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982B1 -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982B1
KR100527982B1 KR10-2000-7001388A KR20007001388A KR100527982B1 KR 100527982 B1 KR100527982 B1 KR 100527982B1 KR 20007001388 A KR20007001388 A KR 20007001388A KR 100527982 B1 KR100527982 B1 KR 10052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command
image process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788A (ko
Inventor
우에하라히로토시
구리타나오키
고토쇼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631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556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491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7511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9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dedicated tools, e.g. video decoder software or IPMP to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영상표시장치는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범용 연산기와, 이것에 입력해야 할 표시데이터 및 연산내용을 명령으로서 기술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기술한 명령을 표시클록에 동기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영상의 확대ㆍ축소처리 및 OSD와의 합성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종래 장치와 같은 각 요구사양마다 전용회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명령시퀀서 내의 명령을 재기입함으로써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VIDEO DISPLAY AND PROGRAM RECORDED MEDIUM}
본 발명은 압축된 영상신호나 프로그램 정보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다중화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셋톱박스 등의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송용 영상, 음성, 데이터신호를 디지털신호로서 일원적으로 사용하고, 위성 등을 이용하여 방송하는 디지털 방송서비스가 실현되고 있다.
이들 서비스에 있어서는 MPEG2(ISO/IEC-13818로 표준화) 등으로 대표되는 압축다중기술에 의해 수십 내지 수백채널의 방송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방송사업자는 디지털방송에서는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의 신호가 전부 디지털신호로서 취급되는 특징을 살려 고화질 방송의 실시나, 정지화상을 이용하는 정보서비스 등 차별화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가지 서비스의 충실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고, 이들에 대응한 영상표시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MPEG 비디오 디코더시스템의 일례를 도 14에 도시하고,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서 100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수단, 101은 MPEG 디코드를 행하는 영상 복호화수단, 102는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이고, 영상 복호화수단(1O1)이 디코드하는 영상데이터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이하 OSD)의 그래픽스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103은 동기신호 등을 생성하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 104는 프레임 메모리(102)의 기입과 판독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수단, 105는 메모리 제어수단(104)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출력버퍼수단, 800은 출력버퍼수단(105)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801은 영상처리부(800)를 제어하는 제어 타이밍 생성수단이다.
도 15는 상기 MPEG 비디오 디코더시스템에서의 영상처리부(800)의 대표적인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8001, 8002는 영상데이터의 수평확대ㆍ축소를 행하는 수평필터회로, 8003은 수평필터(8001, 8002)로부터의 연속하는 2라인의 데이터로부터 수직방향의 확대ㆍ축소를 행하는 수직필터회로, 8004는 수직필터회로(8003)로부터의 영상데이터와 OSD 데이터를 전환하는 합성회로이다.
도 16의 (a)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DOCUMENT AO01-revision 1) 규격으로 제정된 디지털방송의 수신기로 실현할 비디오 출력포맷을 도시한다.
도 16의 (a)에 도시된 수평ㆍ수직 확대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수평필터회로(8O01, 8002) 및 수직필터회로(8003)는 미리 이하의 배율에 대응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수평필터회로 : 3/4, 1, 9/8, 4/3, 3/2, 2, 8/3
수직필터회로 : 1, 2
도 16의 (b)는 팬 스캔처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애스펙트비 16 : 9의 입력영상을 4 : 3의 모니터에 출력하는 경우에 화면중앙부분(Pan & Scan Window)을 잘라내어 수평확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확대처리가 필수적인 기능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 14의 MPEG 디코더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시스템 제어수단(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상당하는 비트스트림을 영상 복호화수단(101)에 대하여 입력한다.
영상 복호화수단(101)은 비트스트림 중에 저장되는 도 16의 (a)의 입력해상도의 정보를 발췌하여 시스템 제어수단(100)에 넘긴다. 영상 복호화수단(101)은 프레임 메모리(102)를 참조 프레임버퍼 및 표시 프레임버퍼로서 사용하여 MPEG 비디오 디코드처리를 한다. MPEG 디코드처리는 본 발명의 목적과는 직접 관계하지 않으므로 상세한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시스템 제어수단(100)은 디코드제어와 병행하여, 프레임 메모리(102)에 대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0SD) 데이터를 묘화한다. 이것은 메뉴 등의 조작정보나 EPG(Electronic Program Guide)라 부르는 프로그램표 데이터이다. 영상표시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수단(100)은 메모리 제어수단(104)을 제어하여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 디코드된 영상데이터와 OSD데이터를 라인단위로 판독한다. 라인단위로 판독된 데이터는 출력버퍼수단(105)에 일시 저장된다.
시스템 제어수단(100)은 영상 복호화수단(101)으로부터 발췌한 입력영상의 해상도정보와 사용자로부터 미리 지시되는 출력모니터의 애스펙트비에 따라 영상처리부(800)의 수평필터회로(8001, 8002) 및 수직필터회로(8003)의 확대율을 설정하고, 도 16의 (a)에 도시한 확대처리를 제어한다. 확대처리된 디코드영상은 합성회로(8004)에서 OSD 데이터와 합성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MPEG 디코드시스템에서의 영상처리장치는 미리 정해진 확대율에 대응하는 전용회로 및 OSD 데이터와의 합성회로를 구비하고, 디코드영상의 해상도정보 등에 따라 표시출력을 생성하고 있다.
도 17은 정지화상 정보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해 동영상, OSD의 표시에 덧붙여 정지화상표시를 실현하는 경우의 MPEG 디코더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영상처리부(800)는 2계통의 수평필터회로(8001, 8002)와 수직필터회로(8003)를 구비하여, 각각 동영상 데이터, 정지화상 데이터용으로서 제어하고, 동영상 데이터와 정지화상 데이터를 전환하는 합성회로(1)(8005)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동작으로서는 시스템 제어수단(100)이 프레임 메모리(102)에 대하여 OSD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지화상 데이터를 묘화한다. 정지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지털 위성방송에서의 데이터방송을 이용하여 보내지거나 전화회선을 개재하여 보내진다. 어느 것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데이터를 취득하고, 시스템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 표시한다. 프레임 메모리(102)에 기입된 정지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수단(104)에 의해 동영상 데이터, OSD 데이터와 함께 라인단위로 출력버퍼수단(105)에 판독된다. 이 때 동영상 데이터의 수직필터처리를 행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는 연속하는 2라인분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17에 도시된 영상처리부(800)에 의해 동영상과 정지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축소처리를 실행하여, 이 연산결과를 OSD 데이터와 합성함으로써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화면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사업자마다 다른 표시사양에 대응하여, 도 15,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용회로를 구비하여 실현하고 있었다. 이들은 통상 MPEG 비디오 디코더 LSI의 회로의 일부로서 내장된다.
