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058B1 -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058B1
KR100539058B1 KR1020050082176A KR20050082176A KR100539058B1 KR 100539058 B1 KR100539058 B1 KR 100539058B1 KR 1020050082176 A KR1020050082176 A KR 1020050082176A KR 20050082176 A KR20050082176 A KR 20050082176A KR 100539058 B1 KR100539058 B1 KR 100539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ice cake
reservoir
control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생규
추병욱
Original Assignee
임생규
추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생규, 추병욱 filed Critical 임생규
Priority to KR102005008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한된 공간내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가열매체의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단시간내에 떡을 효율적으로 찔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떡 찌는 용도 이외에 팥 등을 삶는 용도로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채워진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히터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배치된 떡시루 받침판;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떡시루 다이측으로 증기를 직접 분출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선단부가 고정되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증기배출공과 가이드공을 갖는 원통형의 제1 증기배출조절부와,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범위내에서 회전되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하는 나사공을 갖고 상면에 다수개의 증기분출공과 밸브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제2 증기배출조절부로 이루어진 증기배출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증기배출보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Steam Generator for Cooking Rice-cake by Steam}
본 발명은,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떡시루 받침판 바로 아래에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직접 설치하여 떡시루측으로 공급되는 증기공급경로를 단축시킴으로써 제한된 공간내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가열매체의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단시간내에 떡을 효율적으로 찔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떡 찌는 용도 이외에 팥 등을 삶는 용도로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서 떡 방앗간 등에서 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1)의 상부에 설치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떡시루 다이(102) 위에 떡재료(예컨대, 쌀가루)가 수용된 떡시루(103)를 안착시킨 후에, 증기보일러(106)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하여 떡을 찌고 있다.
상기 떡시루 다이(102)에는 증기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이송토록 하는 증기이송배관(105)이 연결구비되어 있고, 그 증기이송배관(105)에는 증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기보일러(106)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조(107)와, 물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점화를 행하는 버너(108)를 구비한 연소실(109)과, 상기 저수조(107)의 일측면에 설치된 물공급탱크(110)로부터 상기 저수조내로 공급되는 물의 저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떡을 찌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떡시루 다이(102)에 떡시루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버너(108)를 점화시킨다. 이 때, 버너(108)는 별도의 기름탱크(112)에서 공급되는 연료에 의해 연소실(109)내에서 연소되면서 저수조(107)내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수조(107)내의 물이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증기 발생되고, 이러한 증기는 증기이송배관(105)을 통하여 받침판(101)상에 설치되는 떡시루 다이(102)로 공급되어 그 상단에 안착된 떡시루(103)를 통과하면서 떡을 증숙시킴으로써 떡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떡시루(103)에 증기를 제공하여 증숙하도록 받침판(101), 떡시루 다이(102), 조절밸브(104), 및 증기이송배관(105)으로 이루어지는 증숙부와 상기 증숙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보일러(106)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각각의 설치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한된 공간내에서 설치에 따른 많은 공간확보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기보일러(106)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증기이송배관(105)을 통하여 떡시루(103)측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경로가 매우 길기 때문에, 그 공급과정에서 증기의 열이 다소 식을 수가 있고 이로 인해 떡시루(103)측으로 떡을 찌는데 필요한 증기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떡을 제조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증기 보일러(106)는,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가열매체로서 냉수를 사용하고 있고, 이 냉수를 펌프를 통하여 저수조에 채운후에 가열하고 있기 때문에, 그 냉수를 가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열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가열매체를 가열하는 버너의 연료로서 대부분 경유나 등유 등의 고가의 연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비가 많이 들게 되어 유가 급등시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떡시루 다이의 바로 아래에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직접 설치하여 떡시루측으로 공급되는 증기공급경로를 단축시킴으로써 제한된 공간내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가열매체의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증기를 강하게 분출되도록 하여 단시간내에 떡을 효율적으로 찔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떡 찌는 용도 이외에 팥 등을 삶는 용도로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면에 물유입구와 물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설치되어 저수조에 채워진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저수조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와, 상기 전기히터가 위치한 저수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와, 상기 저수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부와, 상기 전기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배치되어 떡시루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소정두께의 떡시루 받침판;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51)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떡시루측으로 분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증기배출보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고정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갖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의 형성위치의 아래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 중 어느 하나의 증기배출공에서 다른 하나의 증기배출공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형태의 가이드공을 갖는 원통형의 제1 증기배출조절부 및,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중공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밀폐된 상면에 다수개의 증기분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느 하나의 증기배출공의 형성위치의 아래에 상기 가이드공을 통하여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로부터 소정 높이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삽입관을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범위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상단면에 걸쳐지는 원판형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제2 증기배출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는, 그 상단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환형의 돌턱부의 외면과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개구부의 내면을 용접 또는 나사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전체 둘레의 1/4 정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공을 통하여 상기 삽입관의 나사공에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를 반시계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이 상기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과 각각 연통되는 위치에 있을때, 상기 원판형 덮개부의 내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형성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하여 상기 삽입관의 나사공에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 2 증기배출공과 