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126B1 - o-알킬페놀의 선택적 제조 - Google Patents

o-알킬페놀의 선택적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126B1
KR100531126B1 KR10-2003-7015210A KR20037015210A KR100531126B1 KR 100531126 B1 KR100531126 B1 KR 100531126B1 KR 20037015210 A KR20037015210 A KR 20037015210A KR 100531126 B1 KR100531126 B1 KR 10053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l
cresol
anisole
conversion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401A (ko
Inventor
탈비에르스키조르즈
푸르만에드가
브루그게만볼프강
Original Assignee
뤼트거스 케미칼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뤼트거스 케미칼스 아게 filed Critical 뤼트거스 케미칼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4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1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37/1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condensation involving hydroxy groups of phenols or alcohols or the ether or mineral ester group derived therefr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온에서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기체 상태의 알칸올을 이용한 페놀의 전환에 의한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적어도 2단계로 실시되고, 각 반응 단계에서 상기 알칸올/페놀의 몰비는 약 ≤0.4의 값으로 조절된다. 이를 통해, o-알킬화에 대한 선택도가 유의하게 증가한다.

Description

o-알킬페놀의 선택적 제조 {SELECTIVE PRODUCTION OF O-ALKYLPHENOLS}
본 발명은 승온에서 산성 금속 산화물 촉매의 존재 하에 기상(gas phase) 중에서 알칸올을 이용한 페놀의 전환에 의한 페놀의 다단계 o-알킬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순수한 o-알킬 페놀은 유기 화학적 합성을 위한 출발물질로서 대량 사용되는 중요한 화합물이다. 순수한 o-알킬 페놀(2-메틸 페놀)은 특히 살충제의 제조에 사용된다.
o-크레졸은 기상 또는 액상 중에서 메탄올을 이용한 페놀의 메틸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메탄올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전환 반응은 촉매의 존재 하에 승온에서 발생한다.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알루미늄 혼합 산화물 및 산화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 촉매로서 사용된다. 반응 온도는 사용되는 촉매에 따라 250℃ 내지 460℃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산화마그네슘은 420℃ 내지 460℃의 온도 범위에서 o-크레졸에 대하여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는 한편, γ-알루미늄 산화물은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페놀의 메틸화를 촉매한다.
o-크레졸은, 2,6-디메틸 페놀의 합성, 및 부가적인 정제 단계에 의한 o-크레졸의 후속 분리에서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보다 자세한 o-크레졸의 제조 방법은 H.G. Franck, J.W. Stadelhofer, INDUSTRIELLE AROMATENCHEMIE, p. 170-177, SPRINGER VERLAG 1987에 제시되어 있다.
DE 27 56 461 A1에는 촉매로서 알루미나를 이용하여 250℃ 내지 33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o-크레졸의 수율은 26%에 달하며, 이때 메탄올:페놀의 비율은 0.5:1이다. 산물은 대략 6%의 2,6-디메틸 페놀을 함유한다.
페놀의 전환율이 높으면, o-크레졸 이외에, 2,6-디메틸 페놀이 항상 높은 비율로 얻어진다. 페놀의 메틸화에 의해 o-크레졸을 선택적으로 얻는 것은 어렵다. 통상, 상당량의 m-크레졸 및 p-크레졸 또는 고도의 알킬화 산물이 부산물로서 생성된다.
통상, o-알킬 페놀을 공업적으로 합성하기 위한 기존의 모든 방법에서는 부산물이 높은 비율로 생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선택적이고 공업적 규모로 실시될 수 있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승온에서 금속 산화물 촉매의 존재 하에 기상 중에서 알칸올을 이용한 페놀의 o-알킬화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전환은 적어도 2단계로 실시되고, 상기 알칸올/페놀의 몰비는 반응 전반에 걸쳐 대략 ≤1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예를 들면 2단계 내지 5단계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특히 3단계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전환 단계는 상이한 반응기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반응 단계가 단일 반응기 내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이 공정에서,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된 활성 촉매가 다양한 구성으로 반응기 내에 수용된다. 촉매의 구성 사이에는 저활성 촉매의 구역 또는 촉매가 존재하지 않는 구역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연구에서, 아니솔은 페놀의 메틸화 동안 형성되고, o-크레졸은 한편으로는 아니솔을 이용한 페놀의 알킬화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니솔의 o-크레솔로의 분자간 재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것으로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과 모순된다. 새로이 밝혀진 반응 순서는 도 1에 나타낸다.
