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36468A2 - 간이 떡찜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떡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6468A2
WO2011136468A2 PCT/KR2011/001115 KR2011001115W WO2011136468A2 WO 2011136468 A2 WO2011136468 A2 WO 2011136468A2 KR 2011001115 W KR2011001115 W KR 2011001115W WO 2011136468 A2 WO2011136468 A2 WO 201113646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steam
water
steam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11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36468A3 (ko
Inventor
연기범
강재숙
Original Assignee
(주)에너지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너지닥터 filed Critical (주)에너지닥터
Publication of WO201113646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468A2/ko
Publication of WO201113646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46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ake steam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rice cake steaming device that can easily steam rice cake using steam.
  • the simple rice cake device is to supply steam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ice flour to boil the rice cake quickly.
  • the rice cake device is composed of a housing, a steam genera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container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ing portion to seat rice cake powder.
  • Prior Art 1 Korean Patent No. 53905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 steam generator for rice cake steaming, and Patent No. 53622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 Prior Art 2 discloses a steam generator for rice cake steaming
  • Prior Art 3 disclose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26447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imple rice cake steaming device that can boil the rice cake to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tea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rice cake steaming device that can boil rice cakes of various shap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rice cake apparatus that can boil the rice cake quickly.
  • the reservoir for supplying water;
  • a steamer for generating steam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reservoir;
  • a heater installed in the steamer to heat water;
  • Rice cake-shaped member detachably seated in the holder member and the rice cake powder is accommodated therein to shape the rice cake;
  • Reheating means for reheating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er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steam;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and heating of water through the reservoir.
  • the steamer the primary heating tank that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is heated; And the primary
  • It is formed so as to be partitioned from the heat bath, and includes a secondary heating bath in which steam flowing from the primary heating bath is reheated.
  • the reheat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secondary heating tank steam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steam supplied from the primary heating tank; And an auxiliary heater in contact with the steam transport pipe in the secondary heating tank to heat the steam transport pipe.
  • the reheat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secondary heating tank steam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steam supplied from the primary heating tank; And an auxiliary heater for heating the secondary heating bath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ary heating bath.
  • the rice cake-shaped member is cone-shaped or cup-shaped.
  • the holder member has a V-shaped inner space portion in which the cone-shaped rice cake member is seated inside, a steam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steam is supplied is form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and the cup-shaped rice cake shape i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portion.
  • a stepped portion on which the member is mounted is formed, and a hollow steam guide part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part is formed inside the steam discharge hole.
  •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 lin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incision line is
  • the steam guide part is formed when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is separated by the first cut line and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before the cone-shaped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space. It is made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he second incision line is forme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bove the first incision line is made to remove the body portion when eating rice cake.
  • the steamer further includes a shielding plate that shields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heating tank, and a holder member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holder memb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ary heating tank.
  • a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steame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steamer.
  • the water level sensor is installed outside or inside the steamer.
  • a heater instal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heater is installed, a water supply unit into which water is introduced, a drain in which water is drained, and a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water in the primary heating tank is installed therethrough. Sensor mounting holes are formed respectively.
  • On the passage for supplying steam to the holder member is provided with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the steam pressure in the steamer.
  •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can be separated, and the steam guide portion for supplying steam when seated on the holder member is located in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so that all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guide portion is As it is fed into the body, the rice cake will quickly steam.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mple rice cake stea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ervoir is separated in FIG.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a water tank.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er and a holder member embedded in the case.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amer.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er.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feed pipe.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heater.
  •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team is reheated by the reheating means.
  •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nsor installation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teamer.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steam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der member.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ure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member.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e-shaped rice cake member.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e-shaped rice cake member.
  • Fig.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seated on a holder member.
  •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shaped rice cake member.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seated on a holder member.
  • 2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heater shown in FIG.
  • FIG. 2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mple rice cake stea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ervoir is separated in FIG.
  • Simple rice cake steam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10, the reservoir 20, the holder member 30, and the control unit 40.
  • the case 10 is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rice cake steaming device, the front portion is formed with a reservoir seating portion 11 in which the reservoir 20 is seated.
  • Water supply unit 50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case 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seating portion (11).
  • the reservoir 20 is to supply water for forming steam
  • the water supply valve 2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50 is coupled to the bottom.
  • the water supply valve 21 is opened in contact with the water supply 50, the water of the reservoir 20 through the water supply 50 Supplied into the case 10.
  • the control unit 4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10, the power switch 41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2 for manually adjust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water, the power on / Power supply lamp 43 for indicating the off state, a heater operating lamp 44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ter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water replenishment lamp 45 for indicating whether the water refill.
  • the green light is turned on when the power is on, and the red light is turned on when the power is off.
  • the green light is turned on when the heater 100 is in an operating state, and the red light is turned on when the heater is not in operation.
  • the water replenishment lamp 45 the red light is turned on when the water refill is required into the steamer 7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green light is turned on when the water refill is not necessary.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water from a water tank.
  •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20 is supplied to the steamer 70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60.
  •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60 to the steamer 70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8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 the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90, the heater 100,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110, the reheating means 120, and the automatic pressure switch 140 provided in the steamer 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control unit 40 and the pump 60 are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er and a holder member embedded in the case.
