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967B1 -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967B1
KR100536967B1 KR10-2004-0019598A KR20040019598A KR100536967B1 KR 100536967 B1 KR100536967 B1 KR 100536967B1 KR 20040019598 A KR20040019598 A KR 20040019598A KR 100536967 B1 KR100536967 B1 KR 10053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cylinder
sensor
sens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713A (ko
Inventor
이시자카다카시
고바야시히데오
가네이시다카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33Resilient supports comprising protective elements, e.g. for protecting against heat,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02B77/089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relating to engin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보호하고, 또한, 장착 용이성과 내구성을 함께 구비하고 또 경량으로, 또한, 센서와 내연기관을 효율 좋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내연기관을 제공한다.
실린더(74)에는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32)를 보호하기 위한 센서 커버(140)가 장착된다. 센서 커버(140)는, 철제의 막대형상부재(142)와, 강판제의 판형상부재(l44)와, 강판제의 장착 플레이트(146)로 구성되어, 이 장착 플레이트(146) 및 상기 실린더(74)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 보스(170)를 통해 실린더(74)의 측면에 유지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내연기관의 하부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오토바이(자동이륜차, 원동기 부착 자전거)나 자동삼륜차에는 다양한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예컨대, 트랜스미션(변속기)에는, 변속단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 변속단의 변화에 따라서 회동하는 피검출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포지션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리고, 이 특허문헌 1에는, 이 포지션 센서가 자갈 등의 충돌에 의해 파손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센서 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내연기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오일을 실린더 헤드로부터 오일 팬 또는 오일 탱크에 되돌리는 오일 복귀 통로에 온도 센서를 설치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l] 일본국 특개평10-324171호 공보(단락[0011])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0-213326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그렇지만, 종래부터 상기 온도 센서를 자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를 내연기관에 설치한 구성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오토바이나 자동삼륜차에서는, 냉각기능을 발휘하면서 또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내연기관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복귀 통로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도 외부로 노출하여, 이 때문에, 주행시에 자갈 등이 상기 온도 센서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가 있고, 또한, 장착 용이성과 내구성을 함께 구비하고 또 경량으로, 또한, 상기 센서와 내연기관을 효율 좋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내연기관의 하부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센서 커버를 갖고, 이 센서 커버를 내연기관을 구성하는 실린더 양 측부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기재의 발명).
이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커버에 의해서 보호되는 동시에, 상기 센서 커버가 실린더의 양 측부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주행중의 자갈 등의 충돌에 의해 센서 커버에 대하여 과대한 하중이 부여되었다고 해도, 센서 커버 전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힘이 부여되기 때문에, 이것이 쿠션으로 되어, 자갈 등이 충돌한 부위로의 하중의 집중을 회피할 수가 있다. 즉, 센서 커버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그 결과, 센서를 보호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커버를,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향하여 대략 L자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판형상부재와, 상기 판형상부재를 지지하는 막대형상부재로 구성하면(청구항 2 기재의 발명), 센서 커버가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판형상부재의 두께가 어느 정도 얇더라도 센서 커버로서의 내구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센서 커버 자체를 경량인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판형상부재의 부위마다의 두께에 다소의 편차가 있더라도, 전술과 같이, 이 판형상부재는 막대형상부재로 지지되기 때문에, 센서 커버로서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즉, 판형상부재를 반드시 고정밀도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상부재는, 실린더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향하여 대략 L자형상으로 굴곡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의 전방 및 아래쪽이 덮혀지고, 측방 및 후방이 개방된다. 즉, 자갈 등의 충돌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방 및 아래쪽이 덮혀지기 때문에, 상기 센서가 보호된다. 