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848A - 연속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848A
KR20100001848A KR1020080061925A KR20080061925A KR20100001848A KR 20100001848 A KR20100001848 A KR 20100001848A KR 1020080061925 A KR1020080061925 A KR 1020080061925A KR 20080061925 A KR20080061925 A KR 20080061925A KR 20100001848 A KR20100001848 A KR 2010000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 generator
tank
heat exchang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창환
Original Assignee
나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창환 filed Critical 나창환
Priority to KR102008006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848A/ko
Publication of KR2010000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용기용 연속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량의 고온/저압 공기를 빠른 속도로 발생시켜 순환시킬 수 있는 증숙용기용 연속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증기회수조; 증기회수조에 설치되고 그리고 공급된 물을 예열하기 위한 제1차 열교환기; 증기회수조와 분리되어 설치된 증기발생조; 제1차 열교환기와 소통되고 그리고 증기발생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차 열교환기; 증기발생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열판;증기발생조의 위쪽에 설치되는 증숙용기; 증기발생조와 증숙용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증기공급관; 및 증숙용기의 위쪽에 설치되는 후드를 포함한다.
열교환기, 증숙용기, 증기발생기, 공급제어밸브

Description

연속 증기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Steam Continuously}
본 발명은 증숙용기용 연속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량의 고온/저압 증기를 빠른 속도로 발생시켜 순환시킬 수 있는 증숙용기용 연속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기로 음식을 제조 또는 조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이 있다. 떡은 증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대표적인 음식에 해당하고 일반적으로 시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구멍을 통하여 증기를 주입시켜 쌀가루를 쪄서 만들어지는 떡을 시루떡이라고 한다. 떡시루를 통과하는 증기는 증기발생장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떡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증기발생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68276호 “시루떡 증숙용 스팀발생 장치”는 전원을 사용하여 히터 방식으로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위생적으로 떡을 생산하기 위하여 가열통, 히터, 급수관, 수위감지수단, 증기토출구, 압력감지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시루떡 증식용 스팀발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증기발생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419111호에 개 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스팀탱크로부터 고온/고압으로 가열된 스팀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여 증숙 효율을 높이고, 누전사고를 방지하고 그리고 수리가 용이한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시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선행발명은 급수실과 보일러실 사이에 설치된 격벽, 급수실의 전면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 및 보일러실의 전면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컨트롤도어가 가진 스팀장치를 제공한다.
증기발생장치에서 토출된 증기는 시루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시루와 떡이 인접하고 있는 경계면에 죽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밀폐형 보일러 구조 또는 히터가 저수조 내에서 노출된 구조가 되는 경우 장치 안정성이 낮아지고 그리고 세척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필요량 이상의 용수 저장으로 인하여 보온 구조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에너지 소모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증기로 음식을 제조 또는 조리하기 위한 증숙용기가 가진 일반적인 문제점에 해당한다. 그리고 떡시루용 증기발생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 열교환기 및 보온재를 설치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킨 증숙용기용 연속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기발생장치는 증기회수조; 증기회수조에 설치되고 그리고 공급된 물을 예열하기 위한 제1차 열교환기; 증기회수조와 분리되어 설치된 증기발생조; 제1차 열교환기와 소통되고 그리고 증기발생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차 열교환기; 증기발생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열판; 증기발생조의 위쪽에 설치되는 증숙용기; 증기발생조와 증숙용기를 소통 가능 하도록 연결하는 증기공급관; 및 증숙용기의 위쪽에 설치되는 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드로부터 증기회수조로 연결된 증기회수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증기발생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증기발생조와 하우징은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차 열교환기와 연결되고 증기발생조의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급수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기발생조에 설치되는 수위조절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차 열교환기의 적어도 일 부는 가열판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기공급관에 설치되어 증숙용기로 공급되는 증기 양을 제어하는 공급제어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기공급관에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숙용기의 표면에 보온피복재재가 형성되고 그리고 배출관은 보온피복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연속적으로 증기를 증숙용기에 공급하여 조리되는 음식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증기의 재활용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증숙용기는 증기를 공급받아 음식을 제조하거나 또는 조리하 기 위한 모든 용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증숙용기는 떡시루, 게찜통, 만두 또는 찐빵 찜통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기발생장치(10)는 증기를 회수하는 한편 증기 발생을 위하여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부분(B) 및 공급된 물로부터 증기를 발생시켜 증숙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 부분(A)을 포함한다.
