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726B1 - 카트리지에수납된디스크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에수납된디스크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726B1
KR100526726B1 KR10-1998-0022300A KR19980022300A KR100526726B1 KR 100526726 B1 KR100526726 B1 KR 100526726B1 KR 19980022300 A KR19980022300 A KR 19980022300A KR 100526726 B1 KR100526726 B1 KR 10052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holder
chassis
inner hold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991A (ko
Inventor
고우이찌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847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90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829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90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848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692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bstract

디스크 기록 장치는 디스크(60)를 수납한 카트리지(6)를 수평으로 보유 지지하는 내부 홀더(2)와, 상기 내부 홀더(2)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크에 빔을 조사하는 픽업(75)을 구비한 샤시(1)와, 내부 홀더(2)의 상면에 피복되어 카트리지 삽입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외부 홀더(3)를 구비한 메카데크(100)를 캐비닛(4) 내에 수납하고 있다. 내부 홀더(2)와 캐비닛(4)은 샤시(1)에 개방 설치된 관통 구멍(14) 및 절결(13)을 통해 부착 고정되고, 샤시(1)가 내부 홀더(2)에 대해 승강한다. 샤시(1)의 하강 완료 상태에서 샤시(1)의 하면과 캐비닛(4)의 바닥면 사이에는 픽업(75)이 위치하는 수납 공간(44)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 기록 장치{RECORDING DEVICE OF DISK RECEIVED IN CARTRIDGE}
본 발명은 카트리지 내의 디스크를 거쳐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20a, 도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카트리지(6) 내에 디스크(60)를 수용하고, 카트리지(6)의 일측부에 디스크를 노출시키는 관통 창(62)을 개방 설치한 기록 매체가 사용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5-298799호 공보). 관통 창(62)은 카트리지(6) 상을 미끄럼 이동하는 셔터(61)에 의해 개폐가 절환되고, 상기 셔터(61)의 측면에는 작은 구멍(63)이 개방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6)의 측부에서 셔터(61) 측에는 제1 슬릿(64)이, 셔터(61)와 반대측의 측부에는 제2 슬릿(65)이 각각 개방 설치되어 있다. 셔터(61)는 카트리지(6)에 대해 로크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카트리지(6)를 기록 장치에 삽입하면, 상기 장치 내의 로크 해제 부재(29)가 제1 슬릿(64)에 진입하여 로크를 해제하는 동시에 셔터(61)를 밀어서 개방한다.
도21은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메카데크(100)와, 메카데크(100)가 수납되는 캐비닛(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캐비닛(4) 전방면의 개구에는 회전 패널(42)이 상단부를 피봇 지지하고 있다. 카트리지(6)는 회전 패널(42)을 개방하면서 메카데크(100)에 삽입된다.
도17은 이 메카데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메카데크(100)로부터 카트리지(6)를 취출하는 측을 배출 측이라 한다. 그리고, 카트리지 진입 방향을 전방, 카트리지 배출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상기 메카데크(100)는 전방면 개구로부터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내부 홀더(2)와, 내부 홀더(2)의 상면을 덮는 외부 홀더(3)를 조합하여 샤시(1) 상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샤시(1)는 캐비닛(4)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샤시(1) 상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픽업(75) 및 턴테이블(76)이 설치되고, 픽업(75)에는 브래킷(71)을 거쳐서, 선단부에 기록 헤드(70)를 설치한 헤드 레버(7)가 하향 압박되어 부착되어 있다. 헤드 레버(7)는 샤시(1) 상에 설치한 헤드 승강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내부 홀더(2)의 상면에는 주위 모서리부에 절결(86)을 개방 설치한 축출 레버(8)가 피봇 지지되어 있다. 샤시(1) 상에서, 축출 레버(8)의 전방에는 스톱퍼 부재(17)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축출 레버(8)는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카트리지 배출측으로 압박되고, 내부 홀더(2) 상면의 스톱퍼(210)에 접촉하고 있다.