한편 미국 지상파에서의 디지털 방송규격은, 하이디피니션(HD)까지 대응하고 있고, 주사선수가 1080개, 720개, 480개의 3종류, 주사방식이 순차주사, 점프주사의 2종류가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18종류의 영상포맷의 방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을 텔레비전 모니터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도 16의 (a)에 도시된 이외의 스케일링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 상술한 정지화상 서비스나 축소영상에 의한 EPG 화면 등도 요구된다고 예상되어, 영상표시장치로서보다 많은 필터연산에 대응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사업자마다 다른 전용회로가 필요하게 되고, 복수의 방송 서비스에 대응하려면 개개의 표시요구에 대하여 개개의 회로가 필요하게 되어 회로의 증대를 초래하거나, 서비스마다 최적화하려면 별도 품종의 LSI로서 개발할 필요가 있어, 개발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앞으로 요구되는 처리에 대해서는 미리 대응하는 회로를 내장하는 이외에 방법이 없고, 확장성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명령시퀀서에서의 명령실행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명령시퀀서에서의 다른 명령실행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예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예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제 4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영상처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명령시퀀서의 명령실행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명령시퀀서의 다른 명령실행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 5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명령시퀀서의 명령실행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 6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다른 블록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영상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16의 (a)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비디오 출력사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b)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팬 스캔 표시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별도의 영상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시스템 제어수단 101 : 영상 복호화수단
102 : 프레임 메모리 103 : 표시타이밍 생성수단
104 : 메모리 제어수단 105 : 출력버퍼수단
106 : 영상처리부 106A, 106B : 영상처리부
107 : 명령시퀀서 108, 112 : 입출력 버퍼수단
109, 110 : 출력선택수단 111, 1066 : 라이트백수단
1061 : 데이터 선택수단 1062 : 연산기A
1063 : 연산기B 1064 레지스터 파일
1065 : 출력전환수단 1071, 1174 : 명령메모리
1072 : 명령실행 제어수단 1073, 1073A, 1073B : 명령 디코더수단
1074 : 실행명령수 전환수단 1108 : 표시데이터 판독수단
본 발명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개발비용의 증대를 종래에 비해 억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개발비용의 증대를 종래에 비해 억제할 수 있고, 또 더욱 확장성에 뛰어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의 본 발명은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 타이밍을 생성하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타이밍 생성수단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출력버퍼수단과,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기와,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과,
상기 표시타이밍 생성수단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과 상기 연산기를 제어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상기 명령시퀀서가,
상기 연산기와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명령메모리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명령을 판독하는 명령실행 제어수단과,
상기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여,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해 상기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령 디코더수단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이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는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연산기와 이것에 입력해야 할 데이터의 선택과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이 명령을 표시클록에 동기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영상의 확대·축소처리 및 OSD와의 합성처리를 실현한다.
이 구성에 의해, 종래의 장치와 같은 전용회로를 각 요구사양마다 구비하는 실현 방법이 아니라, 연산기와 명령시퀀서를 공통의 회로로 하여 명령을 전환함으로써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로 인하여 명령시퀀서에 저장하는 명령을 재기입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표시사양에도 더욱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제 2의 본 발명은 상기 명령메모리가 적어도 화소클록의 1주기 내의 실행명령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명령실행수단이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상기 명령메모리를 반복하여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의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이다.
이로 인하여 영상의 확대ㆍ축소 및 OSD와의 합성처리라는 영상표시처리를 1화소분이라는 적은 명령메모리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3의 본 발명은 상기 연산기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기억가능하고, 또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으로 출력가능한 연산결과 버퍼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의 본 발명에 기재한 영상표시장치이다.
이로 인하여 연산결과를 일시적으로 축적함으로써, 연산한 결과를 다음 사이클 이후에서도 자유롭게 연산기 입력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많은 종류의 연산처리를 명령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4의 본 발명은, 상기 연산기로부터의 데이터출력을 상기 출력버퍼수단에 라이트백(write back)하는 라이트백수단을 구비하며, 명령시퀀서가 상기 라이트백수단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의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이다.
이로 인하여 확대ㆍ축소후의 디코드영상을 프레임 메모리에 라이트백하는 기능에 의해 복수의 축소영상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제 5의 본 발명은 상기 명령시퀀서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판독하는 명령수를 전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이다.
이로 인하여 디코드영상에 따라 화소클록의 1주기 내의 실행명령수를 전환함으로써 480개나 1080개의 인터레이스 주사, 480개나 720개의 순차 주사가 혼재되어 방송되는 경우라도 실행명령수의 변경만으로 영상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6의 본 발명은,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타이밍을 생성하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과, 그 생성된 표시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그 메모리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출력버퍼수단과, 원하는 표시사양에 따라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의 표시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표시데이터 판독수단과, 그 표시데이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처리하는 복수의 영상처리부와, 그 복수의 영상처리부의 출력데이터를 선택하는 출력선택수단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한 처리명령 중 원하는 표시사양에 대응하는 처리명령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처리부 및 상기 출력선택수단을 제어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각 영상처리부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기와,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상기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가지며, 상기 명령시퀀서가, 연산기 및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명령메모리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명령을 판독하는 명령실행 제어수단과, 그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부 내의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령 디코더수단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종래의 장치와 같은 전용회로를 각 요구수단마다 구비하는 실현 방법이 아니고, 연산기와 명령시퀀서를 공통의 회로로 하여 명령을 전환함으로써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연산기와, 이것에 입력해야 할 데이터의 선택과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시퀀스를 구비함으로써, 이 명령을 표시클록에 동기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영상의 확대ㆍ축소처리 및 OSD와의 합성처리를 실현한다. 따라서 영상의 확대ㆍ축소 및 OSD와의 합성처리라는 영상표시처리를 명령시퀀서의 명령으로 기술할 수 있다. 아직 동일한 영상처리부를 병렬로 배치하여, 이것을 1개의 명령시퀀서로 제어하는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단순한 구성으로 화소클록이나 연산처리내용에 따른 확장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 7의 본 발명은,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타이밍을 생성하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과, 그 생성된 표시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그 메모리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출력버퍼수단과, 원하는 표시사양에 따라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의 표시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표시데이터 판독수단과, 그 표시데이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처리하는 복수의 영상처리부와, 그 복수의 영상처리부의 출력데이터를 선택하는 출력선택수단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한 처리명령 중 원하는 표시사양에 대응하는 처리명령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처리부 및 상기 출력선택수단을 제어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각 영상처리부가, 각각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기와,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가지며, 명령시퀀서가, 상기 연산기와 데이터 선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명령메모리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명령을 판독하는 명령실행 제어수단과, 복수의 영상처리부마다 설치되고,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여 영상처리부 내의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령 디코더수단을 갖는 상기 제 7의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이다.
