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292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292B1
KR100585292B1 KR1020040051585A KR20040051585A KR100585292B1 KR 100585292 B1 KR100585292 B1 KR 100585292B1 KR 1020040051585 A KR1020040051585 A KR 1020040051585A KR 20040051585 A KR20040051585 A KR 20040051585A KR 100585292 B1 KR100585292 B1 KR 10058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itting portion
unit
male
fit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514A (ko
Inventor
정유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292B1/ko
Priority to CNB2005100814068A priority patent/CN100403185C/zh
Priority to US11/171,400 priority patent/US7412189B2/en
Priority to JP2005195529A priority patent/JP4141461B2/ja
Publication of KR2006000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현상유닛에 현상제를 공급하거나 또는 현상유닛으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현상유닛을 연결하며, 본체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와,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에 설치되는 제2피팅부 및 현상유닛에 설치되는 제3피팅부를 구비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유닛은, 제2피팅부 또는 제3피팅부 중 어느 하나의 상승/하강에 의해 서로 각각 연결/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은 제1암피팅부가 상승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피팅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피팅유닛,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현상유닛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A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t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도,
도 2는 종래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3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피팅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피팅유닛이 연결되기 전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피팅유닛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50.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60. 현상유닛
70. 제1암피팅부 72. 몸체
74. 핀 76. 주름튜브
80. 수피팅부 82. 케이스
84. 제1수피팅부 86. 제2수피팅부
88. 연결몸체 89. 연결튜브
90. 제2암피팅부 100. 피팅유닛
본 발명은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를 현상유닛에 공급하거나 또는 현상유닛으로부터 회수하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및 피팅유닛을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분말상의 건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건식 화상형성장치와, 액체상의 습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들 각각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습식 화상형성장치가 건식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보다 선명하고 고해상도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보다 선명한 화질의 천연색 출력물을 출력해야할 빈도수가 증가함에 따라,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수요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습식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충분한 인쇄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현상과정이 일어나는 현상유닛에 실제 인쇄에 필요한 현상제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현상제를 공급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쇄에 직접 사용되지 못하는 현상제는 다시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으로 회수된다. 이러한 공급 및 회수 과정을 나타내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과, 현상유닛(40)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과 현상유닛(40)을 연결하는 피팅유닛(30)을 포함한다.
현상유닛(40)에는 하부에 수피팅부(41)가 설치되고,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에는 상부에 암피팅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피팅유닛(30)은 상기 현상유닛(40)의 수피팅부(41)와 결합되는 암피팅부(31)와,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의 암피팅부(12)와 연결되는 수피팅부(32)와, 상기 암피팅부(31)와 수피팅부(32)를 연결하여 현상제의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3)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가 순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공급펌프(21)에 의해 연결튜브(22)를 통해서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에서 현상유닛(40)으로 공급된다. 현상유닛(40)에 주입된 현상제는 소정의 인쇄작업을 수행하면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고, 인쇄작업에 사용되지 못한 잔류 현상제는 피팅유닛(30)을 통해 다시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으로 회수된다.
