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981B1 -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 - Google Patents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981B1
KR100522981B1 KR1020050047793A KR20050047793A KR100522981B1 KR 100522981 B1 KR100522981 B1 KR 100522981B1 KR 1020050047793 A KR1020050047793 A KR 1020050047793A KR 20050047793 A KR20050047793 A KR 20050047793A KR 100522981 B1 KR100522981 B1 KR 10052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minutes
suga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원
Original Assignee
(주)맛있는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맛있는세상 filed Critical (주)맛있는세상
Priority to KR102005004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 A23L7/1975Cooking or roa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찹쌀을 세척하여 불린후 수분을 배출시키는 단계;100℃∼150℃에서 1∼3분간 찹쌀을 살짝 익혀주는 1차 증숙단계;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하는 단계;1차 증숙된 찹쌀에 상기 설탕물을 넣어 1차 색을 내면서 밤, 땅콩, 호두, 잣을 포함하는 견과류 및 부재료를 1차로 혼합하는 단계;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150℃에서 20분∼40분간 익히면서 색을 내는 2차 증숙단계;및 설탕, 건포도, 참기름을 포함하는 부재료를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이다.
따라서 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색을 내는 공정을 통하여 종래의 약식의 제조시에 야기되는 간장 특유의 검은색상 및 향을 없애고, 캐러멜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된 어두운 밤색과 지나친 점도를 없애어 색상 및 향과 맛에서 우수하며 식감을 향상시키며 영양면에서도 우수한 영양찰약밥을 제조한다.

Description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MANUFACTURING METHOD OF GLUTINOUS RICE AND THE PRODUCT OBTAINED THEREFROM}
본 발명은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찰약밥의 식감 및 풍미를 향상시키고 식감을 향상시키는 색을 내도록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쌀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떡을 포함한 기호식품을 제조하여 왔고, 그중에서도 특히 약식은 찹쌀 고두밥에 여러 재료를 섞어서 시루에 찐 한국 고유 음식으로서 잔치나 고유의 행사에 빠지지 않는 중요한 음식으로서 약밥 또는 약반(藥飯)이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여러가지 문화 트렌드가 웰빙을 추구하고 있으며 음식문화에 있어서도 인스턴트 음식의 섭취를 줄이고 자연식품을 먹거리로 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아침대용식이나 간식으로 빵, 샌드위치 등의 밀가루를 이용한 음식에서 벗어나 우리 땅에서 나는 우리농산물인 쌀을 이용한 대체음식이 각광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죽이나 떡류가 대표적이나, 밥에 익숙해져 있는 소비자들에게까지 다가가는 데는 한계가 있고 씹는 질감이나 재료면에서도 영양적으로 균형을 이룰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약식이야말로 아침대용식 내지 간식으로 제격이라 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더욱 개발될 필요성이 있는 바람직한 먹거리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식은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가 불린 찹쌀을 시루에 푹 쪄서 큰 그릇에 쏟아 놓고 참기름을 넣어 밥알이 떨어지도록 버무린 다음 흑설탕, 참기름, 진간장, 캐러멜, 밤 깐 것, 씨 발린 대추, 실백 등을 넣고 버무려 다시 시루에 오래 쪄서 뜸을 들인다. 그리고 뜨거울 때 네모난 그릇에 반반하게 펴 담아 잘 식힌 다음 반듯반듯하게 썰어서 쓰기도 하고, 밥처럼 합에 담아서 쓰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약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색을 내기 위해 간장과 흑설탕, 캐러멜색소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는데 그로부터 발생하는 특유의 향과 점도 및 어두운 색상 때문에 일반인들이 부담 없이 즐기기에는 식감, 풍미 및 영양적인 측면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통음식인 약식의 색감과 향, 맛 등을 현대인의 기호에 맞도록 개량하여 남녀노소 불문하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의 영양찰약밥은 종래에 약식을 만들 때 간장과 캐러멜색소를 혼합함으로써 발생하는 향과 색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누구나 즐겨먹을 수 있는 약밥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색을 내는 제조공정을 통하여 맛과 향 및 영양면에서 우수할 뿐 아니라 식감을 향상시키는 연한 황갈색의 영양찰약밥을 제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은 찹쌀을 세척하여 불린후 수분을 배출시키는 단계;100℃∼150℃에서 1∼3분간 상기 찹쌀을 살짝 익혀주는 1차 증숙단계;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1차 증숙된 찹쌀에 상기 설탕물을 넣어 1차 색을 내면서 밤, 땅콩, 호두, 잣을 포함하는 견과류 및 부재료를 1차로 혼합하는 단계;상기 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150℃에서 20분∼40분간 익히면서 색을 내는 2차 증숙단계; 및 설탕, 건포도, 참기름을 포함하는 부재료를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를 포함한다.