상기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상부 경사면 끝단과 밀착되기 위한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는,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직경보다 크고, 그 중앙부에 평탄한 평탄면을 갖고,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테두리측으로 갈수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삿갓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내에는, 상기 저수조내의 일정한 수면 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내의 공간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증기와 증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기수분리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수분리판은,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의 판부재와, 그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다수개의 홀(Hole)과, 상기 각 홀의 개방된 일측과 상면을 차단하도록 상기 홀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홀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상기 홀의 상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있는 차단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는, 저수조내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수위 확인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위 확인창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세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면을 갖고 그 절개면에서 정면측의 방향으로 소정 깊이 패인 슬롯(Slot)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판, 상기 슬롯을 가리도록 상기 투명판의 절개면상에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투명판과 지지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단부가 상기 투명판과 지지판의 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그 내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의 각 일단부 끝단에는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유수공(流水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상면에는, 상기 증기배출수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수직으로 상향돌출되고, 그 외주면에 팩킹부재가 끼워져 있고 상기 팩킹부재의 상단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제1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떡시루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끼워진 상기 팩킹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통공과, 상기 팩킹부재의 상단면의 나머지 일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팩킹부재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고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제2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떡시루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구조로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면에 물유입구와 물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설치되어 저수조에 채워진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히터와, 상기 저수조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와, 상기 전기히터가 위치한 저수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와, 상기 저수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부와, 상기 전기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배치되어 떡시루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소정두께의 떡시루 받침판;
상기 떡시루 받침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향 돌출형성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상단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붕형태로 설치되는 원판형 덮개부와, 상기 통체의 상단부면과 상기 덮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통체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되, 일단이 상기 통체의 상단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덮개부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고정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증기배출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증기배출보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와 떡시루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구조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면에 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물유입구(11)와 물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물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물(11)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수조(13)를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콘트롤 박스(Control Box, 2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3)내에는, 저수조(13)내에 저장된 물(냉수 또는 온수)을 단시간내에 소정 온도까지 가열시킬 수 있도록, 저수조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전기에너지에 의해 저수조(13)에 채워진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발열부(14)와, 상기 저수조(13)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18)와, 상기 발열부(14)가 위치한 저수조(13)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 박스(20)에는, 상기 발열부(14)와 온도감지부(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수조(13)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21)와, 상기 발열부(14)를 작동하는 온/오프 스위치(22)와, 상기 각 구성부(14, 15, 21, 22)를 제어하는 제어부(23)가 구비되어 있다(도 5 참조).
상기 저수조(13)내에 내장되는 발열부(14)로서는, 전기히터(Electric Heater, 1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기히터(14)는, 저수조(13)의 바닥면으로부터 어느정도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전기히터(14)의 일단부는, 저수조(13)의 일측에 형성된 소켓공(16-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보수점검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소켓(Socket, 1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저수조(13)내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새나지 않도록, 상기 소켓공(16-1) 주변에는 누수방지용 씰링(Sealing)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노출된 전기히터(14)의 일단부는, 전기배선에 의해 제어부(23)에 연결되어 있어, 저수조(13)의 물온도가 설정치(대략 80℃) 이하로 떨어지면, 온도감지부(15)가 이를 감지하여 전기히터(14)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저수조(13)를 가열하여 항시 설정치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부(18)는, 상기 저수조(13)내에 물이 채워지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부력에 의해 작용하는 통상의 부구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저수조(13)내로 돌출된 물유입관(11) 단부에 링크(Link)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벽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위 확인창(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 확인창(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벽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면(31a)을 갖고 그 절개면에서 정면측의 방향으로 소정 깊이 패인 슬롯(Slot, 31b)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판(31), 상기 슬롯(31b)을 가리도록 상기 투명판(31)의 절개면상에 지지되는 지지판(32), 및 상기 투명판(31)과 지지판(32)을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하는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판(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판(31)의 절개면(31a)이 형성된 부위의 상단에서 하단측으로 끼움으로써 상기 투명판(31)에 결합된다. 이들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투명판(31)의 절개면(31a) 또는 상기 절개면(31a)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판(32)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좋다.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는 상기 지지판(32)을 결합한 투명판(31)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즉,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각 일단부(33a, 34a)는 상기 투명판(31)과 지지판(32)의 각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 결합공(31c, 32a; 31d, 32b)을 통하여 삽입되고, 그 각 타단부(33b, 34b)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벽면으로부터 내벽면으로 관통된 상·하 관통공(10a, 10b)을 통하여 삽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각 타단부(33b, 34b)는 상기 하우징(10)내의 저수조(13)에 채워진 물과 접촉되게 된다.