습식 현상제의 순환을 위해서는 현상유닛(40)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간의 연결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며, 또한, 연결장치는 습식 현상제의 특성상 그 기밀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위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현상유닛(40) 및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 양쪽 모두에 수피팅부(41), 암피팅부(12)와 같은 피팅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현상유닛(40) 자체에 수피팅부를 구성하는 경우 유닛 자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소모품으로서의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과 피팅유닛(30)간, 현상유닛(40)과 피팅유닛(30)간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현상유닛(40)의 수피팅부(41)와 피팅유닛(30)의 암피팅부(31)를 연결하고, 피팅유닛(30)의 수피팅부(32)와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의 암피팅부(12)를 각각 연결해야 하므로, 세팅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상유닛(40)에 피팅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 개발되었는데, 도 2는 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유닛(40)에는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42) 및 현상제 배출커버(43)가 설치되어 있고, 피팅유닛(30')에는 회수받침대(34)와, 튜브(35)와 수피팅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피팅부(36)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에 형성되어 있는 암피팅부(12)와 연결, 분리된다. 현상유닛(40)의 잔류 현상제는 상기 출구(42)를 통해 현상제 배출커버(43)를 나와 회수받침대(34) 및 튜브(35)를 통하고, 수피팅부(36) 및 암피팅부(12)을 통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잉크배출구커버(43)를 열고, 암피팅부(12)와 수피팅부(36)를 연결함으로써 현상유닛(40)과 피팅유닛(30)간, 피팅유닛(30)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10)간 연결을 해야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유닛(40)에 피팅장치를 제거하였지만 출구(42) 및 현상제 배출커버(43)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의 크기가 여전히 커지게 되며, 또한 회수받침대(34)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화상형성장치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현상유닛(40)과 피팅유닛(30)간의 세팅 정밀도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현상유닛의 크기를 줄이고 그 형상이 기형적으로 되는 것을 해결하여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추구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에 현상제를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현상유닛으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와,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에 설치되는 제2피팅부 및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되는 제3피팅부를 구비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제2피팅부 또는 제3피팅부 중 어느 하나의 상승/하강에 의해 서로 각각 연결/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피팅부는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수피팅부이며, 상기 제2피팅부 및 제3피팅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및 상기 현상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피팅부와 연결되는 제1암피팅부 및 제2암피팅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암피팅부가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및 현상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현상유닛 및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화상형성장치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서로 각각 연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은, 외측에 가이드홈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암피팅부는 외측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하는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수피팅부와 연결,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제1암피팅부는 상승하고, 이에 의해 피팅유닛 각각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1암피팅부는, 외측에 상기 레버를 구비하며, 상부에 상부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홀을 개폐하는 핀, 상기 몸체 및 상기 핀 사이에 개재되어 현상제 유로를 형성하는 주름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튜브는, 상기 몸체의 승하강에 의해 주름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피팅부는, 상기 제1암피팅부와 연결되는 제1수피팅부와, 상기 제2암피팅부와 연결되는 제2수피팅부와, 상기 제1 및 제2수피팅부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기 제2수피팅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수피팅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승하는 연결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몸체의 상 승에 의해 상기 제2수피팅부가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은, 상기 제1암피팅부가 상승하는 단계와,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피팅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암피팅부가 상승하는 단계는, 상기 제1암피팅부에 형성된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팅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암피팅부와 수피팅부가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제1암피팅부와 수피팅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피팅부와 상기 제2암피팅부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암피팅부와 수피팅부가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제1암피팅부와 제1수피팅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피팅부와 상기 제2암피팅부가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2수피팅부가 상승하여 상기 제2암피팅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드럼(120)과, 각 감광드럼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현상유닛(60)과, 복수의 가시화상이 중첩되어 최종화상이 형성되는 전사벨트(160) 와, 복수의 백업롤러(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현상유닛(60)에 현상제를 공급하거나, 또는 현상유닛(60)으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과, 현상유닛(60)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을 연결하는 복수의 피팅유닛(1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복수의 현상유닛(60) 각각에 컬러 현상액을 공급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는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에서 미도시된 펌프를 통해 현상유닛(60)으로 공급되며, 현상유닛(60)에서 인쇄작업 후 사용되고 남은 현상제는 피팅유닛(100)를 거쳐 다시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으로 회수되어 진다.
도 4는 도3의 현상유닛(60), 피팅유닛(100),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피팅유닛은 본체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와,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에 설치되는 제2피팅부 및 현상유닛(60)에 설치되는 제3피팅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피팅부 및 제3피팅부는 각각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과 현상유닛(6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제2피팅부를 제1암피팅부(70)로, 제3피팅부를 제2암피팅부(90)라 한다. 그리고, 제1피팅부는 이에 대응하여 수피팅부(80)라 한다.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은 그 내부에 현상제가 담겨있으며, 일측에는 후술할 제1암피팅부(70)의 레버(73)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52)과, 상면에는 제1암피팅부(70)가 승하강되도록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 다. 그리고, 격리부재(56)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현상제가 가이드홈(52)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역할을 한다.