축출 레버(8)의 일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카트리지(6)에 압박되는 압박 부재(80)를 형성하고 있다. 외부 홀더(3)는 내부 홀더(2)에 씌워지고, 내부 홀더(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축(220, 220)은 외부 홀더(3)의 측면에 경사지게 개방 설치된 캠 홈(30, 30)에 끼워진다. 외부 홀더(3)의 양측부로부터는 돌기(37, 37) 및 카트리지(6) 배출시에 사용자가 당기는 조작 부재(31)가 각각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샤시(1)의 양측면에는 상기 돌기축(220)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18) 및 돌기(37)가 끼워지는 수평 홈(19)이 개방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홈(18)은 수평부(18a)와 수직부(18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홀더(3)의 후단부 측면으로부터는 스프링 걸이 부재(38)가 돌출되어 있다.
도19a, 도19b는 메카데크(100)의 측면도이다. 외부 홀더(3)의 스프링 걸이 부재(38)와 샤시(1) 사이에 인장 스프링(9)이 걸리고, 외부 홀더(3)는 카트리지(6)의 삽입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도18a, 도18b는 메카데크(100)의 평면도이다. 도18a에 도시한 대기 상태로부터 내부 홀더(2)에 카트리지(6)를 삽입하면, 카트리지(6)가 누름 부재(80)를 인장 스프링(85)에 저항하여 압박하고, 축출 레버(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출 레버(8)의 절결(86)이 스톱퍼 부재(17)에 대향하고, 내부 홀더(2)는 절결(86) 깊이 만큼 전진할 수 있다.
내부 홀더(2) 내에는 카트리지(6)의 제2 슬릿(65)에 끼워지는 돌기(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제2 슬릿(65)의 후단면이 내부 홀더(2)의 상기 돌기를 누르면, 내부 홀더(2)는 도19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돌기축(220)이 가이드 홈(18)의 수평부(18a)를 미끄럼 이동하고, 외부 홀더(3)의 캠 홈(30)을 누른다. 내부 홀더(2)에 눌려진 외부 홀더(3)는 돌기(37)가 샤시(1)의 수평 홈(19)에 끼워져서 수평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도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홀더(2)는 가이드 홈(18) 수평부(18a)의 전방 단부에 달한 후에 하강하고, 수직부(18b)의 하단부에 달한다. 카트리지(6)는 축출 레버(8)를 압입한 채 하강한다. 홀더(2)는 카트리지(6)를 수납한 상태에서 샤시(1)에 포개진다. 인장 스프링(9)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된 외부 홀더(3)는 돌기축(220)을 거쳐서 내부 홀더(2)를 전방 하향으로 압박되고, 카트리지(6)를 턴테이블(76)에 압박한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1. 샤시(1)는 캐비닛(4)에 고정되고, 내부 홀더(2)가 샤시(1) 상에서 승강한다. 내부 홀더(2)가 승강 통과하는 공간에는 픽업(75)은 물론, 부품 등을 구비할 수 없으므로, 캐비닛(4) 내에는 내부 홀더(2)의 승강량에 상당하는 무효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 박형화에 지장이 되고 있다.
2. 카트리지(6)는 캐비닛(4) 내에 수평 삽입되고 나서 하강한다. 따라서, 하강 거리가 짧을 때는 도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패널(42)이 수평 미끄럼 이동한 카트리지(6)에 압박되어 일단 개방한 후에, 도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6)의 장착 상태에서 회전 패널(42)이 반개방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반개방 상태는 외관이 좋지 않고, 사용자에게는 카트리지(6)가 마치 하강 도중에 걸려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이 반개방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6)의 하강 거리를 길게 하고 또는, 회전 패널(42)과 메카데크(100)의 거리를 길게 하여 회전 패널(42)의 하단부와 카트리지(6) 상면과의 접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무래도 장치가 대형화된다. 그리고, 카트리지(6)의 취출시에 회전 패널(42)을 개방하는 기구를 설치할 필요도 있으며, 기구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박형화, 소형화를 목적으로 한다.
내부 홀더(2)는 캐비닛(4)에 부착되고, 내부 홀더(2)와 캐비닛(4) 사이에 위치하는 샤시(1)가 내부 홀더(2)에 대해 승강한다.