이러한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각각은, 상기 타단부(33b, 34b)를 통하여 저수조(13)내에 채워진 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간부(S)를 갖는 중공형의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S)로 유입된 물이 상기 슬롯(31b)으로 유동됨으로써 외부에서 저수조(13)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판(31)과 지지판(32)에 형성된 상·하 결합공(31c, 32a; 31d, 32b)을 통하여 삽입되는 일단부(33a, 34a)의 하면에 상기 슬롯(31b)과 연통되는 유수공(流水孔, 33c, 34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13)내의 물이 상기 공간부(S)을 통하여 슬롯(31b)으로 유동될 때,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각 일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각 일단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각 일단부(33a, 34a)의 내주면에 내나사산를 형성하여, 그 일단부(33a, 34a)에 상기 내나산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35)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한다. 이 때, 누수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나사(35)의 외주면에 O-링(미도시)을 끼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타단부(33b, 34b)를 상기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그 타단부(33b, 34b)에 외나사산을 형성하여, 너트(36)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기 수위 확인창(30)에 의해, 작업자는 저수조(13)내에 어느정도의 물이 채워져 있는지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증기를 발생하는데 필요한 물을 저수조(13)내에 적절히 조절하면서 공급할 수가 있다. 이 때,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중 상부의 관형 결합부재(33)의 위치가 최대 수위량의 위치를 나타내며, 하부의 관형 결합부재(34)의 위치가 최소 수위량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저수조(13) 안에 적정 수위까지 채워진 물이 상기 전기히터(14)에 의해 가열되면서 증기로 변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될 때, 증기에 함유된 수분을 가능한 한 최소화시켜서 건조 증기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13) 내에 기수분리판(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수분리판(40)은, 도 8 및 도 9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의 판부재(40a)와, 그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다수개의 홀(Hole, 40b, 40c)과, 상기 각 홀(40b, 40c)의 개방된 일측과 상면을 차단하도록 상기 홀(40b, 40c)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홀(40b, 40c)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상기 홀(40b, 40c)의 상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있는 차단부(41, 4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41, 42)는 상기 판부재(40a)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 형성된 차단부(41)는, 상기 하부에 형성된 차단부(42)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홀(40b)의 개방된 일측과 상면을 차단하는 상기 차단부(41)의 끝단부는 도 8에서 윗쪽방향(도 9에서서는 왼쪽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 상기 홀(40c)의 개방된 일측과 상면을 차단하는 상기 차단부(42)는 도 8에서 아래쪽방향(도 9에서는 오른쪽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수분리판(40)은 상기 저수조(13)내의 일정한 수면 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저수조(13)내의 공간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이 기수분리판(4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좌우측단부가 하면측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기수분리판(40)의 좌우측단부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기수분리판(40)을 상기 저수조(13)내에 설치할 때, 상기 기수분리판(40)의 좌우측단부의 절곡된 하단면을 상기 저수조(13) 내벽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돌출부(43)의 상단면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서로 볼팅(Bolting)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면부호 '44'는 볼트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수분리판(40)는 상기 저수조(13)내의 수면위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수조(13)내의 물이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었을 때, 그 가열에 의해 끓는 물이 저수조(13)의 상측으로 튀면서 후술하는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저수조(13)내의 물이 끓으면서 증기가 발생될 때, 증기에 함유된 수분은 상기 기수분리판(40)의 판부재(40a)와 상기 홀(40b, 40c)에 형성된 차단부(41, 42)에 부딪히면서 아래로 떨어지고, 그 수분이 분리된 건조증기만이 상기 홀(40b, 40c)과 상기 차단부(41, 42)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건조증기만 상기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떡시루측으로 신속히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떡을 단시간내에 효율좋게 찔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떡시루(8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형의 떡시루 받침판(5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은 스테인레스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하우징(10)의 상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떡시루 받침판(50)에 개구부(51, 도 11 및 도 12 참조)를 형성하여 상기 저수조(13)내에서 발생되는 증기, 즉 건조증기가 상기 기수분리판(40)을 거쳐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을 통하여 떡시루(80)측으로 바로 전달할 수 있도록 증기공급경로를 단축시킴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함과 함께 열효율을 극대화하여 떡을 효율적으로 찔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개구부(51)내에는 저수조(13)내에서 발생된 증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떡시루(80)측으로 강하게 분출되도록 하여 떡을 효율적으로 찔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증기배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도 10 내지 도 1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부(61)를 갖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의 형성위치의 아래에 가이드공(63)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와;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중공부(61)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밀폐된 상면에 다수개의 증기분출공(73)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71a)(71b)과 나사공(72)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삽입관(71)과, 상기 삽입관(71)의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상단면에 삿갓형태로 걸쳐져서 상기 개구부(51)를 가리는 원판형 덮개부(75)로 이루어지는 제2 증기배출조절부(7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우징(10)의 상면에 떡시루 받침판(50)을 설치하여 그 상면을 밀폐함과 함께,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에 증기배출을 위한 별도의 증기배출수단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75)가 상기 개구부(51)를 가리는 상태에서 상기 떡시루 받침판(50) 위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저수조(13)내로 침입되는 일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이는 저수조(13)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떡을 