놀랍게도, 상기 방법을 상술한 조건 하에서 다단계로 실시하면 o-크레졸에 대한 선택도가 유의하게 향상되고,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화합물의 수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o-알킬화에 대한 높은 선택성은 이를 통해 이 공정에서 요구되는 메탄올의 국부 저농도화 및 아니솔의 국부 저농도화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도의 발열 반응은 2개, 특히 3개의 반응기에 걸쳐 분배됨으로써 보다 양호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통해, 소위 핫-스폿의 형성이 억제된다.
반응을 다단계로 실시하면, 각 반응기 또는 각 반응 단계에서 알칸올:페놀의 비율을 특히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페놀의 전환이 제한되고, o-알킬 페놀, 예를 들면 o-크레졸에 대해 특히 높은 선택도가 달성될 수 있다. 반응 전반에 걸쳐 알칸올:페놀의 몰비는 0.9, 특히 0.6 사이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3단계 공정에서의 알칸올:페놀의 몰비는 각 반응 단계에서 0.3 내지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페놀의 전환율은 원하는 높은 선택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략 35 내지 43%, 예를 들면 38 내지 42%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실시에 적합한 촉매는 산성 금속 산화물 및 그들의 혼합물이다. 그러한 금속 산화물로는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알루미나 혼합 산화물 및 산화마그네슘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γ-알루미늄 산화물이다. 촉매의 표면적은 대략 250 m2/g 이상, 특히 250 내지 300 m2/g이 바람직하다. 이들 촉매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질산알루미늄의 암모니아성(ammoniacal) 가수분해, 및 이어서 얻어진 침전물의 분리, 건조 및 하소에 의해 제조된다(J. Amer. Chem. Soc. 82(1960) 2471).
상기 촉매는 보편적인 형태, 예를 들면 고정상, 유체상 또는 유동상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촉매는 고정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알칸올은 보다 구체적으로 C1-4 알칼올류, 즉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250 내지 400℃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될 수 있다. γ-알루미늄 산화물이 촉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반응기 내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4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40℃, 예를 들면 330℃이다.
알킬화제로서 메탄올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현형태를 하기에 일례로서 기재한다. 상기 방법은 3단계로 실시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페놀을 계측기를 통해 믹서/증발기로 공급한다. 메탄올도 계측기를 통해 동일한 믹서/증발기로 공급한다. 초기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330℃로 가열된 튜브형 반응기로 공급한다.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flow)은 초기 화합물인 페놀 및 산물을 함유하고, 반응기의 저부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물은 또 다른 튜브형 반응기 전에 배치된 또 다른 믹서/증발기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요구되는 메탄올/페놀의 비율은 이 믹서 내에서 재조절되고, 얻어진 혼합물은 제2 반응기로 공급된다. 제2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은 냉각기, 또는 제3 반응기 전에 연결된 제3 믹서/증발기 중 하나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요구되는 메탄올/페놀의 비율은 제3 반응기 내에서 재조절되고, 얻어진 혼합물은 제3 반응기로 공급된다.
제3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 적당한 경우, 제2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은 냉각기 내에서 응축되고, 그 응축물은 탱크로 공급된다.
원료 알킬레이트의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배후에 연결된 3개의 증류 칼럼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내에서의 연속적인 정류(rectification)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준 압력에서 작동하는 20 내지 35개의 실험 플레이트가 구비된 제1 칼럼 내에서, 반응수는 칼럼 상부에서 90 내지 100℃의 상부 온도 하에 분리된다. 이 물은 소량의 페놀, 알킬 페놀, 및 아니솔을 함유하는 데, 이는 이들 세 화합물이 물과 함께 공비증류하기 때문이다.