  • the case 10 has a steamer 70 for steaming the rice cake by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reservoir 20, the holder memb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er 70.
  • the steamer 70 is a cylindrical enclosure.
  •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er 70 is coupled to the shielding plate 71 for shie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er 70, a plurality of holder member coupling portion 72 to which the holder member 30 is coupled to the shielding plate 71 Is formed spaced apart.
  • the sensor installation portion 73 is provid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90 is installed.
  •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nsor installation unit 73 communicate with the steamer 70, the water of the steamer 70 communicates with the lower portion, and the air communicates with the upper portion.
  • a water supply portion 74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into the steamer 70, and a drain 75 for draining the wat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er 70.
  • the lower portion of the steamer 70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76 for fixing the steamer 70 on the inner bottom of the case 10.
  • the outer side of the steamer 70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pressure switch 140 for constantly adjusting the steam pressure in the steamer 70.
  • an automatic pressure switch 140 for constantly adjusting the steam pressure in the steamer 70.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amer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er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feed pipe
  • Figure 8 is a trial showing the auxiliary heater.
  • the steamer 70 is divided into a primary heating bath 78 and a secondary heating bath 79 through a partition wall 77.
  • the heater 100 and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110 are installed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and the reheating means 120 is installed in the secondary heating bath 79.
  • the primary heating bath 78 is to heat the water after the inlet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74, the heater circumference of the heater installation hole (78a) is installed through the heater 100, and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110 The sensor installation hole 78a is formed therethrough.
  • the heater 100 is coupled to the primary heating bath 78 through the heater installation hole 78a to heat the water filled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110 is a sensor installation hole 78a It is installed through)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heated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Since the signal sensed by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1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 unit 40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The water is heated up to the set temperature.
  • the secondary heating bath 79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heating bath 78, the partition wall 77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secondary heating bath 79 is generated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A steam supply 77a is formed to allow steam to be supplied to the secondary heating bath 79.
  • the reheating means 120 is to reheat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heating tank 79 through the steam supply 77a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steam,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77a
  • the upper end is installed between the steam feed pipe 121 and the steam feed pipe 121 formed in a coil form so as to be open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heating tank 79, and the steam feed pipe (121) by heating the steam feed pipe ( It consists of an auxiliary heater 122 of the coil form to remove all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eam conveyed through 121.
  • the power supply terminal 120a coupled to both ends of the auxiliary heater 122 penetrates through the shield plate 71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ield plate 71 an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 the auxiliary heater 122 is also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 the holder member coupling portion 72 installed on the shielding plate 71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to supply steam suppli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steam transfer pipe 121 to the holder member 30.
  • FIG. 9 is a view showing how the steam is reheated by the reheating means.
  • the reheating means 120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steam feed pipe 121 and the auxiliary heater 122 formed in a coil form are sequentially stacked. Therefore, the steam feed pipe 121 is heated by the auxiliary heater 122, so that water introduced together with steam through one end of the steam feed pipe 121 is heated while rising along the steam feed pipe 121 to steam. After changing to the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top of the conveying pipe 121.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nsor installation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teamer.
  •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nsor installation unit 73 are formed with connecting pipes 73a and 73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rimary heating bath 78 of the steamer 70.
  • the water of the primary heating bath 78 is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pipe (73a), the air is communicated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pipe (73b) to facilitate the inflow of water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pipe (73a). .
  • the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90 installed in the sensor installation unit 73 is composed of three sensor units 91, 92, 93. That is, it is composed of a high water level sensor 91 for measuring the high water level of the water, a low water level sensor 92 for measuring the low water level of the water, and a ground sensor 93. That is, when water is filled with the high water level sensor 91 or more,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at sufficient water is filled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by the operation of the high water level sensor 91 and the ground sensor 93. When the water supply is cut off and the water is filled below the high water level sensor 91, that is, the low water level, the water level sensor 92 and the ground sensor 93 are operated to control the lack of water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130 to supply water.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steam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member 30 is connected to a steam control valve 15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er (70).
  • the steam control valve 150 is connected to the handle (151) of the " ⁇ " type.
  • the steam control valve 15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51 is located in the upper plat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the upper plate of the case 10 has a long hole 12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51 penetrates and the handle 151 can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steam control valve 150.
  • the upper end of the handle 151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10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152 to grasp the hand and rotate the handle 151. Accordingly,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handle 151 by opening and closing the handle 151 to open and close the steam control valve 151.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lder member.
  • the holder member 30 has a steam discharge hole 31 in which steam is discharg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has an inner space in which a cone-shaped rice cake member 170 and a cup-shaped rice cake member 180 to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therein ( 32) is formed.
  • the inner space portion 32 has a V-shaped structure, and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is seated.
  • the inner jaw 33 of the cup-shaped rice cake member 180 is seated on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32.
  • the steam discharge hole 31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so that steam is in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 a steam guide 34 is formed to guide the feed directly to the oven.
  • the steam guide portion 34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and the upper portion is installed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portion (32).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member 30 is formed with an extension jaw 35 exten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sulating member 36 is mounted along the extension jaw 35.
  • an internal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jaw 35 and the insulating member 36.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ure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member.
  • a pressure control valve 160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steam is connected to a passage through which steam is supplied to the holder member 30.