통상의 약식의 제조에 있어서는, 갈색을 내기 위해 간장과 캐러멜 색소 또는 흑설탕을 첨가하게 되는데 이렇게 제조된 약식은 그 색깔이 짙은 밤색으로 식감이 떨어지며, 간장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맛이 깔끔하지 못하고 식감이 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색을 내는 방법으로 간장과 캐러멜 색소 대신 설탕을 녹여서 물과 혼합한 후 끓여서 만든 설탕물을 혼합하여 옅은 황갈색의 색깔을 내도록 제조한다. 1차 색을 내는 단계에서 상기 설탕물은 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과 백물엿, 조청, 황물엿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넣어 10분간 더 끓여서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식감을 향상시키는 색을 내는 색내기 공정은, 처음에 설탕물의 색소를 빨아들여서 연한 갈색을 내도록 찹쌀을 살짝 익히는 1차 증숙과정과 설탕물과 부재료를 혼합한 후 원하는 색이 되도록 하는 2차 증숙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설탕물은 설탕과 물의 배합비가 5:2.8 내지 5: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색을 내는 방법은 100℃∼150℃에서 1∼3분간 찹쌀을 살짝 익혀주는 1차 증숙단계;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하고, 상기 찹쌀과 부재료의 혼합물에 추가로 혼합하여 1차 색을 내는 단계;상기 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150℃에서 20분∼40분간 익히면서 색을 내는 2차 증숙단계;로 구성되며 백설탕을 주재료로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은 현미를 세척하여 물에 불린후 수분을 배출하고 100℃∼150℃에서 40분간 익혀서 미리 준비하는 단계;찹쌀을 세척하여 불린후 수분을 배출하는 단계;100∼150℃에서 1∼3분간 상기 찹쌀을 살짝 익혀주는 1차 증숙단계;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1차 증숙된 찹쌀에 상기 설탕물을 넣어 1차 색을 내면서 미리 익혀서 준비한 현미와 밤, 땅콩, 호두, 잣을 포함하는 견과류 및 부재료를 1차로 혼합하는 단계;상기 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150℃에서 20분∼40분간 익히면서 2차로 색을 내는 2차 증숙단계; 및 설탕, 건포도, 참기름을 포함하는 부재료들을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성된 영양찰약밥을 50g 내지 100g 단위로 개별 포장할 수 있고 완성된 영양찰약밥을 포장용기에 담아 낱개로 진공살균 포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한다.
1. 찹쌀 세척 및 불림
찹쌀은 유백색이고 녹말은 대부분이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어 멥쌀보다 차진 기운이 훨씬 많고 소화가 잘 되기 때문에 찰떡, 인절미, 단자, 경단 등의 떡과 찰밥, 고추장, 약식, 술, 조청, 식혜, 과자 등의 원료로 쓰인다. 본 발명인 영양찰약밥의 제조에 있어서도 주재료로 찹쌀을 사용한다.
전체 영양찰약밥에 대해 50∼75중량부 찹쌀을 세척하여 준비하는데, 너무 오래 세척하면 쌀알이 부서질수 있으므로 40㎏정도의 찹쌀을 기준으로 했을 때 3∼5분 정도가 적당하다. 깨끗이 세척한 찹쌀을 2∼5시간 정도를 불린 후 사용한다.
2. 수분 배출
불린 찹쌀을 물에서 건져내어 10분정도 수분을 빼준다.
쌀알의 표면에 남아 있는 수분을 충분히 빼줌으로써 제품 생산시 정확한 수분의 양을 맞추어야만 찰약밥에서 찹쌀의 찰기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만일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게 되면 수분이 너무 많게 되어 찰약밥이 질어지게 되므로 식감이 떨어지게 된다.
3. 1차 증숙
수분을 배출하여 준비한 찹쌀을 100∼150℃의 스팀 온도에서 1∼3분간 살짝 쪄서 익혀준다.
1차로 찹쌀을 단기간 증숙시켜 주는 이유는, 찹쌀은 살짝 익은 만큼 설탕물을 흡수하므로 1차 혼합단계에서 미리 연한 갈색을 내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찹쌀을 1차로 살짝 증숙하지 않으면 찹쌀에 설탕물이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1차 혼합단계에서 황갈색을 낼 수가 없고 최종적으로 식감이 향상되도록 영양찰약밥의 색깔을 낼 수 없다.
