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379Y1 -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379Y1
KR200142379Y1 KR2019960036938U KR19960036938U KR200142379Y1 KR 200142379 Y1 KR200142379 Y1 KR 200142379Y1 KR 2019960036938 U KR2019960036938 U KR 2019960036938U KR 19960036938 U KR19960036938 U KR 19960036938U KR 200142379 Y1 KR200142379 Y1 KR 200142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engine
solenoid
shift le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550U (ko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6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3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5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엔진의 출력증대에 따른 알맞은 변속비를 구하고자 변속레버(10)를 조작하게 될 때 상기 엔진의 구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운전자가 일일이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하여 불편함을 초래하고 이를 개선하도록 제공된 자동변속기가 고가여서 차량원가비용이 부담이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변속레버(10)가 중립상태를 벗아나게 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센서부(20)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제어장치(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되, 솔레노이드 코일(32)을 갖는 솔레노이드부(30)와, 상기 솔레노이드부(30)와 나사결합을 하되 내측에 절연유를 갖는 댐퍼부(31)와, 상기 솔레노이드부(30) 및 댐퍼부(31)상을 유동하되 상기 댐퍼부(31)의 홈측면에 쉴 러버(37)에 의해 감싸진 피스톤 로드(35)가 구비됨으로써, 운전자가 엔진의 출력증대에 따른 변속기의 변속기 일일이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 변속레버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클러치 디스크를 엔진의 구동축으로부터 탈락시켜 변속기로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키게하여 운전자가 기어변속조작을 간단히 하게하여 편의를 제공하며 고가의 자동변속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운전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본 고안은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속도에 따른 알맞은 변속비를 구하고자 조작하게 되는 변속레버에 장착된 센서가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상태를 감지하여 중앙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고 다시 이 신호를 솔레노이드와 댐퍼가 받아 클러치 디스크를 엔진의 구동축으로부터 탈락시켜 변속기의 변속시 엔진의 동력이 상기 변속기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변속기가 구비되는데 상기 엔진의 출력상태를 높이는 가속페달과 상기 엔진의 출력상태에 따른 회전력의 전달을 위해 변속기의 기어물림상태를 알맞은 상태로 조정하는 변속레버(10)가 차량의 운전석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 소정부위와 프론트측 센터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과 엔진의 출력에 따른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기어물림을 하게 되는 변속기 사이에는 상기 엔진의 시동시 무부하 상태를 유지시키고 차량의 관성운전을 위하여 엔진의 동력을 차단하며 또한 변속기의 변속시 일시적으로 동력을 차단하여 변속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러치(1)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구동을 위하여 엔진을 출력시키고 가속페달의 푸쉬작용으로 엔진의 출력증대에 따라 변속기를 변속시키고자 상기 차량의 프론트측 센터부에 구비된 변속레버(1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1-2-3-4-5-R로 가이드 홈(11)을 따라 작동시키게 될 때 상기 변속레버(10)의 작동에 의한 변속기 변속시 클러치 페달을 밟게되면 유압에 의한 작용으로 상기 클러치 디스크(2)가 엔진의 구동축(4)으로부터 탈락되게 되어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엔진의 출력증대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시 일일이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해 클러치 페달을 밟게 되는 것이 여성운전자나 초보운전자에게는 과중한 부담이 되게 되며 또한 현재의 도심의 교통환경에서 번번히 정차와 출발을 반복해야 하는 운전상황속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어변속 행위가 운전자에게 많은 피로를 초래하게하여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 자동변속기가 보급되어 많은 차량이 채용하고 있으나 상기 자동변속기의 가격이 고가여서 차량의 원가부담이 크게 증가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변속기의 변속시 엔진의 동력이 상기 변속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구비된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변속기의 변속시 일일이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 상기 변속기의 변속레버의 조작만으로 클러치 디스크가 엔진과 변속기의 상호 동력전달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친 구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하여 차량의 수동변속레버와 가이드부에 상기 수동변속레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발광부와 수광부 및 센서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록계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변속레버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댐퍼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클러치, 