  • the pressure control valve 16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lder member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sure control valve 160 is installed in the pressure control pipe 161, the pressure control pipe 161, the pressure control pipe 161, the steam through-hole 162 through which steam passe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lidable up and down, Block 163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162, and a spring 164 to elastically support the block 163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control tube 161.
  • the blocking plate 163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steam, and the lower steam penetrating the pressure control pipe 161.
  • the hole 162 is opened so that the steam escapes to the holder member 30 through the upper steam through hole 162 of the pressure regulating tube 161.
  • This pressure control valve 160 is necessary to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steamer 70 when not steaming rice cake.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171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and a cover portion 172 covering the body portion 171, as shown in FIGS. 14 and 15.
  • the body portion 171 has first and second cut lines 173 and 174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the first cut line 17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71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inner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71. This is to easily separate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71 before seating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to the holder member (30).
  • the second cut line 174 formed above the first cut line 173 is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body portion 171. That is, the second incision 174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171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incision 174 located on the outer side. This is to easily peel off the body portion 171 when eating the rice cake.
  • the body portion 171 may be composed of a silicon coating layer 171a, a paper layer 171c and a PET coating layer 171d.
  • the silicon coating layer 171a and the polyethylene coating layer 171b are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per layer 171c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ice cake.
  • the PET coating layer 171d is coated to maintain the appearance even if the paper layer 171c is wet due to moisture.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seated on a holder member.
  •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When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is seated on the holder member 30,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separated through the first cut line 173. As such,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e-shaped rice cake member 170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32, the steam guide portion 34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e-shaped rice cake member 170 so that steam is cone-shaped rice cake. The rice cake is steamed in a short time as it is introduced into the shape member 170.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p-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p-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 the cup-shaped rice cake member 180 has a body portion 181 having an inner space, a bottom portion 182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81, and a cover portion 183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81. It is composed of Here, the bottom portion 18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82a through which steam passes.
  • the body portion 181 of the cup-shaped rice cake-like member 180 is a silicon coating layer 181a, a polyethylene coating layer 181b, and a paper layer 181c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on the basis of the cross section, similar to the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70. ),
  • the PET coating layer 181d is formed in sequence.
  • the body portion 181 may be composed of a silicon coating layer 181a, a paper layer 181c, and a PET coating layer 181d.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seated on a holder member.
  • the cup-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80 is seated on the step chin 33 formed in the inner space 32 of the holder member 30. Therefore,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32 through the steam guide 34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81 through the through-hole 182a formed in the bottom 182 of the cup-shaped rice cake member 180. The rice cake is steamed.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xiliary heater shown in FIG.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 the reheating means 190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unit (77a) and the upper end is formed in a coil form to the steam transfer pipe passage 191 so as to ope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heating tank (79) , And an auxiliary heater 192 which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secondary heating tank 79 of the steamer 70 and heats the secondary heating tank 79.
  • the auxiliary heater 19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flat cross section so as to surround the secondary heating bath 79.
  •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a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 the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200 is installed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through the shield plate 71 and the partition wall 77 of the steamer 70, the hollow pipe It is installed in the sensor installation unit 210 in the form.
  • the sensor installation unit 210 is open at the lower end, the water in the secondary heating tank 79 is introduced, the air communication hole 21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located in the secondary heating tank 79 to communicate air Accordingly, the inflow of water through the bottom is made smoothly.
  • the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200 is composed of three sensors 201, 202, 203. That is, it is composed of a high water level sensor 201 for measuring the high water level of water, a low water level sensor 202 for measuring the low water level of water, and a ground sensor 203. That is, when the water is filled above the high water level sensor 201,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to the controller 130 that sufficient water is filled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by the operation of the high water level sensor 201 and the ground sensor 203. When the water supply is cut off and the water is filled below the high water level sensor 201, that is, the low water level,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hortage in the primary heating bath 78 by the low water level sensor 202 and the ground sensor 203. ) To supply water.
  • step 34 steam guide portion
  • control unit 41 power switch
  • heater 110 water temperature sensor
  • pressure control valve 170 cone-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 cup-shaped rice cake-shaped member 181 the body portion
  • reheating means 191 steam transfer pipe
  • auxiliary heater 200 water level sens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을 이용해 간편하게 떡을 찔 수 있는 간이 떡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20); 상기 저수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기(70); 상기 스팀기(70)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100); 상기 스팀기(70)에서 발생된 스팀이 공급되는 홀더부재(30); 상기 홀더부재(30) 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내부에 떡가루가 수용되어 떡이 형상화되는 떡형상부재; 상기 스팀기(70)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재가열하여 스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재가열수단(120); 및 상기 저수통(20)을 통한 물의 공급과 가열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재가열수단(120)을 이용해 홀더부재(30)로 공급되는 스팀을 재가열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건스팀만이 홀더부재(30)로 공급되어 떡을 찌기 때문에 떡이 질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간이 떡찜장치
본 발명은 떡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팀을 이용해 간편하게 떡을 찔 수 있는 간이 떡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떡짐장치는 떡가루를 담은 용기 하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떡을 빠른 시간내에 쪄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떡짐장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스팀발생부와, 상기 스팀발생부 윗쪽에 배치되어 떡가루를 안착하는 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떡찜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539058호(이하, 선 행기술1 이라 한다.)에서 떡찜용 스팀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 536229호(이하, 선행기술2 이하 한다.)에서 떡찜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 용신안 제3264474호(이하, 선행기술3 이라 한다.)에서 보온겸용 소형 떡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1,2,3에서는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스팀으로 떡을 찌게 되 는데, 스팀에 수분이 포함된 상태로 떡을 찌게 되므로 떡이 질어지게 된다.
