부재이고 이 부재중앙에 배판 중앙판부(44)와 중앙측벽부(48)로 형성되는 4각형의 부재를 부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배판(40)은 활차(14)의 개구부와 중심축(12)을 배면 중앙판부(44) 및 중앙측벽부(48) 및 정면판부(42) 및 중간측벽부(50)로 덮고 또 활차(14)의 측벽부 (22)와 하우징의 측벽부(10)와의 사이의 공간을 배면 외주판부(46)를 덮는다. 따 라서, 배판(40)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활차(14) 및 중심축(12)의 측면을 따라 배판 (40)이, 배면측의 노출부분을 덮도록 되어 있다.
배판(40)의 개구부, 즉 배면 중앙판부(44)와 중앙측벽부(48)와 정면판부(42)와 중간측벽부(50)로 덮인 부분에는 브레이크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60)는 브레이크본체(62)와, 부착볼트(64)와, 제동편(66)과 탄성부재(68)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브레이크본체(62)는 배판(40)의 정면판부(42)에 부착볼트(64)로 부착되어 있다. 또 제동편(66)은 한면에서 탄성부재(68)를 통해서, 브레이크본체(6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동편(66)은 배판(40)의 중간측벽부(50)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 (52)을 관통하도록 해서 설치되고, 브레이크본체(60)에 접속된 면에 대향하는 타면에서 직접 제동면(32)을 대향해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배판(40)의 배면 중앙판부(44)와 중앙측벽부(48)와 정면판부(42)의 내측에 둘러싸인 부분에는 속도센서(70)가 구비되어 있다. 속도센서(70)는 1면에서, 배판(40)의 정면판부(42)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한면에서 활차(14)의 내주벽부(20)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정면에서 본 경우,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기구 (60)중, 브레이크본체(62), 부착볼트(64), 탄성체(68) 및 제동편(66)의 일부가 개구부분에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배판(40)의 배판 중앙판부(44) 및 배면 외주판부(46)의 일부에 접하도록 해서 배면에서 커버(72)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 성된 권양기(100)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하는 경우, 권양기(100)에 외부로부터 접속된 제어반(도시않음) 등에 의해 신호가 보내지고, 활차(14)의 회전이 개시한다. 활차(14)가 회전을 개시하면, 로프받이 홈(30)과, 걸쳐진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로프도 이동을 개시한다. 이로써 로프의 일단에 접속된 카 또는 균형추(도시않음)의 승강이 개시된다.
한편 속도센서(70)에 의해 활차(14)의 내주벽부(20)로부터 활차(14)의 회전속도가 검지된다. 이 회전속도가 정격속도 이상이 된 경우, 또는, 회전을 정지하는 신호를 받은 경우, 솔레노이드 코일(36)에 흐르는 전류가 정지한다. 전류가 정지하면 브레이크기구(60)의 제동편(66)이 탄성부재(68)의 탄성력에 의해 제동면 (32)에 밀어붙여진다. 이로써 활차(14)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이때, 제동편(66)은 가이드 구멍(52)에 관통하고 있으므로 가이드 구멍(52)에 유도되어, 제동면(32)의 적절한 위치에 밀어붙여진다.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윤활유 주입부(26)에는 윤활유가 주입된다. 이때, 윤활유 주입부(26)로부터 윤활유가 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윤활유 주입부 (26)는 실재(28)로 덮혀지고, 또 활차(14) 전체가 배판(40)에 의해 덮혀 있으므로 누설된 윤활유가 제동면(32)이나 브레이크기구(60)의 제동편(66)에 부착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브레이크기구(60)의 제동편(66) 및 제동편(66)이 밀어붙여지는 제동면(32)은 배판(40)에 의해 덮혀 보호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기구(60)측에서 발생한 분진 등의 이물이나 윤활유 주입 부(26)에서 누설된 윤활유가 제동편이나 제동면(32)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동면(32)에서 안정된 마찰계수를 얻을 수가 있고 브레이크 보존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배판(40)에 의해 제동면(32)을 보호한 후 개구부분에 브레이크기구(60)를 설치하고 제거가능한 커버를 배면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본체(62)의 교환 등의 경우에도 커버를 여는 것만으로 작업을 할 수가 있고, 효율 좋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가 있다.
또 제동편(66)은 가이드 구멍(52)에 관통시켜, 제동면(32)에 밀어붙여지는 경우에도 가이드 구멍(52)에 유도되어 밀어붙여진다. 따라서, 제동면(32)과 제동편(66)이 밀어붙여지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안정된 브레이크 보존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브레이크기구(60)에서는 브레이크본체(62)에 부착나사(64)를 부착하고 이를 배판(40)의 정면판부(42)에 설치하는 한편, 제동면(32)과 대향하는 제동편(66)은 가이드 구멍(52)에 관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보존력이 브레이크기구 (60)의 체결강도에 의존하는 일 없이 일정한 브레이크 보존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활차(14)가 원주본부(16), 중간판부(18), 내주벽부 (20), 외주벽부(22)를 갖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활차(1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프를 감아올리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다른 구조의 것도 상관 없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우징(2)이 정면판부(4), 중간판부(6), 측벽부(8) ,(10)를 포함하는 변형된 완상형태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하우징은 이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의 형상은 활차(14)를 정면측에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따라서 활차의 형상을 고려해서 적절한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배판(40)이 정면판부(42), 배면 중앙판부(44), 배면 외주판부(46), 중앙측벽부(48), 중간측벽부(50)를 포함하고, 단면 해트상의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배판은 이같은 형상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배판은 활차(14)를 배치한 경우에, 배면측에 노출하는 부분 특히 제공면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상이라도 되고 따라서, 배판의 형상은 활차 (14)의 배면의 형상을 고려해서, 제동면이 보호되도록 적절한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 배판(40)에는 제동편(66)을 관통시키는 가이드 구멍(52)을 두었으나, 본 발명에서 배판은 이와 같이 가이드 구멍을 갖는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배판은 예를 들면 제동면(32)에 제동편(66)을 밀어붙일 수 있도록 배판에 홈이 되어 있는 것도 된다.
또 배판(40)의 배면에서, 지지판(72)을 배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지판을 갖는 것에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서의 제1의 수용부에는 예를 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하우징(2)이 해당하고, 제2의 수용부에는 예를 들면, 배판(40)이 해당한다.
또 본 발명에서의 계합부에는 예를 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가이드 공이 해당한다. 또 본 발명에서의 원주체부에는 예를 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활차 (14)의 원주체부(16)가 해당되고, 완상체부에는 예를 들면 활차의 중간판부(18), 내주벽부(20), 외주벽부(22)로 구성되는 부분이 해당한다. 또 본 발명에서의 뚜껑부에는 예를 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커버(72)가 해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권양기에서 브레이크는 제1의 수용부와는 구분된 제2의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의 교환 등의 작업도 제2의 수용부의 개구로부터 효율 좋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활차를 수용하는 제1의 수용부와, 브레이크를 수용하는 제2의 수용부를 구비하기 위해, 활차와 브레이크와의 사이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권양기내의 이물이나 권양기로부터 누설되는 윤활유 등에서 제동면을 보호할 수가 있고 안정된 브레이크 보존력을 갖는 권양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제2의 수용부에 브레이크의 제동면과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에 대해서는 브레이크의 제동편을 계합부를 따라 유도함으로서 브레이크 제동면의 일정의 위치에 밀어대일 수가 있다. 따라서, 안정된 브레이크 보존력을 갖는 권양기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3)