2:클러치 디스크, 3:클러치 축, 4:구동축, 10:변속레버, 11:가이드홈, 30:솔레노이드부, 31:댐퍼부, 32:솔레노이드 코일, 33,34:하우징, 35:피스톤 로드, 36:홀, 37:쉴 러버, 38:나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변속기의 기어물림상태를 변화시키며 양측으로 투광부를 갖는 센서가 장착되어진 변속레버가 1-2-3-4-5-R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홈의 양측에 구비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지나게 될 때 상기 센서에 의해 변속레버의 작동을 감지하여 중앙제어장치를 통하여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클러치 디스크가 엔진의 구동축으로부터 탈락되도록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갖는 솔레노이드부와, 절연유를 갖는 댐퍼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댐퍼부상을 유동하는 피스톤 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양측에 투광부와 연결된 센서가 구비된 변속레버가 중립상태를 벗어나 1-2-3-4-5-R 등의 가이드 홈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호 광신호를 주고받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상기 변속레버의 센서와 연결된 투광부가 통과하면서 상기 광신호를 차단시키게 되며 이때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중앙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고 이를 다시 솔레노이드부와 댐퍼부로 보내어 상기 솔레노이드부의 코일과 피스톤 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호 연결된 클러치 디스크가 엔진의 구동축으로부터 연결 또는 탈락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엔진의 출력증대에 따른 알맞은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하여 변속기 기어의 물림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변속레버(1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변속레버(10)의 일측에 센서(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20)의 양측으로 각각 투광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속기가 알맞은 변속비를 갖고자 상기 변속레버(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1-2-3-4-5-R로 이동할 때 통과하게 되는 각각의 가이드 홈(11) 양측에는 상호 광신호를 발신 및 수신하는 발광부(21)와 수광부(2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의 출력증대에 따라 알맞은 변속비를 구하고자 변속레버(1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방향으로 해칭된 부분의 중립상태를 벗어나게하여 1-2-3-4-5-R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1-2-3-4-5-R로 향하는 가이드 홈(11)의 입구측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광신호를 상호 주고받는 발광부(21)와 수광부(22) 사이를 변속레버(10)가 통과하면서 상기 변속레버(10)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20)의 양측에 구비된 투광부(23)가 상기 발광부(21)와 수광부(22) 사이의 광신호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광부(23)에 의해 차단된 광신호에 의해 상기 변속레버(10)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20)가 상기 변속레버(10)가 중립상태를 벗어났음을 감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제어장치(12)를 거쳐 솔레노이드부(30)와 댐퍼부(31)로 입력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코일(32)을 하우징(33)으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댐퍼(31)는 내측에 절연유를 하우징(34)으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30)의 하우징(33) 일단과 댐퍼(31)의 하우징(34) 일단은 나사부(38)에 의하여 상호 나사결합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나사에 의해 결합된 솔레노이드부(30)와 댐퍼부(31)의 하우징(33,34) 중앙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상을 철재의 피스톤 로드(35)가 왕복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35)가 절연유가 내장된 댐퍼부(31)를 유동할 때 상기 댐퍼부(31)의 절연유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35)가 통과하는 홈에는 쉴 러버(37)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35)에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같이 소정개수의 홀(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35)의 끝단은 클러치 축(3)과 상호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클러치 축(3)은 엔진의 구동축(4)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플라이 휠(도시안됨)과 밀착 및 탈락되도록 구비된 클러치 디스크(2)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중 엔진의 출력증대에 따라 알맞은 변속비를 구하고자 변속레버(10)를 1-2-3-4-5-R등으로 가이드 홈(11)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변속레버(10)의 일측에 양측으로 투광부(23)를 갖는 센서(20)가 상기 각기 가이드 홈(11)에 양측으로 구비된 발광부(21) 및 수광부(22)를 지나면서 광센서를 감지하여 이를 중앙제어장치(12)로 보내고 다시 입력된 신호를 솔레노이드부(30) 및 댐퍼부(31)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중앙제어장치(12)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하우징(33)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코일(32)이 