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319B1 - 즉석 떡 찜기 - Google Patents

즉석 떡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319B1
KR101237319B1 KR1020110022707A KR20110022707A KR101237319B1 KR 101237319 B1 KR101237319 B1 KR 101237319B1 KR 1020110022707 A KR1020110022707 A KR 1020110022707A KR 20110022707 A KR20110022707 A KR 20110022707A KR 101237319 B1 KR101237319 B1 KR 10123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ice cake
steam
nozzles
ste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117A (ko
Inventor
임철한
Original Assignee
임철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한 filed Critical 임철한
Priority to KR102011002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3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기(S)의 안정성 및 견고함을 보장하면서도 떡가루의 균일한 익힘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팀발생기(S)를 별도로 설치하면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에 증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각각 연통시켜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의 떡가루를 즉석에서 균일하고 담백하게 그리고 신속하고 간단하게 찔 수 있도록 한 즉석 떡 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즉석 떡 찜기{SIMPLE TYPE MACHINE FOR STEAMING RICE CAKE}
본 발명은 즉석 떡 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떡 형상의 정확한 유지와 더불어 간편 용이한 대량생산 그리고 생산효율 및 상품성을 위한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전용으로 찔 수 있는 즉석 떡 찜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떡은 관혼상제의 의식 때나 철에 따른 명절 그리고 아기의 백일이나 돌, 생일 또는 회갑 등의 행사 때에 잊지 않고 내놓는 일종의 음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웰빙 분위기에 합체되어 전통적인 음식이라 할 수 있는 떡이 더 이상의 행사용이 아닌 일상 생활에서 하나의 중요한 식단을 차지하고 있고, 나아가 주식 대용 또는 건강 음식으로서 그 영역을 크게 넓혀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소규모의 시스템과 규모를 통하여 떡을 제조하는 방법은 급성장한 대규모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가 어렵고, 아울러 생산자 입장에서는 생산효율의 저하로 공급가격을 크게 높일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간이형 떡 성형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떡시루(40)에 떡가루(11)를 채우고(a) 스팀으로 찐 후 식힌 다음(b) 이 떡시루(40)를 뒤엎어 떡(10)을 이탈시킴(c)과 동시에 칼로 일일이 절단(d)하여 낱개형 떡(10)으로 분할 포장하는 순서로 떡(10)을 제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떡시루(40)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은 규격화된 낱개형 떡(10)을 대량으로 양산하기가 극히 어렵고, 칼로 절단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실행하여야 하며, 포장하는 작업동안 떡(10) 자체의 형상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특히 떡시루(40)의 번거로운 세척(스팀 구멍 사이의 번거로운 세척)을 매번 실행하여야만 하여 생산효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 및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2007.08.31자로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특허 제756499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 도 2는 선 특허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선 특허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선 특허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선 특허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내측으로 꺾여져 걸림턱(23)을 형성하는 통형상의 둘레시트(22)와, 이 둘레시트(22)의 걸림턱(23)에 안착되는 언더시트(21)를 포함하며, 언더시트(21) 또는 둘레시트(22)는 미세구멍(24)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원 출원인은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전용으로 찔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발생기의 안정성 및 견고함을 보장하면서도 떡가루의 균일한 찜을 보장할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발생기를 별도로 설치하면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에 증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을 각각 연통시켜 간이형 떡 성형용기 속의 떡가루를 즉석에서 균일하고 담백하게 그리고 신속하고 간단하게 찔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발생기에 연결된 메인관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으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하고, 스팀발생기에 연결된 메인관에 연통되는 제b층 통합관으로부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하여 균일한 증기 공급은 물론이거니와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발생기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까지 연결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스팀발생기와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까지 연결되는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발생기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스팀발생기로부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a층 통합관 및 제a층 통합관에 의한 배선의 간결함과 간소함을 실현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증기를 간이형 떡 성형용기에 곧바로 분출시키지 않고 상측방향 가리개에 의해 부딪히면서 상승토록 하여 떡가루의 균일한 익힘과 더불어 떡 형상의 온전한 유지를 가능케 할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수를 제a층 루프의 기울기를 따라 후방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여 간이형 떡 성형용기의 상부에 직접 낙하되는 액화수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보다 위생적인 떡 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a층 판과 제b층 판으로 즉석 떡 찜기를 완성함으로써 다수의 간이형 떡 찜 세트를 한꺼번에 찔 수 있게 되어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뜨거운 증기가 간이형 떡 찜 세트를 경유한 후 제b층 1 스팀관 내지 제b층 N 스팀관에 그대로 분사되어 스팀발생기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로의 열손실을 적극적으로 보상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토록 할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떡 형상의 정확한 유지와 더불어 간편 용이한 대량생산 그리고 생산효율 및 상품성을 위한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용으로 찔 수 있는 즉석 떡 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이형 떡 찜 세트에 세팅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 속의 떡가루를 찌기 위한 즉석 떡 찜기에 있어서,