이 경우, 샤시(1)의 이면측에는 픽업(75) 등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44)이 필요하지만(도15 참조), 샤시(1)는 이와 같은 수납 공간(44) 내에서 승강한다. 즉, 픽업 등의 수납 공간(44)과 샤시(1)의 승강 공간을 동시에 샤시(1)의 하측에 설치할 수 있고, 장치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카트리지(6)를 수납하는 내부 홀더(2)는 승강하지 않고, 카트리지(6)를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 패널(42)은 카트리지(6)의 상면에 접촉하여 개방 완료 상태를 유지하므로, 종래와 같이 회전 패널(42)이 반개방 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카트리지(6)의 장착 상태에서 회전 패널(42)을 폐쇄하지 않으므로, 샤시(1)의 승강 거리 및 회전 패널(42)로부터 메카데크(100)까지의 수평 거리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카트리지(6)와 캐비닛(4)의 사시도이다. 카트리지(6)는 셔터(61)를 우측으로 하여 캐비닛(4)의 삽입구(43)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구(43)의 내측 상변에는 삽입구(43)를 폐색하는 회전 패널(42)의 상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있다. 도2a, 도2b는 카트리지(6)와 회전 패널(42)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지만,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6)가 캐비닛(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패널(42)의 자유 단부는 카트리지(6) 상에서 접촉하고, 개방 완료 상태가 유지된다. 카트리지(6)의 후방 단부면에는 기록된 정보 명을 기재한 레벨을 부착하는 일이 많고, 사용자는 카트리지(6)가 캐비닛(4)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록된 정보 명을 확인할 수 있다.
(메카데크의 세부 구성)
도3은 캐비닛(4) 내에 위치하는 메카데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메카데크(100)는 카트리지(6)가 삽입되는 내부 홀더(2)와, 상기 내부 홀더(2) 상에 씌워져 내부 홀더(2) 상을 카트리지 삽입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외부 홀더(3)를 구비한다. 외부 홀더(3)와 내부 홀더(2)는 샤시(1)에 겹쳐진다. 상기 샤시(1)에는 픽업(75) 및 턴테이블(76) 외에 카트리지(6)의 바닥면을 받치는 핀(77, 77)이 설치된다.
본 예에 관계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6)를 수납하는 내부 홀더(2)가 캐비닛(4)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샤시(1)가 내부 홀더(2)에 대해 승강한다.
샤시(1)는 양측부에 지지벽(11, 11)을 세워 설치하고, 각 지지벽(11)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돌기(10, 10)를 돌출 설치한다. 내부 홀더(2) 및 외부 홀더(3)는 돌기(10, 10)에 끼워 맞춘다. 샤시(1)의 중앙부로부터 우측에는 픽업(75)이 노출하는 개구(12)가 개방 설치되어 있다. 샤시(1)의 각 귀퉁이부에는 절결(13, 13), 관통 구멍(14, 14)이 개방 설치되고, 내부 홀더(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결(13, 13), 관통 구멍(14, 14)을 통해서 캐비닛(4)에 부착된다.
픽업(75)에는 브래킷(71)을 거쳐서, 헤드 레버(7)가 하향 압박되어 부착되고, 상기 헤드 레버(7)의 선단부에는 기록 헤드(70)가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외부 홀더(3)는 금속판의 양 모서리를 절곡하여 구성되고, 측면에 카트리지 삽입 방향을 따라서 하향으로 경사진 캠 홈(30, 30)을 개방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홀더(3)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기(32)가 내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부 홀더(3)의 좌측면으로부터는 조작 부재(31)가 외향으로 돌출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6)를 배출할 때는 조작 부재(31)를 앞쪽으로 당긴다.
내부 홀더(2)의 좌단부 상면에는 축출 레버(8)의 기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축출 레버(8)의 자유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되어 누름 부재(80)를 형성하고, 상기 누름 부재(80)는 내부 홀더(2)에 개방 설치된 원호 구멍(22)을 지나서 내부 홀더(2) 내로 진입한다. 누름 부재(8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6)의 삽입시에 카트리지(6)의 전방 단부에 압박된다. 축출 레버(8)와 외부 홀더(3)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85)이 걸리고, 카트리지(6)가 내부 홀더(2)에 삽입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축출 레버(8)는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외부 홀더(3)로부터 세워 설치된 스톱퍼(33)에 압접되어 있다.
