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301B1 -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 Google Patents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301B1
KR101279301B1 KR1020120033934A KR20120033934A KR101279301B1 KR 101279301 B1 KR101279301 B1 KR 101279301B1 KR 1020120033934 A KR1020120033934 A KR 1020120033934A KR 20120033934 A KR20120033934 A KR 20120033934A KR 101279301 B1 KR101279301 B1 KR 10127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densation
water
tank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이도형
Original Assignee
이도형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형, 이상준 filed Critical 이도형
Priority to KR102012003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301B1/ko
Priority to CN201280017907.8A priority patent/CN103458744B/zh
Priority to PCT/KR2012/002761 priority patent/WO2012141498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외부로 비산되거나 찜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결로나 비산물에 의하여 발생된 폐수를 저류할 수 있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한 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구성은,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장함과 아울러, 히터를 포함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사각박스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결로와 비산물을 저류하는 폐수탱크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펌핑부와, 상기 본체의 상측 단부에 측벽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본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로 인해 생성된 물을 물받이부로 유입되게 하는 결로 통과구와, 상기 본체 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로 통과구로 유입된 물을 임시 저류하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로 배수구와, 일단은 상기 결로 배수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폐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부에 임시 저류된 물을 배출하는 결로 배수관, 상기 결로 배수구의 상단면에 삽입되고, 상기 결로 배수관 상측 단부의 내주면과 연결 고정되어 상기 결로 배수구와 상기 결로 배수관의 틈새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결로 배수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수탱크로부터 폐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떡시루 받침부와,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떡시루 받침부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스팀공급관과, 일단은 상기 떡시루 받침부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로 배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떡시루 받침부에 생성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과,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떡시루 받침부에 걸쳐지는 떡시루와, 상기 본체의 배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그립부가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겹쳐지되,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스와, 스팀방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윗면을 덮되, 상기 떡시루 받침부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힌지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 상측의 단부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와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이격시키는 유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발명은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 찜 장치의 표면과 습공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나, 강한 스팀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산물이 찜 장치의 외부로 비산되어 찜장치의 표면이나 판채의 연결부위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찜 장치의 녹슬음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찜 장치의 수명을 늘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로나 비산물에 의하여 발생된 폐수를 따로 저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청소나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표면이나 판채의 연결부위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찜 장치의 청소가 가능해지고 위생관리가 용이해지며, 조리장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찜 장치의 전기적 결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 고장의 원인을 차단하고, 전기적 결함으로 인한 화재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STEAM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A DEVICE THAT CONDENSATION}
본 발명은 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외부로 비산되거나 찜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결로나 비산물에 의하여 발생된 폐수를 저류할 수 있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한 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찜 장치에 적용되는데 한정되지 않고,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출원번호 10-2011-0057480 호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떡 찜 장치를 출원한바 있으며 본 발명은 기 출원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떡 찜 장치를 개량 발명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떡 찜 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용 떡 찜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내장함과 아울러 히터(130)를 포함하는 저수조(140)가 구비된 사각박스형상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150);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150)로부터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펌핑부(160);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떡시루 받침부(200);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떡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스팀공급관(170); 일단은 상기 떡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떡시루 받침부에 생성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80);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떡시루 받침부(200)에 걸쳐지는 떡시루(300);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그립부(420)가 형성되는 고정구(400);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겹쳐지되,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스(500); 및 상기 케이스(50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본체(100)의 윗면을 덮되, 스팀방출공(620)이 구비되는 커버(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케이스(500)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일정길이를 갖고 수직되게 연속적으로 관통되며, 상기 고정구(400)의 설정으로 상기 케이스(500)를 상하로 조절가능토록 구비되는 가이드홈(5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520)은 가이드홈(520)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래크형기어부(550)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400)는 상기 고정구(40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520)의 일면에 형성되는 래크형기어부(55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420)의 회전으로 상기 케이스(50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는 외향기어부(470)를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400)는 상기 제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감속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상기 고정구(4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찜 장치는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 찜 장치의 표면과 습공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나, 강한 스팀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산물이 찜 장치의 표면이나 판채의 연결부위에 흡착되어 찜 장치를 녹슬게 하고, 이로 인해 찜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찜 장치의 전기적 결함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표면이나 판채의 연결부위에 흡착되어 청소나 관리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찜 장치의 외부에 결로나 비산물이 흡착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주변환경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 찜 장치의 표면과 습공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외부로 비산되거나 찜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결로나 비산물에 의하여 발생된 폐수를 저류할 수 있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받이부 바닥면의 형상을 결로 배수구를 향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물받이부에 임시 저류된 물이 결로 배수구로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장함과 아울러, 히터를 포함하는 저수조가 구비된 사각박스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결로와 비산물을 저류하는 폐수탱크;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펌핑부;