물공급 부분(B)은 증기를 회수하기 위한 증기회수조(11); 증기회수조(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12);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증기회수조(11)의 아래쪽에 형성된 배출구(111); 여분의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증기회수조(11)의 위쪽에 형성된 사이펀식(siphon type) 만수위 배출구(112); 및 증기를 증기회수조(11)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한 흡입 팬(P)을 포함한다.
증기발생부분(A)은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13); 공급된 열을 전달하기 위한 가열판(14);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조(15); 증기발생조(1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조(16); 급수조(16)에 물을 전달하는 제2 열교환기(17); 및 증기발생조(15)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기(18)를 포함한다. 증기발생 조(15)의 위쪽에 다수 개의 증숙용기(T1 내지 T6)가 설치되고 추가로 가장 위쪽에 설치되는 증숙용기(T6)의 상부에 증숙용기(T1 내지 T6)를 통과한 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후드(H)가 설치된다.
증기회수조(11)의 배출구(111)는 세척을 위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사이펀식(siphon type) 만수위 배출구(112)는 증기회수조(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로 인하여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 을 방지하고 물만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배출구(111)는 필요에 따라 개폐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지만 만수위 배출구(112)는 특별히 개폐 밸브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제1 열교환기(12)는 증기 발생을 위하여 입구(IN)로 유입된 물을 예열한다. 제1 열교환기(12)는 유입된 물을 예열하기 위한 열매체 순환 자켓을 가지거나 또는 열저항체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제1 열교환기(12)는 후드(H)를 통하여 회수된 폐열 증기를 이용하여 공급된 물을 예열할 수 있다. 증기를 이용하여 예열되는 경우 제1 열교환기(12)의 예열 온도는 증기회수조(11) 내부의 물과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증기의 온도에 의하여 예열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12)에서 예열된 물은 제2 열교환기(17)로 공급되어 2차적으로 가열된다. 제2 열교환기(17)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 순환 자켓 또는 열 발생 전기 저항체를 가질 수 있다. 제2 열교환기(17)에서 물의 가열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열교환기(17)에서 가열된 물은 증기발생조(15)로 공급되거나 또는 급수조(16)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조(16)는 증기발생조(15)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추가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급수조(16)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증기발생조(15)와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도 2 참조) 증기발생조(15)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조(16)와 증기발생조(15) 사이에 급수통로(P)가 설치된다.
증기발생조(15)는 제2 열교환기(17) 또는 급수조(16)로부터 공급된 물에 열을 가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증기발생조(15)는 증기발생을 위한 충분한 양의 물 을 저장하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낮은 수위를 유지하면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저수위를 유지하면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열효율 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증기발생조(15)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위조절기(18)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조절기(18)는 증기발생조(15), 급수조(16)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수위조절기(18)는 예를 들어 오뚜기 스위치, 다수 개의 전극봉을 가진 전자식 스위치 또는 부구를 이용하는 부력 스위치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유리하게 수위조절기(18)는 증기발생조(15)가 저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증기발생조(15) 또는 급수조(16)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급수조(16)가 필요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급수조(16)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증기 발생조(15) 밖의 제2 열교환기(17)과 증기 발생조(15) 내부의 수위조절기(18)가 직접 연결되어 증기 발생조 (15)의 수위를 조절 할 수 있다.
증기발생조(15) 또는 급수조(16)는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수용될 수 있다.
증기발생조(15)는 가열판(14)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열판(14)은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의 바닥 내부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전기저항 또는 가스버너와 같은 히터(13)에 의하여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판(14)은 열전달 효율이 높은 금속 또는 합금체가 될 수 있고 히터(H)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가열판(14) 내에 저항 코일이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열판(14)은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판형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판형”이란 적어도 피가열 대상에게 열을 전달하는 면이 판 형상 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증기발생조(15)의 바닥면과 접하는 가열판(14) 면이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도 1의 가열판(14)은 판형이 된다.
증기발생조(15)에서 발생한 증기를 증숙용기(T1 내지 T6)에 공급하기 위하여 증기발생조(15)와 증숙용기(T1)를 소통시키는 증기공급관(19)이 설치된다. 그리고 증기공급관(19)의 증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증기공급관(19)의 내부에 ‘ㅏ’ 자 형태의 공급제어밸브(EV)가 설치된다. 공급제어밸브(EV)는 증기공급관(19)을 흐르는 증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일부를 증숙용기(T1 내지 T6)로 공급하고 그리고 나머지 증기를 배출관(OT)으로 흘려보낸다.
