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915B1 - 코넥터 - Google Patents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915B1
KR100540915B1 KR1019980005933A KR19980005933A KR100540915B1 KR 100540915 B1 KR100540915 B1 KR 100540915B1 KR 1019980005933 A KR1019980005933 A KR 1019980005933A KR 19980005933 A KR19980005933 A KR 19980005933A KR 100540915 B1 KR100540915 B1 KR 10054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flat cable
connector accord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764A (ko
Inventor
츠기오 안포
가츠지 시마자와
유키후미 마치다
요시카츠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81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cable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53Electrical connectors with latch rod to be retainingly received by opening of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다수의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수용한다.
적층 플랫 케이블(4)에 접속한 다수의 볼록형 단자(6)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그룹마다에 볼록형 단자(6)를 단말부(5)의 절연 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 고정하고, 이들의 단말부(5)를 받아 하우징(1)에 측방에서 삽입하여 맞붙인다.

Description

코넥터{CONNECTOR}
본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접속한 다수의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수용한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근래, 전기기기등의 전선끼리를 접속하는 코넥터의 극수는 증가하는 경향에 있고, 소형화를 위해 하우징에는 다수의 접속단자가 고밀도로 수용되어 있고, 부피가 적은것 등으로, 전선에 플랫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같이 접속단자가 다극화 하고있으면, 이들의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맞붙이는 작업성이 나쁘고, 접속단자간의 절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플랫 케이블을 사용하여, 다수의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접속단자끼리의 사이의 절연성을 양호하게 유지할수있는 코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도 1은 예컨대 자동차의 대시 패널(P)에 받이하우징(1)을 브라켓(2)을 통하여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대시패널(P)에 부착한 상태의 받이하우징(1)과 이 받이하우징(1)에 부착한 삽입하우징(3)의 사시도, 도3은 받이하우징(1)의 분해사시도, 도4는 양 하우징(1,3)을 끼워맞춤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받이하우징(1)은 대시 패널(P)에 고정된 브라켓(2)에, 상하,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고, 삽입하우징(3)은 도시하지 않은 인스트루멘트 패널에 고정되어있다. 받이하우징(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4a)를 구비한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가, 받이하우징(1)의 측방의 예컨대 직교하는 4방향에서 받이하우징(1)내에 도입되어있다.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대략 부채형상을 한 각 단말부(5)에는 다수개의 볼록형 단자(6)가 고정되어 있고, 삽입하우징(3)에는 전선(7)에 접속되고, 볼록형 단자(6)와 접속하는 다수개의 오목형 단자(8)가 수용되어 있다.
도 5는 오목형 단자(8)와 볼록형 단자(6)의 아직 전선에 접속되어 있지않은 상태의 부분단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오목형 단자(8)에는, 볼록형 단자(6)를 받아들이기 위한 단자 접속부(10)와, 약간 폭이좁은 중간부(11)와, 전선(7)의 심선을 압착하는 심선 압착부(12)가 설치되어있다. 단자 접속부(10)는 통형상으로 되었고, 거기에는 복수의 예컨대 3개의 절결부(13)가 형성됨에 따라서 3개의 가요편(可撓片)(14)이 설치되어있다. 가요편(14)의 선단측은 안쪽으로 되접어 꺾어지고 볼록형 단자(6)를 받아들여서 압접할수있는 가요접편(接片)(15)이 형성되어있다.
볼록형 단자(6)에는 오목형단자(8)의 가요접편(15)의 사이에 압입되는 접속부(16)와,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의 후술하는 커버의 단자 노출구멍에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17)와, 적층 플랫 케이블(4)의 후술하는 도체의 노출부에 고착되는 고착부(18)가 설치되어있다. 접속부(16)의 돌출끝은, 끼워맞춤부(17)에서 돌출하는 예컨대 3매의 돌출편을 오므리게 함으로써 형성할수있다.