좌측서포터 및 우측서포터 사이에 놓여진 제a층 판과,
상기 제a층 판에 설치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에 각각 연통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이형 떡 찜 세트에 세팅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 속의 떡가루를 찌기 위한 즉석 떡 찜기에 있어서,
좌측서포터 및 우측서포터 사이에 놓여진 제a층 판과,
상기 제a층 판에 설치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에 각각 연통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과,
상기 좌측서포터 및 우측서포터 사이의 상기 제a층 판 위에 놓여진 제b층 판과,
상기 제b층 판에 각각 설치된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과,
상기 스팀발생기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에 각각 연통되는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팀발생기의 안정성 및 견고함을 보장하면서도 떡가루의 균일한 익힘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팀발생기를 별도로 설치하면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에 증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을 각각 연통시켜 간이형 떡 성형용기 속의 떡가루를 즉석에서 균일하고 담백하게 그리고 신속하고 간단하게 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증기를 간이형 떡 성형용기에 곧바로 분출시키지 않고 상측방향 가리개에 의해 부딪히면서 상승토록 하여 떡가루의 균일한 익힘과 더불어 떡 형상의 온전한 유지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발생기에 연결된 메인관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으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기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까지 연결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스팀발생기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제a층 통합관에 의한 배선의 간결함과 간소함을 더불어 실현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기와 맞닿는 제a층 통합관 속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실시간으로 배출시켜 응축수에 의한 증기의 원활치 못한 분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에 개폐 가능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밸브를 각각 구비시켜 간이형 떡 찜 세트의 유무에 따라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의 조작으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밸브의 개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점이나 마트 또는 영업점에서의 활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a층 커버로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하여 즉석 떡 찜기 자체의 외관의 간소화로서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액화수가 제a층 판의 후면부로 흘러갈 수 있도록 기울기를 줌과 동시에 제a층 낙하공을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제a층 판의 청결함을 유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a층 1 노즐 및 제a층 N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증기가 간이형 떡 찜 세트를 통해 간이형 떡 성형용기 속의 떡가루를 익힌 후 상승될 때 제a층 루프에 부딪히면서 제a층 천정공을 통해 배출되고, 이렇게 제a층 루프에 부딪힌 증기가 부분적으로 액화될 경우 그 액화수가 제a층 루프의 기울기를 따라 후방으로 흘러가면서 간이형 떡 성형용기의 상부에 직접 낙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여 위생적인 떡 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측서포터 및 우측서포터의 배면에 장착된 후면서포터와, 이들 좌측서포터, 우측서포터 및 후면서포터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덕트에 연통되는 덕트홀을 지닌 뚜껑을 포함하여, 각각의 간이형 떡 찜 세트부터 상승되는 증기를 일거에 덕트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어느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a층 판과 제b층 판으로 즉석 떡 찜기를 완성함으로써 다수의 간이형 떡 찜 세트를 한꺼번에 찔 수 있게 되어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특히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뜨거운 증기가 간이형 떡 찜 세트를 경유한 후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에 그대로 분사되어 스팀발생기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로의 열손실을 적극적으로 보상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발생기에 연결된 메인관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으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하고, 스팀발생기에 연결된 메인관에 연통되는 제b층 통합관으로부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하여, 스팀발생기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까지 연결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스팀발생기와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까지 연결되는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스팀발생기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스팀발생기로부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 역시 미연에 방지토록 하며, 제a층 통합관 및 제a층 통합관에 의한 배선의 간결함과 간소함을 더불어 