찔 때 떡시루(80)의 하부에서 떨어지는 수분이 저수조(13)내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여 저수조(13)내의 물이 탁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저수조(13)내의 물이 탁해지면, 떡 색깔이 변화되어 떡 품질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됨으로써, 증기압이 보다 증대되어 상기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증기가 강하게 분출되고 이에 의해 떡 찌는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가이드공(63)은,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외주면에 외주면을 따라 나선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의 전체 둘레의 1/4정도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공(6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 사이내에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중 제2 증기배출공(62b)에서 제1 증기배출공(62a)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관(71)에 형성된 나사공(72)은, 상기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71a)(71b) 중 어느 하나의 증기배출공의 형성위치의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63)을 통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45)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 증기배출조절부(70)를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나사공(72)은 상기 가이드공(63)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체결부재(65)를 상기 가이드공(63)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72)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 내부에 수용된 제2 증기배출조절부(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범위가 상기 가이드공(63)의 길이범위내에서만 허용되도록 하여 증기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상단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돌턱부(6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턱부(64)의 외경치수는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에 형성된 개구부(51)의 내경치수와 거의 동일하며, 상기 돌턱부(64)의 상면은 상기 중공부(61)측으로 소정각도로 상향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증기배출조절부(70)를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턱부(64)의 외주면과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의 내주면을 용접수단에 의해 용접함으로써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된다. 또는,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5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돌턱부(64)의 외주면에 외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의 내주면에 내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판형 덮개부(75)는, 상기 삽입관(71)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74)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상기 개구부(51)로부터 위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원판형 덮개부(75)가 떡시루를 안착시키는 떡시루 받침판(5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통상적으로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에 안착되는 떡시루(80)는 실용신안등록 제3563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떡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상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지부가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사각틀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떡시루(80)를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에 안착시킬 때, 상기 원판형 덮개부(75)는 상기 지지부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므로, 원판형 덮개부(75)의 돌출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는 전혀 없다.
이러한 원판형 덮개부(75)는,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직경보다 크고, 그 중앙부에 평탄한 평탄면(76)을 갖고, 상기 평탄면(76)으로부터 테두리측으로 갈수록 외면과 내면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77)을 갖는 대략 삿갓형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증기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일종의 밸브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원판형 덮개부(75)를 잡고 좌우(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관(71)은 가이드공(63)의 길이범위내에서 회전되고,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과 상기 삽입관(71)의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71a)(71b)을 서로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면서 저수조(13)내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면에는, 증기배출보조구(19)와 증기배출보조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밸브(19a)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증기배출보조구(19)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사각틀체형의 떡시루(80)와 다른 형상, 예컨대 원통형의 외관을 갖고 일측면에 배관(91)이 형성되어 있는, 소위 팥 삶는 통(90)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떡시루(80)에 안치된 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구조를 갖는 증기배출수단을 이용할 수 있지만, 떡이외에 팥 등을 삶을 때에는 그 팥 삶는 통(90)의 형상이 상기 떡시루(80)의 형상과 다르기 때문에 떡시루 받침판(50)에 안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팥을 삶기 위해서는 팥 삶는 통(90)의 배관(91)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증기보일러(106)에 형성된 증기이송배관(105)에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상면에 배치되는 떡시루 받침판(50)에 떡 찜용의 증기배출수단을 설치함과 함께,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상기 증기배출보조구(19)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증기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를 떡을 찌거나 팥을 삶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이들을 동시에 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에 설치된 제2 증기배출조절부(70)의 원판형 덮개부(75)를, 도 11(a)에 도시된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상부측은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내에 수용되어 가이드공(63)을 통하여 나사공(72)에 체결부재(65)에 의해 체결된 삽입관(71)은 가이드공(63)을 따라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과 삽입관(71)의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71a)(71b) 및 나사공(72)이 일직선상으로 정렬 된다(도 12 참조). 이 때, 상기 제1 증기배출공(62a)은 상기 제3 증기배출공(71a)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증기배출공(62b)은 상기 제4 증기배출공(71b)과 연통되며, 상기 삽입관(71)의 상단면과 상기 원판형 덮개부(75)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온도조절부(21)를 조작하여 원하는 온도값을 설정하고, 온/오프 스위치(22)를 ON시키면, 하우징(10)의 저수조(13)내의 물유입관(11)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13)내에 적정 수위까지 채워진 물이 저수조(13) 안에 내장된 전기히터(53)에 의해 설정된 온도까지 단시간내에 가열되면서 증기로 변환된다.
