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539B1 -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539B1
KR0171539B1 KR1019960026071A KR19960026071A KR0171539B1 KR 0171539 B1 KR0171539 B1 KR 0171539B1 KR 1019960026071 A KR1019960026071 A KR 1019960026071A KR 19960026071 A KR19960026071 A KR 19960026071A KR 0171539 B1 KR0171539 B1 KR 017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oolean
buoy
rotation angle
loa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288A (ko
Inventor
김주경
Original Assignee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샴
Priority to KR101996002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539B1/ko
Publication of KR98000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08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lift truck sca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움이 미리 설정된 회전각에 도달됨을 검출하는 부움회전각 검출수단 및 이에 따른 부움실린더의 상승압력을 검출하는 부움상승지지력 검출수단과, 이들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적재중량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연산된 적재중량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에 있어서, 무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값을 저장하는 기억부와, 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라 부움실린더축심과 부움회전중심점과의 축간거리 및 부움선단의 버킷 회전중심점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부움회전중심점과의 축간거리를 연산하며, 연산된 각각의 축간거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 및 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에 따라 적재중량값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적재중량 계측제어 시작전 무부하시 부움상승작동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을 상기 기억부에 새로운 부움상승지지력값으로 저장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다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재중량 계측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를 구성하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움상승축 압력검출센서 2 : 부움회전각 검출센서
3 : 부움실린더 4 : 부움
5 : 버킷 6 : 부움회전각 검출부
7 : 부움상승측 압력검출부 8 : 콘트롤부
10 : 기억부(RAM) 11 : 연산부(CPU)
13 : 리셋부(RESET)
본 발명은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다의 버킷을 이용한 상차작업시 적재물 중량을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에 따라 계측하는 경우 작업장 주위의 작업온도 및 장비자체의 자중변화에 대응하여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 변경조정이 가능해 상차작업시 적재중량을 항상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한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다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상차작업시 도로 교통법에 의한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적재물의 중량을 판단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오랜 경험에 의한 판단으로 적재하게 되므로, 과적에 의한 시비가 종종 발생되는 것이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일본국 특허공고 소 63-54845 호는, 부움의 회전각 및 부움실린더 지지력을 검출한 다음 소정의 연산처리를 통하여 적재중량을 구하며, 이를 표지장치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고 소 63-54845 호에 의한 적재중량 계측방법은, 부움회전각에 대해 적재중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무부하시, 즉 버킷에 적재물을 언로딩(undoading)한 상태에서 부움을 상승시키면서 부움회각에 대한 부움상승측 압력을 기억해야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로다등의 중장비 출하시에 부움회전각에 대한 부움상승측 압력을 설정해 두었다고 가정 하더라도, 작업온도에 따른 작업장의 환경 및 장비자체의 자중변화 때문에, 장비에 부여된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압력이 실제 상차작업시에 요구되는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압력이라고 단정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작업장의 온도가 최초 장비 출하조정시 보다 훨씬 낮은 경우, 실제로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압력은 출하조정시 보다 높게 되어 적재중량 연산시 오차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장에서 버킷의 규정된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버킷의 내구성 확보를 위해 버킷에 보강판을 용접등에 의해 추가로 장착하는 경우, 무부하에서의 부움상승압력치가 장비출하시의 조정된 부움상승압력 보다 높게 되어 적재중량 계산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다를 이용한 상차작업시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압력치를 작업장의 온도조건 및 장비자체의 자중변화에 요구되는 새로운 부움상승압력치로 변경이 가능하여 적재물의 중량을 항시 정확하게 계측하여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움이 미리 설정된 회전각에 도달됨을 검출하는 부움회전각 검출수단 및 이에 따른 부움실린더의 상승측압력을 검출하는 부움상승지지력 검출수단과, 이들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적재중량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연산된 적재중량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에 있어서, 무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값을 저장하는 기억부와, 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라 부움실린더축심과 부움회전중심점과의 축간거리 및 부움선단의 버킷 회전중심점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부움회전중심점과의 축간거리를 연산하며, 연산된 각각의 축간거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 및 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에 따라 적재중량값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적재중량 계측제어 시작전 무부하시 부움상승작동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을 상기 기억부에 새로운 부움상승지지력값으로 저장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로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재중량 계측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적재중량 계측장치를 구성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움(4)의 하단이 피벗 고정 되는 소정위치에 설치된 부움회전각 검출센서(2)에 의해 미리 설정된 부움(4)의 특정한 회전각을 검출하는 부움회전각 검출부(6)와, 로다의 자체 일측에 장착된 부움상승측 압력검출센서(1)에 의해 부움실린더(3)의 상승측지지력을 검출하는 부움상승지지력 검출부(7)와, 전술한 부움회전각 검출부(6)와 부움상승측 지지력검출부(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적재중량값을 연산하는 콘트롤부(8)를 형성하되, 이는 부움회전각 검출부(6)와 부움상승측 지지력검출부(7)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되는 아날로그 디지털변환부(ADC)(9)와, 무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른 부움상승 지지력을 저장하는 기억부(RAM)(10)와, 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라 부움실린더 축심과 부움회전중심점(A)과의 축간거리(d) 및 부움선단의 버킷회전중심점(B)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부움회전중심점(A)과의 축간거리(L)를 연산하며, 연산된 축간거리(d), (L)및 전술한 기억부(10)에 저장된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F')및 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F)에 따라 적재중량값(W)을 연산하는 연산부(CPU)(11)를 구비한다.
연산된 적재중량값(W)을 운전석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2)와, 적재중량 계측제어 시작전 무부하시 부움상승작동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을 전술한 기억부(10)에 새로운 부움상승축 지지력값으로 저장하는 리셋수단(13)(RESET)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적재중량 계측장치의 작동원리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움(4)의 하단부를 피벗고정시킨 피벗점 A에 대한 회전모우멘트의 평형으로부터
따라서,
식 (1), (2)를 통하여 적재중량 W를 구하면,
즉, 적재중량 W값은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에 따라 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로다를 이용한 상차작업시 사용자는 장비의 모드중 적재중량 계측기능을 선택한 다음, 상차작업전에 무부하상태에서 부움(4)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로다의 차체 일측에 장착된 부움상승축 압력검출센서(1)에 의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부움상승축 압력검출부(7)에서 부움상승축 압력을 검출하며, 부움(4)의 일단부가 피벗고정된 위치에 장착된 부움회전각 검출센서(2)에 의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부움 회전각 검출부(6)에서 부움회전각을 검출한다.
부움회전각 검출부(6)와 부움상승측 압력검출부(7)로 인가되는 신호를 콘트롤부(8)의 아날로그 디지털변환부(9)를 통해 읽어드린다.
이때, 연산부(11)에 의해 부움회전각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을 연산하며, 리셋부(13) 조작으로 연산된 부움상승지지력을 기억부(10)에 새로운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측 압력지지력값으로 저장시킨다.
따라서, 상차작업시의 작업온도조건 및 장비의 작업장치 자체의 자중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해 상차작업전에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값을 계측한 다음 실제로 상차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적재중량 계측값에 오차발생됨은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는, 로다를 이용한 상차작업시 작업장 주위의 작업온도조건 및 장비의 작업장치 자체의 자중변화에 따른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측 압력지지력값의 변경조정이 가능하므로, 적재중량 계측값이 항상 정확성을 유지하게 된다.

