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808B1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808B1
KR100536808B1 KR1020040042174A KR20040042174A KR100536808B1 KR 100536808 B1 KR100536808 B1 KR 100536808B1 KR 1020040042174 A KR1020040042174 A KR 1020040042174A KR 20040042174 A KR20040042174 A KR 20040042174A KR 100536808 B1 KR100536808 B1 KR 10053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lm
film
pattern
tin
i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808B1/ko
Priority to US11/147,675 priority patent/US74322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808B1/ko
Priority to US12/198,730 priority patent/US20080315425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85By forming conductive members before deposition of protective insulating material, e.g. pillars, stu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37Filling up the space between adjacent conductive structures; Gap-filling properties of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하부 산화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위에 Ti/TiN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Ti/TiN 금속막 위에 Al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Al 금속막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Al 금속막 위에 ITO막을 형성하는 단계, ITO막, Al 금속막 및 Ti/TiN 금속막에 포토리지스트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여 하부 산화막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금속막 패턴의 종횡비를 낮춤으로써 금속막 패턴의 사이 공간에 갭 필(Gap fill)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과 금속 배선 사이에는 금속 배선간을 절연시키는 층간 절연막(Inter Metal Dielectric, IMD)이 형성된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금속 배선의 수가 증가하고 반면에 금속 배선의 피치(pitch)가 축소되고 있다.
이렇게 피치가 줄어든 금속 배선의 전도성을 낮아지므로 소정 값의 전도성을 얻기 위해 금속 배선의 높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 경우, 금속 배선의 가로 폭은 변함없으나, 금속 배선의 세로 높이는 증가하므로 종횡비(aspect ratio)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횡비가 증가하면 금속 배선 사이에 층간 절연막이 제대로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즉, 금속 배선 사이의 갭에 층간 절연막이 제대로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많이 생겨 갭 필(gap fill)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금속 패턴의 사이 공간에 갭 필(Gap fill)이 용이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하부 산화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위에 Ti/TiN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Ti/TiN 금속막 위에 Al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Al 금속막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Al 금속막 위에 ITO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ITO막, Al 금속막 및 Ti/TiN 금속막에 포토리지스트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여 하부 산화막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i/TiN 금속막, Al 금속막 및 ITO막은 동일한 장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i/TiN 금속막 및 Al 금속막은 1000 내지 20000Å 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l 금속막 표면의 산화막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블랭킷 식각법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TO막은 MOCVD 법, RF 스퍼터링 또는 리액티브 스퍼터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TO막의 조성을 In(x)Sn(y)O(z)라 정의할 때, x=0.2 내지 0.3, y=0.2 내지 0.3, z=0.4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TO막은 n=1.0 내지 2.0, k=0.1 내지 0.9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하부 산화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Ti/TiN 금속막 패턴,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 위에 형성되어 있는 Al 금속막 패턴, 상기 Al 금속막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Al 금속막 패턴 위에 형성되어 있는 ITO막 패턴,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 Al 금속막 패턴 및 ITO막 패턴 사이에 노출된 상기 하부 산화막 및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 Al 금속막 패턴 및 ITO막 패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산화막(10)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10) 위에 Ti/TiN 금속막 패턴(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Ti/TiN 금속막 패턴(20)과 동일한 패턴으로 Ti/TiN 금속막 패턴(20) 위에 Al 금속막 패턴(30)이 형성되어 있다. Al 금속막 패턴(30)과 동일한 패턴으로 Al 금속막 패턴(30) 위에 ITO막 패턴(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Ti/TiN 금속막 패턴(20), Al 금속막 패턴(30) 및 ITO막 패턴(40)으로 이루어진 금속막 패턴 사이 공간(80)에 노출된 하부 산화막(10) 위에 층간 절연막(50)이 형성되어 있고, ITO막 패턴(40) 위에 층간 절연막(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Ti/TiN 금속막 패턴(20), Al 금속막 패턴(30) 및 ITO막 패턴(40)으로 이루어진 금속막 패턴의 종횡비(L1/W)가 종래의 금속막 패턴의 종횡비(L2/W, 도 5참조)보다 낮으므로 금속막 패턴 사이의 공간에 층간 절연막(50)이 빈 공간없이 제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산화막(10)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10) 위에 Ti/TiN 금속막(20A)을 형성하고, Ti/TiN 금속막(20A) 위에 Al 금속막(30A)을 형성한다.
이러한 Ti/TiN 금속막(20A) 및 Al 금속막(30A)은 스퍼터링(sputtering)의 방법으로 1000 내지 20000Å 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Al 금속막(30A) 표면의 자연 산화막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블랭킷 식각법(blanket etch) 즉, 식각 마스크 패턴없이 모든 박막을 골고루 식각하는 스퍼터링 식각법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불활성 가스는 He, Ne, Ar, Xe, Kr, R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 산화막이 제거된 Al 금속막(30A) 위에 전도성 산화막인 ITO막(Indium Tin Oxide)(40A)을 형성한다.
이러한 Ti/TiN 금속막(20A), Al 금속막(30A) 및 ITO막(40A)은 동일한 증착 장비에서 차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Al 금속막(30A)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ITO막(40A)은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RF 스퍼터링 또는 리액티브 스퍼터링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ITO막의 조성을 In(x)Sn(y)O(z)라 정의할 때, x=0.2 내지 0.3, y=0.2 내지 0.3, z=0.4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며, 리쏘그라피(lithography)에서 요구하는 바대로 ITO막은 n(굴절률, refractive index)=1.0 내지 2.0, k(흡수계수, absortion coefficient)=0.1 내지 0.9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ITO막(40A), Al 금속막(30A) 및 Ti/TiN 금속막(20A)에 포토리지스트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막 패턴(20, 30, 40)을 형성한다.