공급제어밸브(EV)를 설치하는 이점은 만약 증숙용기(T1)로 향하는 증기의 양만 조절하면 증기 발생조(15)의 증기압이 과도하게 높아져, 증숙용기(T1)로 유입되는 증기량이 오히려 증가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저압증숙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제어밸브(EV)는 분리된 증기압을 배출시킬 통로를 설치하여 저압증숙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배출관(OT)은 증숙용기(T1 내지 T6)의 표면에 형성된 보온피복재(TC) 또는 증기회수조(11)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급제어밸브(EV)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증숙용기(T1 내지 T6)는 증기발생조(15)의 위쪽에 차례대로 적층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증숙용기(T1 내지 T6)를 증기발생조(15)의 위쪽에 설치하는 방법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증숙용기(T1 내지 T6)는 보온피복재(OT)를 가질 수 있다. 보온피복재(OT)는 각각의 증숙용기(T1 내지 T6)를 둘러싸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예를 들어 열전달이 낮은 소재 또는 진공벽을 형성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증숙용기(T1 내지 T6)의 상부에 형성되는 후드(H)는 증숙용기(T1 내지 T6)를 통과한 증기를 포집하여 증기회수조(11)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증숙용기(T1 내지 T6)의 상부에 뚜껑이 형성될 수 있다. 후드(H)은 뚜껑을 둘러싸는 형태가 되도록 둘레면이 증숙용기(T1 내지 T6)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후드(H)는 증기회수조(11)와 연결되고 그리고 적당한 위치에 팬(P)을 설치하여 후드(H)로부터 증기회수조(11)로의 증기유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10) 각각의 구성요소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스위치 또는 표시등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H)는 온-오프(On-Off) 표시등(L) 및 가열 정도의 조절을 위한 조절스위치(S)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 이와 같은 공지된 요소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증기발생장치(10)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의 설치 여부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도 1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설치 위치 또는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이 된다. 그러므로 도시되지 않거나 또는 설명되지 않는 구성요소는 도 1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고 다만 설명의 간략을 위하여 도시되지 않거나 설명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증기발생조(15), 제2 교환기(17) 및 가열판(14)은 하우 징(21) 내에 설치된다. 가열판(14)은 하우징(21)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리고 증기발생조(15) 및 제2 열교환기(17)는 가열판(14)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가열판(14)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히터(H)는 하우징(21)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내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1)은 외부 바닥면에 설치된 베이스(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와 달리 공급조(16)는 증기발생조(1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급조(16)가 증기발생조(15)의 내부에 설치되면 에너지 효율면에서 유리하다. 증기발생조(15) 내부 또는 공급조(16) 내부에 수위조절기(18)가 설치되는 것은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다. 또한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히터(H) 또는 제2 열교환기(17)의 가열 장치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표시등(E) 및 가해지는 열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S)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된 실시 예의 경우, 가열판(14)은 하우징(21)의 바닥면 전체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증기발생조(15) 및 제2 열교환기(17)와 접촉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가열판(14)은 증기발생조(15)의 바닥면에만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17)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판(14)과 접촉하는 경우 특별히 제2 열교환기(17)의 내부에 흐르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가열판(14)은 판형이 되고 그리고 유리하게 증기발생조(15) 바닥면의 많은 부분이 가열판(14)에 접촉할 수 있다.
하우징(21)의 위쪽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23)가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증기공급관(19)이 덮개(23)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을 한 것 처럼, 증기공급관(19)에 증숙용기(도 1 참조)로 공급되는 증기 양을 제어하기 위한 공급제어밸브(도 1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급제어밸브는 조절버튼(25)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아래에서 공급제어밸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증기공급관(19)에 설치된 공급제어밸브(EV)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공급제어밸브(EV)는 증기공급관(19)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판(31); 증기공급관(19)에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관(OT)에 설치된 배출판(32); 및 분배판(31)과 배출판(32) 사이에 설치되는 조절판(33)를 포함한다. 증기발생조(도 1 참조)에서 증기는 공급관(19)으로 유입되어(IN) 공급제어밸브(EV)에 의하여 양이 제어되어 증숙용기로 공급된다(OUT).
