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677B1 -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677B1
KR100534677B1 KR10-2003-7011206A KR20037011206A KR100534677B1 KR 100534677 B1 KR100534677 B1 KR 100534677B1 KR 20037011206 A KR20037011206 A KR 20037011206A KR 100534677 B1 KR100534677 B1 KR 10053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as flow
separator
gas diffusion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842A (ko
Inventor
이와이겐
미야자아아츠시
장지안보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7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 전지(1)는 막 전극 접합체들(2)과 분리기들(3)을 적층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기들(3)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료 가스 유로들(16), 산화 가스 유로들(17), 및 냉각수 유로들(9)은 막 전극 접합체들(2)의 가스 확산층들(6A, 6C)의 외측면들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분리기들(3)의 두께 치수가 감소될 수 있고, 연료 전지 스택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적층된 단위 셀들수는 종래의 연료 전지 스택의 치수와 동일 치수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 출력 밀도를 가지는 연료 전지 스택이 획득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전지{FUEL CELL}
본 발명은 전해질층에 대하여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반응 가스를 공급하여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획득하는 고체 고분자형 전해질 연료 전지(SPEFC)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체 고분자형 전해질 연료 전지의 기본 구성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제H6-260193호(1994)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막 전극 접합체(MEA)에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양 주면들 상에 귀금속들(주로 백금)을 포함하는 촉매층들이 형성된다. 상기 촉매층들의 외측 상에는, 반응 가스를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도입하는 다공성 재료층들이 더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재료층들의 외측 상에는 분리기들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분리기들에서, 애노드측 분리기들과 캐소드측 분리기들이 존재한다. 애노드측 분리기의 일면 상에, 연료 가스 유로들이 형성되고, 그 타면 상에 냉각수 유로가 형성된다. 캐소드측 분리기들에서, 산화 가스 유로들이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각각이 형성된 단위 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연료 전지 스택이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연료 전지를 도시하는 실질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연료 전지용으로 사용되는 분리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연료 전지, 그 변형예, 및 종래의 연료 전지의 전류-전압 곡선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연료 전지를 도시하는 실질적인 단면도이다.
발명의 개시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료 전지와 같은 구성에서 스택이 형성될 때, 개별적인 분리기들에서 구성된 연료 가스 유로들, 산화 가스 유로들, 및 냉각수 유로들이 스택의 두께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각 애노드측 분리기와 각 캐소드측 분리기의 구조들이 다소 얇아도, 스택의 체적은 충분히 감소될 수 없다. 따라서, 단위 체적당 출력, 즉 출력 밀도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되었다. 그 목적은 고 출력 밀도의 고체 고분자형 전해질 연료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고체 고분자 전해질;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양 면들 상에 배치된 촉매층들; 상기 각 촉매층들의 외부면들 상에 배치되고 도전성을 가지는 가스 확산층들; 및 연료 가스 유로, 산화 가스 유로, 및 냉각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가스 확산층들의 외부면들 상에 배치되는 분리기들을 구비하는 연료 전지로서, 상기 냉각수 유로는 상기 가스 확산층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연료 가스 유로와 상기 산화 가스 유로 중 어느 하나와 평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단위 셀들을 적층한 단순한 구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분리기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연료 가스 유로, 산화 가스 유로, 및 냉각수 유로가 막 전극 접합체의 외측면에 따른 방향으로 직선으로 배열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1)는, 예컨대 막 전극 접합체들(2)과 분리기들(3)을 임의의 층수를 형성하도록 적층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도 1은 3개의 막 전극 접합체들(2)과, 상기 각각의 막 전극 접합체들(2)의 양면들 상에 배열된 분리기들(3)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막 전극 접합체들(2) 각각의 사이에는 분리기(3)가 개재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바란다.