이 경우, 금속막 패턴 사이 공간(80)에는 하부 산화막(10)이 노출된다.
이러한 금속막 패턴 사이의 폭을 W라 하고, 금속막 패턴의 높이를 L1이라 할 때, 종횡비는 L1/W로서 정의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막 패턴 위에 층간 절연막(50)을 형성한다. 이 경우, 금속막 패턴 사이에 노출된 하부 산화막(10) 위 및 ITO막 패턴(40) 위에 층간 절연막(50)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 금속막 패턴(30)위에 Ti/TiN 금속막 패턴(60)이 다시 형성되고, 그 위에 SiON 막(70)이 형성됨으로써 금속막 패턴 사이의 폭(W)과 금속막 패턴의 높이(L2) 간의 종횡비(L2/W)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종횡비(L1/W)보다 크다. 따라서, 금속막 패턴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층간 절연막(50)이 금속막 패턴 사이의 공간(90)에 모두 채워지지 않고, 빈 공간(5)도 형성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종횡비가 낮도록 금속막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층간 절연막(50)은 금속막 패턴 사이의 공간(80)에 빈 공간 없이 모두 채워진다.
또한, Ti/TiN 금속막 패턴(60) 및 SiON 막(70)을 형성하는 대신에 ITO막 패턴(4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금속 패턴의 종횡비를 낮춤으로써 금속 패턴의 사이 공간에 갭 필(Gap fill)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하부 산화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위에 Ti/TiN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Ti/TiN 금속막 위에 Al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Al 금속막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Al 금속막 위에 ITO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ITO막, Al 금속막 및 Ti/TiN 금속막에 포토리지스트 공정을 적용하여 금속막 패턴을 형성하여 하부 산화막을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Ti/TiN 금속막, Al 금속막 및 ITO막은 동일한 장비에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Ti/TiN 금속막 및 Al 금속막은 1000 내지 20000Å 의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Al 금속막 표면의 산화막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블랭킷 식각법으로 제거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ITO막은 MOCVD 법, RF 스퍼터링 또는 리액티브 스퍼터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ITO막의 조성을 In(x)Sn(y)O(z)라 정의할 때, x=0.2 내지 0.3, y=0.2 내지 0.3, z=0.4 내지 0.6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ITO막은 n=1.0 내지 2.0, k=0.1 내지 0.9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하부 산화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Ti/TiN 금속막 패턴,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 위에 형성되어 있는 Al 금속막 패턴,
    상기 Al 금속막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Al 금속막 패턴 위에 형성되어 있는 ITO막 패턴,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 Al 금속막 패턴 및 ITO막 패턴 사이에 노출된 상기 하부 산화막 및 상기 Ti/TiN 금속막 패턴, Al 금속막 패턴 및 ITO막 패턴 위에 형성되어 있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040042174A 2004-06-09 2004-06-0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74A KR100536808B1 (ko) 2004-06-09 2004-06-0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147,675 US7432203B2 (en) 2004-06-09 2005-06-08 Methods for fabricating a metal layer pattern
US12/198,730 US20080315425A1 (en) 2004-06-09 2008-08-26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74A KR100536808B1 (ko) 2004-06-09 2004-06-0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808B1 true KR100536808B1 (ko) 2005-12-14

Family

ID=3607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174A KR100536808B1 (ko) 2004-06-09 2004-06-09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432203B2 (ko)
KR (1) KR100536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1129B (zh) * 2018-06-05 2022-08-02 上海新微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导电金属氧化物的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1992A (en) * 1995-08-10 1997-06-24 Siemens Components, Inc. Metal interconnect structure for an integrated circuit with improved electromigration reliability
JPH10214896A (ja) * 1996-11-29 1998-08-1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019021B2 (ja) * 1997-03-31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036876A (en) * 1997-06-25 2000-03-14 Applied Komatsu Technology, Inc. Dry-etching of indium and tin oxides
KR100363013B1 (ko) * 2000-06-28 2002-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KR20020013719A (ko) * 2000-08-14 2002-02-21 이데이 노부유끼 광흡수/반 반사물질 부재와 표시장치
US6743488B2 (en) * 2001-05-09 2004-06-01 Cpfilms Inc. Transparent conductive stratiform coating of indium tin oxide
US6589657B2 (en) * 2001-08-31 2003-07-08 Von Ardenne Anlagentechnik Gmbh Anti-reflection coatings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15425A1 (en) 2008-12-25
US20060060978A1 (en) 2006-03-23
US7432203B2 (en) 200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11833C (zh) 具有无源元件的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CN109768054B (zh) 阵列基板及显示屏
US7361585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lanarizing the contact region of a via by use of a continuous inline vacuum deposition
KR10073925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3680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35246A (ko) 반도체 구조물의 제조 방법
CN100592507C (zh) 金属导线镶嵌结构及其制造方法
CN102299097B (zh) 一种金属连线刻蚀方法
US2008015728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798738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제조 방법
US6242795B1 (en) Metal lin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67810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964116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EP0191981B1 (en) Multilayer circuit
KR100340852B1 (ko) 반도체소자의다층금속배선형성방법
KR20020078885A (ko) 반도체 소자의 비어콘택 형성방법
KR100866115B1 (ko) 엠아이엠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284302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013410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4518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2144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68797B1 (ko) 다층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10035659A (ko) 반도체장치의 캐패시턴스 감소방법
KR19990001665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제조 방법
KR20030095565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