한편, 측방 및 후방이 개방되기 때문에, 주행에 의해 받는 바람이 실린더 및 센서에 접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양자를 적절하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측의 장착부를 이 실린더의 측부에 형성된 냉각 핀 사이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센서 커버측의 장착부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상기 냉각 핀 사이의 형상에 대응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기재의 발명).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센서 커버측의 장착부가 냉각 핀에 끼워져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센서 커버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실린더와 센서 커버를 볼트로 고정하는 경우, 각각의 측면에 있어서, 1점만 고정하면 되기 때문에, 볼트의 수를 삭감할 수가 있는 동시에, 내연기관으로의 장착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각 장착부들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각 볼트의 나사삽입축을 상기 실린더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각 나사삽입축이 동축으로 되도록 설정하면(청구항 4 기재의 발명), 자갈 등의 충돌에 의한 하중은, 실린더 양단의 볼트 체결부에 대략 균등하게 부여되기 때문에, 볼트의 비틀림이 회피되어, 실린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상부재의 굴곡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절결부를 설치하면(청구항 5 기재의 발명), 주행에 의해 받는 바람이 이 절결부로 말려들게 되고 센서 커버 내부에 흘러 들어와, 센서를 직접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내연기관이 카울로 덮혀지고 있는 경우에도, 이 절결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센서 커버와 카울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기 때문에, 주행시에 받는 바람의 흐름이 충분히 확보되어, 이 바람에 의해서 센서와 실린더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커버를 금속으로 형성하면(청구항 6 기재의 발명), 내연기관으로부터의 열을 센서 커버측에 전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방열효과에 의해 센서 커버의 표면에서 열이 방출되어, 내연기관을 적절하게 냉각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자동이륜차를 예시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가 적용된 자동이륜차(1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자동이륜차(10)는, 골격으로 되는 차체 프레임(12)을 갖고, 상기 차체 프레임(l2)은, 앞부분 프레임(14)과, 후부 프레임(16)을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앞부분 프레임(14)은, 헤드 파이프(18)와, 이 헤드 파이프(18)로부터 후방 경사 하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파이프(20)로 구성된다. 헤드 파이프(18)에는, 하단부에 전륜(2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프론트 포크(24)가 조향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프론트 포크(24)의 상단부에는 핸들(26)이 고정되어 있다. 메인 파이프(20)의 하단부에는, 공냉식의 내연기관(30)이 현가 지지되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다. 내연기관(30)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후부 프레임(16)은, 리어 파이프(32)와, 이 리어 파이프(32)에 연결하는 시트 레일(34)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 레일(34) 상에는 탑승자가 앉기 위한 시트(36)가 마련되고 있다.
내연기관(30)의 후부에는, 스윙 아암(40)이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스윙아암(40)의 후단부에는, 후륜(42)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스윙 아암(40)과 후륜(42) 사이에는, 리어 쿠션(44)이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앞부분 프레임(14)을 구성하는 메인 파이프(20)의 측방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50)에 의해서 덮혀져 있다.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50)의 양측부에는 탑승자의 레그부를 덮는 레그 실드(52)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고,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50)의 앞부분에는 프론트 톱 커버(54)가 설치되고, 또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50)의 후부에는 메인 파이프 톱 커버(56)가 설치된다. 또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50)의 하부에는 상기 내연기관(30)을 덮는 언더 커버(58)(카울이라고도 말한다)가 설치된다. 이 경우, 언더 커버(58)의 앞부분에는, 주행시의 바람을 상기 내연기관(30)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연기관(30)에 관해서 설명한다. 내연기관(3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 케이스(72)와, 실린더(74), 실린더 헤드(76)와, 윤활계(도시생략)를 구비하여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크랭크케이스(72)에는, 차체 좌우방향으로 지지된 크랭크샤프트(80)와, 오일펌프(82)가 수용되고, 또한, 크랭크케이스(72)의 바닥부에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팬(도시생략)이 형성된다. 이 경우, 오일 팬은, 오일 탱크이어도 좋다.
실린더(74)의 내부에는 실린더 라이너(9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실린더 라이너(90)에는, 피스톤(9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린다. 피스톤(92)은, 커넥팅 로드(94)를 통해 크랭크샤프트(80)에 연결된다.
실린더 헤드(76)의 내부에는 밸브동작실(도시생략)이 형성되고, 이 밸브동작실에는 밸브동작기구(100)가 수용된다. 밸브동작기구(100)는, 실린더 헤드(76)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캠 샤프트(102), 상기 캠 샤프트(102)에 일체로 형성된 흡기 캠 및 배기 캠, 흡기 로커 아암 샤프트에 지지되어 상기 흡기 캠에 접하는 흡기 로커 아암, 배기 로커 아암 샤프트에 지지되어 상기 배기 캠에 접하는 배기 로커 아암, 상기 흡기 로커 아암에 의해 구동되는 흡기밸브(104), 상기 배기 로커 아암에 의해 구동되는 배기밸브(106) 등으로 구성된다.
또, 크랭크샤프트(80)와 캠 샤프트(102)에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체인이 감아 걸쳐져 있다.