이 구성에 의해 영상의 확대ㆍ축소 및 OSD와의 합성처리라는 영상표시처리를 명령시퀀서의 명령으로 기술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영상처리부를 병렬로 배치하고, 이것을 영상처리부마다 대응시킨 명령디코더로 제어하는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단순한 구성으로 화소클록이나 연산처리내용에 따른 확장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 8의 본 발명은, 명령메모리가 적어도 화소클록의 1주기 내의 실행명령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명령실행 제어수단이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상기 명령메모리를 반복하여 판독하는 상기 제 6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이다.
이로 인하여 1화소분이라는 적은 명령메모리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9의 본 발명은, 각 영상처리부가 각각 연산기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기억가능하고, 또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으로 출력가능한 연산결과 버퍼수단을 갖는 상기 제 6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이다.
이와 같이 연산결과를 일시적으로 축적함으로써, 연산한 결과를 다음 사이클이후에도 자유롭게 연산기입력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많은 종류의 연산처리를 명령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10의 본 발명은, 각 영상처리부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상기 출력버퍼수단에 라이트백하는 라이트백수단을 구비하며, 명령시퀀서가 라이트백수단도 제어하는 상기 제 6 내지 제 7의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이다.
이와 같이 확대ㆍ축소후의 디코드영상을 프레임 메모리에 라이트백하는 기능에 의해 복수의 축소영상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이하에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시스템 제어부(100), 영상복호화부(101), 프레임 메모리(102), 표시타이밍 생성수단(103), 메모리 제어수단(104), 출력버퍼수단(105)은 종래예와 같은 구성이다.
또 본 실시예는 청구항 1∼4에 기재한 영상표시장치의 일례이다.
영상처리부(106)는 출력버퍼수단(105)으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것과 아울러, 후술하는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과,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6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 연산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파일(1064)과, 출력전환수단(1065)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수평확대율에 따라 출력버퍼수단(105)으로부터의 데이터판독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8비트의 가산기를 갖고, 화소클록마다 고정값을 증분하여 가산기의 캐리를 다음 화소데이터의 판독 트리거로 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경우 수평확대율은 증분하는 고정값으로 지정되고, 8비트 가산기출력을 수평확대 처리시의 연산계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는 각각 이하의 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연산기A(1062) : (연산결과) = ×A + ×B + C
연산기B(1063) : (연산결과) = ×D + (1-) ×E
여기에서 A, B, C, D, E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출력버퍼수단(105)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에 의해 과거의 시간에 연산된 연산결과인 영상데이터, 배경색 등의 영상데이터, OSD 등의 영상데이터, 또 특정값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정값 데이터(예를 들면 0) 등으로부터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데이터이다. 또 α, β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입력 데이터 A, B에 대하여 특정한 가중을 행한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계수값이고(필터처리), 예를 들면 이미 설명한 수평확대처리시의 연산계수나, 수직화소연산을 행하기 위한 연산계수 등이다. 또 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입력 데이터 D, E에 대하여 반투명 합성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연산계수이고, 예를 들면 = 0이면 E가 그대로 출력되고, = 1이면 D가 그대로 출력되고, = 1/2이면 D, E가 반투명의 영상이 되어 출력된다.
명령시퀀서(107)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103)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데이터 선택수단(1061)과 연산기(1062, 1063)를 제어하는 것이며, 다음 3가지로 구성된다.
명령메모리(1071)는 연산기(1062, 1063)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것,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복수개의 명령판독을 제어하는 것, 명령 디코더수단(1073)은 명령메모리(1071)로부터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고 데이터 선택수단(105)을 이용하여 연산기(1062, 1063)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3가지의 수단으로 구성된다.
명령은 연산기A(1062)에 대한 계수값 α, β 및 입력데이터 A, B, C의 선택과, 연산기B(1063)에 대한 계수값 및 입력데이터 D, E의 선택과, 각각의 연산기의 출력목적지(결과를 어디에 기입할 것인가의 정보: 레지스터 파일(1064)로의 기입인지, 출력전환수단(1065)인지)를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 명령메모리(1071)는 6명령을 저장하는 것으로 하고,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이것을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반복 판독하여 1라인분의 명령실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수단(100)은 표시제어를 1라인단위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100)의 지시에 의해 메모리 제어수단(104)은 표시해야 할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 출력버퍼수단(105)에 판독한다. 영상처리부(106)와 명령시퀀서(107)는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1라인분의 출력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버퍼수단(105)으로의 표시데이터 판독까지는 종래예와 그 동작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된 입력해상도가 352 ×240인 경우이며, 표시시에 수평ㆍ수직방향으로 2배 확대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출력버퍼수단(105)에는 프레임 메모리(102)보다 디코드영상의 연속하는 2라인분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종래예의 도 15의 영상처리를 실현한 예이고, 화소클록을 13.5MHz로 하여 영상처리부, 명령시퀀서의 동작클록을 6배인 81MHz로 하고 있다.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명령메모리(1071)의 0∼5번지까지의 명령을 반복하여 판독한다. 명령 디코더수단(1073)은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여 데이터 선택수단(1061)과 연산기A(1062)와 연산기B(1063)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연산기 A :
(1) 명령 1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디코드영상(동영상)의 제 1 라인의 수평 2화소 데이터와 계수값 데이터를 선택하고, 동 데이터에 의한 승가산처리를 실행시킨다. 연산결과는 레지스터 파일(1064)에 기입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 1 라인의 수평확대처리(수평연산)를 실행한 것이 된다.
(2) 명령 2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제 2 라인의 수평 2화소와 계수값 데이터를 선택하고, 동 데이터에 의한 승가산처리를 실행시킨다. 그 연산결과는 통과(데이터 선택수단으로 피드백)된다. 이로 인하여 제 2 라인의 수평확대처리(수평연산)를 실행한 것이 된다.