삽입 하우징(3)의 원주상의 본체(20)의 상면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되고, 본체(20)에는 오목형 단자(8)를 수용하기위한 다수의 단자 수용구멍(22)이 복렬로 설치되어 있고, 이 단자 수용구멍(22)에 오목형 단자(8)가 빠져나갈수 없도록 걸어멈춤되어있다. 도6의 하면에서 본 사시도에서도 표시한 바와같이, 본체(20)의 상부에는 플랜지부(23)가 설치되고, 플랜지부(23)의 하면에는 테이퍼부(24)가 설치되어있다. 본체(20)의 하면의 중심에는 축부(25)가 하향으로 돌설되고, 이 축부(25)의 하단에는 가이드부(25a)와 환상 홈(25b)이 하단에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있다. 축부(25)의 주위의 본체(20)의 하면(26)은, 단부(26a)를 가지고 축부(25)측이 계단형상으로 높게되어있다. 하면(26)의 주변측에는 4개의 걸어멈춤돌기(27)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있다. 그리고, 축부(25)와 걸어멈춤돌기(27)의 사이에는, 받이하우징(1)의 후술하는 격벽이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홈(28)이 형성되어있고, 오목형 단자(8)의 단자 접속부(10)는 본체(20)의 하면(26)에 따르도록 배치되어있다. 또한, 오목부(21)와 플랜지부(23)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면 된다.
한편, 도7의 단면 사시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받이하우징(1)의 통형상의 본체(30)의 하부에는 저벽(31)이 설치되고, 이 저벽(31)의 외주면은 본체(30)의 외주면의 외측에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체(30)의 내부에는, 삽입하우징(3)의 본체(20)를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구멍(32)과, 삽입하우징(3)의 테이퍼부(24)를 끼워맞춤하는 테이퍼구멍(33)이 설치되어있다. 저벽(31)의 상면의 중심에는, 삽입하우징(3)의 축부(25)가 끼움하는 끼움구멍(34a)을 갖는 통부(34)가 상향으로 설치되고, 끼움구멍(34a)의 상부는 테이퍼부를 갖는 가이드구멍(34b)으로 되어 있고, 저벽(31)의 외주면은 본체(30)의 외주면과 일치시켜도 좋다.
또 본체(30)의 하부에는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를 끼워맞춤구멍(32)내로 도입하는 케이블 도입창(35)이, 예컨대 직교하는 4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케이블 도입창(35)의 예컨대 양측벽에는,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를 록크하기 위한 도시하지않은 록크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케이블 도입창(35) 끼리의 사이의 본체(30)에는, 저벽(31)에 형성된 수용구멍(31a) 에 통하는 슬리트(36)가 형성되고, 슬리트(36)와 통부(34)의 사이에는 삽입하우징(3)의 끼워맞춤홈(28)에 끼워맞춤하는 격벽(37)이 설치되고, 적층 플랫 케이블(4)의 각 단말부(5)는 격벽(37)에 의하여 간막이된 개소에 각기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30)의 상부 바깥 둘레에는 브라켓(2)에 결합하는 예컨대 4개의 결합편(38)이 외향으로 돌설되어있다. 그리고, 저벽(31)의 하면에 형성된 원형의 수용홈(31a)에는, 중앙부를 윗쪽으로 팽출(膨出)하고 그 팽출을 반전가능하게한 금속판으로 되어 있는 판스프링(39)이 수용되어있다.
도 8의 평면도, 도9의 단면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스프링(39)은 중앙부의 평탄한 정부(39a)와, 이 정부(39a)에서 완만하게 하강하는 경사부(39b)와, 정부(39a) 보다도 낮게 위치하는 끝부(39c)를 갖고있다. 판스프링(39)의 정부(39a)에는, 삽입하우징(3)의 축부(25)가 압입되는 끼움구멍(39d)이 형성되고, 경사부(39b)에는 복수의 구멍(39e)이 형성되고, 끝부(39c)에는 4개의 결합편(39f)이 상향으로 돌설되어있다. 그리고, 판스프링(39)은 받이하우징(1)의 수용홈(31a)에 수용되고, 정부(39)가 수용홈(31a)의 상벽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끝부(39c)가 유지부(31b)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다. 또한, 판스프링(39)의 정부(39a)는, 경사부(39b)에 연속하는 만곡면으로 할수가 있다. 또, 구멍(39e)은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구멍(39e)을 설치하는것이 판스프링(39)을 원활하게 반전시킬수가 있다.