이 때, 저수조(13)내에서 다량 발생되는 증기에 포함된 수분은 저수조(13)내에 설치된 기수분리판(40)의 판부재(40a)와 홀(40b, 40c)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차단부(41, 42)에 의해 부딪히면서 수면측으로 떨어지고, 상기 수분이 제거된 증기, 즉 건조증기만이 상기 기수분리판(40)의 홀(40b, 40c)와 차단부(41, 42) 사이의 열린 틈을 통하여 저수조(13)의 상류측으로 향하면서 상기 일직선상으로 정렬되어 서로 연통된 제1 내지 제4 증기배출공(62a)(62b)(71a)(71b)을 통과하여 삽입관(71)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증기는 삽입관(71)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증기분출공(73)을 통하여 강하게 분출되면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75)와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 사이의 틈을 경유하여 떡시루(80)의 하부면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떡시루(80)내에 안치된 떡재료에 단시간내에 증기가 골고루 퍼지면서 떡이 효율적으로 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떡 찜 과정이 종료된 후에, 필요에 따라 저수조(13)내에 여전히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하여 팥을 삶고자 하는 경우에는, 증기배출수단으로부터 증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원판형 덮개부(75)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71)의 외주벽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상부면, 특히 경사면 끝단은 상기 원판형 덮개부(75)의 내면에 형성된 환형홈(78, 도 12 참조)에 삽입되어 서로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증기배출이 차단된다. 이어서, 팥 삶는 통(90)의 일측에 형성된 배관(91)을 증기배출보조구(19)에 연결하고 그 증기배출보조구(19)의 조절밸브(19a)를 개방함으로써 저수조(13)내의 증기가 증기배출보조구(19)를 통하여 팥 삶는 통(90)내로 배출되어 팥을 삶게 된다. 물론, 이러한 팥 삶는 과정은 상기한 떡 찜 과정시에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모든 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물배출구(12)의 조절밸브를 열어 저수조(13)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2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은, 증기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이 떡시루 받침판(50)에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가지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시루 받침판(50)에 형성된 개구부(51)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향 돌출된 통체(52)와, 상기 통체(52)의 상단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붕형태로 설치되는 원판형 덮개부(53)와, 상기 통체(52)의 상단부면과 상기 덮개부(53)를 연결하도록 상기 통체(52)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부(5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되, 일단이 상기 통체(52)의 상단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덮개부(53)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53)의 내측에 고정되는 연결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증기배출수단의 통체(52)는,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의 내주면에 용접수단에 의해 용접될 수 있고, 또는, 상기 개구부(5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통체(52)의 외주면에 외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의 내주면에 내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증기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없지만, 제1 실시예의 구조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수조(13, 도 4 참조)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통체(52) 내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54) 사이로 분출되도록 하여 떡시루측으로 골고루 공급할 수가 있다.
(제3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와 떡시루의 부분 단면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떡 시루 받침판의 상부면과 떡시루의 하부면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13)를 구비하고, 외부 일측면에 콘트롤 박스(미도시)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상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떡시루 받침판(50') 상면에 원형의 제1 지지부재(50'a)가 수직으로 상향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부재(50'a)의 외주면에 팩킹부재(50'b)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가지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기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50'a)는 상기 떡시루 받침판(50')과 마찬가지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50'a)의 중심부에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증기배출수단이 상기 받침판(50)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50'a)는 그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50'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절곡부(50'c)는 상기 지지부재(50'a)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팩킹부재(50'b)가 지지부재(5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절곡부(50'c)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팩킹부재(50'b)의 상단면의 일부, 예컨대, 대략 1/2정도를 지지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떡시루 받침판(50')에 제1 지지부재(50'a)와 팩킹부재(50'b)를 형성한 이유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떡찜용 증기발생장치에 적용되는 나무재질의 떡시루(80)의 구조와 다른 구조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떡시루(80')를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의 떡시루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이 밀폐된 사각형상으로서, 그 일측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증기보일러(106)에 형성된 증기이송배관(105) 등을 연결하여 내부로 증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떡시루는, 그 일측면을 통해서만 증기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떡시루 받침판의 상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떡시루를 구조적으로 크게 변형함이 없이 본 발명에 의한 떡찜용 증기발생장치에 간단히 적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공을 밀폐하고, 그 대신에 하부면에 원형의 통공(80'a, 도 15 참조)을 형성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통공(80'a)은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지지부재(50'a)에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된 소정 두께의 팩킹부재(50'b)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통공(80'a)이 형성된 떡시루(80')는, 상기 제1 지지부재(50'a)와 대응하는 결합부재로서, 상기 통공(80'a)의 둘레를 따라 떡시루 안쪽으로 수직 상향 돌출된 원형의 제2 지지부재(8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8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팩킹부재(50'b)의 상단면의 나머지 반부(半部)를 누르도록 그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80'c)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떡시루(80')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시루 받침판(50')에 장착할 경우, 상기 떡시루(80')의 하면에 형성된 통공(80'a)이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에 형성된 제1 지지부재(50'a)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떡시루(80')를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에 내려놓음으로써 간단하게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떡시루(80')는 그 통공(80'a) 주위에 돌출형성된 제2 지지부재(80'b)의 제2 절곡부(80'c)에 의해 상기 팩킹부재(50'b)의 상단면의 나머지 반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제2 지지부재(80'b)의 내주면이 상기 제1 지지부재(50'a)의 외주면에 끼워진 팩킹부재(50'b)의 외주면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에 흔들림이 없이 고정되게 된다.