피팅유닛(100)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10, 도3 참조)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피팅부(80)와,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암피팅부(70) 및 현상유닛(60) 내부에 설치된 제2암피팅부(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수피팅부(80)는 다시 제1암피팅부(70)와 연결되는 제1수피팅부(84, 도6 참조)와, 제2암피팅부(90)와 연결되는 제2수피팅부(86, 도6 참조) 및 제1 및 제2수피팅부를 감싸는 케이스(82)로 구성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피팅유닛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피팅유닛(100)이 연결된 상태일 때의 분리 사시도를, 도 6은 피팅유닛(100)이 연결되기 전의 단면도를, 도 7은 피팅유닛(100)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암피팅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피팅부(80)와 연결하기 위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의 개구부(54, 도4 참조)를 통하여 승하강 되도록 설치된다. 제1암피팅부(70)는 크게 몸체(72)와, 상기 몸체(72) 내부에 설치되는 핀(74)과, 주름튜브(7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암피팅부(70)는 후술할 제2암피팅부(90)가 현상유닛(60)과 분리, 결합할 수 있음에 반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72)는 테두리가 일정두께를 가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상 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의 개구부(54)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그 외관의 양측에는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홈(52)을 따라 승하강하는 레버(73)를 구비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73)는 상기 가이드홈(52) 외부로 돌출되어서 가이드홈(52)을 따라 승하강하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레버(73)를 상하로 조작해서, 제1암피팅부(70)의 몸체(72)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피팅부(70)와 후술할 수피팅부(80)간의 연결을 위해 몸체(72)가 상승하면, 몸체(72)는 수피팅부(80)의 케이스(82)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레버(73)를 계속 상승시키면 수피팅부(80)의 연결몸체(88)의 저면(88a)을 밀어올리게 되고 연결몸체(88)와 연결된 제2수피팅부(86)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72) 상단 내부로는 현상제가 유출입될때 기밀유지를 위해 실링부재(79)가 설치되어 진다.
몸체 내부에는 핀(74)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핀(74)의 외경에는 상기 레버(73)를 탄성 바이어스 시키고, 핀(74)을 몸체(72) 내부에 지지케 해주는 스프링(75)이 설치되어 있다. 핀상부(74a)는 원판형상으로서 상기 몸체(72)의 상부홀(78)을 개폐하고 있다. 따라서, 제1암피팅부(70)와 수피팅부(80)가 연결이 되지 않을때는, 핀상부(74a)에 의해 몸체(72)의 상부홀(78)이 막혀 있으므로,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 내부로 현상제가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3)의 조작에 의해 몸체(72)가 상승하게 될 때, 상기 핀(74)은 몸체(72)와 같이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홀(78)은 개방이 되어 상기 상부홀(78)을 통해 수피팅부(80)로부터 나오는 현상제가 제1암피 팅부(70)를 거쳐 현상제 공급/회수 유닛(50)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주름튜브(76)는 상부가 상기 몸체(72)의 상단에 고정되어 몸체(72) 내부 전체를 관통하고 격리부재(56)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으로 유입되는 현상제의 유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수거유닛(50)이 수피팅부(80)로부터 분리되었을때, 즉 제1암피팅부(70)가 현상제 공급/수거유닛(50)의 내부에 있을 때는 상기 주름튜브(76)는 그 주름이 접힌 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이 수피팅부(80)와 연결되었을 때, 즉 상기 제1암피팅부(70)의 몸체(72)가 상승하여 수피팅부(80)과 결합할 때는 상기 주름튜브(76)는 펴지게 된다. 주름튜브(76)가 펴지게 되면서, 그 내부로 수피팅부(80)로부터 나오는 현상제가 흐르게 되어 현상제 공급/수거유닛(5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수피팅부(80)는 상기 제1암피팅부(70)와 연결되는 제1수피팅부(84)과, 후술할 현상유닛(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암피팅부(90)와 연결되는 제2수피팅부(86) 및 케이스(82)로 구성된다.
케이스(82)는 미도시된 고정용 브라켓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10, 도 3 참조)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제1수피팅부(84)와 제2수피팅부(86)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제1수피팅부(84)는 현상제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관로(85)를 따라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측면에는 상기 관로(85)를 흐르는 현상제가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현상제 유출구(8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수피팅부(84)의 상 단은 케이스(82)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막혀있는 구조이다.