도 10의 단면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브라켓(2)의 통형상의 본체(40)의 하부는 두꺼운 부분(40a)으로 되어있고, 본체(40)의 하부에는 외주면이 본체(40)의 외주면과 대략 일치하는 저벽(41)이 설치되어있다. 본체(40)의 내부는 받이하우징(1)의 본체(30)를 수평방향으로 약간 이동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넥터 수용구멍(42)으로 되고, 코넥터 수용구멍(42)의 입구에는 내향의 결합부(43)가 설치되어있다. 이 결합부(43)에는, 받이 하우징(1)의 결합편(38)을 모든방향으로 약간 이동자유롭게 수용하는 결합구멍(43a)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체(40)의 하부를 두꺼운 부분으로 하였지만, 저벽(41)과 다이부(45)의 강도를 손상하지 않으면 두껍게할 필요가 없다.
또, 본체(40)의 하부에는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를 도입하는 케이블 도입창(44)이 설치되어있다. 저벽(41)의 상면에는 하우징(1)의 수용홈(31a)의 내경보다 더 충분히 작은 외경을 갖는 다이부(4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다이부(45)에는 삽입 하우징(3)의 축부(25)를, 받이하우징(1)의 통부(34)를 통하여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구멍(46)이 형성되어있다.
도11은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의 사시도, 도12는 분해 사시도이고, 적층 플랫 케이블(4)은 적층된 예컨대 4매의 플랫 케이블(50∼53)로 구성되고, 플랫 케이블(50∼53)은 시트형도체(50a∼53a)가 양면에서 절연시트(50b∼53b)에 의하여 보호되고 가요성이 부여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50∼53)의 폭은 상위에 따라서 넓게되고, 도체(50a∼53a)에는 각기 볼록형 단자(6)가 상향으로 용착되어 있다.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에서는, 4매의 틀테두리 플레이트(54∼57)가 후방으로 물러나도록 겹쳐 쌓여지고, 이들의 틀테두리 플레이트(54∼57)의 선단은, 받이하우징(1)의 격벽(37) 끼리의 사이에 도입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틀테두리 플레이트(54∼57)에는 플랫 케이블(50∼53)의 도체(50a∼53a)의 노출부와, 절연시트(50b∼53b)의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홈(54a∼57a)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최하위의 틀테두리 플레이트(54)의 상면에는 예컨대 2개의 핀부(54b)가 형성되고, 상위의 틀테두리 플레이트(55∼57)에는 핀부(54b)를 끼움하는 핀 끼움구멍(55b∼57b)이 형성되어있다.
최상위의 틀테두리 플레이트(57)의 상면에는 절연성의 커버(58)가 씌워져 있다. 커버(58)는 플랫 케이블(50∼53)의 도체(50a∼53a)의 상면에 각기 맞닿음하는 도체 맞닿음면(58a∼58d)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되고, 이들의 도체 맞닿음면(58a∼58d)에는 볼록형 단자(6)를 노출시키는 다수의 단자노출구멍(58e)과, 최하위의 절연 플레이트(54)의 핀부(54b)를 끼워맞춤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플레이트(54∼57)와 커버(58)의 후부는, 받이하우징(1)의 케이블 도입창(35)에 조밀하게 끼워맞춤하는 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예컨대 중간의 절연 플레이트(56,57)의 양측면에는, 받이 하우징(1)의 케이블 도입창(35)의 양측벽의 록크용 홈에 채우는 록크용 돌기(56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한 받이 하우징(1)과 브라켓(2)을 부착할 때에는, 우선 받이하우징(1)의 수용홈(31a)에 판스프링(39)을 부착하고 나서, 도13에 표시한 바와같이 브라켓(2)의 코넥터 결합부(43)를 바깥쪽으로 휘게하여, 받이하우징(1)의 저벽(31)을 브라켓(2)의 코넥터 수용구멍(42)에 끼워넣고, 받이하우징(1)의 결합편(38)을 브라켓(2)의 결합구멍(43a)에 끼워넣는다. 