그리고 증숙 시간이 1분 이하이면 찹쌀이 거의 익지 않으므로 설탕물을 흡수하지 못하고, 증숙 시간이 3분을 초과하게 되면 찹쌀의 쌀알들에 지나치게 끈기가 생겨서 서로 뭉쳐지게 되므로 1차 배합시 견과류와 기타 부재료를 혼합할 수 없게 된다.
4. 1차 혼합 및 1차 색내기
상기 1차 증숙된 찹쌀에 밤, 땅콩, 호두, 잣을 포함하는 견과류 10∼20중량부와 부재료를 혼합한다. 주재료인 찹쌀과 견과류의 혼합비율은 4:1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차 증숙시에 익는 농도를 맞추기 위해 물을 첨가한다.
이때 빠른 시간 내에 혼합하여야 찹쌀과 견과류가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견과류는 조미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그 밖의 대추, 은행 등 다양한 종류의 견과류를 추가할 수 있으며 계피가루나 향을 내는 다른 부재료를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부재료와 부가물의 종류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찹쌀과 견과류 등의 1차 혼합과 동시에, 백설탕을 녹인 후 끓이고 식혀서 준비한 설탕물을 혼합하여 연한 황갈색의 1차 색을 낸다. 상기 설탕물은 전체 영양찰약밥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각 재료들이 견과류 및 부재료가 찹쌀과 잘 섞이게 하기 위해서는 설탕물을 1차 혼합과 동시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설탕물 준비과정
가. 백설탕을 이용하는 방법
기존의 약식은 어두운 갈색이나 짙은 밤색을 띠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간장, 캐러멜색소 및 흑설탕을 사용하여 주로 색을 내지만, 본 발명에서는 식감을 향상시키고 적당한 끈기를 가지고 깔끔한 맛과 향을 갖는 영양찰약밥을 제조하기 위해 간장, 캐러멜 및 흑설탕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완성된 영양찰약밥이 연한 황갈색을 띠도록 하기 위해 색을 내는 방법으로 백설탕을 사용한다.
백설탕을 타지 않게 서서히 저어가면서 녹이고, 설탕이 완전히 녹아 액체상태가 되면 기포가 올라오기 전에 물을 넣고 약 10분간 더 끓여준다. 물을 넣는 이유는 설탕의 끈기를 희석시켜 주기 위함이고, 물에 있는 세균이나 나쁜 성분들을 소독하여 제거함으로써 위생적인 영양찰약밥을 제조하기 위해서 물을 넣은 뒤 10분간 더 끓여준다.
기포가 올라오게 되면 설탕이 타기 시작하기 때문에 완성제품에서 최종적으로 황갈색의 적절한 색깔을 낼 수 없고 완성된 제품의 향도 설탕이 탄 냄새가 나게 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설탕과 물의 비율은 5:2.7 내지 5:4 정도로 배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설탕과 물의 비율이 5:3.5 가 적당하다. 물을 상기 비율보다 더 많이 넣으면 설탕물의 색상이 흐려져서 제대로 된 색을 낼 수가 없고, 물을 너무 적게 넣으면 설탕의 액체상태가 굳어질 수 있고 농도가 너무 진해져 제대로 된 색과 맛을 낼 수가 없다.
나. 황물엿을 추가하는 방법
상기 백설탕을 이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나 백물엿, 조청, 황물엿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할 수 있다.
황물엿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백설탕을 타지 않게 서서히 저어가면서 녹이고, 설탕이 완전히 녹아 액체상태가 되면 기포가 올라오기 전에 물과 황물엿을 넣고 약 10분간 더 끓여준다. 이때 설탕과 물, 황물엿의 비율은 5:3.5:1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와 같이 황물엿을 넣게 되면 상기 설탕물을 끓일때 날 수 있는 타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제품의 황갈색이 좀 더 부드러운 색감으로 나타나는 효과가 있지만 완성된 영양찰약밥이 굳은 시간이 빠르고 색이 점점 진하게 변해 버리는 단점이 있다.