제2수피팅부(86)는 상기 제1수피팅부(84)와 동일한 구조를 거꾸로 뒤집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상기 제1수피팅부(84)의 외관을 감싸는 연결몸체(8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수피팅부(86)의 상단은 막혀 있으며, 상부 측면에는 현상유닛(60)으로부터 흐르는 현상제가 유입되는 현상제 유입구(8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현상제 유입구(87a)로부터 하단까지 내부에 관로(87)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수피팅부(86)는 제1암피팅부(70)의 몸체(72)의 상승에 의해 밀려 올라오는 연결몸체(88)에 의해 상승하여 후술할 제2암피팅부(90) 내부로 삽입되어 제2암피팅부(90)와 연결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1수피팅부(84)와 제2수피팅부(86)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수피팅부(84, 86)의 두 관로(85, 87)를 연결하는 연결튜브(89)가 연결되어 있어, 현상제의 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연결튜브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진다.
제2암피팅부(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크게 몸체(92)와 핀(9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제2암피팅부(90)의 핀(94)은 상기 수피팅부(80)의 제2수피팅부(86)가 상승함에 따라 이와 접촉하여 상승되어 진다.
몸체(9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는데, 측부에는 현상제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9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92)의 하부는 나사산(92a)이 형성되어 있어, 현상유닛(60)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몸체 내부에는 핀(94)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핀(94)의 외경에는 상기 핀(94)을 탄성 바이 어스 시키는 스프링(9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하부(94a)는 원판형상으로서 상기 몸체(92)의 하부홀(98)을 개폐하고 있다. 따라서, 제2암피팅부(90)와 수피팅부(80)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을때는, 핀하부(94a)에 의해 몸체(92)의 하부홀(98)이 막혀 있으므로, 현상유닛(60) 외부로 현상제가 유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5 및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피팅부(86)가 상승하여 제2암피팅부(90)의 핀하부(94a)와 접촉하면서 핀(94)을 밀어올리게 되면, 제2수피팅부(86)는 상기 상부홀(98)에 삽입되게 되며, 현상유닛(60) 내부에 있는 현상제는 상기 몸체(92)의 개구부(97)를 통해 제2수피팅부(86)의 현상제 유입구(87a)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암피팅부(90)는 현상유닛(6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현상유닛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구성을 가지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회수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유닛(60)내의 잔류 현상제는 제2암피팅부(90)의 개구부(97)를 통해 제2수피팅부(86)의 현상제 유입구(87a)내로 유입된다. 현상제 유입구(87a)내로 유입된 현상제는 제2수피팅부(86)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87)를 따라 하부로 흐르게 되며, 이와 연결된 연결튜브(89)를 거친 후, 제1수피팅부(84) 내부에 형성된 관로(85)로 유입된다. 제1수피팅부(84)의 관로(85)를 따라 흐르는 현상제는 제1수피팅부(84)의 현상제 배출구(85a)를 통해 제1수피팅부(84)를 빠져나온 후, 제1암피팅부(70)의 주름튜브(76) 내부를 통해 하부로 흐르면서,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상유닛(60)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을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10) 내부에 장착한다. 현상유닛(60)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은 소모품으로써, 제품의 사양마다 다르나 보통 현상유닛(60)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보다 그 수명이 3배 정도 되므로, 현상유닛(60)보다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을 더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
현상유닛(60)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이 장착되면, 제1암피팅부(70)의 레버(73)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제1암피팅부(70)의 몸체(72)가 상승하게 되고(S110), 핀(74)은 제자리에 있게 된다. 상기 몸체(72)가 상승하면서, 수피팅부(80)의 연결몸체(88)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몸체(72)는 일정 높이까지 계속 상승하게 되는데, 이처럼 계속적인 상승에 의해 몸체(72)는 수피팅부(8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수피팅부(84)와 연결된다(S120). 따라서, 제1수피팅부(84)는 제2수피팅부(86)의 연결몸체(88) 대신 제1암피팅부(70)의 몸체(72)가 감싸게 된다. 연결몸체(88)의 상승에 의해 이와 연결된 제2수피팅부(86)도 상승하게 된다(S130).
제2수피팅부(86)가 상승함에 따라, 제2암피팅부(90)의 핀하부(94a)와 접촉하게 되고, 제2수피팅부(86)의 계속적인 상승에 따라 핀(94)도 상승하며, 제2수피팅부(86)는 제2암피팅부(90)의 몸체(92) 내부로 삽입되어 제2암피팅부(90)와 연결된다.