이에따라, 받이하우징(1)의 저벽(31)이 브라켓(2)의 저벽(41)에 맞닿음하고, 브라켓(2)의 다이부(45)가 받이하우징(1)의 수용홈(31a)에 끼워넣는다. 이때 받이하우징(1)은 브라켓(2)에 대하여 간격(A)을 갖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되어있고, 간격(B)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받이하우징(1)을 유지한 브라켓(2)을 대시 패널(P)의 근방에 유지 고정한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과 적층 플랫 케이블(4)을 대시패널(P)의 소정위치에 고정하는데는, 브라켓(2)은 인스트루멘트 패널에 고정한 삽입하우징(3)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하고, 적층 플랫 케이블(4)을 절곡부(4a)와 단말부(5)를 제외한 부분을 대시패널(P)에 부착한다. 그리고,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를 브라켓(2)의 케이블 도입창(44)과 받이하우징(1)의 케이블 도입창(35)을 통하여 받이하우징(1)의 끼워맞춤구멍(32)내에 밀어 넣는다. 이때, 적층 플랫 케이블(4)에 절곡부(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말부(5)를 모든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밀어넣을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도14의 평면도로 표시한 바와같이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의 측부가 격벽(37)에 맞닿음하고, 볼록형 단자(6)가 받이하우징(1)의 끼워맞춤구멍(32)내에 정렬한다. 이때,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의 록크용 돌기(56c)가 케이블 도입창(35)의 측벽의 록크용 홈에 끼워맞춤하고, 적층 플랫 케이블(4)은 절곡부(4a)와 단말부(5)의 사이에서 받이하우징(1)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대시패널(P)에 인스트루멘트 패널을 부착할때에는, 도15에 표시한 바와같이 삽입 하우징(3)의 축부(25)를 받이하우징(1)의 통부(34)의 가이드구멍(34b)의 입구에 위치시킨다. 이때, 받이하우징(1)과 삽입하우징(3)의 위치가 어긋나 있으면, 받이하우징(1)이 삽입하우징(3)을 따라서 경사지고, 한쪽의 결합편(38)이 결합구멍(43a)의 하벽에 맞닿음하고, 반대측의 결합편(38)이 결합구멍(43a)의 상벽에 맞닿음한다. 또,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는 절곡부(4a)에 의하여 모든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적층 플랫 케이블(4)은 케이블 도입창(35,44)으로 부상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인스트루멘트 패널을 밀어넣으면, 도16에 표시한 바와같이 삽입하우징(3)의 축부(25)가 받이하우징(1)의 통부(34)의 끼움구멍(34a)에 끼워맞춤하고, 받이하우징(1)이 수평방향으로 변화하면서 그 격벽(37)이 삽입 하우징(3)의 끼워맞춤홈(28)에 끼워맞춤하고, 삽입 하우징(3)의 본체(20)가 받이하우징(1)의 끼워맞춤구멍(32)에 끼워맞춤한다. 그리고, 삽입 하우징(3)의 축부(25)의 가이드부(25a)가 판스프링(39)의 끼움구멍(39d)에 압입한다. 더욱이, 인스트루멘트 패널을 밀어넣으면, 도17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스프링(39)의 끼움구멍(39d)의 주벽이 축부(25)의 환상홈(25b)에 압입하고, 축부(25)가 판스프링(39)의 정부(39a)를 압압하고, 판스프링(39)이 반전을 시작하고 일시적으로 수평상태로 변형한다.