철재로 된 피스톤 로드(35)를 댐퍼부(31)의 절연유를 통과시키면서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35)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35)의 끝단에 클러치 축(3)과 상호 연결된 클러치 디스크(2)가 엔진의 구동축(4) 및 플라이 휠(도시안됨)로부터 탈락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35)가 댐퍼부(31)의 절연유를 압축시키며 유동함으로 인해 상기 댐퍼부(31)의 절연유가 외부로 누출되는것을 상기 댐퍼부(31)의 하우징(34)에 상기 피스톤 로드(35)가 통과하게 되는 홈의 내측에 구비된 쉴 러버(37)가 차단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출력증대에 따른 알맞은 변속비를 구하고자 조작하게 되는 변속레버에 장착된 센서부가 상기 변속레버의 작동을 감지하여 중앙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고 다시 이를 받아 클러치 디스크가 엔진의 구동축으로부터 탈락되도록 솔레노이드 코일을 하우징으로 감싸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나사부에 의한 나사결합을 하되, 내부의 절연유를 하우징으로 감싸는 댐퍼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댐퍼부상을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로드가 구비됨으로써,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상기 변속기의 변속기 일일이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고도 변속레버의 조작만으로 자동적으로 클러치가 일시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차단시키도록하여 차량의 운전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가의 자동변속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운전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에 있어서,
    센서부가 장착되어진 변속레버(10)가 중립상태를 벗어나면 신호를 중앙제어장치(12)를 통해 전달받아 작동되되, 내측에 솔레노이드 코일(32)을 하우징(33)으로 감싸는 솔레노이드부(30)와, 상기 솔레노이드부(30)와 나사결합을 하되 내부에 절연유를 하우징(34)으로 감싸는 댐퍼부(31)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32)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 로드(35)와, 상기 피스톤 로드(35)가 통과하는 댐퍼부(31)의 홈에 장착되는 쉴 러버(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는 댐퍼부를 왕복운동할 때 절연유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KR2019960036938U 1996-10-31 1996-10-31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KR200142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938U KR200142379Y1 (ko) 1996-10-31 1996-10-31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938U KR200142379Y1 (ko) 1996-10-31 1996-10-31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50U KR19980023550U (ko) 1998-07-25
KR200142379Y1 true KR200142379Y1 (ko) 1999-06-01

Family

ID=1947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938U KR200142379Y1 (ko) 1996-10-31 1996-10-31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3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50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081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a straddle type vehicle
SE9500641D0 (sv) Styrförfarande för ett vridmomentöverföringssystem samt vridmomentöverföringssystem för genomförande av styrförfarandet
KR200142379Y1 (ko)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US4453615A (en) Power steering system for road vehicles
KR200142378Y1 (ko)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 클러칭 구조장치
KR200431446Y1 (ko) 자동차 주행상태에 따른 차량의 자동 중립 변속 착탈 장치
KR19990020807U (ko) 파트 타임 4륜 구동 제어 장치
EP0931228B1 (en) An actuating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9980032907U (ko) 차량 수동변속기의 자동화 구조장치
KR200152208Y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와 엑셀레이터 페달의 연동장치
KR100218791B1 (ko) 자동차용 클러치
KR100245727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 레인지 자동 선택장치
KR20000010254A (ko) 자동차의 클러치조작용 보조장치
KR19980023551U (ko) 센서에 의한 차량의 수동변속기 자동화 구조
KR200242568Y1 (ko) 수동 변속기 차량용 자동화 클러치 구동부의 구동 구조
KR100384278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의 클러치 자동 제어 시스템
KR19980017050U (ko) 자동차용 무단변속장치
KR100276926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30007340B1 (ko) 자동차의 자동콘트롤 시스템
KR19980047325U (ko) 오토트랜스미션의 자력식 액튜에이터
KR19990034720A (ko) 자동차용 변속기
KR19980051584A (ko) 차량용 자동변속 시스템
KR19980060168A (ko) 자동 변속기의 오토파워 모드 작동 시스템
KR19980026537A (ko) 변속기 조작기구 제어 시스템
FR2842270B1 (fr) Boite de vitesses pour un vehicule automobile, limitant les ruptures de cou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