증기공급관(19)은 실린더 형상의 될 수 있고 그리고 분배판(31)은 증기공급관(19)의 내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진 판형이 될 수 있다. 배출관(OT)도 마찬가지로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배출판(32)은 배출관(OT)의 내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분배판(31)은 회전축(3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지만 배출판(32)은 배출관(OT)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리고 배출공(321)을 가진다. 조절판(33)은 배출판(3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배출공(321)에 대응되는 조절공(331)을 가진다. 배출공(321)과 조절공(331)은 모두 원형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증기가 소통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분배판(31)은 회전축(34)에 의하여 조절 손잡이(25)에 연결되고 그리고 회전축(34)은 분배판(31)을 회전 가능 하도록 고정하는 한편 조절판(33)을 분배판(31)과 함께 회전 가능 하도록 고정한 다.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34)의 한쪽 끝에 조절 손잡이(25)가 설치되고 그리고 회전축(34)의 다른 끝에 조절판(32)이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축(34)이 증기공급관(19)을 관통하는 부분에 분배판(31)의 해당 직경부분이 회전축(34)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분배판(31)이 회전축(34)에 고정된다. 조절 손잡이(25)의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축(34)의 회전하게 되면 분배판(31)이 회전하게 되고 그리고 이와함께 조절판(33)이 회전하게 된다. 도 3a 및 3b에서 배출판(32)과 조절판(33)은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일정한 거리로 두고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배출판(32)과 조절판(33)은 일정한 거리를 두거나 또는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배출공(321)과 조절공(331)은 유사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제어밸브(EV)의 분배판(31)이 조절 손잡이(25)에 의해 수직으로 완전히 개방 상태가 되면, 연동된 배출판(32)은 완전 차단 상태이며, 분배판(31)이 수평 상태로 완전 차단 상태가 되면 배출판(32)은 완전 개방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공급조절밸브(EV)를 이용하여 증숙용기(도 1 참조)로 공급되는 증기 양이 제어될 수 있다. 증숙용기(도 1참조)로 공급되지 않은 잔여 증기는 배출관(OT)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배출관(OT)은 증숙용기의 보온피복재(도 1 참조) 또는 증기회수조(도 1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배출관(OT)은 제2 열교환기(도 1 또는 2 참조)가 설치된 공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증기발생조(15)에서 발생하여 증숙용기(도 1 참조)로 공급되 지 않는 잔여 증기는 제1 열교환기(도 1참조), 증속용기(도 1 참조)의 둘레면 또는 제2 열교환기(도 1 또는 2 참조)의 가열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증기발생장치(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증기의 발생을 위하여 먼저 물이 제1 열교환기(12)의 유입구(IN)로 공급된다. 제1 열교환기(12)는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가진 연장된 관 또는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열교환기(12)는 제2 열교환기(17)와 소통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물이 제2 열교환기(17)로 전달된다. 제2 열교환기(17)는 제1 열교환기(12)와 마찬가지로 연장된 관 또는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열교환기(17)를 흐르는 물은 가열판(14)에 의하여 가열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2 열교환기(17)에 설치된 열매체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17)에서 가열된 물은 공급조(16)를 경유하여 증기발생조(15)로 공급된다. 증기발생조(15)는 가능하다면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최소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기발생조(15)는 지속적으로 낮은 수위를 유지하면서 가능한 작은 열을 소모하면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발생조(15)의 수위는 수위조절기(18)에 의하여 조절된다. 그러므로 가열판(14)은 예를 들어 전열 발생기 또는 버너와 같은 히터(H)에 의하여 열을 공급받아 증기발생조(15)로 전달한다.
증기발생기(15)에서 발생된 증기는 증기공급관(19)으로 전달된다. 증기공급관(19)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제어밸브(EV)는 증숙용기(T1 내지 T6)에 공급되는 증기 양을 제어한다. 그리고 증숙용기(T1 내지 T6)로 공급되지 않는 잔여 증기는 배출관(OT)를 통하여 증기회수조(11), 제2 열교환기(17)가 설치된 공간 또는 증숙용 기(T1 내지 T6)의 표면에 형성된 보온피복재(TC)로 보내질 수 있다.