또한, 떡가루를 담아 떡을 찌게 되는 떡시루가 사각모양으로만 되어 있어 사각모양의 떡만을 만들기 때문에 다양한 모양의 떡을 쪄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팀에 포 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떡을 질지 않게 쪄낼 수 있는 간이 떡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모양의 떡을 쪄낼 수 있는 간이 떡찜장 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떡을 신속하게 쪄낼 수 있는 간이 떡짐장치 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 상기 저수통 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기; 상기 스팀기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스팀기에서 발생된 스팀이 공급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 더부재 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내부에 떡가루가 수용되어 떡이 형상화되는 떡형상부재; 상기 스팀기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재가열하여 스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재가열수단; 및 상기 저수통을 통한 물의 공급과 가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가열되는 1차 가열조; 및 상기 1차 가
열조와 구획되게 형성되어, 1차 가열조로부터 유입되는 스팀이 재가열되는 2차 가 열조를 포함한다.
상기 재가열수단은, 상기 2차 가열조에 설치되어 상기 1차 가열조에서 공급 되는 스팀을 이송하는 스팀 이송관로; 및 상기 2차 가열조내에서 상기 스팀 이송관로와 접촉되어 스팀 이송관로를 가열하는 보조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재가열수단은, 상기 2차 가열조에 설치되어 상기 1차 가열조에서 공급 되는 스팀을 이송하는 스팀 이송관로; 및 상기 2차 가열조의 외측면을 둘러싼 상태 에서 상기 2차 가열조를 가열하는 보조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떡형상부재는 콘형 또는 컵형이다.
상기 홀더부재는, 내측에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가 안착되는 V자 형태의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부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컵형 떡형상부재가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배출홀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공간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스팀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는, V자형 단면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덮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제1,2절개선이 형성되고, 상 기 제1절개선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를 상기 내 부공간부에 안착시키기 전 상기 제1절개선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하단이 분리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내부공간부에 안착될 때 상기 스팀 가이드부가 상기 몸체부 내 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절개선은 상기 제1절개선의 위쪽에 일정 간격 으로 이격 형성되어 떡을 먹을 때 상기 몸체부를 벗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기는, 상기 2차 가열조의 상부를 차폐하고, 상기 홀더부재와 결합 되는 홀더부재 결합부가 상기 2차 가열조와 연통되게 형성된 차폐판을 더 포함한 다.
상기 스팀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기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위측정센서는 상기 스팀기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1차 가열조에는, 상기 히터가 관통 설치되는 히터 설치홀, 물이 유입되 는 급수부, 물이 배수되는 드레인, 상기 1차 가열조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 한 수온센서가 관통 설치되는 센서 설치홀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재로 스팀을 공급하는 통로상에는 상기 스팀기내의 스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밸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떡찜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재가열수단을 이용해 홀더부재로 공급되는 스팀을 재가열하도록 이루 어짐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건스팀만이 홀더부재로 공급되어 떡을 찌기 때문에 떡이 질지 않게 된다.
둘째, 떡가루를 담아 떡을 쪄낼 수 있는 떡형상부재를 콘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모양의 떡을 쪄낼 수 있다.
셋째, 콘형 떡형상부재의 경우 몸체부의 하단을 분리할 수 있고, 홀더부재에 안착될 때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가이드부가 몸체부의 하단을 통해 몸체부 내에 위치됨으로써, 스팀 가이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 전부가 몸체부 내로 공급됨에 따라 떡이 신속하게 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떡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저수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물탱크의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스팀기 및 홀더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스팀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스팀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스팀 이송관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보조히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재가열수단에 의해 스팀이 재가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스팀기의 외측에 연결되는 센서 설치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홀더부재에 연결된 스팀 조절밸브의 설치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홀더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홀더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압력조절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콘형 떡형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콘형 떡형상부재의 단면도.
도 16은 콘형 떡형상부재가 홀더부재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컵형 떡형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컵형 떡형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컵형 떡형상부재가 홀더부재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보조히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떡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저수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떡찜장치는, 케이스(10), 저수통(20), 홀 더부재(30), 및 컨트롤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떡찜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부에는 저수 통(20)이 안착되는 저수통 안착부(11)가 형성된다. 저수통 안착부(11)의 바닥면에는 케이스(1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저수통(20)은 스팀을 형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부에 물 공급부(50)와 연결되는 물공급밸브(21)가 결합된다. 저수통(20)이 저수통 안착부(11)에 안착될 때 물공급밸브(21)가 물공급부(50)와 접촉하여 개방됨으로써, 저수통(20)의 물이 물공급부(50)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공급된다.