(3) 명령 3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1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 데이터와 명령 2의 연산결과(통과된 것)를 선택하고, 승가산연산을 실행한다. 이로 인하여 제 1 라인과 제 2 라인데이터에 의한 수직확대처리(수직연산)를 실행한 것이 된다. 연산계수값 , 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관하여 수 레지스터를 갖게 하고, 시스템 제어수단(100)을 라인단위로 설정함으로써 실현된다. 연산결과는 레지스터 파일(1064)에 기입시킨다.
(4) 명령슬롯 4∼6은 명령실행을 특별히 행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의 동작을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기간 2001에서의 명령 3의 실행에 의한 연산결과 2003(레지스터 파일(1064)에 기입된 데이터에 대응함)이 후술하는 기간 2002에서의 명령 1에서의 연산처리 2004에 이용된다.
또 도 2에서 이용한 생략기호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즉 HFLT0은 Horizontal Filter O의 약어이고, 제 1 라인의 수평필터처리를 의미한다. HFLT1은 Horizontal Filter 1의 약어이고, 제 2 라인의 수평필터처리를 의미한다. VFLT는 Vertical Filter의 약어이고, 수직필터처리를 의미한다. NOP는 No Operation의 약어이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 BLD BG는 Blend with Background(배경색)의 약어이고, 배경색과의 합성처리를 의미한다. 또 BLD OSD는 Blend with OSD의 약어이고, OSD 데이터와의 합성처리를 의미한다.
연산기 B :
(1) 명령 1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연산기A의 명령 3으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의 데이터와 배경색이 되는 레지스터값(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유지)을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계수값 는 디코드영상의 유효표시기간 신호로부터 생성되어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서 선택된다. 그 연산결과는 통과(데이터 선택수단으로 피드백)된다. 이로 인하여 유효표시영역 외를 특정한 배경색에 전부 칠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 유효표시기간 신호는 영상표시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2) 명령 2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1의 연산결과와 OSD 데이터를 선택하여 합성처리를 행한다. OSD 데이터는 영상데이터와의 합성값(계수값)을 갖는 것으로 한다. 연산결과는 출력전환수단(1065)에 기입하고, 외부모니터로 출력시킨다.
이상과 같은 1화소분의 명령(6단계)을 기술하여,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클록에 동기시켜 반복 실행함으로써 1라인분의 화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디코드영상에 대한 확대처리는 연산기A에서의 명령 1∼3을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확대처리의 경우는 명령 1만 실행하고, 명령 2∼명령 6을 NOP(No Operation)로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종래예의 도 17의 영상처리를 실현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디코드영상(동영상)과 정지화상 데이터의 두 가지의 화면을 각각 수평·수직방향으로 1/2 축소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수직 1/2 축소시는 연속하는 2라인에 의해 보간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와 마찬가지로 화소클록을 13.5MHz로 하고, 영상처리부, 명령시퀀서의 동작클록을 6배인 81MHz로 한다. 명령시퀀서(107)에서 제어되는 명령을 아래와 같이 제어한다.
연산기A :
(1) 명령 1∼명령 3 :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음.
(3) 명령 4∼명령 6 : 실행내용은 명령 1∼3과 같지만, 데이터 선택수단(1061)으로부터 연산데이터로서 정지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점이 다르다.
연산기B :
(1) 명령 1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연산기A의 명령 3으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과 배경색이 되는 레지스터값(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유지)을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결과는 레지스터 파일(1064)에 기입시킨다.
(3) 명령 2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연산기A의 명령 6으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과 배경색이 되는 레지스터값(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유지)을 선택하고, 연산을 실행한다. 그 연산결과는 통과된다.
(4) 명령 3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1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과 명령 2의 연산결과를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계수값 는 디코드영상(동영상)의 유효표시기간 신호로부터 생성되어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서 선택된다. 그 연산결과는 통과된다.
(5) 명령 4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3의 연산결과와 OSD 데이터를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결과는 출력전환수단(1065)에 기입하고, 외부모니터로 출력시킨다.
이상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동일한 영상표시장치로, 도 3의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도 17에 도시한 영상처리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최근의 반도체기술의 진보에 의해 회로의 동작주파수는 비약적으로 신장되어 있고, 화소클록에 대하여 연산기 등의 동작클록을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있다. 예를 들면 81MHz보다 높은 주파수로 실행시킬 수 있으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용이하게 정지화상 혹은 동영상을 2개 표시하는 것 등도 가능해진다.
또 제 1 실시예에서는 2개의 연산기에 의해 필터연산과 합성연산을 따로따로 실행시켜 실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개의 연산기로 실현해도 되고, 또 복수의 연산기를 조합해도 된다. 연산기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승가산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명령메모리 크기를 1화소분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복수화소분이나 1라인분을 구비해도 된다. 또 레지스터 파일을 이용한 구성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연산결과를 매사이클 사용하도록 명령을 지정하면 레지스터 파일을 갖지 않아도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영상표시장치의 일례이다.
도 1에서 라이트백수단(1066)은 연산기A(1062) 및 연산기B(1063)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라이트백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입출력 버퍼수단(108)은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의 표시데이터의 판독에 덧붙여, 라이트백수단(1066)으로부터 라이트백된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2)에 기입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명령시퀀서(107)의 명령으로, 연산결과의 기입목적지로서 라이트백수단(1066)을 선택함으로써, 처리한 디코드영상 등을 입출력 버퍼수단(108)에 기입한다.
동작으로서는, 명령 디코더수단(1073)으로부터 라이트백수단(1066)이 선택되면 연산기A(1062) 또는 연산기B(1063)의 출력데이터를 라이트백수단(1066)에 일단 저장한다.
라이트백수단(1066)은 저장한 데이터를 표시판독 이외의 사이클로 입출력 버퍼수단(108)에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부(100)는 1라인분의 연산결과 데이터가 기입되면 메모리 제어수단(104)에 의해 프레임 메모리(102)에 대한 기입 전송을 제어한다.
기입된 영상을 정지화상으로서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면, 축소된 복수의 디코드영상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프로그램표에 축소된 정지화상을 끼워 넣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는 청구항 6에 기재한 영상표시장치의 일례이다.
디지털방송에서는 프레임율이 다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480개나 1080개의 인터레이스 주사, 480개나 720개의 순차 주사의 혼재방송 등이다. 이러한 경우 표시를 위한 클록을 디코드영상에 따라 바꿀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영상처리부(106)와 명령시퀀서(107)의 동작주파수는 그대로로 하고, 화소클록의 1주기 내의 실행명령수만을 전환함으로써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한다.