이와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실시예와 같이 나무재질의 떡시루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떡시루를 떡시루 받침판에 간편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떡시루내에 증기를 골고루 공급하면서 떡을 효율적으로 찔 수가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 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떡시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의 떡시루 등에 대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떡시루 받침판의 바로 아래에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설치함으로써, 증기공급경로가 단축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원으로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저수조의 물을 직접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열시간의 단축에 의해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떡시루 받침판에 증기배출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저수조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증기배출수단을 통하여 떡시루측으로 직접 분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떡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본체의 일측에 증기배출보조구를 형성하여, 이를 떡시루 받침판에 안착시킬 수 없는 형상을 갖는 통(예컨대, 팥 삶는 통)에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떡 찌는 용도이외에 팥 등을 삶는 용도로서도 활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떡시루의 형상에 관계없이 떡시루 받침판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수조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떡시루측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조내에 증기와 증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는 기수분리판을 설치함으로써, 건조증기만을 떡시루측으로 공급할 수 있어 떡을 단시간내에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와 떡시루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수위 확인창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수위 확인창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기수분리판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의 작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증기배출보조구를 팥 삶는 통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증기배출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와 떡시루의 부분 단면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떡 시루 받침판의 상부면과 떡시루의 하부면의 개략구성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Housing) 13 ... 저수조
14 ... 전기히터 15 ... 온도감지부
18 ... 수위조절부 20 ... 콘트롤 박스(Control Box)
30 ... 수위 확인창 31 ... 투명판
31b ... 슬롯(Slot) 32 ... 지지판
33 ... 관형 결합부재 33c, 34c ... 유수공(流水孔)
40 ... 기수분리판 40a ... 판부재
40b, 40c ... 홀(Hole) 41, 42 ... 차단부
50, 50' ... 떡시루 받침판 50'a ... 제1 지지부재
50'b ... 팩킹(Packing)부재 51 ... 개구부
60 ... 제1 증기배출조절부 62a ... 제1 증기배출공
62b ... 제2 증기배출공 63 ... 가이드공
70 ... 제2 증기배출조절부 71 ... 삽입관
71a ... 제3 증기배출공 71b ... 제4 증기배출공
72 ... 나사공 73 ... 증기분출공
74 ... 돌출부 75 ... 원판형 덮개부
78 ... 환형홈 80, 80' ... 떡시루
80'a ... 통공 80'b ... 제2 지지부재
90 ... 팥 삶는 통

Claims (14)

  1.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면에 물유입구(11)와 물배출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수조(13)와, 상기 저수조(13)내에 설치되어 저수조(13)에 채워진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히터(14)와, 상기 저수조(13)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11-1)와, 상기 전기히터(14)가 위치한 저수조(13)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5)와, 상기 저수조(13)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부(21)와, 상기 전기히터(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22)와, 상기 각 구성부(14)(15)(21)(22)를 제어하는 제어부(23)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 10);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배치되어 떡시루(80, 8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소정두께의 떡시루 받침판(50, 50');
    상기 떡시루 받침판(50, 5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51)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상기 떡시루측으로 분출시키는 증기배출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증기배출보조구(19);
    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상기 개구부(51)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부(61)를 갖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 사이에서 그 아래에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 중 어느 하나의 증기배출공에서 다른 하나의 증기배출공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형태의 가이드공(63)을 갖는 원통형의 제1 증기배출조절부(60) 및,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중공부(61)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밀폐된 상면에 다수개의 증기분출공(73)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71a)(71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증기배출공의 형성위치의 아래에 상기 가이드공(63)을 통하여 체결부재(65)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72)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삽입관(71)과, 상기 삽입관(71)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로부터 소정 높이돌출된 돌출부(74)와, 상기 돌출부(74)의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삽입관(71)을 상기 가이드공(63)의 길이범위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상면에 걸쳐지는 원판형 덮개부(75)로 이루어지는 제2 증기배출조절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는, 