이렇게, 제1암피팅부(70)의 몸체(72)가 상승함에 따라 수피팅부(80) 내부로 삽입되고, 수피팅부(80)의 제2수피팅부(86)는 제2암피팅부(90) 내부로 삽입하게 되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과 피팅유닛(80)간, 피팅유닛(80)과 현상유닛(60)간 연결이 되어 현상제가 순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상기 제1암피팅부(70)의 레버(73)를 조작함으로써,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과 수피팅부(80)간, 수피팅부(80)와 현상유닛(60)간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 또는 현상유닛(60)을 교체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암피팅부(70)의 레버(73)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암피팅부(70)의 레버(73)를 조작함으로써, 현상제 공급/회수유닛(50)과 수피팅부(80)간, 수피팅부(80)와 현상유닛(60)간 분리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기 공급/회수유닛(50) 내부에 설치된 암피팅부(70)의 상승/하강에 의해 피팅유닛(100)이 연결/분리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유닛(60) 내부에 설치된 제2암피팅부(90)의 하강/상승에 의해 피팅유닛(100)을 연결/분리하게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앞선 실시예와 같은 원리에 의해 제2암피팅부(90)에도 레버부재를 설치하여, 제2암피팅부(90)를 하강시켜 수피팅부(80)와 연결하고, 제2암피팅부(90)의 하강에 의해 수피팅부(80)도 하강하여 제1암피팅부(70)와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및 현상유닛의 암피팅부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화상형성장치와 현상유닛의 크기를 줄 일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피팅유닛과 현상유닛,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에 현상제를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현상유닛으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와,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에 설치되는 제2피팅부 및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되는 제3피팅부를 구비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제2피팅부의 상승/하강에 의해 서로 각각 연결/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팅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수피팅부이며,
    상기 제2피팅부 및 제3피팅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및 상기 현상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피팅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1암피팅부 및 제2암피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은, 외측에 가이드홈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암피팅부는, 외측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하는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수피팅부와 연결/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피팅부는,
    외측에 상기 레버를 구비하며, 상부에 상부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홀을 개폐하는 핀과;
    상기 몸체 및 상기 핀 사이에 개재되어 현상제 유로를 형성하는 주름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튜브는, 상기 몸체의 승하강에 의해 주름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피팅부는,
    상기 제1암피팅부와 연결되는 제1수피팅부와;
    상기 제2암피팅부와 연결되는 제2수피팅부와;
    상기 제1 및 제2수피팅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피팅부는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제2암피팅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피팅부는, 상기 제2수피팅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수피팅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승하는 연결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몸체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2수피팅부가 상승하여 상기 제2암피팅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피팅부는,
    상기 제1 및 제2수피팅부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에 현상제를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현상유닛으로부터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와,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에 설치되는 제2피팅부 및 상기 현상유닛에 설치되는 제3피팅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3피팅부의 상승/하강에 의해 서로 각각 연결/분리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피팅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수피팅부이며,
    상기 제2피팅부 및 제3피팅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및 상기 현상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피팅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1암피팅부 및 제2암피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 현상유닛과,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과 상기 현 상유닛을 연결하는 피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수피팅부와, 상기 현상제 공급/회수유닛 및 상기 현상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피팅부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암피팅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암피팅부에 형성된 레버를 조작하는 단계;
    상기 제1암피팅부가 상승하는 단계;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피팅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피팅부는, 상기 제1암피팅부와 연결되는 제1수피팅부와, 상기 제2암피팅부와 연결되는 제2수피팅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지며,
    상기 피팅유닛이 서로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1암피팅부와 제1수피팅부가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제1암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2수피팅부가 상승하는 단계;
    상기 제2수피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2수피팅부와 상기 제2암피팅부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KR1020040051585A 2004-07-02 2004-07-02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KR10058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585A KR100585292B1 (ko) 2004-07-02 2004-07-02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CNB2005100814068A CN100403185C (zh) 2004-07-02 2005-06-30 湿式电子照相成像装置及其装配方法