실현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과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 상호간의 거리의 차이는 제a층 통합관 및 제b층 통합관에 연통되는 메인관의 길이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실질적인 차이가 없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설령 차이가 있더라도 제a층 판 위에 세팅된 간이형 떡 찜 세트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제a층 루프의 제a층 천정공을 경유하여 제b층 1 내지 제b층 N으로 분사되어 그 차이만큼 열손실을 보상토록 하여 떡가루의 균일한 찜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 그리고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증기가 상측방향 가리개에 의해 부딪혀 상승한 후 통형바디 속으로 채워지면서 받침용기의 바닥구멍을 경유하여 간이형 떡 성형용기의 증기유입공을 지나 떡가루를 고르게 익히면서 캡의 캡구멍으로 빠져나가 떡을 신속하게 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형바디를 실리콘 수지로 제작하여 금속보다 상대적으로 열에 의한 전도율을 떨어뜨려 소비자가 파지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떡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선 특허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선 특허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선 특허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를 포함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찜기에 적용된 간이형 떡 찜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찜기에 적용된 간이형 떡 찜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찜기에 적용된 간이형 떡 찜 세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형 떡 찜 세트(200)에 세팅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의 떡가루를 즉석에서 찌기 위한 것으로 각종 편의점이나 마트 또는 영업점 나아가 각 가정에 구비되어 떡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먹을 수 있도록 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1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놓여진 제a층 판(11)과, 이 제a층 판(11)에 설치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설치할 수 있고, 도면 부호는 번호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편의상 13∼14로서 간단히 부여하며, 이후 다른 구성요소 역시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S)와, 스팀발생기(S)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에 각각 연통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포함한다.
스팀발생기(S)는 상수도 등에 연결되어 물 및 히터를 수용하면서 끓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증기압력이 걸리므로 견고하게 제작되어야만 하고, 이에 반하여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에 공급되는 증기는 각각 균일하게 분사되어야만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의 떡가루를 고르게 찔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팀발생기(S)의 안정성 및 견고함을 보장하면서도 떡가루의 균일한 익힘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팀발생기(S)를 별도로 설치하면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에 증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각각 연통시켜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의 떡가루를 즉석에서 균일하고 담백하게 그리고 신속하고 간단하게 찔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은 상측방향 가리개(G)를 각각 구비하여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로부터 분사되는 증기를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에 곧바로 분출시키지 않고[증기가 곧바로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에 분출될 경우 증기에 직접 맞닿는 떡가루의 하면이 그 상면보다 먼저 익어버려 떡 찜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나아가 떡 형상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음] 상측방향 가리개(G)에 의해 부딪히면서 상승토록 하여 떡가루의 균일한 익힘과 더불어 떡 형상의 온전한 유지를 가능케 한다.
바람직하게,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은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17)으로부터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17)으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기(S)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까지 연결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스팀발생기(S)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를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고, 제a층 통합관(17)에 의한 배선의 간결함과 간소함을 더불어 실현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토록 할 수 있다.
이때, 제a층 통합관(17)은 응축수배출관(B)이 연통되어 외기와 맞닿는 제a층 통합관(17) 속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실시간으로 배출시켜 응축수에 의한 증기의 원활치 못한 분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응축수배출관(B)은 밸브가 장착되어 그 배출량을 조절토록 함은 물론이다].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18∼19)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밸브(22)를 구비하여 간이형 떡 찜 세트(200)의 유무에 따라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18∼19)의 조작으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밸브(22)의 개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점이나 마트 또는 영업점에서의 활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100)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사이에 두고 제a층 판(11) 아래의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a층 바(23)를 구비하고, 나아가 제a층 판(11) 및 제a층 바(23) 사이에 장착되어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커버링하면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18∼19)를 외부로 각각 노출시키는 제a층 커버(24)를 포함한다.