윤활계는, 크랭크케이스(72)에 형성된 상기 오일 팬으로부터 실린더 헤드(76)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통로(도시생략)와, 상기 실린더 헤드(76)로부터 상기 오일 팬에 오일을 되돌리는 오일 복귀 통로(130)(도 3 참조)와, 크랭크케이스(72)에 수용된 상기 오일펌프(82)로 구성된다. 오일복귀통로(130)는, 크랭크케이스(72)의 상기 오일 팬과 실린더 헤드(76)의 상기 밸브동작실을 접속하도록 하여 실린더(74)에 형성된다.
실린더(74)의 하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복귀 통로(130)에 연통해서 기관의 운전상태의 일종인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32)가 설치됨과 동시에, 실린더(74)에는, 이 온도 센서(132)를 보호하기 위한 센서 커버(140)가 장착된다.
센서 커버(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제의 막대형상부재(142)와, 강판제의 판형상부재(144)와, 강판제의 장착 플레이트(146)(장착부)로 구성된다.
막대형상부재(14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 A∼D의 4개소에서 굴곡하여 형성된다. 굴곡부 A∼C로 구획되는 コ자형상부(148)에는 상기 판형상부재(144)가 접합되고, 굴곡부 C, D 사이에 구획되는 직선부(150)의 하부에는 머플러(152)(도 3 참조) 등의 보조기기류가 인회된다.
이 경우, 굴곡부 A∼D의 위치는, 온도 센서(l32)의 크기나 배치, 실린더(74)의 폭, 또는 머플러(152) 등의 보조기기류의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가능한 실린더(74)의 형상에 따르도록 하면, 실린더(74)의 하부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어 적합하다.
또한, 막대형상부재(142)의 양단부에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46)가 접합된다. 이 경우, 막대형상부재(142)와, 판형상부재(144) 및 장착 플레이트(146)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면 강도가 증가하여 적합하다.
판형상부재(144)는, 굴곡부(154)에 있어서 실린더(74)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향하여 굴곡하고,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154)의 한쪽의 단부에는 절결부(156)(도 5 참조)가 형성된다.
장착 플레이트(146)에는, 센서 커버(140)를 실린더(74)에 유지 고정하기 위한 볼트(157)가 삽입되는 삽입공(158)이 형성됨과 동시에, 장착 플레이트(146)의 선단부(160)의 형상은, 실린더(74)의 측부에 형성된 냉각 핀(161) 사이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4에서 양해되는 바와 같이, 냉각 핀(161)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160)의 형상도 이것에 대응하여, 측부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판형상의 부재로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74)의 측부에 형성된 냉각 핀(161)의 일부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46)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결되고 있다. 이 절결부에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46)를 설치시키기 위한 장착 보스(170, 170)(장착부)가 실린더(74)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각 장착 보스(170, 170)는, 상기 냉각 핀(161)의 정수리부보다도 실린더(74)의 내부에 매몰하여 형성되어, 상기 각 장착 보스(170, 17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볼트(157)가 나사 삽입하는 나사삽입구멍(172)(나사삽입축)이 형성된다. 이 경우, 각 나사삽입구멍(172, 172)은, 실린더(74)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각 나사삽입구멍(172, 172)이 동축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즉, 센서 커버(l40)는, 도 4 및 도 6에서 양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장착 플레이트(146, 146) 및 각 장착 보스(170, 170)를 통해 실린더(74)의 측면의 냉각 핀(161)에 장착된다. 이 결과, 굴곡부(l54)에 의해 형성되는 판형상부재(144)의 내부공간에 온도 센서(132)가 배치된다. 즉, 센서 커버(140)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재(144)의 수직부위는 자동이륜차(10)의 전방에 대치하여, 이 판형상부재(144)의 수평부위는 노면에 대치하여 온도 센서(132)를 보호한다. 또, 판형상부재(l44)의 양측면은 개방되어 대기의 유통을 허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내연기관(30)을 포함하는 자동이륜차(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탑승자의 시동조작에 의해 내연기관(30)이 시동되면, 크랭크케이스(72) 내에 수용된 크랭크샤프트(80)가 회전한다. 이 크랭크샤프트(80)의 회전력은 기어(도시생략)를 통해 전달되어, 오일펌프(82)가 구동된다. 그 결과, 오일펌프(82)의 작동하에 상기 오일 팬으로부터 퍼 올려진 오일은, 상기 오일공급통로를 통해 실린더 헤드(76)의 밸브동작실에 공급되어, 거기에 마련된 밸브동작기구(100)의 각부를 윤활한다.