실행명령수 전환수단(1074)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판독되는 명령수를 전환하는 것으로, 시스템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한다.
동작으로서는 시스템 제어부(100)가 디코드영상의 해상도 정보에 의해, 표시 클록을 전환할 때 실행명령수 전환수단(1074)에 대하여 미리 정한 명령수를 설정한다.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실행명령수 전환수단(1074)으로 지시되는 명령수 만큼을 반복하여 판독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표시 클록이 전환된 경우라도 문제없이 영상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에 의하면 사업자에 따라 다른 표시요구수단에 대하여 공통의 하드웨어와 표시요구수단에 대응한 명령의 조합에 의해 용이하게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그 명령메모리도 1화소분의 적은 크기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회로규모로서도 종래의 장치와 거의 다름없이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제 4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영상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서 시스템 제어수단(100), 영상 복호화수단(101), 프레임 메모리(102), 표시타이밍 생성수단(103), 메모리 제어수단(104), 출력버퍼수단(105)은 종래예와 같은 구성이다.
또 본 실시예는 청구항 7, 9, 10에 기재한 영상표시장치의 일례이다.
영상처리부(106A, 106B)는 출력버퍼수단(1O5)의 데이터로부터 출력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2개를 병렬로 동작시키고 있다. 이 영상처리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 화소클록에 3회의 연산을 행하는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 연산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연산결과 버퍼수단인 레지스터 파일(1064), 출력전환수단(1065)으로 구성된다.
표시데이터 판독수단(1108)은 수평확대율에 따라 출력버퍼수단(105)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8비트의 가산기를 갖고, 고정값을 증분하여 가산기의 캐리를 다음 화소데이터의 판독트리거로 함으로써 출력버퍼수단(105)으로부터의 판독을 제어한다. 이 경우, 수평확대율은 증분하는 고정값으로 지정할 수 있고, 8비트 가산기 출력을 수평확대처리시의 연산계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영상처리부로 2화소 동시에 처리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값의 증분을 1화소 내에 2회 행한다. 표시데이터 판독수단(1108)은 1회째의 판독데이터와 연산계수를 영상처리부(106A)에 출력하고, 2회째의 판독데이터와 연산계수를 영상처리부(106B)에 출력한다.
한편 영상처리부의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는 각각 이하의 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연산기 A(1062) : (연산결과) = ×A + ×B + C
연산기 B(1063) : (연산결과) = ×D + (1 - ) ×E
여기에서 A, B, C, D, E는 후술하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데이터이고, 출력버퍼수단(105)으로부터 표시데이터 판독수단(1108)을 거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에 의해 과거의 시간에 연산된 연산결과인 영상데이터, 배경색 등의 영상데이터, OSD 등의 영상데이터, 또 특정값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정값 데이터(예를 들면 0) 등으로부터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데이터이다. 또 , 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 입력데이터 A, B에 대하여 특정한 가중을 한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계수값이고(필터처리), 예를 들면 이미 서술한 수평확대처리시의 연산계수나, 수직화소연산을 행하기 위한 연산계수 등이다. 또 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 입력데이터 D, E에 대하여 반투명 합성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연산계수이고, 예를 들면 = 0이면 E가 그대로 출력되고, = 1이면 D가 그대로 출력되고, = 1/2이면 D, E가 반투명의 영상이 되어 출력된다.
명령시퀀서(107)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103)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2개의 영상처리부(106A, 106B)를 제어하는 것이며, 다음 3가지로 구성된다.
명령메모리(1071)는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것이며,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복수개의 명령판독을 제어하는 것이며, 명령 디코더수단(1073)은 명령메모리(1071)로부터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고,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대하여 연산기A(1062), 연산기B(1063)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이다.
명령은 영상처리부(106A, 106B)의 각각의, 연산기A(1062)에 대한 계수값 , 및 입력데이터 A, B, C의 선택과, 연산기B(1063)에 대한 계수값 및 입력데이터 D, E의 선택과, 각각의 연산기의 출력목적지(결과를 어디에 기입할 것인지의 정보 : 레지스터 파일(1064)로의 기입인지, 출력전환수단(1065)인지)를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2개의 영상처리부는 공통의 명령으로 동시에 제어된다.
또 명령메모리(1071)는 6명령을 저장하는 것으로 하고,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이것을 2화소를 1주기로 하여 반복하여 판독하고, 1라인분의 명령실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출력선택수단(109)은 2개의 영상처리부(106A, 106B)로부터의 2개의 생성데이터를 일단 저장하고, 표시클록에 동기하여 1화소씩 교대로 출력하도록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수단(100)은 표시제어를 1라인단위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수단(100)의 지시에 의해 메모리 제어수단(104)은, 표시해야 할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 출력버퍼수단(105)에 판독한다. 영상처리부(106A, 106B)와 명령시퀀서(107)는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1라인분의 출력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버퍼수단(105)으로의 표시데이터 판독까지는 종래예와 그 동작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16의 (a)에 도시된 입력해상도가 352 ×240인 경우로, 표시시에 수평ㆍ수직방향으로 2배 확대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출력버퍼수단(105)에는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 디코드영상의 연속하는 2라인분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종래예의 도 15의 영상처리를 실현한 예이고, 화소클록을 13.5MHz로 하고, 영상처리부, 명령시퀀서의 동작 클록을 3배인 40.5MHz로 하고 있다.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2화소를 1주기로 하여 명령메모리(1071)의 0∼5번지까지의 명령을 반복하여 판독한다. 명령 디코더수단(1073)은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고, 영상처리부(106A, 106B)의 데이터 선택수단(1061)과 연산기A(1062)와 연산기B(1063)를 아래와 같이 제어한다. 여기에서 영상처리부(106A)는 2N 화소의 데이터생성을 행하고, 영상처리부(106B)는 (2N+1)화소의 데이터생성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연산기 A :
(1) 명령 1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디코드영상(동영상)의 제 1 라인의 수평 2화소 데이터와 계수값 데이터를 선택하고, 동 데이터에 의한 승가산처리를 실행시킨다. 수평 2화소 데이터와 계수값은 데이터 판독수단(1108)으로부터 입력된다. 연산결과는 레지스터 파일(1064)에 기입시킨다.