이때, 도18에 표시한 바와같이 볼록형 단자(6)의 접속부(16)는 오목형 단자(8)의 가요접편(15)에 접촉한다. 그리고, 인스트루멘트 패널을 최종적으로 밀어넣으면, 판스프링(39)의 정부(39a)가 축부(25)에 의하여 가압되고, 도4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때까지 정부(39a)가 상방으로 팽출하고 있던 판스프링(39)은 반전하여, 정부(39a)가 하방으로 팽출하게 되고, 판스프링(39)의 정부(39a)는 브라켓(2)의 저벽(41)에 맞닿음하고, 판스프링(39)의 끝부(39c)가 받이하우징(1)을 삽입하우징(3)측에 가압한다. 동시에, 도19의 부분 단면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결합편(39f)이 안쪽으로 오므라지고, 받이하우징(1)의 슬리트(36)를 통하여 삽입하우징(3)의 걸어멈춤돌기(27)에 결합한다. 이때, 도20에 표시한 바와같이 볼록형 단자(6)의 접속부(15)는, 오목형 단자(8)의 가요접편(15)을 휘게하면서 그들 사이에 약간 진입하고, 양단자(6,8)의 사이에 충분한 접촉압을 얻을수 있고,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인스트루멘트 패널을 대시 패널(P)에서 떼어낼 때에는, 삽입하우징(3)을 뽑아내면, 삽입하우징(3)의 축부(25)가 판스프링(39)의 끼움구멍(39d)에 압입되어 있으므로, 판스프링(39)의 정부(39a)가 축부(25)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고, 판스프링(39)은 반전하여 도16에 표시한 형상으로 복원한다. 이에따라, 받이 하우징(1)과 삽입 하우징(3)은 용이하게 해리(解離)시킬수가 있다.
이와같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를 받이 하우징(1)의 케이블 도입창(35)에 삽입함으로써, 모든 볼록형 단자(6)를 받이하우징(1)내에 수용할수가 있으므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단말부(5)를 동일형상으로 했으므로 단말부(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단말부(5)를 받이 하우징(1)의 측방에서 수용함으로써, 받이 하우징(1)과 삽입하우징(3)의 결합방향의 설치 스페이스를 감소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받이 하우징(1)에 부착한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는 동일한 형상으로 하였지만, 배선 미스를 방지하기 위해서 개개의 형상이 다르도록 해도 좋다. 또, 절연 플레이트(54∼57)와 커버(58)의 후부는, 받이 하우징(1)의 케이블 도입창(35)에 조밀하게 끼워맞춤하는 형상으로 하였지만, 그들 사이에 시일부재를 개재시키면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수가 있다. 더욱이, 받이 하우징(1)의 케이블 도입창(35)과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의 측면에 록크용 홈과 록크용 돌기(56c)를 각기 설치하였지만, 그것들을 반대측으로 설치해도, 상하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 실시예에서는, 삽입 하우징(3)의 본체(20)의 하면(26)을 축부(25)측에서 계단형상으로 높게함과 동시에, 오목형 단자(8)의 단자 접속부(10)를 본체(20)의 하면(26)에 따르도록 배치하고,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에서도 볼록형 단자(6)를 계단형상으로 배치했으므로, 오목형 단자(8)끼리 또는 볼록형 단자(6) 끼리의 접속방향과 직각의 면에 있어서의 간격이 종래와 같다해도, 단자 접속부(10)끼리의 거리를 종래보다도 크게할수가 있다. 따라서, 양 단자(6,8)의 접촉부에 발생하는 접촉 저항열의 영향을 종래보다도 절감할수가 있다.
이경우에, 볼록형 단자(6)에 인접하는 볼록형 단자(6)와의 간격을 갈지자 형상으로 하여,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하면 다수의 볼록형 단자(6)를 고밀도로 배열한 경우에도, 볼록형 단자(6) 끼리의 사이의 전기 절연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적층 플랫 케이블(4)의 단말부(5)의 접합면은 계단형상이 아니고, 테이퍼상으로 할수도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서는 각 적층 플랫 케이블(4)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4a)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절곡부(4a)가 나머지 길이부가 되어, 받이하우징(1)을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수가 있게되고, 삽입하우징(3)과의 결합에 있어서, 받이하우징(1)은 삽입하우징(3)의 움직임에 추종할수가 있고, 삽입하우징(3)을 용이하게 받아들일수가 있다. 또, 절곡부(4a)를 적층 플랫 케이블(4)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하였으나 경사시켜서 설치할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련한 코넥터에서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한 다수의 접속단자를 복수의 절연부재의 소정위치에 고정해 두고, 이들의 절연부재를 하우징의 측방에서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접속단자를 하우징에 용이하게 수용할수가 있다.