  1. 로프를 걸어서 회전하는 활차와, 상기 활차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와, 1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활차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의 수용부와, 1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브레이크를 내부에 수용하고, 또 상기 브레이크를 수용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상기 제1의 수용부의 개구에 계합하는 제2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제동편을 가지고, 또 상기 활차의 제동면에 상기 제동편을 접촉함으로써 상기 활차의 회전을 정지시켜, 상기 제2의 수용부는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편과 계합하는 계합부를 소유하고 상기 제동편은 상기 계합부와 계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동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는 로프를 거는 원주체부와, 상기 원주체부의 배면에 부착된 완상체부와, 상기 완상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제동면을 소유하고, 상기 제2의 수용부는 상기 완상체부에 따르도록 해서 상기 제1의 수용부에 계합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완상체부의 제동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관통공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KR1020047002517A 2002-07-05 2002-07-05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KR100541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6832 WO2004005178A1 (ja) 2002-07-05 2002-07-05 エレベータ用巻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953A KR20040027953A (ko) 2004-04-01
KR100541995B1 true KR100541995B1 (ko) 2006-01-11

Family

ID=3002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517A KR100541995B1 (ko) 2002-07-05 2002-07-05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64067B2 (ko)
KR (1) KR100541995B1 (ko)
CN (1) CN1270961C (ko)
DE (1) DE10297127B4 (ko)
WO (1) WO2004005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0499B1 (fr) * 2005-09-05 2007-11-16 Leroy Somer Moteurs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JP5289318B2 (ja) * 2007-09-14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5206192B2 (ja) * 2008-07-22 2013-06-1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機
CN105121892B (zh) * 2013-04-24 2017-08-04 三菱电机株式会社 制动装置、使用该制动装置的电梯用曳引机以及制动装置的缓冲反作用力调整方法
JP2015157662A (ja) * 2014-02-24 2015-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
JP6712094B2 (ja) * 2017-07-07 202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機
CN112177285A (zh) * 2020-10-09 2021-01-05 张学奎 一种建筑外墙翻新粉刷免搭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590A (ja) * 1988-10-14 1990-04-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DE4435849A1 (de) * 1994-10-07 1996-04-11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Hebezeugantrieb
JP3537348B2 (ja) * 1999-04-05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02145560A (ja) * 2000-10-31 2002-05-22 Hosai Ro 機械室レス昇降路専用ロープ式エレベータの巻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0961C (zh) 2006-08-23
JP4164067B2 (ja) 2008-10-08
WO2004005178A1 (ja) 2004-01-15
DE10297127B4 (de) 2010-04-08
CN1547550A (zh) 2004-11-17
DE10297127T5 (de) 2004-07-29
JPWO2004005178A1 (ja) 2005-11-04
KR20040027953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809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JP372597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2138441A1 (en) Elevator hoist
KR100541995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EP1719731A1 (en) Elevator hoist
JP7032291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9173436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WO201512526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338915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0502458B1 (ko) 엘리베이터 권양기
JP2004299824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EP1705148A1 (en) Elevator hoist
JP4439470B2 (ja) エレベータ用薄形巻上機
JP5591767B2 (ja) 薄型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441043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KR100790654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2010100373A (ja) エレベータ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WO201512528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51316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JP4312553B2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KR100451317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JP378757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03207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3112502A (ja) エレベーター用薄型巻上機
EP1514825A1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