제a층 커버(24)로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하여 즉석 떡 찜기(100) 자체의 외관의 간소화로서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a층 판(11)은 후면부에 액화수가 흘러가면서 빠져나가도록 뚫려진 제a층 낙하공(12)을 포함한다.
제a층 판(11) 위에 세팅된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향하여 증기가 분출될 경우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에 부딪히면서 떡가루를 익힘과 동시에 액화수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액화수는 제a층 판(11)의 후면부로 흘러갈 수 있도록 기울기를 줌과 동시에 제a층 낙하공(12)을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함[낙하수는 별도의 수거통 등으로 수거할 수 있음]으로써 제a층 판(11)의 청결함을 유지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a층 판(11)의 아래에 설치되어 제a층 낙하공(12)으로부터 낙하되는 낙하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포집구멍(P1)을 지닌 포집판(P)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판(P)의 포집구멍(P1)으로 포집되는 낙하수 역시 별도의 수거통 등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100)는 제a층 판(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상승되어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보호토록 함과 동시에 제a층 천정공(26)이 뚫려진 제a층 루프(25)를 포함한다.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로부터 분사되는 증기가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통해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의 떡가루를 익힌 후 상승될 경우 제a층 루프(25)에 부딪히면서 제a층 천정공(26)을 통해 배출되고, 이렇게 제a층 루프(25)에 부딪힌 증기는 부분적으로 액화되어 액화수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액화수는 제a층 루프(25)의 기울기를 따라 후방으로 흘러가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의 상부에 직접 낙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다 위생적인 떡 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의 구멍은 0.7∼1㎜의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스팀발생기(S)의 압력은 2.5∼3.5kgf/㎠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에 채워지는 떡가루를 포함한 간이형 떡 찜 세트(200)의 무게는 휴대하면서 식사대용으로 먹기에 편할 수 있도록 대략 100g 내외로 이루어져, 통상의 시루에 분사되는 고압의 스팀분사일 경우 그 압력에 의해 간이형 떡 찜 세트(200)가 심하게 흔들리거나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자체가 들썩거리는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고 뜨거운 증기에 의해 전문 사용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에겐 오히려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의 무게(대략 100g 내외의 용량)를 고려하여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의 구멍을 0.7∼1㎜의 직경으로 하면서 스팀발생기(S)의 압력을 2.5∼3.5kgf/㎠으로 하여 0.7∼1㎜ 직경의 구멍으로 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을 통해 증기가 빠져나가더라도 스팀발생기(S)의 2.5∼3.5kgf/㎠의 압력으로 충분히 보충토록 하면서도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의 0.7∼1㎜ 직경의 구멍으로 증기가 미세하게 분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간이형 떡 찜 세트(200) 속에 채워지는 증기압력은 떡가루 사이로 충분히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5분 전후에서 떡을 완성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100)는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의 배면에 장착된 후면서포터(H)와, 이들 좌측서포터(J), 우측서포터(W) 및 후면서포터(H)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덕트에 연통되는 덕트홀(D1)을 지닌 뚜껑(C)을 포함하여, 각각의 간이형 떡 찜 세트(200)부터 상승되는 증기를 일거에 덕트홀(D1)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어느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찜기(100)는 간이형 떡 찜 세트(200)에 세팅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의 떡가루를 찌기 위한 것으로,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놓여진 제a층 판(11)과, 제a층 판(11)에 설치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S)와, 스팀발생기(S)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에 각각 연통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과,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의 제a층 판(11) 위에 놓여진 제b층 판(31)과, 제b층 판(31)에 각각 설치된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과, 스팀발생기(S)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에 각각 연통되는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a층 판(11)과 제b층 판(31; 나아가 그 이상의 복수 층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임)으로 즉석 떡 찜기(100)를 완성함으로써 다수의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한꺼번에 찔 수 있게 되어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특히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로부터 분출되는 뜨거운 증기가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경유한 후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에 그대로 조사되어 스팀발생기(S)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로의 열손실을 적극적으로 보상하여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토록 한다.