막 전극 접합체(2)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4), 촉매층들(5), 및 가스 확산층들(6A, 6C)로 구성된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4)은 여기에 공급된 연료 가스와 산화 가스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킨다. 촉매층들(5)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4)의 양 주면들 상에 배열되어, 전기화학 반응을 촉진시킨다. 가스 확산층들(6A, 6C)은 각 촉매층들(5)의 외부면들 상에 배열되고, 도전성을 갖는 다공성 재료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가스 확산층(6A)은 애노드로서 기능하고, 다른 하나의 가스 확산층(6C)은 캐소드로서 기능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3)는 막 전극 접합체(2)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 구조를 가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기(3)의 일면 상에, 복수의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7)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직선으로 형성된다. 분리기(3)의 각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7)의 일측 상에는,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7)을 형성하는 격벽(8)에 의하여 이 격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냉각수 유로(9)가 형성된다. 분리기(3)에서, 냉각수 유로(9)는 도 2에 도시된 y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분리기(3)의 타면 상에는,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10)이 형성되고, 각각은 인접한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7) 끼리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들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10)은 또한 도 2에 도시된 y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결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7), 냉각수 유로들(9), 및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10) 모두 y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다. 각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10)과 각 냉각수 유로(9)는 이들 간에 개제된 격벽(11)으로 형성된다.
분리기(3)의 일면 상에 형성된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7) 간에 위치된 각 벽(12)의 외측상에는, 인접하는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7)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이 도 2에 도시된 x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들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은 소정 간격으로 y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한편, 분리기(3)의 타면 상에 형성된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10) 간에 위치된 각 벽(14)의 외부면 상에, 이들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10)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이 형성된다.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과 유사하게, 이들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은 또한 도 2에서 y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분리기들(3)과 막 전극 접합체들(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되어, 연료 전지(1)가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 분리기(3)는 상하 방향이 바뀌어도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는 것에 주목바란다. 분리기(3)의 적층면은 막 전극 접합체(2)와의 적층 상태에 따라 애노드 또는 캐소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적층면이 애노드이면, 그 홈들은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7)이 되고, 상기 적층면이 캐소드이면, 그 홈들은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10)이 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분리기(3)가 막 전극 접합체(2)의 애노드측 또는 캐소드측 상에 배열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애노드측 분리기와 캐소드측 분리기 모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1)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기(3)의 일면은 막 전극 접합체(2)의 애노드측 가스 확산층(6A)에 접합한다. 따라서, 각 연료 가스 유로(16)는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7)과 애노드측 가스 확산층(6A)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막 전극 접합체(2)의 캐소드측 상의 가스 확산층(6C)에 분리기(3)의 타면이 접합하여, 각 산화 가스 유로(17)는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10)과 캐소드측 상의 가스 확산층(6C)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실시예에서, 냉각수 유로들(9), 연료 가스 유로들(16), 및 산화 가스 유로들(17)은 하나의 분리기(3)에 병렬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스택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적층된 단위 셀들의 수는 종래의 것과 동등한 적층 방향 치수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1)에서, 고 출력 밀도의 연료 전지 스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료 가스 유로(16)에서의 연료 가스는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을 통하여 통과하여, 애노드측 상의 가스 확산층(6A)의 연료 가스의 확산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료 가스가 막 전극 접합체(2)로 효율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산화 가스 유로(17)내의 산화 가스는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을 통하여 통과하여, 캐소드측 상의 가스 확산층(6C)의 산화 가스의 확산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산화 가스가 막 전극 접합체(2)에 효율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 결과, 막 전극 접합체(2)에서의 연료 가스와 산화 가스 간의 전기화학 반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은 분리기(3)의 일면 상의 벽들(12) 상에 형성되고,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는 그 타면 상의 벽들(14)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과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 중 임의의 하나만이 형성된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과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 모두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구성(변형예)이 채용될 수도 있다.