밸브동작기구(100)의 각부를 윤활한 오일은, 실린더(74)에 형성된 오일 복귀 통로(130)(도 3 참조)를 통해 크랭크케이스(72)의 상기 오일 팬으로 복귀된다. 이 경우, 오일 복귀 통로(130) 내의 오일의 온도가 온도 센서(l32)에 의해서 검출된다. 온도 센서(132)에 의해서 검출된 오일의 온도는, 내연기관(30)의 온도로 되어, 예컨대, 연료분사밸브로부터의 연료분사량의 제어 등에 이용된다.
한편, 내연기관(30)은, 언더 커버(58)에 형성된 개구부(60)로부터 주행에 의한 바람을 받아 냉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센서 커버(140)가 실린더(74)의 양측면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중의 자갈 등의 충돌에 의해 센서 커버(140)에 대하여 과대한 하중이 부여되었다고 해도, 센서 커버(140) 전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힘이 부여되어, 이것이 쿠션으로 되어, 자갈 등이 충돌한 부위로의 하중의 집중을 회피할 수가 있다. 즉, 센서 커버(140)가 파손하기 어렵게 되어, 그 결과, 온도 센서(132)를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커버(140)를 구성하는 판형상부재(144)가 막대형상부재(142)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센서 커버(140)는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주행중의 자갈 등의 충돌에 의해 파손하기 어렵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판형상부재(144)의 두께가 어느 정도 얇더라도 센서 커버(140)로서의 내구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센서 커버(140) 자체를 경량인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판형상부재(144)의 부위 마다의 두께에 다소의 편차가 있더라도, 전술과 같이, 판형상부재(144)는 막대형상부재(142)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센서 커버(140)로서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즉, 판형상부재(144)를 반드시 고정밀도로 할 필요가 없고, 용이하고 또 염가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판형상부재(144)는, 실린더(74)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향하여 대략 L자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기 때문에, 실린더(74)의 전방 및 아래쪽이 덮혀지고, 측방 및 후방이 개방된다. 즉, 자갈 등의 충돌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방 및 아래쪽이 덮혀지기 때문에, 온도 센서(132)가 보호된다. 한편, 측방 및 후방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에 의해 받는 바람이 실린더(74) 및 온도 센서(132)에 접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양자를 최적으로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보스(170)를 실린더(74)의 양측부에 형성된 냉각 핀(161) 사이에 매몰시켜 형성하는 한편, 장착 플레이트(146)의 선단부(160)의 형상을 냉각 핀(161) 사이의 형상에 대응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단부(l60)가 냉각 핀(161)에 끼워져 위치 결정되어, 센서 커버(140)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양자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157)의 수를 삭감할 수가 있는 동시에, 센서 커버(140)의 실린더(74)로의 장착 작업도 용이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장착 보스(170, 170)에 형성된 나사삽입구멍(l72, 172)의 방향을 실린더(74)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는 동시에, 각 나사삽입구멍(172, 172)이 동축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갈 등이 충돌하였을 때, 그 하중은 실린더(74) 양단의 볼트(157)에 대략 균등하게 부여된다. 따라서, 볼트(l57)의 비틀림이 회피되어, 실린더(7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재(144)의 굴곡부(154)의 일단부에 절결부(15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에 의해 받는 바람이 이 절결부(156)로 말려 들어 센서 커버(140) 내부로 흘러 들어와, 온도 센서(132)를 직접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연기관(30)이 언더 커버(58)로 덮혀지고 있는 경우에도, 절결부(15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센서 커버(140)와 언더 커버(58)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기 때문에, 주행시에 받는 바람의 흐름이 확보되어, 이 바람에 의해서 온도 센서(132)와 실린더(74)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센서 커버(140)를 구성하는 막대형상부재(142), 판형상부재(144) 및 장착 플레이트(146)는 모두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연기관(30)으로부터의 열을 센서 커버(140)측에 전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방열효과에 의해 센서 커버(140)의 표면에서 열이 방출되어, 내연기관(30)을 최적으로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내연기관(30)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는, 전술한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32)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예컨대, 수온 센서나, 노킹 센서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커버(140)가 이것들의 센서를 상기 온도 센서(132)와 동일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는 자동이륜차에 관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자동삼륜차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운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보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커버는, 내구성이 높고 또한 경량으로, 내연기관으로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고, 더구나, 상기 센서 및 내연기관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의 자동이륜차의 전체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이륜차를 구성하는 내연기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내연기관을 실린더 헤드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센서 커버의 구성, 및, 이 센서 커버와 실린더와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판형상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센서 커버를 실린더의 측면으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이륜차 30 : 내연기관