상기 컨트롤부(40)는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41), 물의 가열온도를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온도조절부(42), 전원의 온/오프상태를 알려주는 전원램프(43), 후술할 히터(100)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히터작동램프(44), 및 물보충여부를 알려주는 물보충램프(45)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램프(43)의 경우 전원이 온상태인 경우 녹색불이 켜지고 오프 상태에서는 적색불이 켜진다. 상기 히터작동램프(44)의 경우에도 히터(100)가 작동상태인 경우에는 녹색불이 켜지고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적색불이 켜진다. 상기 물 보충램프(45)의 경우 후술할 스팀기(70) 내로 물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색불이 켜지며 물보충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녹색불이 켜진다. 물보충램프(45)에 적색불이 켜지면 후술할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스팀기(70) 내로 물이 공급 된다.
도 3은 물탱크의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저수통(20)에 저장된 물은 펌프(60)의 작동에 의해 스팀기(70)로 공급 된다. 펌프(60)로부터 스팀기(70)로 공급되는 물은 필터부(8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스팀기(70)에 구비되는 수위측정센서(90), 히터(100), 수온센서(110), 재가열수단(120) 및 자동압력스위치(140)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부(40) 및 펌프(60)도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물공급 및 스팀발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스팀기 및 홀더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저수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떡을 찌기 위한 스팀기(70)가 내장되며, 스팀기(70)의 상부에는 홀더부재(30)가 결합된다.
상기 스팀기(70)는 원통형의 함체이다. 이러한 스팀기(70)의 상부에는 스팀 기(70)의 상부를 차폐하는 차폐판(71)이 결합되며, 차폐판(71)에는 홀더부재(30)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홀더부재 결합부(72)가 이격 형성된다.
상기 스팀기(70)의 외측에는 스팀기(70) 내의 물이 소통되며, 상기 수위측정 센서(90)가 설치되는 센서 설치부(73)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 설치부(73)의 상하부는 스팀기(70)와 연통되며, 하부로는 스팀기(70)의 물이 소통되고, 상부로는 공기가 소통된다.
상기 스팀기(70)의 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스팀기(7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74), 및 물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75)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기(70) 의 하부에는 케이스(10)의 내측 바닥에 스팀기(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76)이 구비된다.
한편, 스팀기(70)의 외측에는 스팀기(70) 내의 스팀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하기 위한 자동압력스위치(140)가 설치된다. 자동압력스위치(140)에 의해 스팀기(70) 내의 스팀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으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히터(10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설정된 압력보다 낮으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히터(100)가 작동하게 된다.
도 5는 스팀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스팀기의 분해사시 도이며, 도 7은 스팀 이송관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보조히터를 나타낸 사 시도이다.
상기 스팀기(70)는 구획벽(77)을 통해 1차 가열조(78)와 2차 가열조(79)로 분할 형성된다. 1차 가열조(78)에는 히터(100) 및 수온센서(110)가 설치되며, 2차 가열조(79)에는 재가열수단(120)이 설치된다.
상기 1차 가열조(78)는 급수부(74)을 통해 물을 유입한 후 가열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히터(100)가 관통 설치되는 히터 설치홀(78a), 및 수온센서(110)가 관통되는 센서 설치홀(78a)이 형성된다.
상기 히터(100)는 히터 설치홀(78a)을 통해 1차 가열조(78)에 결합되어 1차 가열조(78)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며, 상기 수온센서(110)는 센서 설치홀(78a)을 통 해 설치되어 1차 가열조(78)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수온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30)로 전송되어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히터(100)의 작동이 제어되므로, 1차 가열조(78)에서는 컨트롤부(40)에서 설정된 온도만큼 물이 가열된다.
상기 2차 가열조(79)는 1차 가열조(78)의 상부에 형성되며, 2차 가열조(79) 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획벽(77)에는 1차 가열조(78)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2차 가열 조(79)로 공급되도록 하는 스팀 공급부(77a)가 형성된다.
상기 재가열수단(120)은 스팀 공급부(77a)을 통해 2차 가열조(79)로 유입되 는 스팀을 재가열하여 스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하단은 스팀 공급 부(77a)과 연결되고 상단은 2차 가열조(79)의 상부에서 개방되도록 코일 형태로 형 성된 스팀 이송관로(121), 및 스팀 이송관로(121) 사이에 설치되어 스팀 이송관로(121)를 가열함으로써 스팀 이송관로(121)를 통해 이송되는 스팀에 포함된 수분을 모두 제거하는 코일 형태의 보조히터(122)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히터(122)의 양단에 결합되는 전원공급단자(120a)는 차폐판(71)을 관통하여 차폐판(71)의 상부로 노출되며,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접속된다. 이러한 보조히터(122) 역시 제어부(13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차폐판(71)에 설치되는 홀더부재 결합부(72)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 되어, 스팀 이송관로(121)의 타단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을 홀더부재(30)로 공급하 게 된다.
도 9는 재가열수단에 의해 스팀이 재가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재가열수단(120)은 코일형태로 형성된 스팀 이송관로(121)와 보조히터(122)가 차례로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히터(122)에 의해 스팀 이송관로(121)가 가열됨으로써, 스팀 이송관로(121)의 일단을 통해 스팀과 함께 유 입되는 물은 스팀 이송관로(121)를 따라 상승하면서 가열되어 스팀으로 바뀐 후 스 팀 이송관로(121)의 상단을 통해 배출된다.