(헤드 레버 구동 기구)
내부 홀더(2)의 상면에는 기록 헤드(70)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구멍(20)이 개방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20)의 전방으로부터 벽 부재(21)가 세워져 있다. 도4는 도3을 C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5는 헤드 구동 레버(5)의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구동 레버(5)는 접촉판(50)의 양측 기단부로부터 피봇축(51, 51)이 외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봇 축(51, 51)이 벽 부재(21, 21)에 피봇 지지된다. 접촉판(50)의 일측부로부터는 내부 홀더(2)의 상면에 접하는 제1 접촉 부재(52)가 돌출되고, 반대측부로부터는 접촉판(50)으로부터 일단 융기하여 외부 홀더(3)에 접하는 제2 접촉 부재(53)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홀더(3) 상에는 제2 접촉 부재(53)가 접하는 부위에 볼록면(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 홀더(3)가 미끄럼 이동하여 제2 접촉 부재(53)가 볼록면(34)에 접하면, 헤드 구동 레버(5)가 밀어 올려져서 상향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헤드 레버(7)는 브래킷(71)과의 피봇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향으로 압박되어 있으며, 헤드 레버(7)의 자유 단부가 헤드 구동 레버(5)의 접촉판(50)에 접한다. 대기 위치에 있어서는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구동 레버(5)는 상승하고, 카트리지(6)의 진입을 허용한다.
(내부 홀더, 외부 홀더, 샤시의 배치)
도6은 내부 홀더(2)의 사시도, 도7은 도6을 하방으로부터 올려다 본 하면도, 도8은 도6을 A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9는 도6을 G 방향으로부터 본 좌측면도이다. 도7에서는 샤시(1)를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홀더(2)의 측면에는 외부 홀더(3)의 캠 홈(30, 30)에 대향하는 수직 구멍(23, 23), 외부 홀더(3)의 돌기(32)가 끼워져 외부 홀더(3)의 수평 미끄럼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구멍(24)이 각각 개방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6)의 장착 및 배출 상태에 있어서, 외부 홀더(3)는 내부 홀더(2)의 관통 구멍(20)에는 덮이지 않는다. 내부 홀더(2) 측면의 전후 단부로부터는 다리 부재(25, 25)가 하향 돌출하고, 상기 다리 부재(25)의 하단부는 외향으로 절곡하여 부착판(2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부착판(26)의 중앙부에 나사 구멍(26a)을 개방 설치하고 있다.
도7,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홀더(2)의 양측면 하단부는 내향 절곡되고, 카트리지(6)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판(27, 27)을 형성하고 있다. 한 쪽 받침판(27)에는 샤시(1)를 향해 돌출한 볼록부(28, 28)가 설치되고, 상기 볼록부(28, 28)는 샤시(1)의 관통 구멍(14, 14)에 겹쳐진다.
도6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홀더(2)의 측면 중앙부는 내향으로 절곡되고, 카트리지(6)의 제1 슬릿(64)에 진입하는 로크 해제 부재(29)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 홀더(2)의 내측에서, 로크 해제 부재(29)의 후방에는 꼭대기부를 내측으로 향한 스프링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6)가 내부 홀더(2)에 삽입됨에 따라 도20a에 도시한 로크 해제 부재(29)가 제1 슬릿(64)으로 들어가고, 셔터(61)의 로크를 해제하는 동시에, 셔터(61)를 개방 방향으로 압박한다. 카트리지(6)를 내부 홀더(2)로부터 인출할 때는 스프링 부재(66)가 셔터(61)의 작은 구멍(63)에 끼워지고, 카트리지(6)의 배출 방향의 미끄럼 이동에 따라서 셔터(61)가 폐쇄된다. 카트리지(6)를 그대로 인발하면 스프링 부재(66)와 셔터(61)의 결합이 분리된다.
도9에 도시한 내부 홀더(2)의 좌측면 전방 단부로부터는 카트리지(6)의 제2 슬릿(65)에 끼워지는 삽입 부재(200)가 내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10은 대기 위치의 메카데크(100)를 캐비닛(4)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11은 도10의 메카데크(100)를 B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축출 레버(8)는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되고, 압박 부재(80)가 내부 홀더(2)의 원호 구멍(22)의 후방 단부 모서리에 접하고 있다. 외부 홀더(3)의 스톱퍼(33)가 축출 레버(8)에 접하고, 외부 홀더(3)는 전진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의 돌기(10)는 외부 홀더(3)의 캠 홈(3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내부 홀더(2)로부터 가장 벗어난 최하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구동 레버(5)는 상기와 같이 상승하여 헤드 레버(7)를 들어올리고 있다.