(변형예)
도 3은 상술된 종래의 연료 전지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와,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과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 모두 형성하지 않은 구성의 연료 전지에 대한 단위 셀에서의 동일 막 면적당 전류 밀도와 셀 전압과의 관계(전류-전압 곡선)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 18은 종래 전지의 곡선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9는 가스 확산 홈들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연료 전지의 곡선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0은 어떠한 가스 확산 홈들도 가지지 않은 본 발명의 연료 전지(변형예)의 곡선을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료 전지와 변형예의 연료 전지에서, 연료 전지 효율이 높은 저 전류 밀도 영역에서 종래 연료 전지의 성능과 비교하여 단위 셀당의 각 성능이 손색이 없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료 전지에서, 연료 가스 확산 홈들(13)과 산화 가스 확산 홈들(15)이 제공된다. 따라서, 막 전극 접합체(2)의 가스 확산층들(6A, 6C)과 접하는 분리기(3)의 접촉면들 상에 연료 가스와 산화 가스가 공급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연료전지의 셀의 레벨과 동일한 단위 셀당의 출력이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적층 방향으로 연료 전지 스택의 치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단위 체적 또는 단위 중량당 그 출력, 즉 출력 밀도는 종래 것과 비교하여 훨씬 대폭으로 증가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는, 각 단위 셀이 막 전극 접합체(21)의 양 면들 상에 분리기들(22)을 배열함으로써 구성되고, 이 단위 셀 상에 막 전극 접합체들(22)과 분리기들(22)이 순차 적층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의 각 막 전극 접합체(21)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23), 촉매층들(24), 및 가스 확산층들(25A, 25C)로 구성된다. 고체 고분체 전해질(23)은 여기에 공급된 연료 가스와 산화 가스를 전기화학 반응을 시킨다. 촉매층들(24)은 이 고체 고분자 전해질(23)의 양 주 면들 상에 배열되어, 상기 전기화학 반응을 촉진시킨다. 가스 확산층들(25A, 25C)은 각 촉매층들(24)의 외부면들 상에 배열되고, 도전성을 갖는 다공성 재료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가스 확산층(25A)은 애노드로서 기능하고, 다른 가스 확산층(25C)은 캐소드로서 기능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분리기(22)에서,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26)이 일측 면 상에 형성되고,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27)이 타측 면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26)과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27)은 저면으로부터 홈 형성 표면을 향하여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들은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후,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26)과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27) 모두는 막 전극 접합체(21)와의 접합면 방향을 따라 병렬이도록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26)과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27) 간에는, 냉각수 유로(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22)의 구성에서, 냉각수 유로(30)는 연료 가스 유로들(16)을 구성하는 분리기(22A)와 산화 가스 유로들(17)을 구성하는 분리기(22B)를 적층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각 분리기의 형상이 간소하게 되어, 그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냉각수 유로들(30), 적층된 연료 가스 유로 형성 홈들(26), 및 적층된 산화 가스 유로 형성 홈들(27)은 막 전극 접합체(21)와의 접합면 방향으로 병렬이 되도록 배열된다. 그러므로, 분리기(22)의 두께는 종래의 분리기와 비교하여 대폭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택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종래의 것과 동등한 적층 방향 치수로 단위 셀들의 적층수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에서도, 고 출력 밀도의 연료 전지 스택을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분리기(22)의 양 면들 상에,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가스 확산 홈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2001년 12월 11일 출원된 일본 특개평 제 P2001-376851 호의 전체 내용이 여기서 참조용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교시에 부합하는 각종 변경이 당업자들에게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을 참조하여 정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적용에서, 연료 전지 스택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적층된 단위 셀들수는 종래의 연료 전지 스택과 비교하여 동일한 치수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 출력 밀도를 가지는 연료 전지 스택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분리기의 두께 치수가 더욱 감소될 수 있으므로, 고 출력 밀도를 가지는 연료 전지 스택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연료 가스 유로들과 산화 가스 유로들을 통하여 흐르는 가스가 가스 확산 홈들을 경유하여 가스 확산층으로 도입될 수 있으므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서의 연료 가스와 산화 가스 간의 전기화확 반응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2 형태의 분리기들이 적층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되므로, 각 분리기의 형상이 단순화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고체 고분자 전해질;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양 면들 상에 배치된 촉매층들;