5. 2차 증숙
상기 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 이상의 고온에서 20분∼40분간 증숙한다. 상기 혼합물을 증숙하는 것은 찹쌀을 익히면서 견과류에도 설탕물이 스며들게 하여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고, 찹쌀의 끈기들이 견과류와 섞여 제품 완성후에도 찹쌀과 견과류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증숙 시간이 20분보다 짧으면 설탕물이 골고루 스며들지 않고 찹쌀의 끈기가 부족하여 쌀알이 딱딱해서 식감이 저하되고 제품완성 후에 견과류가 떨어지게 되며, 40분보다 길면 찹쌀에 수분이 너무 많게 되어 제품이 질어져서 식감이 저하된다.
6. 2차 혼합
상기 2차 증숙이 끝나면, 2차적으로 설탕, 건포도, 참기름을 포함하는 5∼10중량부의 부재료들을 혼합한다.
2차로 혼합하는 부재료들 중 설탕은 쌀알들의 접착력을 높이고 단맛을 내기 위하여 첨가한다. 건포도는 1차 배합시에 혼합한 후 증숙하게 되면 건포도가 물러서 뭉게져서 식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2차 배합시에 넣어준다.
그리고 참기름은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첨가하면 참기름의 고소한 향이 모두 증발되어 맛이 떨어지게 되므로 2차 혼합시에 넣어준다. 그 밖에도 기호에 따라 향신료나 말린 과일 등의 부재료를 자유로이 혼합할 수 있다.
7. 성형 공정
상기 완성된 영양찰약밥은 적당한 크기로 자르거나, 여러가지 모양으로 만들고, 특히 간식대용으로 먹기 적당한 크기로 낱개 포장한다. 이 때 50g 내지 100g 단위로 포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성된 영양찰약밥을 포장용기에 담아 낱개로 진공 살균 포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영양찰약밥의 제조
찹쌀을 세척하여 5시간 물에 불린 후에 쌀알을 물에서 건져내어 10분간 수분을 뺀다. 그 후 100∼150℃에서 1∼3분간 살짝 찐다.
그 후 백설탕 500g을 솥에 넣고 서서히 저어가면서 녹인다. 상기 설탕이 녹아 액체상태가 되면 기포가 올라오기 전에 물 350g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한다. 상기 설탕물을 식힌 후 상기 찹쌀과 표 1의 밤, 땅콩, 호두, 잣을 포함하는 견과류 및 부재료의 혼합물에 넣고 색을 낸다. 상기 혼합물을 2차로 고온에서 20∼40분간 증숙시키고 증숙이 끝난 찹쌀과 견과류의 혼합물에 백설탕, 건포도, 참기름의 2차 부재료를 표 2의 혼합비율로 혼합한다.
찹쌀과 1차 혼합시 견과류와 부재료의 배합 비율
재료 중량
찹쌀 8.5㎏
조리밤 1.3㎏
땅콩 500g
호두 250g
150g
200g
설탕물 1㎏
소금 120g
2차 부재료 혼합비율
부재료 중량
백설탕 400g
건포도 400g
참기름 120g
상기 완성된 영양찰약밥을 50g 내지 100g의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개별 포장한다.
실시예 2: 현미를 포함한 영양찰약밥의 제조
표 3의 찹쌀, 현미와 1차 혼합시 견과류와 부재료의 배합비율로 현미를 세척하여 물에 불린 후 수분을 배출하고 100℃∼150℃에서 40분간 익혀서 미리 준비한다. 찹쌀을 세척하여 2∼5시간 물에 불린 후에 쌀알을 물에서 건져내어 10분간 수분을 뺀다. 상기 현미는 전체 찰약밥에 대해 10∼20중량부로 배합하고, 찹쌀은 40∼55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미는 상기 100∼150℃에서 1∼3분간 살짝 쪄서 준비한다.
백설탕 500g을 솥에 넣고 서서히 저어가면서 녹인다. 상기 설탕이 녹아 액체 상태가 되면 기포가 올라오기 전에 물 350g을 넣고 10분간 더 끓인다.
상기 설탕물을 식힌 후 현미, 견과류 및 부재료와 함께 찹쌀에 혼합하면서 1차로 연한 갈색을 내면서 한다.
상기 혼합물을 2차로 고온에서 20∼40분간 증숙시키고 증숙이 끝난 찹쌀과 견과류의 혼합물에 백설탕, 건포도, 참기름의 2차 부재료를 상기 표 2의 혼합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완성된 영양찰약밥을 50g 내지 100g의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개별포장한다.