(2) 명령 2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제 2 라인의 수평 2화소와 계수값 데이터를 선택하고, 동 데이터에 의한 승가산처리를 실행시킨다. 수평 2화소 데이터와 계수값은 명령 1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판독수단(1108)으로부터 입력된다. 연산결과는 통과(데이터 선택수단으로 피드백)된다.
(3) 명령 3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1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 데이터와 명령 2의 연산결과(통과된 것)를 선택하고, 승가산연산을 실행한다. 이로 인하여 제 1 라인과 제 2 라인의 데이터에 의한 수직연산을 실행한 것이 된다. 연산계수값 , 는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계수 레지스터를 갖게 하고, 시스템 제어수단(100)을 라인단위로 설정함으로써 실현된다. 연산결과는 레지스터 파일(1064)에 기입시킨다.
(4)명령슬롯 4∼6은 명령실행을 특별히 행하지는 않는다.
연산기 B :
(1) 명령 1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연산기A의 명령 3으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의 데이터와 배경색이 되는 레지스터값(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유지)을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계수값 는 디코드영상의 유효표시기간 신호로부터 생성되어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서 선택된다. 그 연산결과는 통과(데이터 선택수단으로 피드백)된다. 이로 인하여 유효표시영역 외를 특정한 배경색으로 전부 칠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2) 명령 2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1의 연산결과와 OSD 데이터를 선택하고, 합성처리를 행한다. OSD 데이터는 영상데이터와의 합성값(계수값)을 갖는 것으로 한다. 연산결과는 출력전환수단(1065)에 기입하고, 외부 모니터로 출력시킨다.
(3) 명령슬롯 3∼6은 명령실행을 특별히 행하지는 않는다.
2개의 영상처리부(106A, 106B)의 연산기B(1063)의 출력은 출력선택수단(109)에 입력되고,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교대로 선택되어 출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선택수단(109)은 영상처리부(106A)와 영상처리부(106B)로부터의 데이터를 2화소마다 동시에 래치하여 영상처리부(106A)의 래치데이터를 먼저 출력하고, 영상처리부(106B)의 데이터를 1화소분 지연시키고 나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에 의해 화소클록에 동기시켜 명령(6단계)을 반복 실행하고, 2개의 영상처리부를 동작시킴으로써 1라인분의 화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디코드영상에 대한 확대처리는 연산기A에서의 명령 1∼3을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확대처리의 경우는, 명령 1만 실행하고, 명령 2∼명령 6을 NOP(No Operation)로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도 6의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종래예의 도 15의 영상처리를 실현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디코드영상(동영상)과 정지화상 데이터의 두 가지의 화면을 각각 수평ㆍ수직방향으로 1/2 축소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수직 1/2 축소시는 연속하는 2라인에 의해 보간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도 8과 마찬가지로 화소클록을 13.5MHz로 하고, 영상처리부(1O6A, 106B), 명령시퀀서(107)의 동작클록을 3배인 40.5MHz로 한다. 명령시퀀서(107)로 제어되는 명령을 아래와 같이 제어한다.
연산기 A :
(1) 명령 1∼명령 3 :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3) 명령 4∼명령 6 : 실행내용은 명령 1∼3과 같지만, 데이터 선택수단(1061)으로부터 연산데이터로서 정지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점이 다르다.
연산기 B :
(1) 명령 1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연산기A의 명령 3으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과 배경색이 되는 레지스터값(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유지)을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결과는 레지스터 파일(1064)에 기입시킨다.
(4) 명령 2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연산기A의 명령 6으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과 배경색이 되는 레지스터값(데이터 선택수단(1061)에 유지)을 선택하고, 연산을 실행한다. 그 연산결과는 통과된다.
(5) 명령 3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1로 기입한 레지스터 파일(1064)과 명령 2의 연산결과를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계수값 는 디코드영상(동영상)의 유효표시기간 신호로부터 생성되어 데이터 선택수단(1061)에서 선택된다. 그 연산결과는 통과된다.
(6) 명령 4 : 데이터 선택수단(1061)은 명령 3의 연산결과와 OSD 데이터를 선택하고, 연산을 행한다. 연산결과는 출력전환수단(1065)에 기입하여 외부 모니터로 출력시킨다.
이상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동일한 영상표시장치로, 도 8, 도 9의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영상처리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명령시퀀서로 복수의 영상처리부를 제어시켜, 명령의 조합에 의해 여러 표시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영상처리의 제어계를 1개로 함으로써 회로규모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과 아울러, 복수의 영상처리부를 병렬처리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영상해상도가 증가된 경우에도 병렬동작되는 영상처리부수를 늘림으로써 마찬가지의 영상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앞으로는 고품위(해상도가 720화소 ×480라인을 넘는다)로의 대응이 필요하게 되어, 그 실현성은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LSI화를 도모하는 데에는 동일한 회로를 병렬로 사용하는 것은 신규로 회로를 설계하는 경우에 비해 개발이 용이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영상처리부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히 그 수를 한정할 만한 것은 아니다. 또 도 6에서는 2개의 연산기에 의해 필터연산과 합성연산을 따로따로 실행시켜 실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그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개의 연산기로 실현해도 되고, 또 복수의 연산기를 조합해도 된다. 연산기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승가산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명령메모리 크기를 2화소분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복수화소분이나 1라인분을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산결과 버퍼수단인 레지스터 파일을 이용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연산결과를 매사이클 사용하는 것과 같이 명령을 지정하면 레지스터 파일을 갖지 않아도 실현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 5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복수의 영상처리부를 1개의 명령시퀀서로 제어하는 점은 동일하지만, 명령시퀀서의 명령디코더를 영상처리부마다 갖게 하는 점이 다르다. 도 6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는 청구항 8의 영상표시장치의 일례이다.
명령 디코더수단(1073A, 1073B)은 도 6의 명령 디코더수단(1073)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명령메모리(1174)는 도 6의 명령메모리(1071)와 같이 6개의 명령을 저장하지만,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2개의 명령을 판독하는 점이 다르다. 출력선택수단(110)은 2개의 영상처리부(106A, 106B)로부터의 2개의 생성데이터를 일단 저장하고, 표시클록에 동기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종래예의 도 17의 영상처리를 실현한 예이고, 화소클록을 13.5MHz로 하고, 영상처리부, 명령시퀀서의 동작클록을 3배인 40.5MHz로 하고 있다.