(캐비닛과 샤시의 부착)
도15는 도10의 평면도를 E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 단면도, 도16은 도10을 F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4)으로부터는 샤시(1)의 절결(13)을 하측으로부터 관통하는 보스(41)가 돌출하고, 내부 홀더(2)는 상기 보스(41)에 받쳐진다. 캐비닛(4)의 하측으로부터 나사못(40)이 부착판(26)에 나사 결합하고 내부 홀더(2)는 캐비닛(4)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홀더(2)의 볼록부(28)는 샤시(1)의 관통 구멍(14)에 겹쳐지고, 캐비닛(4)의 하측으로부터 나사못(40) 고정되어 캐비닛(4)에 부착된다.
본 예에 관계되는 장치에 있어서는 내부 홀더(2)가 캐비닛(4)에 고정되고, 샤시(1)가 승강하고, 샤시(1)의 상승 완료 위치에서 기록이 행해진다.
(카트리지의 삽입)
도10에 도시한 대기 위치로부터 카트리지(6)를 내부 홀더(2)의 받침판(27)에 얹어서 내부 홀더(2) 내로 압입하면, 카트리지(6)의 전방 단부면은 축출 레버(8)의 압박 부재(80)를 압박하여 축출 레버(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카트리지(6)는 제2 슬릿(65)이 내부 홀더(2)의 삽입 부재(200)에 끼워지면서 미끄럼 이동한다(도9 참조).
도12a, 도12b는 카트리지(6)가 장착 위치에 이르기 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6)의 압입 완료 상태에서, 축출 레버(8)의 회전에 의해 축출 레버(8)가 스톱퍼(33)로부터 분리되고,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홀더(3)는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이미 로크 해제 부재(29)에 의해 카트리지(6)의 셔터(61)는 개방하여 디스크가 카트리지(6)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정보의 기록과 재생)
외부 홀더(3)의 전진에 의해 헤드 구동 레버(5)의 제2 접촉 부재(53)와 외부 홀더(3)의 볼록면과의 접촉이 떨어지고, 헤드 구동 레버(5)는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하고, 하향으로 압박된 헤드 레버(7)도 하향으로 회전한다. 기록 헤드(70)는 관통 구멍(20)을 통하여 디스크에 접근한다.
그리고,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홀더(3)의 전진에 의해 캠 홈(30)에 돌기(10)가 결합된 샤시(1)는 상향 압박되고, 내부 홀더(2)의 수직 구멍(23)을 따라서 바로 위로 상승한다. 카트리지(6)의 두께는 약 5 ㎜이며, 출원인은 샤시(1)의 상승 스트로크를 카트리지(6)의 두께보다 적은 거리로 설정하고 있다. 돌기(10)가 캠 홈(30)의 상단부에 달하여 샤시(1)가 정지한다. 턴테이블(76)이 카트리지(6) 내의 디스크에 끼워 맞춰 디스크로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외부 홀더(3)는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으므로, 돌기(10)를 거쳐서 샤시(1) 상의 턴테이블(76)을 카트리지(6)에 압박 편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6)의 디스크(60)와 턴테이블(76)의 덜걱거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서, 도2b에 도시한 회전 패널(42)은 자유 단부가 카트리지(6)의 후단부 상면에 접촉하여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트리지(6)의 후단면에 기록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장치에서는 카트리지(6)를 삽입하면, 기록 헤드(70)가 하강하지만, 기록 헤드(70)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재생도 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배출)
카트리지(6)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도12b에 도시한 카트리지 장착 상태로부터 외부 홀더(3)의 조작 부재(31)를 인장 스프링(85)에 저항하여 수동으로 인출한다. 외부 홀더(3)의 볼록면(34)과 헤드 구동 레버(5)의 제2 접촉 부재(53)가 접촉하고,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버(7)가 상승한다.
도14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캠 홈(30)에 끼워 맞춘 샤시(1)의 돌기(10)는 하향 압박되고, 샤시(1)는 수직 구멍(23)을 따라서 하향으로 이동한다. 턴 테이블(76)은 카트리지(6)로부터 분리된다.
게다가 외부 홀더(3)가 인출되면, 도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33)가 축출 레버(8)의 회전 이행로로부터 탈출하고, 축출 레버(8)는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출 레버(8)의 압박 부재(80)는 인장 스프링(85)의 압박력에 의해 카트리지(6)를 배출한다.