상기 본체의 상측 단부에 측벽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본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로 인해 생성된 물을 물받이부로 유입되게 하는 결로 통과구;
상기 본체 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로 통과구로 유입된 물을 임시 저류하는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로 배수구;
일단은 상기 결로 배수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폐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부에 임시 저류된 물을 배출하는 결로 배수관;
상기 결로 배수구의 상단면에 삽입되고, 상기 결로 배수관 상측 단부의 내주면과 연결 고정되어 상기 결로 배수구와 상기 결로 배수관의 틈새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
상기 결로 배수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수탱크로부터 폐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시루 받침부;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떡시루 받침부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스팀공급관;
일단은 상기 떡시루 받침부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로 배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떡시루 받침부에 생성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떡시루 받침부에 걸쳐지는 시루;
상기 본체의 배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그립부가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겹쳐지되,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스;
스팀방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윗면을 덮되, 상기 떡시루 받침부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힌지;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 상측의 단부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와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이격시키는 유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부의 형상은 상기 결로 배수구를 향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를 적용하면,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 찜 장치의 표면과 습공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나, 강한 스팀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산물이 찜 장치의 외부로 비산되어 찜장치의 표면이나 판채의 연결부위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찜 장치의 녹슬음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찜 장치의 수명을 늘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로나 비산물에 의하여 발생된 폐수를 따로 저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청소나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표면이나 판채의 연결부위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찜 장치의 청소가 가능해지고 위생관리가 용이해지며, 조리장 주변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로나 비산물이 찜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찜 장치의 전기적 결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 고장의 원인을 차단하고, 전기적 결함으로 인한 화재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부 바닥면의 형상을 결로 배수구를 향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물받이부에 임시 저류된 물이 결로 배수구로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찜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찜 장치를 나타낸 제어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체적인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체적인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체적인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찜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찜 장치를 나타낸 제어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체적인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체적인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체적인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부분에서 이미 구체적으로 기술한바 본 발명의 실시기술부분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내장함과 아울러, 히터(130)를 포함하는 저수조(140)가 구비된 사각박스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15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결로와 비산물을 저류하는 폐수탱크(24)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150)로부터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펌핑부(160)와, 상기 본체(100)의 상측 단부에 측벽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30)와, 상기 본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로 인해 생성된 물을 물받이부로 유입되게 하는 결로 통과구(31)와, 상기 본체(100) 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로 통과구(100)로 유입된 물을 임시 저류하는 물받이부(11)와, 상기 물받이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로 배수구(12)와, 일단은 상기 결로 배수구(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폐수탱크(24)와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부(11)에 임시 저류된 물을 배출하는 결로 배수관(21), 상기 결로 배수구(12)의 상단면에 삽입되고, 상기 결로 배수관(21) 상측 단부의 내주면과 연결 고정되어 상기 결로 배수구(12)와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틈새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22)와,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수탱크(24)로부터 폐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3)와,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시루 받침부(200)와, 일단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스팀공급관(170)과, 일단은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로 배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시루 받침부(200)에 생성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80)과,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시루 받침부(200)에 걸쳐지는 시루(300)와, 상기 본체의 배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그립부(420)가 형성되는 고정구(400)와,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겹쳐지되,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스(500)와, 스팀방출공(620)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500)와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의 윗면을 덮되,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600)와, 상기 케이스(500)와 상기 커버(600)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600)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힌지(650)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500) 상측의 단부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650)와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500)와 상기 커버(600)를 이격시키는 유격부재(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실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인 높이조절이 가능한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케이스(500)와 커버(600)를 분해하였을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에에는, 결로와 비산물로 인해 생성된 물을 물받이부로 유입되게 하는 결로 통과구(3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상단에는 상기 결로 통과구(31)로 유입된 물을 임시 저류하는 물받이부(11)가 구비된다.