그 상단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환형의 돌턱부(64)의 외주면과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의 내주면을 용접 또는 나사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개구부(5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63)은,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전체 둘레의 1/4 정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상부면은, 상기 가이드공(63)을 통하여 상기 삽입관(71)의 나사공(72)에 체결부재(65)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75)를 반시계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 증기배출공(62a)(62b)이 상기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71a)(71b)과 각각 연통되는 위치에 있을때, 상기 원판형 덮개부(75)의 내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형성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75)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공(63)을 통하여 상기 삽입관(71)의 나사공(72)에 체결부재(65)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75)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 2 증기배출공(62a)(62b)과 상기 제3 및 제4 증기배출공(71a)(71b)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상부 경사면 끝단과 밀착되기 위한 환형홈(7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 덮개부(75)는, 상기 제1 증기배출조절부(60)의 직경보다 크고, 그 중앙부에 평탄한 평탄면(76)을 갖고, 상기 평탄면(76)으로부터 테두리측으로 갈수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77)을 갖는 삿갓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3)내에는, 상기 저수조(13)내의 일정한 수면 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13)내의 공간을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증기와 증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기수분리판(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분리판(40)은,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의 판부재(40a)와, 그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다수개의 홀(Hole, 40b, 40c)과, 상기 각 홀(40b, 40c)의 개방된 일측과 상면을 차단하도록 상기 홀(40b, 40c)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홀(40b, 40c)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상태에서 상기 홀(40b, 40c)의 상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있는 차단부(41, 42)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벽면에는, 저수조(13)내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수위 확인창(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위 확인창(3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벽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세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면(31a)을 갖고 그 절개면에서 정면측의 방향으로 소정 깊이 패인 슬롯(Slot, 31b)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판(31), 상기 슬롯(31b)을 가리도록 상기 투명판(31)의 절개면상에 지지되는 지지판(32), 및 상기 투명판(31)과 지지판(32)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단부가 상기 투명판(31)과 지지판(32)의 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31c, 32a, 31d, 32b)을 통하여 삽입되고, 타단부(33b, 34b)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공(10a, 10b)을 통하여 그 내부에 삽입되는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한쌍의 관형 결합부재(33, 34)의 각 일단부 끝단에는 상기 슬롯(31b)과 연통되는 유수공(流水孔, 33c, 34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상면에는, 상기 증기배출수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수직으로 상향돌출되고, 그 외주면에 팩킹부재(50'b)가 끼워져 있고 상기 팩킹부재의 상단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제1 지지부재(50'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상면에 안착되는 떡시루(8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지지부재(50'a)에 끼워진 상기 팩킹부재(50'b)를 수용하기 위한 통공(80'a)과, 상기 팩킹부재(50'b)의 상단면의 나머지 일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팩킹부재(50'b)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80'a)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고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제2 지지부재(80'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떡시루(8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구조로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12.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면에 물유입구(11)와 물배출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저수조(13)와, 상기 저수조(13)내에 설치되어 저수조(13)에 채워진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히터(14)와, 상기 저수조(13)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11-1)와, 상기 전기히터(14)가 위치한 저수조(13)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5)와, 상기 저수조(13)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부(21)와, 상기 전기히터(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22)와, 상기 각 구성부(14)(15)(21)(22)를 제어하는 제어부(23)로 이루어지는 하우징(Housing, 10);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배치되어 떡시루(80, 8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소정두께의 떡시루 받침판(50, 50');