본 장치에 있어서는 샤시(1)를 관통하여 내부 홀더(2)와 캐비닛(4)을 부착하므로, 내부 홀더(2)의 상면을 크게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카트리지(6)의 내부 홀더(2)로의 장착에 의해 자동적으로 헤드 레버(7)는 카트리지(6)에 접근하고, 디스크로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헤드 레버(7)를 승강시키는 기구를 별도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구성 부품 갯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장치의 메카데크(100)에 있어서는 기록시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턴테이블(76)을 카트리지(6)에 압박하고, 카트리지(6)의 배출시에 인장 스프링(85)의 힘으로 카트리지(6)를 압박한다. 즉, 한개의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카트리지(6)의 배출과, 기록 위치로 척킹할 수 있어 구성 부품 갯수를 줄일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캐비닛(4)이 샤시(1)의 관통 구멍(14) 또는 절결(13)을 관통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내부 홀더(2)의 다리 부재(25)가 관통 구멍(14) 또는절결(13)을 관통해도 좋다.
도1은 카트리지와 캐비닛의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카트리지와 회전 패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2a는 대기 위치, 도2b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메카데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메카데크를 일부 파단하고, C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5는 헤드 구동 레버의 사시도.
도6은 내부 홀더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내부 홀더의 하면도.
도8은 도6의 내부 홀더를 A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9는 도6의 내부 홀더를 G 방향으로부터 본 좌측면도.
도10은 대기 위치에서의 메카데크의 평면도.
도11은 도10의 메카데크를 B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12a 및 도12b는 카트리지의 메카데크로의 삽입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13a 및 도13b는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메카데크의 측면도이며, 도13a는 내부 홀더와 외부 홀더의 위치 관계를, 도13b는 헤드 구동 레버와 헤드 레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4a 및 도14b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메카데크의 측면도이며, 도14a는 내부 홀더와 외부 홀더의 위치 관계를, 도14b는 헤드 구동 레버와 헤드 레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캐비닛의 일부를 파단하고, 도10을 E 방향으로부터 본 우측면도.
도16은 도10을 F 방향으로부터 본 좌측면도.
도17은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18a 및 도18b는 종래 메카데크의 평면도이며, 도18a는 대기 위치를, 도18b는 장착 위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19a 및 도19b는 종래 메카데크의 측면도이며, 도19a는 대기 위치를, 도19b는 장착 위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20a 및 도20b는 카트리지를 나타내고, 도20a는 사시도, 도20b는 도20a를 H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21은 메카데크와 캐비닛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22a 및 도22b는 카트리지와 캐비닛의 측면도이며, 도22a는 카트리지를 캐비닛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22b는 카트리지 장착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내부 홀더 3 : 외부 홀더
4 : 캐비닛 5 : 구동 레버 6 : 카트리지
7 : 헤드 레버 8 : 축출 레버 30 : 캠 홈
60 : 디스크 61 : 셔터 75 : 픽업 76 : 텐테이블

Claims (6)

  1. 디스크(60)를 수납한 카트리지(6)를 수평으로 보유 지지하는 내부 홀더(2)와, 상기 내부 홀더(2)에 대해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크에 억세스하는 픽업(75)을 구비한 샤시(1)와, 내부 홀더(2)의 상면에 덮여서 카트리지 삽입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외부 홀더(3)를 구비한 메카데크(100)를 캐비닛(4) 내에 설치하고, 카트리지(6)는 캐비닛(4)의 전방면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 기록 장치에 있어서,