명령실행 제어수단(1072)은 2화소를 1주기로 하여 명령메모리(1174)의 0∼5번지까지의 명령을 반복하여 판독한다. 이 때 명령 디코더수단(1073A, 1073B)에 주는 명령을 도 11과 같이 어긋난 것으로 한다. 즉 명령 디코더수단(1073A)의 명령 1의 타이밍으로, 명령 디코더수단(1073B)에는 명령 4를 부여한다.
이 2개의 명령 디코더수단(1073A, 1073B)은 각각 대응하는 영상처리부(106A, 106B)에 대하여, 데이터 선택수단(1061)과 연산기A(1062)와 연산기B(1063)를 제어한다. 명령제어는 상술한 제 4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서 연산결과 데이터는 연산기B의 BLD(OSD)로 표시된다. 영상처리부(106A, 106B)의 연산결과 데이터가 화소마다 교대로 생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출력선택수단(110)은 제 4 실시예에서 이용한 바와 같은 지연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화소클록에 동기시켜 교대로 셀렉트하는 것 만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명령시퀀서로 복수의 영상처리부를 제어시켜, 명령의 조합에 의해 여러 표시처리를 제 4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이라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영상처리부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그 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11의 구성예에서는 2개의 연산기에 의해 필터연산과 합성연산을 따로따로 실행시켜 실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개의 연산기로 실현해도 되고, 또 복수의 연산기를 조합해도 된다. 연산기도 승가산처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명령메모리 크기를 2화소분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복수화소분이나 1라인분을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산결과 버퍼수단인 레지스터 파일을 이용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연산결과를 매사이클 사용하는 것과 같이 명령을 지정하면 레지스터 파일을 갖지 않아도 실현된다.
(제 6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 6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3은 마찬가지로 별도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도 11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는 청구항 11의 영상표시장치의 일례이다.
라이트백수단(111)은 연산기A(1062) 및 연산기B(1063)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라이트백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입출력 버퍼수단(112)은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의 표시데이터의 판독에 덧붙여, 라이트백수단(111)에 라이트백된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2)에 기입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명령시퀀서(107)의 명령으로, 연산결과의 기입목적지로서 라이트백수단(111)을 선택함으로써, 처리한 디코드영상 등을 입출력 버퍼수단(112)에 기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와 도 13의 차이점은 2개의 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생성타이밍이 다르다는 점이다. 도 12에서는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화소클록마다 2화소분이 동시에 생성된다. 한편 도 13에서는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명령을 1화소분 어긋나게 함으로써 2개의 영상처리부로부터 1화소씩 교대로 생성된다.
또 이들 구성예의 차이는 본 실시예가 중점을 두고 있는 기입동작에는 직접 관계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동작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으로서는 명령 디코더수단(1073)으로부터 라이트백수단(111)이 선택되면 연산기A(1062) 또는 연산기B(1063)의 출력데이터를 라이트백수단(111)으로 일단 저장한다.
라이트백수단(111)은 저장한 데이터를 표시판독 이외의 사이클로 입출력 버퍼수단(112)에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수단(100)은 1라인분의 연산결과 데이터가 기입되면 메모리 제어수단(104)에 의해 프레임 메모리(102)에 대한 기입 전송을 제어한다.
라이트백된 영상을, 정지화상으로서 프레임 메모리(102)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면, 축소한 복수의 디코드영상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면 프로그램표에 축소된 정지화상을 끼워 넣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영상처리부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그 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7의 구성예에서는 2개의 연산기에 의해 필터연산과 합성연산을 따로따로 실행시켜 실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개의 연산기로 실현해도 되고, 또 복수의 연산기를 조합해도 된다. 연산기도 승가산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명령메모리 크기를 2화소분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복수화소분이나 1라인분을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산결과 버퍼수단인 레지스터 파일을 이용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연산결과를 매사이클 사용하는 것과 같이 명령을 지정하면, 레지스터 파일을 갖지 않고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 각 구성부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되고, 혹은 전용의 하드웨어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 기재한 각 수단 또는 각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작성하여,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장치에서의 각 수단, 각부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이기도 하다.
이상 설명한 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발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확장성이 뛰어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에 의하면, 사업자에 따라 다른 표시요구사양에 대하여, 공통의 하드웨어와 표시요구사양에 대응한 명령의 조합에 의해 용이하게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그 명령메모리도 적은 크기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하이디피니션(해상도가 720화소 ×480라인을 넘는다) 등 영상해상도가 증가된 경우라도, 병렬동작시키는 영상처리부를 늘림으로써 같은 특징을 갖는 영상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이로 인하여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요구사양마다 다른 품종의 회로(LSI)를 제작함에 따르는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두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고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범용의 연산기와, 이것에 입력해야 할 표시데이터 및 연산내용을 명령으로서 기술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기술한 명령을 표시클록에 동기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영상의 확대·축소처리 및 OSD와의 합성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장치와 같은 각 요구사양마다 전용회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명령시퀀서 내의 명령을 재기입함으로써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15)

  1.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타이밍을 생성하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타이밍 생성수단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출력버퍼수단과,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기와,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과,
    상기 표시타이밍 생성수단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과 상기 연산기를 제어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상기 명령시퀀서는,
    상기 연산기와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명령메모리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명령을 판독하는 명령실행 제어수단과,
    상기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여,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해 상기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령 디코더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메모리는 적어도 화소클록의 1주기 내의 실행명령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명령실행수단은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상기 명령메모리를 반복하여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기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기억가능하고, 또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으로 출력가능한 연산결과 버퍼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기로부터의 데이터출력을 상기 출력버퍼수단에 라이트백하는 라이트백수단을 구비하며, 명령시퀀서가 상기 라이트백수단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시퀀서는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판독하는 명령수를 전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타이밍을 생성하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표시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출력버퍼수단과,
    원하는 표시사양에 따라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의 표시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표시데이터 판독수단과,
    상기 표시데이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처리하는 복수의 영상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부의 출력데이터를 선택하는 출력선택수단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한 처리명령 중의 원하는 표시사양에 대응하는 처리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부 및 상기 출력선택수단을 제어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상기 각 영상처리부는,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기와,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상기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가지며,
    상기 명령시퀀서는,
    상기 연산기 및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명령메모리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명령을 판독하는 명령실행 제어수단과,
    그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부 내의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령 디코더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삭제
  9.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와,
    표시타이밍을 생성하는 표시타이밍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표시타이밍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 제어수단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출력버퍼수단과,
    원하는 표시사양에 따라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의 표시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표시데이터 판독수단과,