    상기 각 촉매층들의 외면들 상에 배치되고, 도전성을 가지는 가스 확산층들; 및
    상기 각 가스 확산층들의 외면들 상에 배치되고, 연료 가스 유로, 산화 가스 유로, 및 냉각수 유로를 포함하는 분리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 상기 연료 가스 유로, 및 상기 산화 가스 유로는 상기 가스 확산층의 표면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확산층과 접하는 상기 분리기의 접합면 상에 제공된 가스 확산 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리기들은 연료 가스 유로를 구성하는 분리기와 산화 가스 유로를 구성하는 분리기를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KR10-2003-7011206A 2001-12-11 2002-11-12 연료 전지 KR100534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6851A JP3700642B2 (ja) 2001-12-11 2001-12-11 燃料電池
JPJP-P-2001-00376851 2001-12-11
PCT/JP2002/011788 WO2003050905A2 (en) 2001-12-11 2002-11-12 Fuel cell with polymer electroly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842A KR20040016842A (ko) 2004-02-25
KR100534677B1 true KR100534677B1 (ko) 2005-12-07

Family

ID=1918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206A KR100534677B1 (ko) 2001-12-11 2002-11-12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8086B2 (ko)
EP (1) EP1454374B1 (ko)
JP (1) JP3700642B2 (ko)
KR (1) KR100534677B1 (ko)
CN (1) CN1264240C (ko)
WO (1) WO20030509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6282B1 (fr) * 2002-02-19 2004-04-0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tructure alveola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structure
JP3599280B2 (ja) 2002-05-17 2004-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US6974648B2 (en) * 2003-09-12 2005-1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Nested bipolar plate for fuel cell and method
TWI241046B (en) * 2003-12-12 2005-10-01 Asia Pacific Fuel Cell Tech Sealing structure of modulized proton-exchange-membrane fuel battery
US7781122B2 (en) * 2004-01-09 2010-08-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ipolar plate with cross-linked channels
JP2005222809A (ja) * 2004-02-05 2005-08-18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
KR100589408B1 (ko) * 2004-04-2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JP2005327670A (ja) * 2004-05-17 2005-11-2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2006164546A (ja) * 2004-12-02 2006-06-22 Nissan Motor Co Ltd セパレータ
US7829231B2 (en) * 2005-04-22 2010-1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cell design with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and gas humidification unit
CN100435059C (zh) * 2005-06-08 2008-11-19 英属盖曼群岛商胜光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燃料电池功率产出的控制方法
US7687182B2 (en) * 2005-10-07 2010-03-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ressurized coolant for stamped plate fuel cell without diffusion media in the inactive feed region
JP2007323969A (ja) * 2006-06-01 2007-12-1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燃料電池発電装置
JP5111826B2 (ja) * 2006-10-18 2013-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5181572B2 (ja) * 2007-08-09 2013-04-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セパレータ、セパレータ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製造方法
KR101060800B1 (ko) 2008-11-11 2011-08-3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일체형 연료전지 분리판의 제조방법
US8968904B2 (en) 2010-04-05 2015-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condary battery module
WO2012035585A1 (ja) * 2010-09-16 2012-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燃料電池の製造方法
DE102012023055A1 (de) 2012-11-26 2014-05-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ipolarplatte sowie Brennstoffzelle mit einer solchen
KR102080573B1 (ko) 2013-05-02 2020-02-24 할도르 토프쉐 에이/에스 Soec 장치용 가스 유입구
DE102014206333A1 (de) 2014-04-02 2015-10-08 Volkswagen Ag Bipolarplatte sowie Brennstoffzelle mit einer solchen
DE102015214517A1 (de) 2015-07-30 2017-02-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ipolarplatte und Membran-Elektroden-Einheit für eine in einem Brennstoffzellenstapel angeordnete Brennstoffzelle, Brennstoffzelle und Brennstoffzellenstapel