도 10은 스팀기의 외측에 연결되는 센서 설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센서 설치부(73)의 상하부에는 스팀기(70)의 1차 가열조(78)와 연결되 는 연결관(73a)(73b)이 각각 형성된다. 하부 연결관(73a)을 통해 1차 가열조(78)의 물이 유입되고, 상부 연결관(73b)을 통해서는 공기가 소통되어 하부 연결관(73a)을 통한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센서 설치부(73)에 설치되는 수위측정센서(90)는 3개의 센서부(91)(92)(93)로 구성된다. 즉, 물의 고수위 여부를 측정하는 고수위 센서(91), 물의 저수위 여부를 측정하는 저수위 센서(92), 및 접지 센서(93)로 구성된다. 즉, 물이 고수위 센서(91) 이상으로 채워질 경우에는 고수위 센서(91)와 접지 센서(93) 의 작동에 의해 1차 가열조(78) 내에 충분한 물이 채워져 있음을 제어부(130)로 전 달하여 물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물이 고수위 센서(91) 미만 즉 저수위로 채워질 경우에는 저수위 센서(92)와 접지 센서(93)의 작동에 의해 1차 가열조(78) 내의 물 이 부족함을 제어부(130)로 전달하여 물을 공급하게 된다.
도 11은 홀더부재에 연결된 스팀 조절밸브의 설치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홀더부재(30)의 하부에는 스팀기(70)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 하기 위한 스팀 조절밸브(150)가 연결된다. 스팀 조절밸브(150)에는 “┛”형태의 손잡이(151)가 연결된다.
상기 스팀 조절밸브(150) 및 손잡이(151)의 하부는 케이스(10)의 상판 하부 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스(10)의 상판에는 손잡이(151)의 상부가 관통됨과 아울러 스팀 조 절밸브(150)의 개폐를 위해 손잡이(151)가 회동될 수 있도록 장공(12)이 형성된다. 케이스(10)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손잡이(151)의 상단에는 손으로 쥐고 손잡이(151) 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파지부(152)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152) 를 잡고 손잡이(151)를 열고 닫음으로써 스팀 조절밸브(151)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도 12는 홀더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홀더부재(30)는, 하부에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홀(31)이 형성되고, 내부에 후술할 콘형 떡형상부재(170) 및 컵형 떡형상부재(180)가 수용되는 내부공 간부(32)가 형성된다. 내부공간부(32)는 V자 구조로 되어 콘형 떡형상부재(170)가 안착된다. 내부공간부(32)의 내측 상부에는 컵형 떡형상부재(180)가 안착되는 단 턱(33)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배출홀(31)에는 내부공간부(32)에 콘형 떡형상부재(170)를 안착시 킬 때, 콘형 떡형상부재(170)의 하부로 삽입되어 스팀이 콘형 떡형상부재(170) 내 로 직접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스팀 가이드부(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팀 가이드 부(34)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내부공간부(32)로 돌출되게 설치 된다.
한편, 상기 홀더부재(30)의 상하부에는 원주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된 연장 턱(35)이 형성되고, 연장턱(35)을 따라 절연부재(36)가 장착되도록 되어있다. 여 기서, 연장턱(35)과 절연부재(36)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도 13은 홀더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압력조절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홀더부재(30)로 스팀이 공급되는 통로에는 스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 한 압력조절밸브(160)가 연결된다. 이러한 압력조절밸브(160)는 복수개의 홀더부 재(30)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압력조절밸브(160)는, 상하부에 스팀이 통과하는 스팀 관통홀(162)이 각각 형성되는 압력조절관(161), 압력조절관(161)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 스팀 관통홀(16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판(163), 및 압력조절 관(161)의 상면에 대하여 차단판(163)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6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력조절밸브(160)에 의하면, 스팀기(70) 내의 스팀이 적 정량을 초과할 경우 스팀의 압력에 의해 차단판(163)이 상승하게 되고, 압력조절 관(161)의 하부 스팀 관통홀(162)이 개방되어, 스팀이 압력조절관(161)의 상부 스 팀 관통홀(162)을 통해 홀더부재(30)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압력조절밸브(160)는 떡을 찌지 않을 때 스팀기(70) 내의 내부 압력 을 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14는 콘형 떡형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콘형 떡형상부재의 단면도이다.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170)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V자형 단면을 갖는 몸체부(171)와, 몸체부(171)를 덮는 덮개부(172)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71)에 는 외주면을 따라 제1,2절개선(173)(1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7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절개선(173)은 몸체부(171)의 내 외측면에서 동일 위치에서 형성된다. 이는 콘형 떡형상부재(170)를 홀더부재(30)에 안착시키기 전 몸체부(171)의 하단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반면, 제1절개선(173)의 위쪽에 형성되는 제2절개선(174)은 몸체부(171)의 내외측면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된다. 즉, 몸체부(171)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제2 절개선(174)이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2절개선(174)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떡을 먹을 때 몸체부(171)를 용이하게 벗겨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170)의 몸체부(171)는, 단면을 기준으로 내면에서 외면으로 실리콘코팅층(171a), 폴리에틸렌코팅층(171b), 종이층(171c), PET코팅층(171d)이 차례로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71)는 실리콘코팅층(171a), 종이 층(171c) 및 PET코팅층(171d)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코팅층(171a)과 폴리에틸렌코팅층(171b)은 떡과 쉽게 분리되도 록 상기 종이층(171c)의 내면에 코팅된 것이다. 상기 PET코팅층(171d)은 종이 층(171c)이 습기로 인하여 젖더라도 외형을 유지하기 위해 코팅된 것이다.