    상기 표시데이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처리하는 복수의 영상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부의 출력데이터를 선택하는 출력선택수단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표시사양에 대응한 처리명령 중의 원하는 표시사양에 대응하는 처리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부 및 상기 출력선택수단을 제어하는 명령시퀀서를 구비하며,
    상기 각 영상처리부는,
    각각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회의 연산을 행하여 표시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기와,
    상기 출력버퍼수단으로부터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표시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상기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가지며,
    상기 명령시퀀서는,
    상기 연산기와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한 명령메모리와,
    화소클록의 1주기 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명령을 판독하는 명령실행 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부마다 설치되고, 상기 판독된 명령을 디코드하여 영상처리부 내의 연산기에 입력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령 디코더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메모리는 적어도 화소클록의 1주기 내의 실행명령을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명령실행 제어수단은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상기 명령메모리를 반복하여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상처리부는 각각 상기 연산기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기억가능하고, 또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으로 출력가능한 연산결과 버퍼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상처리부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상기 출력버퍼수단에 라이트백하는 라이트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명령시퀀서가 상기 라이트백수단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 1항, 제 7항, 제 9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각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기록매체.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메모리는 적어도 화소클록의 1주기 내의 실행명령을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명령실행 제어수단은 화소클록에 동기하여 상기 명령메모리를 반복하여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상처리부는 각각 상기 연산기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기억가능하고, 또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으로 출력가능한 연산결과 버퍼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0-7001388A 1998-06-11 1999-06-10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527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63143 1998-06-11
JP10163143A JPH11355683A (ja) 1998-06-11 1998-06-11 映像表示装置
JP???10-349111 1998-12-08
JP10349111A JP2000175114A (ja) 1998-12-08 1998-12-08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788A KR20010022788A (ko) 2001-03-26
KR100527982B1 true KR100527982B1 (ko) 2005-11-09

Family

ID=2648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388A KR100527982B1 (ko) 1998-06-11 1999-06-10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1269B1 (ko)
EP (1) EP1006721A4 (ko)
KR (1) KR100527982B1 (ko)
CN (1) CN1160947C (ko)
TW (1) TW432865B (ko)
WO (1) WO1999065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6929B1 (en) * 2001-07-17 2007-02-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cost animated sequence function for low cost OSD devices
JP3678187B2 (ja) 2001-09-28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US7451457B2 (en) 2002-04-15 2008-11-11 Microsoft Corporatio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video renderers and graphics device drivers
US7219352B2 (en) * 2002-04-15 2007-05-1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processing of interlaced video images for progressive video displays
EP1359773B1 (en) * 2002-04-15 2016-08-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video renderers and graphics device drivers
JP3724578B2 (ja) * 2003-07-18 2005-12-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643675B2 (en) * 2003-08-01 2010-01-05 Microsoft Corporation Strategies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using a color information data structure
US7158668B2 (en) 2003-08-01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using linear light values and other image processing improvements
US7139002B2 (en) * 2003-08-01 2006-11-21 Microsoft Corporation Bandwidth-efficient processing of video images
JP3756499B2 (ja) * 2003-10-03 2006-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縮小方法、画像縮小装置、画像縮小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459590B2 (ja) * 2003-10-10 2010-04-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tvデータ処理装置
CN100383856C (zh) * 2005-02-06 2008-04-23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控制系统及其方法
JP2007299191A (ja) * 2006-04-28 2007-11-15 Yamaha Corp 画像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443A (ja) * 1995-10-20 1997-05-02 Seiko Epson Corp 映像スケーリング装置
JPH10336544A (ja) * 1997-06-03 1998-12-18 Toshiba Corp 画像デコード装置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382A (ja) 1984-02-28 1985-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712206B2 (ja) * 1984-10-01 1995-02-08 日本放送協会 映像信号処理用基本装置
JP2535395B2 (ja) * 1988-12-23 1996-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H0468888A (ja) 1990-07-06 1992-03-04 Toshiba Corp 信号処理装置
JP2924541B2 (ja) 1993-02-15 1999-07-2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回路
JP3231142B2 (ja) 1993-06-18 2001-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圧縮拡大回路及び装置
US5694585A (en) * 1994-11-10 1997-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able memory controller and data terminal equipment
US5982459A (en) * 1995-05-31 1999-11-09 8×8, Inc. Integrated multimedia communications processor and codec
EP0777198A1 (en) * 1995-11-30 1997-06-04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953561B2 (ja) * 1996-10-15 2007-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信号のフォーマット変換信号処理方法及び回路
JPH10198302A (ja) * 1997-01-10 1998-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スキャン型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443A (ja) * 1995-10-20 1997-05-02 Seiko Epson Corp 映像スケーリング装置
JPH10336544A (ja) * 1997-06-03 1998-12-18 Toshiba Corp 画像デコード装置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6721A4 (en) 2007-08-08
KR20010022788A (ko) 2001-03-26
EP1006721A1 (en) 2000-06-07
CN1160947C (zh) 2004-08-04
WO1999065236A1 (fr) 1999-12-16
TW432865B (en) 2001-05-01
US6611269B1 (en) 2003-08-26
CN1273000A (zh) 200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0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real time video
KR100412763B1 (ko) 화상 처리 장치
US6519283B1 (en) Integrated video processing system having multiple video sources and implementing picture-in-picture with on-screen display graphics
US6353460B1 (en) Television receiver,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970011268B1 (ko) 비디오 신호 송신용 장치
US6493005B1 (en) On screen display
EP1185093A2 (en) Television signal reception apparatus
KR10052798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CN102523372B (zh) 共享存储器的多视频频道显示装置和方法
US20020196367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therefor
EP1274232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2335444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マルチ画面表示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100190250B1 (ko) 디지탈 텔레비전 수신기
EP2355496A1 (en) Shared memory multi video chan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Jaspers et al. Chip-set for video display of multimedia information
JP200333899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7203236B2 (en) Moving picture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reproducing a moving picture
KR1007577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메모리 최소화를 위한 수평 라인 활성시점 결정 방법 , 이를 이용하는 피아이피 수행방법 및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0181671B1 (ko) 화상처리장치
JP2007259193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方法
JP200705758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テレビ受信機
JPH11355683A (ja) 映像表示装置
KR19990003971A (ko) Pdp-tv의 pip 구동장치
JP3685386B2 (ja) 複数のビデオ・ソースを有し、オンスクリーン表示グラフィックスでピクチャ内ピクチャを実現する統合ビデオ処理システム
JP2001016521A (ja) ディジタル映像受信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