도 1은 받이하우징을 브라켓을 통하여 대시패널에 부착한 상태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대시 패널에 부착한 상태의 받이하우징과 삽입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양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양 하우징을 끼워맞춤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볼록형 단자와 오목형 단자의 부분단면도,
도 6은 삽입 하우징의 하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받이 하우징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판 스프링의 평면도,
도 9는 판 스프링의 단면도,
도 10은 브라켓의 단면 사시도,
도 11은 적층 플랫 케이블의 단말부의 사시도,
도 12는 단말부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받이하우징과 브라켓의 조립 단면 사시도,
도 14는 적층 플랫 케이블의 단말부를 받이 하우징내에 도입한 상태의 평면도,
도 15는 양 하우징의 끼워맞춤시의 작용 설명도,
도 16은 양 하우징의 끼워맞춤시의 작용 설명도,
도 17은 양 하우징의 끼워맞춤시의 작용 설명도,
도 18은 볼록형 단자와 오목형 단자의 작용 설명도,
도 19는 부분 단면도,
도 20은 볼록형 단자와 오목형 단자의 작용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이 하우징 2 : 브라켓
3 : 삽입하우징 4 : 적층 플랫 케이블
5 : 단말부 6 : 볼록형 단자
35,44: 케이블 도입창 54∼57: 절연 플레이트
56C: 록크용 돌기

Claims (10)

  1. 플랫 케이블을 접속한 다수의 접속단자를 하우징내에 수용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그룹마다에 상기 접속단자를 절연부재의 소정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서 이들의 절연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여 부착하고, 상기 하우징과 접합하는 상대측 하우징과의 접합면을 접합방향으로 직각인 면에서 경사시켜, 상기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상기 접합면에 따르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절연부재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플랫 케이블의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갈지자 형상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절연부재를 도입하는 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록크하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절연부재에 적층하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외에 있어서의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부에 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을 상기 하우징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KR1019980005933A 1997-03-05 1998-02-25 코넥터 KR100540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67265 1997-03-05
JP06726597A JP3799510B2 (ja) 1997-03-05 1997-03-05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764A KR19980079764A (ko) 1998-11-25
KR100540915B1 true KR100540915B1 (ko) 2006-02-28

Family

ID=1333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933A KR100540915B1 (ko) 1997-03-05 1998-02-25 코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65009A (ko)
EP (1) EP0863576B1 (ko)
JP (1) JP3799510B2 (ko)
KR (1) KR100540915B1 (ko)
DE (1) DE6980698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794B2 (ja) 1999-10-19 2004-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装部品の配置構造
DE10008932A1 (de) 2000-02-25 2001-09-06 Leoni Bordnetz Sys Gmbh & Co Elektrischer Stecker
US6431877B1 (en) * 2000-03-31 2002-08-1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base with center aperture
US6309223B1 (en) * 2000-06-13 2001-10-30 Trw Inc. Terminal assembly for flexible circuit strip
JP2002154351A (ja) * 2000-11-24 2002-05-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取付部構造
US6524123B2 (en) 2001-01-19 2003-02-25 Agilent Technologies, Inc. Self-aligning, quick-release connector
US6754067B2 (en) * 2002-09-06 2004-06-22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Instrument assembly systems, housing and methods of mounting instrument assemblies
US6752632B1 (en) * 2003-03-21 2004-06-22 The Boeing Company Connector interface pad for structurally integrated wiring
US7074073B2 (en) * 2004-01-15 2006-07-11 The Boeing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insert and apparatus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DE102008059477B4 (de) * 2008-11-28 2010-09-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Mehrfachverteiler
DE102009014876B4 (de) 2009-03-25 2011-05-05 Boida Kunststoff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8227692B2 (en) * 2009-04-13 2012-07-24 Precision Digital Corporation Explosion-proof enclosure
FR2956527B1 (fr) * 2010-02-15 2012-09-21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comprenant une protuberance ou une poche de guidage avec un element de fixation flexible.