Claims (1)

  1. 부움이 미리 설정된 회전각에 도달됨을 검출하는 부움회전각 검출수단 및 이에 따른 부움실린더의 상승측압력을 검출하는 부움상승지지력 검출수단과, 이들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적재중량값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연산된 적재중량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에 있어서, 무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값을 저장하는 기억부와, 부하시 부움회전각에 따라 부움실린더축심과 부움회전중심점과의 축간거리 및 부움선단의 버킷 회전중심점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부움회전중심점과의 축간거리를 연산하며, 연산된 각각의 축간거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무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 및 부하시의 부움상승지지력에 따라 적재중량값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적재중량 계측제어 시작전 무부하시 부움상승작동에 따른 부움상승지지력을 상기 기억부에 새로운 부움상승지지력값으로 저장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KR1019960026071A 1996-06-29 1996-06-29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KR0171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071A KR0171539B1 (ko) 1996-06-29 1996-06-29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071A KR0171539B1 (ko) 1996-06-29 1996-06-29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288A KR980001288A (ko) 1998-03-30
KR0171539B1 true KR0171539B1 (ko) 1999-05-01

Family

ID=1946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071A KR0171539B1 (ko) 1996-06-29 1996-06-29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609B1 (ko) 2004-04-26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의 세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288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313B1 (ko) 부하 모우멘트 지시장치
JP2659444B2 (ja) 動的ペイロード・モニタ
EP0532651B1 (en) Dynamic payload monitor
US6931772B2 (en) Hydraulic shovel work amount detection apparatus, work amount detection method, work amount detection result display apparatus
JP3545427B2 (ja) ペイロード監視装置
US5070953A (en) Dynamic payload monitor
WO2019065391A1 (ja) ホイールローダおよびバケット積載荷重演算方法
EP180155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a payload measurement system
US20040244483A1 (en) Vehicle wheel balancer system
JPWO2006098218A1 (ja) 作業機械の荷物重量を計測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5465085B2 (ja) 重量計量装置
JPH05502292A (ja) ペイロードを監視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11042261A (zh) 挖掘机动态称重方法及系统
US7378950B2 (en) Overload warning means for excavators
KR0171539B1 (ko)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US3853001A (en) Crane load measuring means
CN113566943A (zh) 挖掘机的物料称重方法、装置、挖掘机及可读存储介质
JP2002195870A (ja) ペイロード測定システムの粘度補正方法及び装置
CN114888971A (zh) 一种混凝土搅拌车自动称重方法
GB2571358A (en) A conveyor system with weighing capability
JP4028609B2 (ja) 傾斜荷台付き車両の積載物の重量測定装置
KR0171538B1 (ko) 로다의 적재중량 계측장치
KR100822763B1 (ko) 휠로더의 적재 중량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JP3107861B2 (ja) ダンプトラックのタイヤ半径計測システム
EP1477452B1 (en) Process and device for detecting weight applied on a crane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