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872B1 -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872B1
KR100526872B1 KR10-2003-0062699A KR20030062699A KR100526872B1 KR 100526872 B1 KR100526872 B1 KR 100526872B1 KR 20030062699 A KR20030062699 A KR 20030062699A KR 100526872 B1 KR100526872 B1 KR 10052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control
shift
connecting means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473A (ko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8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변속 레버와 콘트롤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력을 콘트롤 샤프트에 전달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와 시프트 레버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만 상기 변속 레버와 시프트 레버가 상호 결합되게 하는 커넥팅 수단과;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커넥팅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커넥팅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는 상기 변속 레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플런저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팅 수단은 상기 변속 레버 하단부와 플런저부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은 변속기로부터 변속 레버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쾌적한 차 실내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for Transmission Gear Shift Lever}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에 직결된 구조를 갖는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기로부터 변속 레버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여 보다 쾌적한 주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후륜 구동 차량에 적용되는 수동 변속기와 이 수동 변속기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변속 레버(10)가 변속기(20) 측에 직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하우징(22)이 변속기(2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콘트롤 샤프트(14) 및 시프트 레버(12) 등이 구비되어 상기 변속 레버(10)의 하단부에 연결됨으로써 변속 레버(10)의 조작력을 변속기(20) 내의 시프트 레일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동 변속기(20)에 변속 레버(10)가 직결된 구조는 전체적으로 변속 조작 구조는 간단하고 조작력의 손실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변속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그대로 변속 레버(10) 쪽에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종래에는 매스 댐퍼를 장착하거나 변속 레버(10) 중간에 고무 등의 절연물을 삽입하여 절연성능을 올리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변속 레버의 중량을 증가시키거나 변속 조작 기구의 전체 구조를 복잡하게 하며, 진동도 충분히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변속 레버(1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변속 레버와 변속 메커니즘에 진동절연기구를 두어 진동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인데, 케이블 타입의 변속 메커니즘이나 전기 조작기구를 두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모두 변속 조작기구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레이 아웃 상의 제약을 받으며, 중량 및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 레버의 작동시에만 변속 레버와 시프트 레버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기로부터 변속 레버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보다 쾌적한 차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는, 변속기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변속 레버와 콘트롤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력을 콘트롤 샤프트에 전달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와 시프트 레버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만 상기 변속 레버와 시프트 레버가 상호 결합되게 하는 커넥팅 수단과;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커넥팅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커넥팅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는 상기 변속 레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플런저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팅 수단은 상기 변속 레버 하단부와 플런저부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의 A-A선 방향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는 변속기의 상측에 결합되는 콘트롤 하우징(6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변속 레버(50)와, 상기 콘트롤 하우징(6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속 레버(5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시프트 레일에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콘트롤 샤프트(54)와, 상기 변속 레버(50)와 콘트롤 샤프트(54) 사이에 연결되어 변속 레버(50)의 조작력을 콘트롤 샤프트(54)에 전달하는 시프트 레버(55)와, 상기 변속 레버(50)와 시프트 레버(55)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변속 레버(50)를 조작할 때만 상기 변속 레버(50)와 시프트 레버(55)가 상호 결합되게 하는 커넥팅 수단(70)과, 상기 변속 레버(50)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커넥팅 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커넥팅 제어수단(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속 레버(50)는 상기 콘트롤 하우징(60)에 하단부(53)가 삽입되어, 회동부(51)를 중심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프트 레버(55)는 그 일측에 상기 변속 레버(50)의 하단부(53)가 삽입되는 플런저부(56)가 구비되고, 상기 변속 레버의 하단부(53)는 상기 플런저부(56) 내에서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유격(G)을 갖도록 삽입된다.
상기 커넥팅 수단(70)은 상기 변속 레버(50) 하단부(53)와 플런저부(56) 사이에 구비되는 바, 상기 변속 레버(50) 또는 시프트 레버(55)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 제어수단(80)의 제어에 따라 돌출되면서 상대 부품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속 레버(50)에서 돌출되어 시프트 레버(55) 쪽에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커넥팅 수단(70)은 상기 변속 레버(50)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팅 바(71)와, 상기 커넥팅 제어수단(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바(71)를 돌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73(과, 상기 시프트 레버(55)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팅 바(71)가 삽입되는 결합 홈(58)과, 상기 결합 홈(58) 내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 바(71)를 원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7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 바(71)와 결합 홈(58)은 복수개가 형성되되, 방사 구조를 갖도록 상기 변속 레버(5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균일하게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 제어수단(80)은 클러치 페달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여 클러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클러치 센서(81)와, 상기 클러치 센서(81)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73)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컴퓨터(8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운전자가 주행 중이거나 정차중일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바(71)가 리턴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변속 레버(50)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에는 변속 레버(50)와 시프트 레버(55)가 결합되어 있지 않고, 일정한 유격(G)을 가진 상태로 떨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변속기로부터 콘트롤 샤프트(54) 또는 시프트 레버(55)를 통해 변속 레버(50)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을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클러치 페달을 밟게 되는 바, 이때, 클러치 센서(81)를 통해 제어 컴퓨터(83)가 클러치 페달의 조작 상태를 입력받게 되고, 상기 제어 컴퓨터(83)에서 솔레노이드 코일(73)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바(71)가 돌출되면서 시프트 레버(55)의 결합홈(58)에 삽입된다.
따라서, 변속 레버(50)와 시프트 레버(55)는 커넥팅 바(71)를 통해 방사 구조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변속 레버(50)의 조작력이 시프트 레버(55)에 유격 없이 직결된 구조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변속을 완료한 다음,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게 되면, 솔레노이드 코일(73)의 전자력이 상실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커넥팅 바(71)는 리턴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는 변속 레버와 변속 메커니즘이 기어 변속시에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로부터 변속 레버를 통해 차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쾌적한 차 실내 환경을 확보할 수 있고, 케이블 타입이나 전기 조작기구를 두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경량화를 실현하고, 원가 상승을 줄이며, 구조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후륜 구동형 차량의 수동 변속기 및 변속 레버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도 3의 A-A선 방향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4는 전자력 작동시의 상태도, 도 5는 전자력 미작동시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변속 레버 54 : 콘트롤 샤프트
55 : 시프트 레버 56 : 플런저부
58 : 결합홈 60 : 콘트롤 하우징
70 : 커넥팅 수단 71 : 커넥팅 바
73 : 솔레노이드 코일 75 : 리턴 스프링
80 : 커넥팅 제어수단 81 : 클러치 센서
83 : 제어 컴퓨터