이때,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 및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은 상측방향 가리개(G)를 각각 구비하고,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은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17)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은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b층 통합관(37)으로부터 각각 분기된다.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17)으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하고,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b층 통합관(37)으로부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이 각각 분기될 수 있도록 하여, 스팀발생기(S)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까지 연결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스팀발생기(S)와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까지 연결되는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의 거리를 각각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스팀발생기(S)로부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스팀발생기(S)로부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까지의 거리의 차등으로 인한 열량의 변화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며, 제a층 통합관(17) 및 제a층 통합관(17)에 의한 배선의 간결함과 간소함을 더불어 실현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과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 상호간의 거리의 차이는 제a층 통합관(17) 및 제b층 통합관(37)에 연통되는 메인관(M)의 길이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실질적인 차이가 없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설령 차이가 있더라도 제a층 판(11) 위에 세팅된 간이형 떡 찜 세트(20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제a층 루프(25)의 제a층 천정공(26)을 경유하여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으로 분사되어 그 차이만큼 열손실을 보상토록 하여 떡가루의 균일한 찜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제a층 통합관(17) 및 제b층 통합관(37)은 응축수배출관(B)이 각각 연통되고,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18∼19)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밸브(22)를 가지고,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은 제b층 1 내지 제b층 N 레버(39)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한 제b층 1 내지 제b층 N 밸브(42)를 가진다.
나아가,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사이에 두고 제a층 판(11) 아래의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a층 바(23)와, 제a층 판(11) 및 제a층 바(23) 사이에 장착되어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커버링하면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18∼19)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a층 커버(24)와,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을 사이에 두고 제b층 판(31) 아래의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b층 바(43)와, 제b층 판(31) 및 제b층 바(43) 사이에 장착되어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을 커버링하면서 제b층 1 내지 제b층 N 레버(39)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b층 커버(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a층 판(11)은 후면부에 액화수가 흘러가면서 빠져나가도록 뚫려진 제a층 낙하공(12)을 포함하고, 제b층 판(31) 역시 후면부에 액화수가 흘러가면서 빠져나가도록 뚫려진 제b층 낙하공(32)을 포함한다.
더불어, 제a층 판(11)의 아래에 설치되어 제a층 낙하공(12)으로부터 낙하되는 낙하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포집구멍(P1)을 지닌 포집판(P)을 포함하고, 제a층 판(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상승되어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제a층 천정공(26)이 뚫려진 제a층 루프(25)와, 제b층 판(3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상승되어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제b층 천정공(46)이 뚫려진 제b층 루프(45)를 포함한다.