US11/171,400 US7412189B2 (en) 2004-07-02 2005-07-01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etting method thereof
JP2005195529A JP4141461B2 (ja) 2004-07-02 2005-07-04 湿式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セッティング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585A KR100585292B1 (ko) 2004-07-02 2004-07-02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514A KR20060002514A (ko) 2006-01-09
KR100585292B1 true KR100585292B1 (ko) 2006-06-01

Family

ID=3551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585A KR100585292B1 (ko) 2004-07-02 2004-07-02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12189B2 (ko)
JP (1) JP4141461B2 (ko)
KR (1) KR100585292B1 (ko)
CN (1) CN10040318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646A (ja) * 2005-05-12 2006-11-24 Pentax Corp 湿式画像形成装置
US20090245863A1 (en) * 2008-03-31 2009-10-01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developing device
JP5309051B2 (ja) * 2010-02-19 2013-10-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072703A (ja) 2015-10-07 2017-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17072704A (ja) * 2015-10-07 2017-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1047C2 (de) * 1983-06-10 1986-09-11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Steigrohr für Füllbehälter, vorzugsweise für Entwickler- oder Regeneratflüssigkeiten in Naßentwicklungsgeräten
JPH02678A (ja) * 1988-12-27 1990-01-05 Hitachi Chem Co Ltd ポリアミド酸ワニス
JPH0391784A (ja) * 1989-09-04 1991-04-17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液体現像装置及び貯蔵器
US5156308A (en) * 1990-01-31 1992-10-20 Ricoh Company, Ltd. Liquid supply device for a developing unit using a liquid developer
JPH04540A (ja) 1990-04-17 1992-01-06 Toshiba Corp デバック装置
US5621445A (en) * 1991-08-27 1997-04-15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for refilling ink cartridges
JP3192451B2 (ja) * 1991-10-12 2001-07-30 株式会社リコー 液体現像装置
US5396316A (en) * 1993-10-20 1995-03-07 Hewlett-Packard Company User-replaceable liquid toner cartridge with integral pump and valve mechanisms
US5519474A (en) * 1994-05-24 1996-05-21 Hewlett Packard Company Pneumatic delivery system for liquid toner hard copy apparatus
US5631681A (en) * 1995-03-29 1997-05-20 Hewlett-Packard Company Ink replenishing system and method for ink-jet printers
US6290343B1 (en) * 1996-07-15 2001-09-18 Hewlett-Packard Company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k pressurization in a modular ink delivery system for an inkjet printer
JP3019842B1 (ja) 1998-09-30 2000-03-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561451B1 (ko) * 1999-03-15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리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171139A (ja) 1999-12-17 2001-06-26 Copyer Co Ltd 液体タンク及び液体供給方法、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供給方法
JP4667631B2 (ja) * 2001-03-30 2011-04-13 株式会社リコー 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26368A (ja) 2001-05-01 2002-11-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タンク
KR100447612B1 (ko) 2001-08-17 2004-09-04 주식회사 지오텍아이엔씨 잉크 카트리지 리필장치
KR100532609B1 (ko) * 2004-04-26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6125A (zh) 2006-01-04
JP2006018306A (ja) 2006-01-19
KR20060002514A (ko) 2006-01-09
CN100403185C (zh) 2008-07-16
JP4141461B2 (ja) 2008-08-27
US20060002742A1 (en) 2006-01-05
US7412189B2 (en) 200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5818B2 (ja) 容器およびこれの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8529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세팅방법
KR880000833A (ko) 상 형성기
US8457519B2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spacer and a leakage preventer
CN102455631A (zh) 图像形成装置
CN102455630A (zh) 图像形成装置
EP1089137A2 (en) Container
JP201002644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895802B1 (ko) 분체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5093891B (zh) 成像设备
JP200533884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6130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 및 그 현상카트리지의수명감지방법
KR100541807B1 (ko) 화상형성장치
EP0416494A2 (en) Liquid developing device and storage unit for use therein
KR101043396B1 (ko) 화상형성장치
JP6907429B2 (ja) トナー用マイクロ容器
US7212766B2 (en)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etting method thereof
US7434924B2 (en) Ink cartridge and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0552565C (zh) 图像形成装置
JP6687896B2 (ja)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085745A (ja) 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271964B2 (ja) 濃度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30099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리필 카트리지
JPH11305583A (ja) 離型液の補給装置
JP2002072648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