증숙용기(T1 내지 T6)로 공급된 증기는 후드(H)에 의하여 포집되어 후드(H)와 증기회수조(11)를 연결하는 증기회수관을 경유하여 증기회수조(11)에 회수된다. 회수된 증기는 제1 열교환기(12)를 흐르는 물을 예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회수된 증기는 계속적으로 물로 변하게 되고 그리고 이로 인하여 증기회수조(11)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일정 수량의 물이 만수위 배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증기회수조(11)에 저장된 물을 전부 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배출구(111)를 통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조(15)는 작은 수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그리고 증기발생조(15) 바닥면의 넓은 부분이 판형의 가열판(11)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열이 적은 양의 물을 증기로 만들기 위하여 공급된다. 이로 인하여 증숙용기(T1 내지 T6)에 지속적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증기공급의 간헐적 중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죽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증숙용기(T1 내지 T6)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보온피복재(TC)는 경계면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여 죽화현상의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발명 또는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 발명 또는 수정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증기공급관에 설치된 공급제어밸브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1. 증기회수조;
    증기회수조에 설치되고 그리고 공급된 물을 예열하기 위한 제1차 열교환기;
    증기회수조와 분리되어 설치된 증기발생조;
    제1차 열교환기와 소통되고 그리고 증기발생조에 물을 공급하는 제2차 열교환기;
    증기발생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열판;
    증기발생조의 위쪽에 설치되는 증숙용기;
    증기발생조와 증숙용기를 소통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증기공급관; 및
    증숙용기의 위쪽에 설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드로부터 증기회수조로 연결된 증기회수관을 더 포함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증기발생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증기발생조와 하우징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차 열교환기와 연결되고 증기발생조의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급수조를 더 포함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증기발생조에 설치되는 수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차 열교환기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증기공급관에 설치되어 증숙용기로 공급되는 증기 양을 제어하는 공급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증기공급관에 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증숙용기의 표면에 보온재가 형성되고 그리고 배출관은 보온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배출관은 증기회수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발생장치.
KR1020080061925A 2008-06-27 2008-06-27 연속 증기발생장치 KR20100001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25A KR20100001848A (ko) 2008-06-27 2008-06-27 연속 증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25A KR20100001848A (ko) 2008-06-27 2008-06-27 연속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48A true KR20100001848A (ko) 2010-01-06

Family

ID=4181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925A KR20100001848A (ko) 2008-06-27 2008-06-27 연속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8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72B1 (ko) * 2010-01-14 2010-07-08 나창환 찜용 증기발생장치
CN105193248A (zh) * 2015-10-22 2015-12-30 浙江合隆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热能回收蒸柜及其热能回收方法
CN106598119A (zh) * 2016-12-30 2017-04-26 广东鼎燊云厨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可控蒸汽发生装置和蒸汽加热机及其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72B1 (ko) * 2010-01-14 2010-07-08 나창환 찜용 증기발생장치
CN105193248A (zh) * 2015-10-22 2015-12-30 浙江合隆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热能回收蒸柜及其热能回收方法
CN106598119A (zh) * 2016-12-30 2017-04-26 广东鼎燊云厨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可控蒸汽发生装置和蒸汽加热机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8798B1 (en) Steam generator for cooking apparatus
CN205514051U (zh) 烹调设备
US6911626B2 (en) Overheated steam oven
CN101221063A (zh) 水位传感器、蒸汽发生器、加热炊具及其控制方法
US20050051532A1 (en) Overheated steam oven
EP1541025A1 (en) Overheated steam oven
KR101348893B1 (ko) 회전국솥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KR100610670B1 (ko) 가열조리장치
KR101374187B1 (ko) 인덕션히팅코일을 이용한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100001848A (ko) 연속 증기발생장치
KR100677880B1 (ko) 스팀발생장치
JP2004248901A (ja) 炊飯器
CN214341727U (zh) 烹饪设备
JP2006255062A (ja) 炊飯器
JP2004329529A (ja) 炊飯器
KR10080201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0541191B1 (ko) 시루떡 증숙용 스팀발생장치
WO2008125037A1 (fr) Four électrique multifonction
KR101264271B1 (ko) 면류 조리기
KR20100001840A (ko) 증숙용기를 위한 증기발생기
CN217161724U (zh) 蒸汽可调式蒸汽烹饪设备
CN209733468U (zh) 一种快速均匀出蒸汽蒸锅
CN110477738A (zh) 一种烹饪装置及具有该烹饪装置的集成灶及其烘干方法
CN217390441U (zh) 蒸汽烹饪设备
CN218246786U (zh) 一种具有蒸汽加热装置的电蒸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