제1 칼럼의 섬프(sump)는 제2 칼럼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 칼럼은 대략 100개의 실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역시 표준 압력에서 작동한다. 칼럼의 상부에서, 페놀은 소량의 o-크레졸과 함께 180 내지 185℃의 상부 온도에서 회수된다. 이러한 대량 유출물은 원료 물질로서 다시 알킬화 단계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칼럼의 무페놀 섬프는 300 mbar의 상부 압력 및 대략 145 내지 155℃의 상부 온도 하에 대략 70개 내지 95개의 실험 플레이트가 구비된 제3 칼럼으로의 공급물로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99.5%의 순도를 가지는 순수한 o-크레졸은 칼럼의 상부에서 배출될 수 있다.
소량의 o-크레졸을 함유하는 칼럼의 섬프는 크레졸/자이렌올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o-알킬화 화합물들은 크레졸, 및 페놀의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유도체들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실시예 1
문헌에 따르면, 아니솔은 분자간 재배열에 의해 o-크레졸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출발 시 산물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농도의 아니솔이 구축되어야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1단계 방법에서, 순수한 아니솔을 1.25 h-1의 LHSV(액체 공간 시속)로 330℃ 온도의 튜브형 반응기로 공급하였다. 대략 250 m2/g의 표면적을 가지는 γ-알루미늄 산화물을 촉매로서 사용하였다. 얻어진 산물 및 산물 혼합물 내에서의 그들의 농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화합물 농도 (%)
아니솔 7.1
페놀 32.2
o-크레졸 28.6
2,6-자일렌올 16.1
2,3,6-트리메틸 페놀 4.0
펜타메틸 페놀 3.3
아니솔 전환율 92.9%
o-크레졸 선택도 30.8%
상기 표에 나타난 결과에는, 92.9%의 전환율을 가지는 아니솔은 선택된 조건 하에서 반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페놀 및 고도의 알킬화 페놀, 예를 들면 2,6-자일렌올 및 2,3,6-트리메틸페놀의 농도는 단지 아니솔의 일부만이 o-크레졸로 재배열됨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아니솔은 알킬화제로서 반응한다.
이러한 추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술한 조건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알킬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을 아니솔로 완전 대체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알킬화제
아니솔 메탄올
화합물 농도 (%) 농도 (%)
아니솔 - -
페놀 76.8 72.3
o-크레졸 18.8 20.5
2,6-자일렌올 2.6 3.8
2,3,6-트리메틸 페놀 - 0.4
o-크레졸 선택도 81.0% 74.0%
이상의 값들은 메탄올의 동향이 아니솔의 동향과 유사함을 보여준다. 아니솔의 사용은 심지어 메탄올이 알킬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보다 다소 높은 선택도를 나타낸다.
o-크레졸의 선택도는 두 알킬화제 모두에 대해 거의 동일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니솔의 다소 높은 o-크레졸 선택도는 o-크레졸을 형성하는 아니솔의 재배열이 아니솔에 의한 페놀의 알킬화와 동시에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을 것이다.
분자간 재배열에 의해 생성되는 o-크레졸의 비율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델 물질로서 4-메틸 아니솔을 사용해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물 혼합물 내에서의 개개 산물의 농도(%) 및 4-메틸 아니솔의 전환율을 표 3에 나타낸다.