도 16은 콘형 떡형상부재가 홀더부재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170)는 홀더부재(30)에 안착될 때 제1절개선(173)을 통해 하부를 분리한 상태로 안착시키게 된다. 이처럼 콘형 떡형상부재(170)의 하부 를 절개한 상태로 내부공간부(32)에 안착시키면 콘형 떡형상부재(170)의 하부를 통 해 스팀 가이드부(34)가 삽입되어, 스팀이 콘형 떡형상부재(170) 내로 유입됨에 따 라 단시간에 떡이 쪄진다.
도 17은 컵형 떡형상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컵형 떡형상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컵형 떡형상부재(180)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부(181)와, 몸체부(181)의 하부를 덮는 바닥부(182), 및 몸체부(181)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83)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닥부(182)에는 복수의 통공부(182a)가 형성되어 스팀이 통과된다.
상기 컵형 떡형상부재(180)의 몸체부(181)는 콘형 떡형상부재(170)와 마찬가지로, 단면을 기준으로 내면에서 외면으로 실리콘코팅층(181a), 폴리에틸렌코팅 층(181b), 종이층(181c), PET코팅층(181d)이 차례로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 부(181)는 실리콘코팅층(181a), 종이층(181c) 및 PET코팅층(181d)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9는 컵형 떡형상부재가 홀더부재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컵형 떡형상부재(180)는 홀더부재(30)의 내부공간부(32)에 형성된 단 턱(33)에 안착된다. 따라서, 스팀 가이드부(34)를 통해 내부공간부(32)로 유입되는 스팀은 컵형 떡형상부재(180)의 바닥부(182)에 형성된 통공부(182a)를 통해 몸체 부(181)로 유입되어 떡을 찌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1 은 도 20에 도시된 보조히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가열수단(190)은, 하단은 스팀 공급부(77a)과 연결되고 상단은 2차 가열조(79)의 상부에서 개방되도록 코일 형태로 형 성된 스팀 이송관로(191), 및 스팀기(70)의 2차 가열조(79)의 외측을 감싸 2차 가 열조(79)를 가열하는 보조히터(192)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히터(192)는 2차 가열 조(79)를 감싸도록 단면이 평판인 링 형태로 형성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 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측정센서(200)는, 스팀기(70)의 차 폐판(71) 및 구획벽(77)을 관통하여 1차 가열조(78) 내에 설치되되, 중공의 관형태 로 된 센서 설치부(210) 내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 설치부(210)는 하단이 개방되어 2차 가열조(79) 내의 물이 유입되며, 2차 가열조(79) 내에 위치되는 상부에는 공기 소통홀(211)이 형성되어 공기가 소통됨에 따라 하단을 통한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수위측정센서(200)는 3개의 센서(201)(202)(203)로 구성된다. 즉, 물의 고수위 여부를 측정하는 고수위 센서(201), 물의 저수위 여부를 측정하는 저수위 센서(202), 및 접지 센서(203)로 구성된다. 즉, 물이 고수위 센서(201) 이상으로 채워질 경우에는 고수위 센서(201)와 접지 센서(203)의 작동에 의해 1차 가열 조(78) 내에 충분한 물이 채워져 있음을 제어부(130)로 전달하여 물공급을 차단하 게 되고, 물이 고수위 센서(201) 미만 즉 저수위로 채워질 경우에는 저수위 센서(202)와 접지 센서(203)의 작동에 의해 1차 가열조(78) 내의 부족함을 제어부(130)로 전달하여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저수통 안착부
12: 장공 20: 저수통
21: 물공급밸브 30: 홀더부재
31: 스팀 배출홀 32: 내부공간부
33: 단턱 34: 스팀 가이드부
40: 컨트롤부 41: 전원스위치
42: 온도조절부 43: 전원램프
44: 히터작동램프 45: 물보충램프
50: 물공급부 60: 펌프
70: 스팀기 71: 차폐판
72: 홀더부재 결합부 73: 센서 설치부
77: 구획벽 78: 1차 가열조
79: 2차 가열조 90: 수위측정센서
100: 히터 110: 수온센서
120: 재가열수단 121: 스팀 이송관로
122: 보조히터 130: 제어부
140: 자동압력스위치 150: 스팀 조절밸브
160: 압력조절밸브 170: 콘형 떡형상부재
171: 몸체부 172: 덮개부
173: 제1절개선 174: 제2절개선
180: 컵형 떡형상부재 181: 몸체부
182: 바닥부 183: 덮개부
190: 재가열수단 191: 스팀 이송관로
192: 보조히터 200: 수위측정센서
210: 센서 설치부

Claims (12)

  1. 물을 공급하는 저수통;
    상기 저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기;
    상기 스팀기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스팀기에서 발생된 스팀이 공급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 내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내부에 떡가루가 수용되어 떡이 형상화되는 떡형상부재;
    상기 스팀기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재가열하여 스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 하는 재가열수단; 및
    상기 저수통을 통한 물의 공급과 가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간이 떡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가열되는 1차 가열조; 및
    상기 1차 가열조와 구획되게 형성되어, 1차 가열조로부터 유입되는 스팀이 재가열되는 2차 가열조를 포함하는 간이 떡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수단은,
    상기 2차 가열조에 설치되어 상기 1차 가열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이송하는 스팀 이송관로; 및
    상기 2차 가열조내에서 상기 스팀 이송관로와 접촉되어 상기 스팀 이송관로 를 가열하는 보조히터를 포함하는 간이 떡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수단은,
    상기 2차 가열조에 설치되어 상기 1차 가열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이송하는 스팀 이송관로; 및