이때, 본체(100)의 내측면과 물받이부(11)의 접착면은 물이 흘러서 타고 내려가지 않도록 틈새를 실리콘 등으로 막아 밀폐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11) 바닥면의 일측에는 상기 물받이부(11)에 임시 저류된 물을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결로와 비산물을 저류하는 폐수탱크(24)로 흐르게 하는 결로 배수구(12)가 구비된다.
또한, 일단은 상기 결로 배수구(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폐수탱크(24)와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부(11)에 임시 저류된 물을 배출하는 결로 배수관(2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로 배수구(12)의 상단면에 삽입되고, 상기 결로 배수관(21) 상측 단부의 내주면과 연결 고정되어 상기 결로 배수구(12)와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틈새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일측에는 상기 폐수탱크(24)로부터 폐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의 상측 단부에는 측벽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 시 찜 장치(10)의 표면과 습공기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나, 스팀압으로 인해 상기 시루(300)에서 비산되는 비산물이 찜장치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본체(100)의 연결부위를 통해 찜 장치(10)내부로 결로나 비산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형상은 박스 형상이되 측면에서 볼 때 상단일측이 일부분 위로 더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ㄴ'자 형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상단으로 돌출된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스팀제어밸브(175)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정기적인 세척작업 및 사용에 있어서 편리하도록 상기 시루 받침부(200)와 시루(300)는 본체(100)의 내부가 아닌 상단에 구비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스팀제어밸브(175)는 본 발명(10)에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는 각각의 시루 받침부(2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은 본 발명인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00)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내장함과 아울러 히터(130)를 포함하는 저수조(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15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150)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펌핑부(160)와 일단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스팀공급관(170)과 일단은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시루 받침부(200)에 생성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공급관(170)은 상기 저수조(14)에서 상기 히터(130)의 가열로 발생되는 스팀을 연결하는 하나의 메인라인과 각각의 상기 시루 받침부(200)로 연결되는 브랜치(branch)라인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브랜치(branch)라인은 스팀의 공급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팀제어밸브(175)를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제어밸브(175)는 수동형의 제어밸브로 실시할 수 있지만, 실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제어밸브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수관(180)은 시루 받침부(200)에서 스팀의 냉각으로 발생되는 물을 배수하는 목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시루 받침부(200)와 연결되는 배수관들을 하나의 메인호스로 연결하여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시루 받침부(200)에 생성되는 물을 상기 폐수탱크(150)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그러나, 실시 경우에 따라서는 저류되는 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시루 받침부(200)는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떡시루 받침부(200)는 바닥면에 상기 스팀공급관(170)으로 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부사구(2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180)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2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팀분사구(220)는 관통되는 일반적인 홀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면 8의 요부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구성하여 분사구의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스팀의 분사력을 높이는 형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루 받침부(200)는 바닥면에 고정되되 일정면적을 가지는 판형부재가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분사구(220)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확산시켜주는 스팀확산판(270)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음식물을 찜에 있어서, 단순히 상기 스팀분사구(220)를 통하여 스팀을 직접적으로 상기 시루(300)에 분사하는 경우, 음식물은 스팀분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분과 비교적 적게 노출되는 외측둘레면의 찜 정도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바 더 균일하게 찜을 찔 수 있도록 상기 스팀확산판(270)을 구성하여 스팀을 상기 시루(300)의 바닥면 전체에 균등하게 스팀을 배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시루(300)는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시루 받침부(200)에 걸쳐지도록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시루(300)의 바닥면에 구성되는 통공(320)은 상기 스팀분사구(220)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시루(300)내부로 통과시켜 음식물의 수분을 유지함과 동시에 열기를 통과시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찌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지름으로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400)는 그립부(420)와 일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부(4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부(420)는 사용에 있어서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본체(100)의 