아울러,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의 배면에 장착된 후면서포터(H)와, 좌측서포터(J), 우측서포터(W) 및 후면서포터(H)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덕트에 연통되는 덕트홀(D1)을 지닌 뚜껑(C)을 포함할 수 있다.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 및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의 구멍은 0.7∼1㎜의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스팀발생기(S)의 압력은 2.5∼3.5kgf/㎠으로 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찜기에 적용된 간이형 떡 찜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찜기에 적용된 간이형 떡 찜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찜기에 적용된 간이형 떡 찜 세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간이형 떡 찜 세트(200)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통공(71a)이 뚫려진 통형바디(71)와, 통형바디(71)의 상부 속으로 걸쳐지며 바닥구멍(72a)이 뚫려진 받침용기(72)와, 받침용기(72) 속에 지지되며 하부에 증기유입공(82a)이 뚫려진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와,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를 감쌈과 동시에 받침용기(72)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캡구멍(83a)이 뚫려진 캡(83)을 포함한다.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 그리고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로부터 분사되는 증기는 상측방향 가리개(G)에 의해 부딪히면서 상승한 후 통형바디(71) 속으로 채워지면서 받침용기(72)의 바닥구멍(72a)을 경유하여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의 증기유입공(82a)을 지나 떡가루를 고르게 익히면서 캡(83)의 캡구멍(83a)으로 빠져나가 떡을 신속하게 찔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형바디(71)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져 금속보다 상대적으로 열에 의한 전도율을 떨어뜨려 소비자가 파지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간이형 떡 성형용기를 활용하여 떡가루를 전용으로 찔 수 있으면서, 계란이나 야채, 콩 또는 기타 간편하게 음식물을 찔 수 있는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100 : 즉석 떡 찜기 J : 좌측서포터
W : 우측서포터 H : 후면서포터
C : 뚜껑 D1 :덕트홀
11 : 제a층 판 12 : 제a층 낙하공
13 : 제a층 1 노즐 14 : 제a층 N 노즐
G : 상측방향 가리개 S : 스팀발생기
15 : 제a층 1 스팀관 16 : 제a층 N 스팀관
M : 메인관 17 : 제a층 통합관
B : 응축수배출관 18 : 제a층 1 레버
19 : 제a층 N 레버 21 : 제a층 1 밸브
22 : 제a층 N 밸브 23 : 제a층 바
24 : 제a층 커버 P : 포집판
P1 : 포집구멍 25 : 제a층 루프
26 : 제a층 천정공 31 : 제b층 판
32 : 제b층 낙하공 33 : 제b층 1 노즐
34 : 제b층 N 노즐 35 : 제b층 1 스팀관
36 : 제b층 N 스팀관 37 : 제b층 통합관
38 : 제b층 1 레버 39 : 제b층 N 레버
41 : 제b층 1 밸브 42 : 제b층 N 밸브
43 : 제b층 바 44 : 제b층 커버
45 : 제b층 루프 46 : 제b층 천정공
200 : 간이형 떡 찜 세트 71 : 통형바디
71a : 하부통공 72 : 받침용기
72a : 바닥구멍 300 : 간이형 떡 성형용기
82a : 증기유입공 83 : 캡
83a : 캡구멍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간이형 떡 찜 세트(200)에 세팅된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 속의 떡가루를 찌기 위한 즉석 떡 찜기(100)에 있어서,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놓여진 제a층 판(11)과,
    상기 제a층 판(11)에 설치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S)와,
    상기 스팀발생기(S)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에 각각 연통되는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과,
    상기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의 상기 제a층 판(11) 위에 놓여진 제b층 판(31)과,
    상기 제b층 판(31)에 각각 설치된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과,
    상기 스팀발생기(S)로부터 증기를 유도하여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에 각각 연통되는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 및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은 상측방향 가리개(G)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은 상기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a층 통합관(17)으로부터 각각 분기되고,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은 상기 스팀발생기(S)에 연결된 상기 메인관(M)에 연통되는 제b층 통합관(37)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통합관(17) 및 제b층 통합관(37)은 응축수배출관(B)이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은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18∼19)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한 제a층 1 내지 제a층 N 밸브(22)를 가지고,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은 제b층 1 내지 제b층 N 레버(39)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한 제b층 1 내지 제b층 N 밸브(4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a층 판(11) 아래의 상기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a층 바(23)와,
    상기 제a층 판(11) 및 제a층 바(2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스팀관(15∼16)을 커버링하면서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레버(18∼19)를 외부로 각각 노출시키는 제a층 커버(24)와,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b층 판(31) 아래의 상기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b층 바(43)와,
