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609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609B1
KR100532609B1 KR10-2004-0028611A KR20040028611A KR100532609B1 KR 100532609 B1 KR100532609 B1 KR 100532609B1 KR 20040028611 A KR20040028611 A KR 20040028611A KR 100532609 B1 KR100532609 B1 KR 100532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k
opening
clos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534A (ko
Inventor
강동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09B1/ko
Priority to US10/937,409 priority patent/US7212766B2/en
Priority to JP2005082321A priority patent/JP2005316430A/ja
Publication of KR2005010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3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having a waste receptacle withdrawn upon opening of the encl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28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transpar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를 폐기 또는 순환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회수유닛 및,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유닛는 상기 잉크리키지방지유닛과 상기 피팅유닛중 적어도 어느하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쉽고, 정밀하게 피팅유닛과 잉크회수유닛을 세팅할 수 있으며, 현상유닛을 가이드해줌으로써 컬러레지스터레이션이 안정화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A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SETTING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팅유닛과 잉크의 폐기 또는 재사용을 위한 잉크회수유닛을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부착하여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인쇄장치이다. 이러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분말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보다 더 선명한 화상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고품질의 컬러 인쇄에 적합하다. 그리고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잉크는 현상유닛과 잉크카트리지유닛사이를 순환하면서 재사용이 가능한데, 이러한 순환과정은 주로 현상유닛, 잉크회수유닛, 피팅유닛, 잉크카트리지유닛, 다시 현상유닛을 거치되면 이루어 진다.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 설치되는 현상유닛(102)과, 상기 본체(101)에 설치되며, 현상유닛(102)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106)과, 상기 본체(101)에 설치되는 도어유닛(103)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유닛(103)에는 상기 현상유닛(102)을 일방향으로 밀어 상기 현상유닛(102)의 장착을 완성시키는 장착완성부재(103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유닛(102)에는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배출구커버(102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팅유닛(104)에는 잉크카트리지유닛(106)에 형성되어 있는 암관로피팅부(106a)와 착탈되기 위한 수관로피팅부(10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잉크배출구커버(102a)를 열고, 암관로피팅부(106a)와 수관로피팅부(104a)를 착탈하고, 도어유닛(103)을 화살표 S방향으로 닫음으로써 현상유닛(102)의 장착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사용자에게 번거롭고, 현상유닛(102)과 피팅유닛(104)의 세팅 정밀도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팅을 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를 폐기 또는 순환하기 위한 잉크회수유닛 및,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유닛는 상기 잉크회수유닛과 상기 피팅유닛중 적어도 어느하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의해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과 탈착된다.
상기 현상유닛에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유닛에는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을 완성시키는 장착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축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카트리유닛에는 암관로피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팅유닛은 수관로피팅부 및, 상기 수관로피팅부를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따라 상기 암관로피팅부에 탈착시키는 피팅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도어유닛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수관로피팅부와 연결되어 있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회전부재와 수직부재는 상호 접촉하며,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바꾸어 주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회수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유닛에는 상기 현상유닛내의 잉크를 순환 또는 폐기시키기 위한 잉크배출구커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회수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따라 상기 잉크배출구커버를 개폐해 주는 회수구동부 및, 상기 배출된 잉크를 모아주는 회수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유닛에는 상기 회수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가 장착되어 있으며, 회수구동부는 잉크배출구커버를 개폐해주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개폐샤프트 및, 개폐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작동레버에 접촉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를 폐기 또는 순환하기 위한 잉크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잉크회수유닛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를 폐기 또는 순환하기 위한 잉크회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잉크회수유닛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은, 도어유닛을 개폐하는 단계와 도어유닛과 피팅유닛이 연동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과 피팅유닛이 착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유닛에 설치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려 있는 수직부재가 직선운동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부재에 장착된 수관로 피팅부가 직선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에는 상기 도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에서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여부에 따라 에러메시지를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유닛과 잉크회수유닛이 연동하는 단계와 현상유닛의 잉크가 출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유닛에 설치된 작동레버가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레버와 접촉하는 클러치가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가 