    외부 홀더(3)에는 외부 홀더(3)의 미끄럼 이동에 수반하여 내부 홀더(2)와 샤시(1)를 서로 접근시키는 캠 홈(30)이 형성되고,
    내부 홀더(2)는 샤시(1)에 개방 설치된 관통 구멍(14) 및 절결(13)을 통하여 캐비닛(4)에 부착 고정되고, 샤시(1)가 캠 홈(30)을 따라서 내부 홀더(2)에 대해 승강하고,
    샤시(1)의 하강 완료 상태에서 샤시(1)의 하면과 캐비닛(4)의 바닥면 사이에는 픽업(75)이 위치하는 수납 공간(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캐비닛(4)의 전방면 개구에는 카트리지(6)에 의해 압입되는 회전 패널(42)의 상단부가 피봇 지지되고, 카트리지(6) 장착 상태에서 회전 패널(42)은 하단부가 카트리지(6)의 상면에 접하여 개방 완료 상태로 유지되고, 카트리지(6)의 후방 단부면이 캐비닛(4)의 전방면 개구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
  3. 디스크(60)를 수납한 카트리지(6)가 끼워지는 내부 홀더(2)에, 픽업(75)을 구비한 샤시(1)를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하고, 내부 홀더(2)의 상면에는 카트리지 착탈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외부 홀더(3)가 덮여 있고, 외부 홀더(3)와 샤시(1) 중 어느 한 쪽에는 외부 홀더(3)의 미끄럼 이동에 수반하여 내부 홀더(2)와 샤시(1)를 서로 접근시키는 캠 홈(30)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캠 홈(30)에 끼워지는 캠 종동기가 설치되고, 픽업(75)에는 내부 홀더(2)를 통해서 카트리지(6) 내의 디스크(60)에 접근하는 헤드 레버(7)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디스크 기록 장치에 있어서,
    내부 홀더(2)에는, 헤드 레버(7)의 하측에 위치하는 헤드 구동 레버(5)가 헤드 레버(7)와 동일면 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 홀더(3)에는 카트리지(6)가 내부 홀더(2)에 장착되지 않는 대기 위치에서 헤드 구동 레버(5)를 헤드 레버(7) 밀어올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볼록면(34)이 형성되고,
    외부 홀더(3)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볼록면(34)과 헤드 구동 레버(5)의 접촉이 해제되고, 헤드 레버(7)는 카트리지(6)를 향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카트리지(6)에는 디스크를 개폐시키는 셔터(61)가 설치되고, 카트리지(6)의 내부 홀더(2)로의 장착 상태에서 셔터(61)는 개방 완료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
  5. 디스크(60)를 수납한 카트리지(6)가 끼워지는 내부 홀더(2)와, 상기 내부 홀더(2)의 상면에 카트리지 삽입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덮여 있는 외부 홀더(3)와, 내부 홀더(2)의 하방에 배치되고, 턴테이블(76)을 구비한 샤시(1)를 캐비닛(4) 내에 구비하고, 샤시(1)와 내부 홀더(2)는 서로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 홀더(2)에는 카트리지(6)를 배출 방향으로 압박하는 축출 레버(8)가 피봇 지지된 디스크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샤시(1)와 내부 홀더(2)는 외부 홀더(3)의 측면에 형성된 캠 홈(30)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내부 홀더(2)는 캐비닛(4)에 고정되고, 샤시(1)가 내부 홀더(2)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 홀더(3)와 축출 레버(8) 사이에는 축출 레버(8)를 카트리지 배출 방향으로 압박하는 인장 스프링(85)이 걸리고, 카트리지(6)가 삽입되지 않은 대기 위치에서 축출 레버(8)는 외부 홀더(3)에 접촉하여 카트리지 삽입 방향의 미끄럼 이동이 규제되고,
    축출 레버(8)의 회전에 의해 축출 레버(8)와 외부 홀더(3)의 접촉이 해제되고, 외부 홀더(3)는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카트리지(6) 삽입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캠 홈(30)에 끼워 맞춰진 샤시(1)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 홀더(3)는 외부로 돌출한 조작 부재(31)를 지니고 있으며, 외부 홀더(3)의 카트리지 배출 방향으로의 인출에 의해 캠 홈(30)에 끼워 맞춰진 샤시(1)는 하강하고, 턴테이블(76)과 카트리지(6)의 접촉이 해제되고, 축출 레버(8)가 인장 스프링(85)의 압박력에 의해 카트리지(6)를 배출 방향으로 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장치.