    상기 제b층 판(31) 및 제b층 바(4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스팀관(35∼36)을 커버링하면서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레버(39)를 외부로 각각 노출시키는 제b층 커버(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판(11)은 후면부에 액화수가 흘러가면서 빠져나가도록 뚫려진 제a층 낙하공(12)을 포함하고,
    상기 제b층 판(31)은 후면부에 액화수가 흘러가면서 빠져나가도록 뚫려진 제b층 낙하공(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판(11)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제a층 낙하공(12)으로부터 낙하되는 낙하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포집구멍(P1)을 지닌 포집판(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판(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상승되어 상기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제a층 천정공(26)이 뚫려진 제a층 루프(25)와,
    상기 제b층 판(3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상승되어 상기 간이형 떡 찜 세트(2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제b층 천정공(46)이 뚫려진 제b층 루프(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a층 1 내지 제a층 N 노즐(13∼14) 및 상기 제b층 1 내지 제b층 N 노즐(33∼34)의 구멍은 0.7∼1㎜의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발생기(S)의 압력은 2.5∼3.5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22.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서포터(J) 및 우측서포터(W)의 배면에 장착된 후면서포터(H)와,
    상기 좌측서포터(J), 우측서포터(W) 및 후면서포터(H)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덕트에 연통되는 덕트홀(D1)을 지닌 뚜껑(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23.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형 떡 찜 세트(200)는
    하부통공(71a)이 뚫려진 통형바디(71)와,
    상기 통형바디(71)의 상부 속으로 걸쳐지며 바닥구멍(72a)이 뚫려진 받침용기(72)와,
    상기 받침용기(72) 속에 지지되며 하부에 증기유입공(82a)이 뚫려진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와,
    상기 간이형 떡 성형용기(300)를 감쌈과 동시에 상기 받침용기(72)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캡구멍(83a)이 뚫려진 캡(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바디(71)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찜기(100).
KR1020110022707A 2011-03-15 2011-03-15 즉석 떡 찜기 KR10123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707A KR101237319B1 (ko) 2011-03-15 2011-03-15 즉석 떡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707A KR101237319B1 (ko) 2011-03-15 2011-03-15 즉석 떡 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117A KR20120105117A (ko) 2012-09-25
KR101237319B1 true KR101237319B1 (ko) 2013-02-28

Family

ID=4711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707A KR101237319B1 (ko) 2011-03-15 2011-03-15 즉석 떡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3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65A (ko) * 1999-04-26 1999-08-05 김종식 다단식 스팀 식품기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07562Y1 (ko) 2005-11-21 2006-01-31 김창석 증숙용 전기 스팀 보일러
KR200419111Y1 (ko) * 2006-04-06 2006-06-15 김종권 떡시루 스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665A (ko) * 1999-04-26 1999-08-05 김종식 다단식 스팀 식품기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07562Y1 (ko) 2005-11-21 2006-01-31 김창석 증숙용 전기 스팀 보일러
KR200419111Y1 (ko) * 2006-04-06 2006-06-15 김종권 떡시루 스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117A (ko) 201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6385B (zh) 蒸汽烹调器
EP0972477B1 (en) Food steamer
US10918243B2 (en) Grill accessory
CN100367860C (zh) 加热烹饪器
US20080206437A1 (en) Combined Steaming/Poaching and Sauce Preparation
US1129785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apidly cooking food
KR101237321B1 (ko) 간이형 떡 찜 세트
KR101237319B1 (ko) 즉석 떡 찜기
JP4294842B2 (ja) 「電気炊飯器の蒸気孔用蒸し器」
CN110200491A (zh) 一种调味品的蒸煮设备及其使用方法
CN206324638U (zh) 组合式多口烹饪餐台
JP3651456B2 (ja) 油揚げ食品の処理方法
JP2002017459A (ja) レストランの調理用テーブル
KR101161816B1 (ko) 떡 찜 세트
CN105361639B (zh) 新型锅具
KR101023206B1 (ko) 바비큐 그릴장치
JP4768353B2 (ja) 調理装置
JP3579400B2 (ja) 冷凍食品の調理方法及び冷凍調理済み食品用解凍機
KR200376385Y1 (ko) 찜기
CN210582143U (zh) 一种带有排气机构的蒸锅
CN100382708C (zh) 一种烤面包机
KR102397548B1 (ko) 자연 압력분사식 성분추출장치
CN103458744A (zh) 蒸制装置
KR200346261Y1 (ko) 팝콘 자동판매기
CN207837378U (zh) 一种面食包装式蒸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