설치된 개폐샤프트가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샤프트에 설치된 개폐부재가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된 잉크배출구커버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일실시예에서는 잉크리키지방지유닛과 상기 피팅유닛 모두를 상기 도어유닛에 의해 연동시키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예로 들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감광드럼(미도시)에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유닛(20)과,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현상유닛(20)에 잉크(X)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60)과 현상유닛(20)과 피팅유닛(40)사이에 위치하며, 본체(10)에 고정 장착되어 , 상기 현상유닛(20)로부터 잉크(X)를 회수하는 잉크회수유닛(50)과, 상기 잉크회수유닛(50)과 잉크카트리지유닛(60)을 연결하는 피팅유닛(40)과, 본체(10)의 일측에 힌지결합하며, 상기 현상유닛(20)의 장착을 완성시켜주고, 잉크회수유닛(50)과 피팅유닛(40)을 작동시키는 도어유닛(103)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현상유닛(20)의 배수구(21)와 잉크회수유닛(50) 사이는 연결튜브없이 중력에 의한 자연배출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잉크회수유닛(50)과 피팅유닛(40)사이는 신축성있는 호스(70)로 연결되어 있는 유도배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잉크카트리지유닛(60)과 현상유닛(20)사이는 연결호스(80)로 연결되어 있어, 잉크(X)가 화살표 Q방향을 따라 잉크카트리지유닛(60)에서 현상유닛(20)으로 다시 회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잉크(X)는 화살표 Q 방향을 따라 현상유닛(20), 잉크회수유닛(50), 피팅유닛(40), 잉크카트리지유닛(60)을 거쳐 다시 현상유닛(20)으로 회수된다.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피팅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피팅유닛(40)은 잉크카트리지유닛(60)과 연결되는 수관로피팅부(41)및, 상기 수관로피팅부(41)를 도어유닛(30)의 개폐에 따라 잉크카트리지유닛(60)에 형성되어 있는 암관로피팅부(61)에 탈착시키는 피팅구동부(42)로 구성된다.
상기 피팅구동부(42)는, 도어유닛(30)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부재(31)와 상기 회전부재(31)와 맞물려 돌아가는 수직부재(42)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42)는 수관로피팅부(41)와 연결된다.
상기 피팅유닛(40)은 상기 수직부재(42)의 일측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재(42)은 랙으로 구성되며 본체(도1, 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체결은 체결의 견고성을 위해 나사로 이루어 진다.
상기 도어유닛(30)의 끝단에는 회전부재(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31)는 상기 수직부재(42)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기어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와 수직부재(42)를 기어와 랙으로 구성하는 것이 정확하게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바꾸어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관로피팅부(41)와 회수받침대(53)는 상기 수관로피팅부(41)가 화살표 화살표"I"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될 때, 연결이 유지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된 호스(70)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유닛(30)이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유닛(30)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부재(31)는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부재(31)와 맞물려 있는 수직부재(42)는 화살표"H"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42)와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수관로피팅부(41)도 화살표"I"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어, 수관로피팅부(41)와 암관로피팅부(61)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a은 도 2의 잉크회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A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4c는 도 4b의 잉크배출구커버(5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 4a와 도 4b와 도 4c를 참고하면, 잉크회수유닛(50)은 도어유닛(30)의 개폐에 따라 잉크배출구커버(51)를 개폐해 주는 회수구동부(52) 및, 상기 배출된 잉크(X)를 모아주는 회수받침대(53)를 포함한다.
회수구동부(5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배출구커버(51)를 개폐해주는 개폐부재(52a)와 상기 개폐부재(52a)가 장착될 수 있는 개폐샤프트(52b) 및, 개폐샤프트(52b)에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52c)로 구성된다.
상기 잉크배출구커버(51)의 양측에는 돌출부(5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배출구커버(51)는 현상기유닛(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잉크배출통로(21)에 힌지결합(51c)되어 있어 화살표 "O" 와 "P"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개폐샤프트(52b)는 본체(도1, 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기 잉크배출구커버(51)를 개폐해주는 개폐부재(52a)는 잉크배출구커버(51)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51a)를 화살표 "N" 방향으로 밀어 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52a)는 상기 개폐샤프트(52b)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52c)는 상기 개폐샤프트(52b)의 끝단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유닛의 끝단에 설치된 작동레버(32)와 접촉되도록 L 자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회수받침대(53)는 본체(도1, 10)의 일측에 체결되어 잉크배출통로(21)로 부터 흘러나온 잉크(X)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잉크(X)가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깔대기로 구성된다.
도 4a를 참고하면, 도어유닛(30)이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유닛(30)에 장착된 작동레버(32)는 화살표 "K"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작동레버(32)는 클러치(52c)를 화살표 "L" 방향으로 밀게되고, 이 때 클러치(52c)는 클러치(52c)는 개폐샤프트(52b)를 화살표 "M"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4b,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개폐샤프트(52b)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샤프트(52b)에 장착되어 있는 개폐부재(52a)도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때 잉크배출구커버(51)를 개폐해주는 개폐부재(52a)가 잉크배출구커버(51)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돌출부(51a)를 밀면 잉크배출구커버(51)가 화살표 "O" 방향으로 열리게되어 잉크(X)가 중력에 의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과정과 반대로 도어유닛(30)이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개폐부재(52a)는 잉크배출구커버(51)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돌출부(51a)을 더 이상 밀지 않게 되어, 잉크배출구커버(51)와 잉크배출통로(21)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51b)에 의해 잉크배출구커버(51)는 화살표 "P" 방향으로 닫히게 되어 잉크(X)의 배출이 중지된다.