    상기 떡시루 받침판(50, 5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51)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향 돌출형성된 통체(52)와, 상기 통체(52)의 상단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판형 덮개부(53)와, 상기 통체(52)의 상단부면과 상기 덮개부(53)를 연결하도록 상기 통체(52)의 상단면과 상기 덮개부(5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되, 일단이 상기 통체(52)의 상단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덮개부(53)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53)의 내측에 고정되는 연결부(54)로 이루어지는 증기배출수단;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증기배출보조구(1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상면에는, 상기 증기배출수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수직으로 상향돌출되고, 그 외주면에 팩킹부재(50'b)가 끼워져 있고 상기 팩킹부재의 상단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제1 지지부재(50'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떡시루 받침판(50')의 상면에 안착되는 떡시루(8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지지부재(50'a)에 끼워진 상기 팩킹부재(50'b)를 수용하기 위한 통공(80'a)과, 상기 팩킹부재(50'b)의 상단면의 나머지 일부에 걸쳐지면서 상기 팩킹부재(50'b)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통공(80'a)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고 상단면이 원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제2 지지부재(80'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떡시루(8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구조로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1020050082176A 2005-09-05 2005-09-05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10053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176A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09-05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176A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09-05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801U Division KR200385322Y1 (ko) 2004-12-31 2005-03-04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058B1 true KR100539058B1 (ko) 2005-12-28

Family

ID=3730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176A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09-05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05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62B1 (ko) 2007-12-14 2009-03-30 김옥수 떡 제조용 찜질기
KR100997826B1 (ko) 2008-12-19 2010-12-01 김영호 플로트밸브의 작동성이 향상된 증기발생기
WO2011136468A2 (ko) * 2010-04-30 2011-11-03 (주)에너지닥터 간이 떡찜장치
WO2012093769A1 (ko) * 2011-01-03 2012-07-12 (주)뉴퓨리텍 떡 제조장치
WO2012141498A2 (ko) * 2011-04-13 2012-10-18 Lee Sang Jun 찜 장치
KR101233643B1 (ko) 2011-02-18 2013-02-15 포인트앤마크 주식회사 떡찜장치의 증기생성기
KR101237319B1 (ko) 2011-03-15 2013-02-28 임철한 즉석 떡 찜기
KR101255439B1 (ko) * 2011-04-13 2013-04-17 이상준 휴대용 떡 찜 장치
KR101279301B1 (ko) 2012-04-02 2013-07-05 이도형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KR101343236B1 (ko) 2011-10-26 2014-01-02 최종구 쿠커
KR102065772B1 (ko) * 2018-08-20 2020-01-13 지호현 가래떡 분리공급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62B1 (ko) 2007-12-14 2009-03-30 김옥수 떡 제조용 찜질기
KR100997826B1 (ko) 2008-12-19 2010-12-01 김영호 플로트밸브의 작동성이 향상된 증기발생기
WO2011136468A2 (ko) * 2010-04-30 2011-11-03 (주)에너지닥터 간이 떡찜장치
WO2011136468A3 (ko) * 2010-04-30 2012-01-12 (주)에너지닥터 간이 떡찜장치
KR101129091B1 (ko) 2010-04-30 2012-03-23 주식회사 에너지닥터 간이 떡찜장치
CN103237460A (zh) * 2011-01-03 2013-08-07 新普瑞技术 年糕制造装置
WO2012093769A1 (ko) * 2011-01-03 2012-07-12 (주)뉴퓨리텍 떡 제조장치
CN103237460B (zh) * 2011-01-03 2014-10-01 新普瑞技术 年糕制造装置
KR101233643B1 (ko) 2011-02-18 2013-02-15 포인트앤마크 주식회사 떡찜장치의 증기생성기
KR101237319B1 (ko) 2011-03-15 2013-02-28 임철한 즉석 떡 찜기
WO2012141498A2 (ko) * 2011-04-13 2012-10-18 Lee Sang Jun 찜 장치
WO2012141498A3 (ko) * 2011-04-13 2013-03-07 Lee Sang Jun 찜 장치
KR101255439B1 (ko) * 2011-04-13 2013-04-17 이상준 휴대용 떡 찜 장치
CN103458744A (zh) * 2011-04-13 2013-12-18 李相俊 蒸制装置
CN103458744B (zh) * 2011-04-13 2016-01-27 李相俊 蒸制装置
KR101343236B1 (ko) 2011-10-26 2014-01-02 최종구 쿠커
KR101279301B1 (ko) 2012-04-02 2013-07-05 이도형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KR102065772B1 (ko) * 2018-08-20 2020-01-13 지호현 가래떡 분리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058B1 (ko)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385322Y1 (ko)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US5649476A (en) Steam generator assembly and steam cooking appliances using same
KR100401327B1 (ko) 스팀청소기
KR100891262B1 (ko) 떡 제조용 찜질기
US7677161B2 (en) Steam oven
CN101171456A (zh) 具有最优化火焰分布的烹饪面板
KR101044918B1 (ko) 증기를 이용한 조리시스템
KR101894202B1 (ko) 대용량 솥
KR100390301B1 (ko)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KR101233643B1 (ko) 떡찜장치의 증기생성기
KR20150098144A (ko) 찜기용 스팀 공급장치
KR20100060997A (ko) 떡 제조용 스팀장치
JP3992183B2 (ja) 加熱用調理器
KR100317093B1 (ko) 떡 제조장치
KR200403950Y1 (ko)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의 증기배출밸브
KR101955657B1 (ko) 찜통 겸용 추출기
KR20100001848A (ko) 연속 증기발생장치
KR200361213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증기배출장치
KR200165198Y1 (ko) 찜기
JPH06253980A (ja) 蒸気調理機
KR970001364Y1 (ko) 떡을 찌기 위한 증기 발생장치
KR200315436Y1 (ko) 증숙 찜통용 보일러
JP5087257B2 (ja) 加熱調理器
KR100997826B1 (ko) 플로트밸브의 작동성이 향상된 증기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