DE102015222245A1 (de) 2015-11-11 2017-05-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Polarplatte für einen Brennstoffzellenstapel
CN111864226A (zh) * 2019-04-29 2020-10-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结构、燃料电池堆和车辆
CN111048801A (zh) * 2019-12-04 2020-04-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单片金属极板的风冷氢燃料电池及电堆
KR102550727B1 (ko) * 2021-04-16 2023-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연료전지 스택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5664A (ja) * 1982-03-12 1983-09-16 Hitachi Ltd 溶融塩型燃料電池
JP3372268B2 (ja) * 1992-07-06 2003-0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3349189B2 (ja) 1993-03-08 2002-1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燃料電池スタック
JPH10308227A (ja) * 1997-05-07 1998-11-17 Fuji Electric Co Ltd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GB9814120D0 (en) * 1998-07-01 1998-08-26 British Gas Plc Cooling of fuel cell stacks
US6261710B1 (en) * 1998-11-25 2001-07-17 Institute Of Gas Technology Sheet metal bipolar plate design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EP1009051A2 (en) 1998-12-08 2000-06-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Liquid cooled bipolar plate consisting of glued plates for PEM fuel cells
WO2001037362A2 (en) 1999-11-16 2001-05-25 Allen Engineering Company, Inc. Fuel cell bipolar separator plate and current coll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572441B2 (ja) 2000-04-10 2010-11-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燃料電池
WO2002023645A2 (en) * 2000-09-14 2002-03-21 H Power Enterprises Of Canada Inc. Bipolar separator plate assembly for a fuel cell
DE10063720A1 (de) 2000-12-20 2002-07-11 Siemens Ag Niedertemperatur-Brennstoffzelle
JP4516229B2 (ja) 2001-03-06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セルアセンブリ
JP4085652B2 (ja) * 2001-08-21 2008-05-14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燃料電池
JP2003142120A (ja) 2001-10-31 2003-05-1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JP4934938B2 (ja) 2002-02-12 2012-05-23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燃料電池のセパレータ
JP4147781B2 (ja) 2002-02-12 2008-09-1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7029784B2 (en) * 2002-05-30 2006-04-18 Plug Power Inc. Nested fuel cell field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1760A (zh) 2004-09-22
US20040081873A1 (en) 2004-04-29
WO2003050905A3 (en) 2003-12-24
JP2003178775A (ja) 2003-06-27
CN1264240C (zh) 2006-07-12
EP1454374A2 (en) 2004-09-08
KR20040016842A (ko) 2004-02-25
EP1454374B1 (en) 2012-03-21
WO2003050905A2 (en) 2003-06-19
US7348086B2 (en) 2008-03-25
JP3700642B2 (ja)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677B1 (ko) 연료 전지
US7867666B2 (en) Fuel cell with triangular buffers for reactant gas and coolant
CA2374466C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ssembly, fuel cell stack, and method of supplying reaction gas in fuel cell
US7569301B2 (en) Fuel cell
JP5227543B2 (ja) 燃料電池
US7811692B2 (en) Micro-machined fuel cells
JP2004087311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用金属製セパレータ
JP5082467B2 (ja)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を構成するセパレータ
JP3146758B2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20050158599A1 (en) Fuel cell
JP2003132911A (ja) 燃料電池
US7745062B2 (en) Fuel cell having coolant inlet and outlet buffers on a first and second side
JPH1021944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3007809B2 (ja) 燃料電池
KR100569421B1 (ko) 자동차의 연료전지용 분리판 구조
JPH06333582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H06333581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11936075B2 (en) Separator for solid oxide fuel cell (SOFC) stack capable of minimizing system volume and usage of sealant
JP5638418B2 (ja) 燃料電池
JPH02197055A (ja) 燃料電池のセル構造
JP7253072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4303651A (ja) 平面積層型燃料電池
JP2003272698A (ja) 燃料電池
KR20070035859A (ko)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스택
JPH07249420A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