배면부에 형성되되, 일정길이를 갖고 수직되게 연속적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홈(520)을 형성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520)의 너비는 상기 고정구(400)에 형성되는 나사부(450)의 지름보다는 크게 형성되되 헐거운 끼워맞춤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겹쳐지도록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되 상하면이 관통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실시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으로 더 돌출된 배면부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되,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시루 받침부(200)와 시루(3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더 돌출되는 돌출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스팀제어밸브(175)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상기 케이스(500)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00)는 상기 케이스(500)와 힌지(650)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본체(100)의 윗면을 덮되, 스팀방출공(620)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커버(600)는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윗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상기 커버(600)의 목적은 음식물을 찌는 과정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진입방지 및 스팀의 외부방출을 일부분 차단하여 효율적으로 음식물을 찜에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600)는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루(300)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만들려면 상기 시루(300)는 다양한 높이로 구성하여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시루(300)가 상기 힌지(650)의 힌지점의 수평면보다 더 위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커버(600)를 덮으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00)와 시루(300)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시 떡에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으로 떡을 찔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케이스(500)를 구성하되 상기 고정구(400)를 이용하여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0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케이스(500)와 힌지결합되는 커버(6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설정하여 다양한 높이를 가진 시루(300)를 사용하더라도 발생되는 이격공간를 없애 효율적으로 음식물을 찔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도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60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500)와 상기 커버(600)를 연결하고, 상기 커버(600)을 여닫을 수 있는 힌지(65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500)와 힌지(650)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일단은 상기 케이스(500)의 단부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650)와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500)와 상기 커버(600)를 이격시키는 유격부재(40)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600)를 개방 시 상기 커버(600)의 표면에 흡착된 결로가 유격부재(40)들 간의 간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상기 물받이부(11)의 형상은 상기 결로 배수구(12)를 향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동작은 먼저, 결로나 비산물에 의한 물은 상기 결로 통과구(31)로 통과되어 상기 물받이부(11)로 임시 저류되고, 상기 물받이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결로 배수구(12)를 통해 연결된 상기 결로 배수관(21)으로 물이 흘러 상기 폐수탱크(24)로 저류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상측 단부에는 가이드부(30)를 측벽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로와 비산물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유격부재(40)의 간격으로 상기 커버(600)의 표면에 흡착된 결로를 결로 통과구(31)를 통해 상기 물받이부(11)로 임시저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일측에는 체크밸브(23)를 구비하여 상기 폐수탱크(24)에 저류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10 : 찜 장치
11 : 물받이부 12 : 결로 배수구
21 : 결로 배수관 22 : 패킹부재
23 : 체크밸브 24 : 폐수탱크
30 : 가이드부 31 : 결로 통과구
40 : 유격부재
100 : 본체 120 : 제어부
130 : 히터 140 : 저수조
150 : 급수탱크 160 : 펌핑부
170 : 스팀공급관 175 : 스팀제어밸브
180 : 배수관
200 : 시루 받침부 220 : 스팀분사구
250 : 배수구 270 : 스팀확산판
300 : 시루 320 : 통공
400 : 고정구 420 : 그립부
450 : 나사부 470 : 외향기어부
490 : 구동부
500 : 케이스 520 : 가이드홈
550 : 래크형기어부
600 : 커버 620 : 스팀방출공
650 : 힌지

Claims (2)

  1.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찜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내장함과 아울러, 히터(130)를 포함하는 저수조(140)가 구비된 사각박스형상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15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결로와 비산물을 저류하는 폐수탱크(24);
    상기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탱크(150)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에 물을 공급하는 펌핑부(160);
    상기 본체(100)의 상측 단부에 측벽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이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30);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에 형성되며, 결로와 비산물로 인해 생성된 물을 물받이부로 유입되게 하는 결로 통과구(31);
    상기 본체(100) 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로 통과구(31)로 유입된 물을 임시 저류하는 물받이부(11);
    상기 물받이부(11)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로 배수구(12);