Claims (10)

  1. 변속기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변속 레버와 콘트롤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력을 콘트롤 샤프트에 전달하는 시프트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와 시프트 레버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변속 레버를 조작할 때만 상기 변속 레버와 시프트 레버가 상호 결합되게 하는 커넥팅 수단과;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커넥팅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커넥팅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는 상기 변속 레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플런저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팅 수단은 상기 변속 레버 하단부와 플런저부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는 상기 플런저부 내에서 일정 정도의 유격을 갖도록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수단은 상기 변속 레버 또는 시프트 레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돌출되면서 상대 부품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수단은 상기 변속 레버에서 방사형 구조로 돌출되어 상기 시프트 레버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수단은 상기 변속 레버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팅 바와, 상기 커넥팅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바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시프트 레버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팅 바가 삽입되는 결합 홈과, 상기 커넥팅 바를 원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결합홈 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와 결합 홈은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와 결합 홈은 상기 변속 레버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제어수단은 클러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클러치 센서와, 상기 클러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커넥팅 수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KR10-2003-0062699A 2003-09-08 2003-09-08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KR10052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699A KR100526872B1 (ko) 2003-09-08 2003-09-08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699A KR100526872B1 (ko) 2003-09-08 2003-09-08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473A KR20050025473A (ko) 2005-03-14
KR100526872B1 true KR100526872B1 (ko) 2005-11-09

Family

ID=3738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699A KR100526872B1 (ko) 2003-09-08 2003-09-08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33B1 (ko) * 2006-05-30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CN108757926B (zh) * 2018-07-17 2024-01-1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天线式变速操纵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473A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7193A (ko) 전기모터식 클러치 액추에이터 구조
JP3911610B2 (ja) 車両用シフトバイワイヤーシステムの変速装置
KR100526872B1 (ko) 변속 레버의 진동 저감 장치
KR100387468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JP2000088012A (ja) 歯車式変速機の自動クラッチ装置
CN113544001A (zh) 油门及刹车联动动力传递装置
KR100391635B1 (ko) 수동 변속기용 변속 케이블 엔드 구조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218791B1 (ko) 자동차용 클러치
KR970001959Y1 (ko) 차량변속기의 작동연결장치
KR20050034278A (ko) 변속 케이블 어셈블리
KR100345148B1 (ko) 자동변속기 셀렉트 레버유닛용 강제 시프트 다운 장치
KR100276916B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KR100395063B1 (ko) 차량의 수동변속기
KR20070048453A (ko)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KR100369169B1 (ko) 수동변속기
KR100423541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구조
KR200147052Y1 (ko) 수동 변속차량의 변속감 향상구조
KR19980016535U (ko) 클러치 페달의 리턴스프링 장착구조
KR100726220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용 시프트 레일 고정장치
KR200142379Y1 (ko)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KR100461079B1 (ko) 진동절연성을 갖춘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783576B1 (ko) 클러치 페달 진동 저감장치
KR19980068537A (ko) 차량의 변속 시스템
KR20050069749A (ko) 수동 변속기의 자동 겸용 변속 조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