CN102377061B (zh) * 2010-08-05 2013-08-14 艾笛森光电股份有限公司 电连接装置
US7896690B1 (en) * 2010-09-24 2011-03-01 Edison Opt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DE102011004300A1 (de) * 2011-02-17 2012-08-23 Robert Bosch Gmbh Direktkontaktierungssteckverbindung mit stirnseitiger Direktkontaktierung
US8529276B2 (en) * 2011-02-18 2013-09-10 Hi Rel Connectors, Inc. Connector to flex assembly
CN206211130U (zh) * 2013-12-31 2017-05-31 3M创新有限公司 直角出口连接器组件
US10615530B2 (en) 2017-06-06 2020-04-07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10050367B1 (en) * 2017-06-06 2018-08-14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DE102018107886B4 (de) * 2018-04-04 2021-10-0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system mit einem bistabilen Element
EP3918672A4 (en) * 2019-01-30 2022-10-19 Amphenol Corporation SPRING ELECTRICAL CONNECTOR
US11189968B2 (en) * 2020-01-09 2021-11-30 The Boeing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multiple angular connect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913A (ja) * 1993-08-31 1995-03-10 Yazaki Corp シート型コネクタ
JPH0917502A (ja) * 1995-06-29 1997-01-17 Ryosei Denso Kk ガイド付コネクタ
JPH0923538A (ja) * 1995-07-07 1997-01-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KR970007274U (ko) * 1995-07-21 1997-02-21 전승찬 플렛 와이어 콘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172A (en) * 1971-12-17 1975-03-25 Amp Inc Flat multi-conductor cable holder
US4975068A (en) * 1989-12-04 1990-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Flexible cable connector
US5205740A (en) * 1991-12-13 1993-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uper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ribbon cables
EP0723315A3 (en) * 1995-01-20 1997-09-24 Mitsubishi Cable Ind Ltd Connector fitted with a bolt
JP3722876B2 (ja) * 1995-06-29 2005-11-30 菱星電装株式会社 端子接続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913A (ja) * 1993-08-31 1995-03-10 Yazaki Corp シート型コネクタ
JPH0917502A (ja) * 1995-06-29 1997-01-17 Ryosei Denso Kk ガイド付コネクタ
JPH0923538A (ja) * 1995-07-07 1997-01-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KR970007274U (ko) * 1995-07-21 1997-02-21 전승찬 플렛 와이어 콘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99510B2 (ja) 2006-07-19
KR19980079764A (ko) 1998-11-25
DE69806984T2 (de) 2002-12-12
EP0863576B1 (en) 2002-08-07
DE69806984D1 (de) 2002-09-12
JPH10255901A (ja) 1998-09-25
EP0863576A1 (en) 1998-09-09
US6165009A (en)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915B1 (ko) 코넥터
JP2863083B2 (ja) コネクタ用防水栓
US5709566A (en) Press-contact connector assembly
US7074093B2 (en) Splice absorb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7232341B2 (en) Connector in which a shell can be readily assembled to a connector housing
US6702623B2 (en) Connector
JP2005149935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929420B2 (ja) 圧接コネクタ
WO2019012931A1 (ja) 端子金具
WO2021079587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782198B2 (ja) コネクタ
WO2022153832A1 (ja) コネクタ
WO2022264799A1 (ja) コネクタ
JP3757021B2 (ja) コネクタ
JP3984373B2 (ja) 圧接コネクタ
JP3067054B2 (ja) 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の結合装置
WO2023127407A1 (ja) コネクタ
JP7436315B2 (ja) コネクタ
JP3236501B2 (ja) ウェッジベースランプ用コネクタ
JP3963519B2 (ja) コネクタ
JPH10302911A (ja) コネクタ
JP202317012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ワイヤハーネス
JP3099704B2 (ja) 圧接コネクタ
JP2001006802A (ja) 圧接コネクタ
JPH062562U (ja) 差込み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