58 : 언더 커버 74 : 실린더
130 : 오일 복귀 통로 132 : 온도센서
l40 : 센서 커버 142 : 막대형상부재
144 : 판형상부재 146 : 장착 플레이트
154 : 굴곡부 156 : 절결부
160 : 선단부 161 : 냉각 핀
170 : 장착 보스 172 : 나사삽입구멍

Claims (7)

  1. 수평으로 배치되는 내연기관의 하부에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최하부에 상기 내연기관의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유온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유온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커버를 내연기관을 구성하는 실린더의 양 측부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L자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판형상부재와, 상기 판형상부재를 지지하는 막대형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측의 장착부를 이 실린더의 측부에 형성된 냉각 핀 사이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센서 커버측의 장착부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상기 냉각 핀 사이의 형상에 대응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부들을 볼트로 고정하는 상기 각 볼트의 나사삽입축을 상기 실린더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각 나사삽입축이 동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부재의 굴곡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절결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를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부재의 굴곡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절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 커버를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2004-0019598A 2003-03-25 2004-03-23 내연기관 KR100536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3935 2003-03-25
JP2003083935A JP4287683B2 (ja) 2003-03-25 2003-03-25 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713A KR20040084713A (ko) 2004-10-06
KR100536967B1 true KR100536967B1 (ko) 2005-12-14

Family

ID=3339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598A KR100536967B1 (ko) 2003-03-25 2004-03-23 내연기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4287683B2 (ko)
KR (1) KR100536967B1 (ko)
CN (1) CN1302204C (ko)
BR (1) BRPI0400756B1 (ko)
MX (1) MXPA04002793A (ko)
MY (1) MY135516A (ko)
TW (1) TWI242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561B1 (ko) 2004-12-23 2006-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보호장치
JP4610467B2 (ja) * 2005-11-02 2011-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4909136B2 (ja) * 2007-03-15 2012-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排ガスセンサ取付け構造
JP5171554B2 (ja) * 2008-10-31 2013-03-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297820B2 (ja) * 2009-01-16 2013-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2013024100A (ja) 2011-07-20 2013-02-04 Yamaha Motor Co Ltd 内燃機関およびそ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JP2013024101A (ja) 2011-07-20 2013-02-04 Yamaha Motor Co Ltd 内燃機関およびそ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JP5847597B2 (ja) 2012-01-18 2016-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油温センサー取付け構造
CN104500170B (zh) * 2014-12-26 2017-01-04 江门市大长江集团有限公司 一种摩托车发动机的温度传感器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913A (ja) * 1995-07-31 1997-02-14 Mikuni Corp ポジション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2380A (zh) 2004-09-29
CN1302204C (zh) 2007-02-28
MY135516A (en) 2008-05-30
JP4287683B2 (ja) 2009-07-01
MXPA04002793A (es) 2005-08-16
BRPI0400756B1 (pt) 2012-09-04
JP2004293348A (ja) 2004-10-21
BRPI0400756A (pt) 2005-01-11
TWI242065B (en) 2005-10-21
KR20040084713A (ko) 2004-10-06
TW200424427A (en)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901B1 (ko) 저바닥식 차량의 엔진 탑재 구조
JP3867486B2 (ja) 自動二輪車
US7004276B2 (en) Rear cushion installation structure of low floor type vehicle
US7730985B2 (en) Motorcycle with battery mounting arrangement
KR100533656B1 (ko) 저바닥식 차량의 배기관 구조
US8408348B2 (en) Snowmobile and engine for snowmobile
JP4209440B2 (ja) 車両用内燃機関
KR100533654B1 (ko) 저바닥식 차량의 에어클리너 및 엔진의 흡기 구조
JPWO2007080654A1 (ja) 内燃機関
JP5568890B2 (ja) 自動二輪車エンジンのオイルブリーザ装置
KR100536967B1 (ko) 내연기관
JP5032222B2 (ja) 空冷エンジン
JP3790770B2 (ja) 内燃機関
JP5706249B2 (ja) 車両の電子スロットル配置構造
JP2009030500A (ja) 雪上車用エンジンの補機配置構造
JP4101619B2 (ja) 自動二輪車の冷却通路構造
JP2003293720A (ja) ドライサンプ式エンジン
JP2024021974A (ja) 内燃機関の油路構造
KR100798580B1 (ko) 차량용 내연 기관
JP2004116424A (ja) 低床式車両のエアクリーナ構造
JP2004114868A (ja) 低床式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搭載構造
JP2006021647A (ja) 自動二輪車
JP2014129785A (ja) 自動二輪車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