도 5a는 도 2의 도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도어유닛(30)에는 상기 현상유닛(20)을 화살표 "W" 방향으로 밀어 상기 현상유닛(102)의 장착을 완성시키는 장착완성부재(103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현상유닛(20)의 회전축(21)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1a)에는 현상유닛(30)의 회전축(21)이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31b)이 장착된다. 그리고 현상유닛샤프트(21)의 끝단은 상기 베어링(31b)이에 삽입이 용이 하도록 챔버(21a) 처리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유닛(30)이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유닛(30)의 장착완성부재(30a)가 상기 현상유닛(20)을 화살표 "W" 방향으로 밀어, 상기 현상유닛(20)의 장착을 완성된다.
또한 도어유닛(30)에 형성된 홈(31a)에 장착된 베어링(31b)에 상기 현상유닛샤프트(21)의 챔버(21a)진 끝단이 삽입되어, 현상유닛샤프트(21)는 상기 홈(31a)에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32b)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피팅유닛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피팅유닛의 작동방법은,
도어유닛을 개폐하는 단계(S20)와 상기 도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에서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를 감지하는 단계(S21)와 도어유닛의 개폐를 확인하는 단계(S21)와 개폐되지 않은 경우 에러메시지를 띄우는 단계(S21)와 개폐가 확인된 경우 상기 도어유닛에 설치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단계(S21)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려 있는 수직부재가 직선운동하는 단계(S21)와 상기 수직부재에 장착된 수관로 피팅부가 직선운동하는 단계(S21)와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에 형성된 암관로피팅부에 상기 피팅유닛에 장착된 수관로 피팅부가 착탈하는 단계(S21)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잉크회수유닛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잉크회수유닛의 작동방법은,
도어유닛을 개폐하는 단계(S10)와 상기 도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에서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를 감지하는 단계(S11)와 도어유닛의 개폐를 확인하는 단계(S12)와 개폐되지 않은 경우 에러메시지를 띄우는 단계(S13)와 개폐가 확인된 경우, 상기 도어유닛에 설치된 작동레버가 회전하는 단계(S14)와 상기 작동레버와 접촉하는 클러치가 회전하는 단계(S15)와 상기 클러치가 설치된 개폐샤프트가 회전하는 단계(S16)와 상기 개폐샤프트에 설치된 개폐부재가 회전하는 단계(S17)와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된 잉크배출구커버를 개폐하는 단계(S18)와 현상유닛의 잉크가 출입하는 단계(S19)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유닛에 의해 손쉽고, 정밀하게 피팅유닛과 잉크회수유닛을 세팅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어유닛이 현상유닛의 장착을 완성시킴과 동시에 현상유닛의 회전축을 지지하고 가이드해줌으로써 컬러레지스터레이션(COLOR REGISTERATION)이 안정화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피팅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은 도 2의 잉크회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도 3a의 A방향에서 본 도면,
도 4c는 도 3b의 잉크배출구커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도 2의 도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B방향에서 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피팅유닛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잉크회수유닛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도어유닛 40. 피팅유닛
41.수관로피팅부 50. 잉크회수유닛
51. 잉크배출구커버 61, 암관로피팅부

Claims (22)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유닛;및,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피팅유닛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의해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과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카트리유닛에는 암관로피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팅유닛은 수관로피팅부;및,
    피팅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팅구동부는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따라 상기 수관로피팅부를 상기 암관로피팅부에 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구동부는,
    상기 도어유닛에 설치되는 회전부재;및,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바꾸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를 폐기 또는 순환하기 위한 잉크회수유닛;및,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피팅유닛과 상기 잉크회수유닛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의해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과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회수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에는 잉크배출구커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회수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따라 상기 잉크배출구커버를 개폐해 주는 회수구동부;및,
    상기 배출된 잉크를 모아주는 회수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에는 상기 회수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수구동부는 상기 잉크배출구커버를 개폐해주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개폐샤프트;및,
    상기 개폐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작동레버에 접촉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카트리지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유닛;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잉크를 폐기 또는 순환하기 위한 잉크회수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유닛은 상기 잉크회수유닛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회수유닛은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에는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을 완성하기 위한 장착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현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현상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에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유닛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6. 도어유닛을 개폐하는 단계;
    도어유닛과 피팅유닛이 연동하는 단계;
    상기 잉크카트리지유닛과 피팅유닛이 착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유닛에 설치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려 있는 수직부재가 직선운동하는 단계;
    상기 수직부재에 장착된 수관로 피팅부가 직선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에서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닛의 개폐여부에 따라 에러메시지를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도어유닛과 잉크회수유닛이 연동하는 단계;
