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327B1 -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327B1
KR100534327B1 KR10-2003-0081665A KR20030081665A KR100534327B1 KR 100534327 B1 KR100534327 B1 KR 100534327B1 KR 20030081665 A KR20030081665 A KR 20030081665A KR 100534327 B1 KR100534327 B1 KR 10053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vehicle
seat
fixing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65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 정차 또는 충돌시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서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스트라이커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차량의 실내를 이루도록 설치된 차체(1)와, 상기 차체(1)의 내부 양 측면에 용접 고정되고 일면에는 한 쌍의 체결공(6a)이 구비된 지지부재(6)와, 상기 지지부재(6)의 일면에 체결부재(4)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래킷(2)과, 상기 지지브래킷(2)의 일면에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트라이커(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Striker structure for seat fixing of car}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 정차 또는 충돌시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서 상기 시트를 고정하는 스트라이커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후방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좌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좌석은 크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좌판과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가 유지되게 설치되는 등받이로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 좌판과 등받이는 유동되지 않도록 스트라이커를 매개로 차체와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좌판을 고정하는 스트라이커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2)의 일면에 'ㄷ'자 형상의 스트라이커(3)가 돌출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래킷(2)은 차체(1)의 내부 양 측면에 체결부재(4)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이(5)를 고정할 때에는 그 등받이(5)의 배면에 스트라이커(3)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차량이 급 정차 또는 충돌로 인하여 등받이(5)에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그 등받이(5)는 관성력에 의해서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상기 스트라이커(3)에는 차량의 전방으로 장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스트라이커(3)를 부착하는 체결부재(4)는 장력이 발생되는 방향의 수직으로 체결되므로, 상기 스트라이커(3) 및 그 스트라이커(3)가 부착된 지지브래킷(2)에는 회전방향의 모우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회전방향의 모우멘트는 지지브래킷(2)이 체결된 차체(1)로 전달되어 차체(1)를 변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 뒷좌석의 등받이를 고정하는 스트라이커를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차량의 급 제동 및 충돌 시 스트라이커에 회전방향의 모우멘트 발생을 방지하여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는 차량의 실내를 이루도록 설치된 차체(1)와, 상기 차체(1)의 내부 양 측면에 용접 고정되고 일면에는 한 쌍의 체결공(6a)이 구비된 지지부재(6)와, 상기 지지부재(6)의 일면에 체결부재(4)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래킷(2)과, 상기 지지브래킷(2)의 일면에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트라이커(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1)로 이루어진 차량의 실내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좌석이 설치되어 있되, 그 좌석은 차체(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특히, 차체(1)에는 좌석의 등받이(5)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3)가 설치되어 있되, 그 스트라이커(3)는 지지브래킷(2)의 일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1)의 내부 양 측면에는 지지부재(6)가 용접 고정되어 있되, 그 지지부재(6)는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단면형상이 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6)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브래킷(2)을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체결공(6a)이 형성되어 있다.상기 지지브래킷(2)은 체결부재(4)를 매개로 지지부재(6)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지지브래킷(2)에 돌출 설치된 스트라이커(3)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체(1)로 구성된 차 실내의 내부 양 측면에는 지지부재(6)를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지지부재(6)의 일면에 스트라이커(3)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스트라이커(3)가 설치된 지지브래킷(2)을 지지부재(6)의 일면에 근접시킨 후 상기 지지브래킷(2)과 지지부재(6)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4)를 체결하면 스트라이커(3)의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3)의 고정이 완료된 후 좌석의 등받이(5)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등받이(5)를 고정하는 스트라이커(3)는 차량이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등받이(5)가 스트라이커(3)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중 급 정차 또는 충돌로 인하여 충격력이 발생하면, 상기 등받이(5)와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벨트는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등받이(5)를 고정시키는 스트라이커(3)가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작용하는 외력은 등받이(5)와 동일한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차량의 급 정차 또는 충돌로 인하여 발생된 충격력은 등받이(5)와 스트라이커(3)에 의해서 완충되므로, 상기 스트라이커(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는 강성이 향상되도록 단면형상이 폐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성이 향상되어 지지부재(6)의 변형이 방지되는 한편, 그 지지부재(6)가 용접 고정된 차체(1)의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좌석 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라이커를 차량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차량의 급 정차 또는 충돌로 인하여 충격력이 전달 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에 회전방향의 모우멘트가 작용하지 않게 되어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트라이커 지지부가 이중 폐단면 구조로 형성되므로 강성이 증가되어 충격력 전달로 인하여 벨트가 당겨질 때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라이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트라이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지지브래킷
3 : 스트라이커 4 : 체결부재
5 : 등받이 6 : 지지부재
6a : 체결공

Claims (2)

  1. 차량의 실내를 이루도록 설치된 차체(1)와, 상기 차체(1)의 내부 양 측면에 용접 고정되고 일면에는 한 쌍의 체결공(6a)이 형성되고 강성이 향상되게 폐단면을 이루는 지지부재(6)와, 상기 지지부재(6)의 일면에 체결부재(4)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지지브래킷(2)과, 상기 지지브래킷(2)의 일면에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트라이커(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2. 삭제
KR10-2003-0081665A 2003-11-18 2003-11-18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KR10053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65A KR100534327B1 (ko) 2003-11-18 2003-11-18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65A KR100534327B1 (ko) 2003-11-18 2003-11-18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65A KR20050047865A (ko) 2005-05-23
KR100534327B1 true KR100534327B1 (ko) 2005-12-08

Family

ID=3724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65A KR100534327B1 (ko) 2003-11-18 2003-11-18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65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317B2 (ja) 車両のボディストッパー構造
KR101856248B1 (ko) 측면충돌에 대한 보강부재를 구비한 2도어 또는 3도어 차량
JP2006160248A (ja) フロア衝撃移動制限装置を備える車両支持構造
US6213245B1 (en) Cross member structure for transmission
JP4651788B2 (ja) カウルパネル・フロントバルクヘッド構造
JP4763784B2 (ja) 運転室用の衝突時拘束装置を備えたトラック
JP2002211447A (ja) スポーツユーティリティートラックのミッドゲート設置構造
JP3803720B2 (ja) 車体構造
JP3721720B2 (ja) 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JPH01202525A (ja) 自動車のエンジン支持構造
JP2005112138A (ja) 車両のフード構造
KR100534327B1 (ko) 차량의 시트 고정용 스트라이커 구조
JP4245702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0177641A (ja) 自動車のリヤシェルフ構造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JPS6020534Y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H05240283A (ja) 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支持構造
JP3165201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016454B2 (ja) 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マウント構造
KR900002661Y1 (ko) 자동차범퍼 보강재구조
KR19980040982U (ko) 자동차 시트벨트 마운팅 브라켓
KR200143414Y1 (ko) 상용차의 시트벨트앵커 보강재
KR100380403B1 (ko) 승합차의 안전벨트앵커보강재
JP2023140567A (ja) 車両用のペダル装置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