KR10-1998-0022300A 1997-06-16 1998-06-15 카트리지에수납된디스크기록장치 KR100526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847097A JP3439071B2 (ja) 1997-06-16 1997-06-16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15829197A JP3439070B2 (ja) 1997-06-16 1997-06-16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97-158291 1997-06-16
JP15848897A JPH117692A (ja) 1997-06-16 1997-06-16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97-158488 1997-06-16
JP97-158470 1997-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91A KR19990006991A (ko) 1999-01-25
KR100526726B1 true KR100526726B1 (ko) 2005-12-21

Family

ID=2732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300A KR100526726B1 (ko) 1997-06-16 1998-06-15 카트리지에수납된디스크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052256A (ko)
EP (1) EP0886271B1 (ko)
KR (1) KR100526726B1 (ko)
CN (1) CN1113350C (ko)
DE (1) DE6983044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726B1 (ko) * 1997-06-16 2005-12-2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카트리지에수납된디스크기록장치
JPH11353834A (ja) * 1998-06-08 1999-12-24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2908434B1 (ja) * 1998-06-09 1999-06-21 群馬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ロッピィディスク装置
JP2001344866A (ja) * 2000-05-31 2001-12-14 Fujitsu Ltd 記憶装置
WO2002001557A1 (fr) * 2000-06-27 2002-01-03 Citizen Watch Co., Ltd. Lecteur de disque
US6707638B2 (en) * 2001-06-08 2004-03-16 Iomega Corporation Slider impedance mechanism to prevent cartridge ejection during operation
US7739701B1 (en) * 2005-11-22 2010-06-15 Inphase Technologies, Inc. Data storage cartridge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drive door mechanism and data drive
KR101649209B1 (ko) 2014-05-16 2016-08-19 (주)태성공업 퇴비살포기
KR101649211B1 (ko) 2014-05-16 2016-08-19 (주)태성공업 퇴비살포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9740A (en) * 1983-11-18 1990-09-25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inimiz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EP0212500B1 (en) * 1985-08-10 1990-06-13 Sanyo Electric Co., Ltd. Front loading apparatus for disc drive unit
JPS63113966A (ja) * 1986-10-31 1988-05-18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の記録デイスク装填装置
US4829501A (en) * 1987-04-07 1989-05-0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Clamper for disk player
US5166918A (en) * 1989-05-15 1992-11-24 Seiko Epson Corporation Loading mechanism for disk cartridges with vibration reducing mechanism
JP3038754B2 (ja) * 1990-01-20 2000-05-08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H03124354U (ko) * 1990-03-29 1991-12-17
JP2917488B2 (ja) * 1990-10-22 1999-07-12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077220B2 (ja) * 1991-02-23 2000-08-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897457B2 (ja) * 1991-06-10 1999-05-3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3106874B2 (ja) * 1993-09-29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円盤記録再生装置
JPH087436A (ja) * 1994-06-13 1996-01-12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US5995469A (en) * 1994-07-13 1999-11-30 Mitsumi Electric Co., Ltd. Disk device having movable cartridge holder and a cam plate having a cam groove with three successive inclined cam groove portions
US5617397A (en) * 1994-10-18 1997-04-01 Iomega Corporation Movable internal platform for a disk drive
WO1996024931A1 (fr) * 1995-02-06 1996-08-15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nregistrement-reproduction
US5917795A (en) * 1995-04-28 1999-06-29 Mitsumi Electric Co., Ltd. Disk device having a drive unit and a cam plate which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a disk holder for providing a thin structure
US6014358A (en) * 1996-04-04 2000-01-11 Tea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cartridge loading device
JPH10144015A (ja) * 1996-11-14 1998-05-29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
KR100526726B1 (ko) * 1997-06-16 2005-12-2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카트리지에수납된디스크기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0446D1 (de) 2005-07-14
US6266209B1 (en) 2001-07-24
EP0886271B1 (en) 2005-06-08
CN1113350C (zh) 2003-07-02
EP0886271A1 (en) 1998-12-23
CN1208226A (zh) 1999-02-17
US6233115B1 (en) 2001-05-15
US6052256A (en) 2000-04-18
KR19990006991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50543A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
KR100526726B1 (ko) 카트리지에수납된디스크기록장치
JPH11213513A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439070B2 (ja)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3443301B2 (ja)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再生装置
JP3439071B2 (ja)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H117692A (ja)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装置
JP2001216704A (ja) 薄型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
JPH064445Y2 (ja) デイスク用カセツト支持装置
JP3000010B1 (ja) カートリッジに収納されたディスクの記録又は再生装置
JPH09180338A (ja) ミニディスクプレイヤ
KR100279020B1 (ko) 디스크드라이브
JP3733855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KR0155772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JPH06295514A (ja) 光ディスク装置
JP3769931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0011508A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4062836B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
JP3322645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3733856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H11120667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2001084676A (ja) カートリッジ挿入排出装置
JPH077554B2 (ja) デイスク駆動装置
JPH06103573B2 (ja) カートリッジ式ディスク装置
JPH02263354A (ja) スライドトレー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