    일단은 상기 결로 배수구(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폐수탱크(24)와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부(11)에 임시 저류된 물을 배출하는 결로 배수관(21);
    상기 결로 배수구(12)의 상단면에 삽입되고, 상기 결로 배수관(21) 상측 단부의 내주면과 연결 고정되어 상기 결로 배수구(12)와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틈새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부재(22);
    상기 결로 배수관(22)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폐수탱크(24)로부터 폐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3);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시루 받침부(200);
    일단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저수조(14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스팀공급관(170);
    일단은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로 배수관(2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시루 받침부(200)에 생성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180);
    원주형의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시루 받침부에 걸쳐지는 시루(300);
    상기 본체(100)의 배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는 그립부(420)가 형성되는 고정구(400);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겹쳐지되,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스(500);
    스팀방출공(620)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500)와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의 윗면을 덮되, 상기 시루 받침부(200)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600);
    상기 커버(600)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500)와 상기 커버(600)를 연결하며, 상기 커버(600)를 여닫을 수 있게 하는 힌지(650);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500) 상측의 단부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650)와 체결되어 , 상기 케이스(500)와 상기 커버(600)를 이격시키는 유격부재(41);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11) 바닥면의 형상은,
    상기 결로 배수구(12)를 향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KR1020120033934A 2011-04-13 2012-04-02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KR10127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934A KR101279301B1 (ko) 2012-04-02 2012-04-02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CN201280017907.8A CN103458744B (zh) 2011-04-13 2012-04-12 蒸制装置
PCT/KR2012/002761 WO2012141498A2 (ko) 2011-04-13 2012-04-12 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934A KR101279301B1 (ko) 2012-04-02 2012-04-02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301B1 true KR101279301B1 (ko) 2013-07-05

Family

ID=4899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934A KR101279301B1 (ko) 2011-04-13 2012-04-02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52A (ko) * 2014-08-05 2016-02-15 김종화 조리용 스팀찜기
CN105996732A (zh) * 2016-07-26 2016-10-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04916Y1 (ko) 2005-10-17 2005-12-29 나경환 떡시루 찜질기
KR20100006506A (ko) * 2008-07-09 2010-01-19 임생규 떡찜용 증기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058B1 (ko) 2005-09-05 2005-12-28 임생규 떡 찜용 증기발생장치
KR200404916Y1 (ko) 2005-10-17 2005-12-29 나경환 떡시루 찜질기
KR20100006506A (ko) * 2008-07-09 2010-01-19 임생규 떡찜용 증기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52A (ko) * 2014-08-05 2016-02-15 김종화 조리용 스팀찜기
KR101599621B1 (ko) 2014-08-05 2016-03-03 김종화 조리용 스팀찜기
CN105996732A (zh) * 2016-07-26 2016-10-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饭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24927A1 (zh) 水槽式清洁设备的水槽结构
US5191831A (en) Oven with water ring assembly
US20090038652A1 (en) Filter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RU23455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прыс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US9038661B2 (en) Valve device
JP2018191558A (ja) ペット用給水器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
KR101279301B1 (ko) 결로 저류장치를 구비하는 찜 장치
CN105832262A (zh) 一种水槽式清洁设备的清洁方法
CN105534439A (zh) 一种水槽式清洁设备的双洗清洁方法
US9750392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vent for same
US9155446B2 (en) Dishwasher door mounted dispenser assembly
FR2958727A1 (fr) Dispositif de generation de vapeur, notamment pour four de cuisson.
JP2004290379A (ja) 煙循環式焼肉器
KR10122685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떡 찜 장치
KR102604676B1 (ko) 상판 청소가 가능한 전기레인지
JP6743574B2 (ja) 洗米装置
CN112716318A (zh) 一种使用生物质颗粒的蒸汽烧烤炉
KR100904241B1 (ko) 세제 자동공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싱크대
CN210727511U (zh) 一种半圆弧形结构的食物加热设备
FR2958723A1 (fr) Four de cuisson comprenant un reservoir d'eau pourvu d'un dispositif de trop plein.
CN220695204U (zh) 家用电器
KR100845099B1 (ko) 물 순환이 이루어지는 구이기
CN213909225U (zh) 一种橱柜
CN211186823U (zh) 一种具有螺旋结构的食物加热设备
CN215457437U (zh) 一种家用饭菜保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