    현상유닛의 잉크가 출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유닛에 설치된 작동레버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작동레버와 접촉하는 클러치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클러치가 설치된 개폐샤프트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개폐샤프트에 설치된 개폐부재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된 잉크배출구커버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KR10-2004-0028611A 2004-04-26 2004-04-2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KR100532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11A KR100532609B1 (ko) 2004-04-26 2004-04-2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US10/937,409 US7212766B2 (en) 2004-04-26 2004-09-10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etting method thereof
JP2005082321A JP2005316430A (ja) 2004-04-26 2005-03-22 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及び湿式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のセット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611A KR100532609B1 (ko) 2004-04-26 2004-04-2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534A KR20050103534A (ko) 2005-11-01
KR100532609B1 true KR100532609B1 (ko) 2005-12-01

Family

ID=3513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611A KR100532609B1 (ko) 2004-04-26 2004-04-2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12766B2 (ko)
JP (1) JP2005316430A (ko)
KR (1) KR100532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609B1 (ko) * 2004-04-26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KR100585292B1 (ko) * 2004-07-02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US20090245863A1 (en) * 2008-03-31 2009-10-01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developing device
JP5309051B2 (ja) * 2010-02-19 2013-10-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783606B1 (ko) * 2017-05-11 2017-10-11 우복기초 주식회사 슬라임 제거를 위한 메커니컬 펌프
KR101805751B1 (ko) * 2017-09-06 2017-12-08 우복기초 주식회사 메커니컬 펌프의 흡입부 개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1944A (en) 1981-01-20 1982-07-29 Koichi Kiyohara Wide range identification mirror
JPH0391784A (ja) 1989-09-04 1991-04-17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液体現像装置及び貯蔵器
JPH03266876A (ja) 1990-03-16 1991-11-27 Fujitsu Ltd トナー落下口構造
JPH0519546A (ja) * 1991-07-09 1993-01-2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ユニツト
JPH07276726A (ja) 1994-04-05 1995-10-2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631681A (en) * 1995-03-29 1997-05-20 Hewlett-Packard Company Ink replenishing system and method for ink-jet printers
JPH08286509A (ja) 1995-04-19 1996-11-0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0171539B1 (ko) 1996-06-29 1999-05-01 토니헬샴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JP3907273B2 (ja) 1997-06-05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方法及びトナー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65296A (ja) 1997-08-11 1999-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印刷機の現像液排出口構造
JP3966639B2 (ja) 1999-03-31 2007-08-2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記録装置
JP2001117433A (ja) 1999-10-19 2001-04-27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154438A (ja) 1999-11-30 2001-06-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672889B2 (ja) 2001-03-14 2011-04-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KR100406976B1 (ko) 2002-02-25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 고정장치
US6975830B2 (en) * 2002-09-12 2005-12-13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waste toner recovery device
KR100453068B1 (ko) * 2002-12-27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폐토너 회수장치
JP3615210B2 (ja) 2003-04-07 2005-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KR100532609B1 (ko) * 2004-04-26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38383A1 (en) 2005-10-27
JP2005316430A (ja) 2005-11-10
US7212766B2 (en) 2007-05-01
KR20050103534A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251A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internal access capability
US8422915B2 (en)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11763C (zh) 支撑部件、显影剂容器、成象盒及一种电子照相成象设备
US5384629A (en)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214898A (ja) 画像形成装置
KR101321460B1 (ko) 가시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53260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US6882821B2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waste toner
US2023035033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329943B2 (ja) 画像形成装置
EP0495072A1 (en) Dielectric member core support and locating device
JPH05150627A (ja) 現像装置
KR100612216B1 (ko)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JP365478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8504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토너 카트리지 및 폐토너 회수시스템
JPH03200988A (ja) 現像剤供給回収装置
JP4107574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カバー部材
JPH0645976Y2 (ja) 現像装置
JP3581375B2 (ja) 回収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18328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52220A (ja) 画像形成装置
JP2570991Y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33148B1 (ko) 현상기의 제조방법, 현상기 및 화상형성장치
JP2021101209A (ja) 画像形成装置
JPH04496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