[표 3]
화합물 농도 (%)
아니솔 57.7
페놀 12.8
o-크레졸 18.6
2,6-자일렌올 1.5
2,4-자일렌올 6.4
4-메틸 아니솔 전환율 100%
이상의 결과에는, o-크레졸 이외에, 유의한 농도의 p-크레졸 및 2,4-자일렌올이 얻어진 것으로 나타나 있다. p-크레졸은 4-메틸 아니솔이 알킬화제로서 작용하는 경우에 형성된다. 2,4-자일렌올은 4-메틸 아니솔의 분자간 재배열의 산물이다. 대략 70%의 4-메틸 아니솔이 알킬화제로서 작용하며, 대략 30%는 재배열되어 2,4-자일렌올을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니솔이 알킬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비율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페놀을 0.2의 메탄올/페놀 몰비 및 3.75 h-1의 LHSV로 330℃ 온도의 튜브형 반응기로 공급하였다. 대략 250 m2/g의 표면적을 가지는 γ-알루미늄 산화물을 촉매로서 사용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메탄올을 0.2의 몰비로 제1 단계로부터의 유출물에 공급하고, 알킬화를 계속하였다. 유사한 과정을 채용해 제3 알킬화 단계를 수행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페놀을 메탄올과 함께 330℃ 온도의 1단계의 튜브형 반응기 내에서 1.25 h-1의 LHSV로 0.6의 메탄올/페놀의 몰비로 전환시켰다. 동일한 촉매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전반에서 메탄올/페놀의 비율 및 LHSV는 3단계 반응과 동일하다. 두 반응에 대한 산물 혼합물 내에서의 산물 농도, 페놀 농도 및 o-크레졸에 대한 선택도는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표 4]
화합물 1단계 알킬화 3단계 알킬화
아니솔 0.02 0.9
페놀 53.7 58.6
o-크레졸 27.9 29.4
m/p-크레졸 1.5 0.8
2,6-자일렌올 9.5 6.8
2,4/2,5-자일렌올 2.0 0.9
2,3,6-트리메틸 페놀 1.7 0.9
페놀 전환율 46.3 41.4
o-크레졸 선택도 60.3 71.1
이상의 결과에는, 3단계 방법에서 페놀 전환율은 1단계 방법에서와 유사하지만, 다단계 방법에서 o-크레졸에 대한 선택도는 1단계 방법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 이유는 1단계 방법에서의 부산물의 양이 3단계 방법에서의 양보다 유의하게 높기 때문이다. 이 실험에서 0.9%의 아니솔 함량은 아직 최적은 아니지만, o-크레졸에 대한 선택도는 1단계 방법에서의 60.3%에서 3단계 방법에서는 71.1%로 증가하였다.

Claims (9)

  1. 승온에서 금속 촉매 존재 하에 기상 중에서 알칸올을 이용한 페놀의 전환에 의해 o-알킬 페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환이 적어도 2단계로 실시되고, 각 반응 단계에서 상기 알칸올/페놀의 몰비가 대략 ≤0.4의 값으로 설정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이 3단계로 실시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반응 단계에서 상기 알칸올/페놀의 몰비가 대략 0.2 내지 0.4의 값으로 설정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각 반응 단계에서 상기 알칸올/페놀의 몰비가 대략 0.3의 값으로 설정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응 동안 상기 페놀의 전환율이 각 단계에서 35 내지 43%로 설정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칸올로서 메탄올이 사용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로서 250 m2/g 이상의 표면적을 가지는 γ-알루미늄 산화물이 사용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300 내지 400℃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되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알킬화 후 얻어지는 산물의 혼합물이 증류에 의해 분리되어 원하는 산물로 얻어지는 o-알킬 페놀의 제조 방법.