    상기 2차 가열조의 외측면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2차 가열조를 가열하는 보조히터를 포함하는 간이 떡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떡형상부재는 콘형 또는 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떡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내측에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가 안착되는 V자 형태의 내부공간부가 형성되 고, 내측 하부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부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컵형 떡형상부재가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 배출 홀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공간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스팀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간이 떡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는 V자형 단면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덮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제1,2절개선이 형성되고, 상 기 제1절개선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콘형 떡형상부재를 상기 내 부공간부에 안착시키기 전 상기 제1절개선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하단이 분리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내부공간부에 안착될 때 상기 스팀 가이드부가 상기 몸체부 내 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절개선은 상기 제1절개선의 위쪽에 일정 간격 으로 이격 형성되어 떡을 먹을 때 상기 몸체부를 벗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간이 떡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기는,
    상기 2차 가열조의 상부를 차폐하고, 상기 홀더부재와 결합되는 홀더부재 결 합부가 상기 2차 가열조와 연통되게 형성된 차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떡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기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떡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센서는 상기 스팀기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간이 떡찜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조에는, 상기 히터가 관통 설치되는 히터 설치홀, 물이 유입되 는 급수부, 물이 배수되는 드레인, 상기 1차 가열조 내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 한 수온센서가 관통 설치되는 센서 설치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이 떡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로 스팀을 공급하는 통로상에는 상기 스팀기 내의 스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떡찜장치.
PCT/KR2011/001115 2010-04-30 2011-02-21 간이 떡찜장치 WO201113646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444A KR101129091B1 (ko) 2010-04-30 2010-04-30 간이 떡찜장치
KR10-2010-0040444 2010-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468A2 true WO2011136468A2 (ko) 2011-11-03
WO2011136468A3 WO2011136468A3 (ko) 2012-01-12

Family

ID=4486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1115 WO2011136468A2 (ko) 2010-04-30 2011-02-21 간이 떡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9091B1 (ko)
WO (1) WO20111364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643B1 (ko) * 2011-02-18 2013-02-15 포인트앤마크 주식회사 떡찜장치의 증기생성기
KR101350161B1 (ko) * 2012-06-29 2014-01-08 곽성호 조리용 즉석 스팀 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611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JP2005065819A (ja) * 2003-08-21 2005-03-17 Sukegawa Electric Co Ltd 蒸気加熱調理器
KR100539058B1 (ko) *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43802Y1 (ko) * 2007-10-31 2009-03-16 명노홍 떡 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819A (ja) * 2003-08-21 2005-03-17 Sukegawa Electric Co Ltd 蒸気加熱調理器
KR20050026611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539058B1 (ko) *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43802Y1 (ko) * 2007-10-31 2009-03-16 명노홍 떡 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091B1 (ko) 2012-03-23
KR20110121039A (ko) 2011-11-07
WO2011136468A3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82323A1 (ko) 진공저온조리기
WO2018139840A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17039091A1 (ko) 전기밥솥
EP3182873A1 (en)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WO2015120588A1 (zh) 电子烟及其气流控制方法
WO2011136468A2 (ko) 간이 떡찜장치
WO2013118992A1 (ko) 전기밥솥
WO2016129780A1 (ko) 순간가열장치
EP3307133A1 (en)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WO2018199498A2 (en) Hot water genera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6144045A1 (ko) 승강 샤워부가 구비된 스탠드형 샤워기
WO2014142561A1 (ko) 순간 온수기
WO2021020774A1 (ko) 수분공급부가 구비된 전극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건조 방법
WO2019059531A1 (ko) 반도체 제조 장치
WO2013048016A2 (ko) 기판지지유닛 및 기판처리장치, 그리고 기판지지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WO2010013888A2 (ko) 조리기기 및 그의 버너 어셈블리
WO2012124868A1 (ko) 방열겸용 사우나스팀발생기
WO2022030843A1 (ko) 광산란 미세먼지 측정장치
WO2019059429A1 (ko)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WO2016186404A1 (ko) 커피머신 겸용 순간가열식 떡찜기
WO2018107496A1 (zh) 水烟烟具及其加热组件
WO2023153709A1 (ko) 행거형 자동 스팀다림장치
WO2017078298A1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WO2022075697A1 (ko) 난방 및 냉방 겸용 보일러
WO2017204405A1 (ko)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751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751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