KR10-2003-7015210A 2001-11-21 2002-11-15 o-알킬페놀의 선택적 제조 KR100531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7073.2 2001-11-21
DE10157073A DE10157073B4 (de) 2001-11-21 2001-11-21 Selektive Herstellung von o-Alkylphenolen
PCT/EP2002/012789 WO2003043965A1 (de) 2001-11-21 2002-11-15 Selektive herstellung von o-alkylpheno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401A KR20040045401A (ko) 2004-06-01
KR100531126B1 true KR100531126B1 (ko) 2005-11-25

Family

ID=770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210A KR100531126B1 (ko) 2001-11-21 2002-11-15 o-알킬페놀의 선택적 제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846962B2 (ko)
EP (1) EP1392630B1 (ko)
JP (1) JP3854275B2 (ko)
KR (1) KR100531126B1 (ko)
CN (1) CN1252014C (ko)
AT (1) ATE277880T1 (ko)
AU (1) AU2002356603A1 (ko)
BR (1) BR0210161A (ko)
CA (1) CA2447631A1 (ko)
DE (2) DE10157073B4 (ko)
HK (1) HK1066785A1 (ko)
HU (1) HUP0400373A3 (ko)
MX (1) MXPA03010929A (ko)
PL (1) PL204444B1 (ko)
RU (1) RU2256644C1 (ko)
TW (1) TW583163B (ko)
UA (1) UA73680C2 (ko)
WO (1) WO2003043965A1 (ko)
ZA (1) ZA200402633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466A (en) * 1969-10-20 1973-06-05 Coal Tar Research Asso Production of cresols
DE2756461C2 (de) * 1977-12-17 1984-10-31 Rütgerswerke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no-o-alkylphenolen
SU1671655A1 (ru) * 1989-01-06 1991-08-23 Ураль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С.М.Киров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метилпроизводных фенол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73680C2 (en) 2005-08-15
BR0210161A (pt) 2004-04-27
CN1537090A (zh) 2004-10-13
DE10157073A1 (de) 2003-06-12
ZA200402633B (en) 2004-12-23
RU2256644C1 (ru) 2005-07-20
HK1066785A1 (en) 2005-04-01
EP1392630B1 (de) 2004-09-29
PL204444B1 (pl) 2010-01-29
RU2003136822A (ru) 2005-05-10
US20040158104A1 (en) 2004-08-12
DE10157073B4 (de) 2005-12-01
JP2005509669A (ja) 2005-04-14
KR20040045401A (ko) 2004-06-01
MXPA03010929A (es) 2004-02-17
AU2002356603A1 (en) 2003-06-10
JP3854275B2 (ja) 2006-12-06
CN1252014C (zh) 2006-04-19
ATE277880T1 (de) 2004-10-15
TW583163B (en) 2004-04-11
EP1392630A1 (de) 2004-03-03
CA2447631A1 (en) 2003-05-30
DE50201178D1 (de) 2004-11-04
HUP0400373A2 (hu) 2004-08-30
US6846962B2 (en) 2005-01-25
HUP0400373A3 (en) 2004-11-29
WO2003043965A1 (de) 2003-05-30
TW200300410A (en) 2003-06-01
PL367046A1 (en)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3313B2 (en) Process for preparing a phenylcyclohexane
US4283573A (en) Long-chain alkylphenols
US20060135823A1 (en) Process for preparing dimethylether from methanol
Kumbhar Modified Mg–Al hydrotalcite: a highly active heterogeneous base catalyst for cyanoethylation of alcohols
US9428481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 substituted tetrahydropyranols
JPH0235728B2 (ko)
US20190077736A1 (en) Process for producing prenol and prenal from isoprenol
US3979464A (en) Methylation of 2,6-xylenol to produce 2,3,6-trimethylphenol
JPH08245433A (ja) t−ブチルアルコールの分解法
KR100531126B1 (ko) o-알킬페놀의 선택적 제조
KR100871212B1 (ko) 쿠밀페놀의 제조방법
US6593501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6-xylenol
CN113185383B (zh) 一种以柠檬烯环氧化物为加氢受体的香芹酚制备方法
JP2002128716A (ja) イソプロピ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US521033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enylhydroquinone
JP2501603B2 (ja) α−メチルスチレンの製造法
JPH0615498B2 (ja) α−(p−イソブチルフエニル)プロピオン酸またはその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S5835126A (ja) イソブチレンの製造方法
JPS6312451B2 (ko)
JPS6332771B2 (ko)
SU1362733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2,5-диметилфурана
JPH0237897B2 (ko)
JPH0717585B2 (ja) p−フエニレンジアミン類の製造法
JPH02129154A (ja) オルソアルキル置換芳香族アミン類の製造方法
JPH051470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