찹쌀, 현미와 1차 혼합시 견과류와 부재료의 배합비율
재료 중량
찹쌀 6.5㎏
현미 2㎏
조리밤 1.3㎏
땅콩 500g
호두 250g
150g
설탕물 1㎏
소금 120g
비교실시예 1: 황설탕을 이용하여 설탕물을 준비하는 방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되 상기 설탕물 준비과정에서 백설탕 대신에 황설탕을 이용하여 영양찰약밥을 제조하였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제품이 굳어지는 현상이 조기에 일어나며, 제품의 색도 처음에는 황갈색에서 점점 검은 황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일정한 색깔을 유지할 수 없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식감을 나타내는 제품을 제조하기 어렵다.
비교실시예 2 : 흑설탕을 이용하여 설탕물을 준비하는 방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되 상기 설탕물 준비과정에서 백설탕 대신에 흑설탕을 이용하여 영양찰약밥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제품은 색깔이 황갈색이 아닌 검은 밤색계열이 나타나게 되므로, 식감이 떨어지게 된다.
비교실시예 3 :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약식을 제조
본 발명과 종래의 기술을 비교하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약식을 제조하였다. 불린 찹쌀을 물기를 빼고 1시간 정도 찐 후에 밤, 대추 등의 견과류와 설탕, 계피가루, 진간장, 캬라멜 색소, 참기름을 넣고 고루 섞는다. 그 후 다시 1시간 정도 쪄낸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관능적 특성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맛을 10점, 향을 5점, 색을 5점으로 하고 관능검사 대상인원을 50명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의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본 발명과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의한 약식의 관능검사 결과
검사항목 색감 총점
실시예 1 3.4 3.5 9.1 16.0
실시예 2 3.2 3.25 8.8 15.2
비교실시예 1 1.8 3.2 6.2 11.2
비교실시예 2 1.3 2.8 5.8 9.9
비교실시예 3 1.3 1.2 5.5 8.0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간장과 캐러멜색소를 첨가하지 않고 백설탕을 녹이고 물을 첨가하여 준비한 설탕물을 혼합하여 색을 내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 영양찰약밥이 맛과 향, 색깔 등 전체 식감에 있어서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간장, 계피가루, 흑설탕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색을 내는 공정을 통하여 종래의 약식의 제조시에 야기되는 간장 특유의 맛과 검은 색상 및 향을 없애고, 식품첨가물로서 인공색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색상 및 향과 맛에서 우수하며 식감을 향상시키는 영양찰약밥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약식의 제조시에 색을 내기 위해 캐러멜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된 어두운 밤색과 지나친 점도를 없애어 색상 및 향과 맛에서 담백하고 질리지 않으며 식감을 향상시키면서 영양면에서도 우수한 영양찰약밥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원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찹쌀을 세척하여 불린후 수분을 배출시키는 단계;
    100℃∼150℃에서 1∼3분간 상기 찹쌀을 살짝 익혀주는 1차 증숙단계;
    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1차 증숙된 찹쌀에 상기 설탕물을 넣어 1차 색을 내면서 밤, 땅콩, 호두, 잣을 포함하는 견과류 및 부재료를 1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150℃에서 20분∼40분간 익히면서 색을 내는 2차 증숙단계;및
    설탕, 건포도, 참기름을 포함하는 부재료를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1차 색을 내는 단계에서 상기 설탕물은 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과 백물엿, 조청, 황물엿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넣어 10분간 더 끓여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탕물은 설탕과 물의 배합비가 5:2.8 내지 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4. 현미를 세척하여 물에 불린후 수분을 배출하고 100℃∼150℃에서 40분간 익혀서 미리 준비하는 단계;
    찹쌀을 세척하여 불린후 수분을 배출하는 단계;
    100℃∼150℃에서 1∼3분간 상기 찹쌀을 살짝 익혀주는 1차 증숙단계;
    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1차 증숙된 찹쌀에 상기 설탕물을 넣어 1차 색을 내면서 미리 익혀서 준비한 현미와 밤, 땅콩, 호두, 잣을 포함하는 견과류 및 부재료를 1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150℃에서 20분∼40분간 익히면서 2차로 색을 내는 2차 증숙단계;및
    설탕, 건포도, 참기름을 포함하는 부재료들을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된 영양찰약밥을 자르거나 성형하여 개별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된 영양찰약밥을 포장용기에 담아 낱개로 진공살균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영양찰약밥.
  8. 100℃∼150℃에서 1∼3분간 찹쌀을 살짝 익혀주는 1차 증숙단계;
    백설탕을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후, 물을 넣고 10분간 더 끓여서 설탕물을 준비하고, 상기 찹쌀과 부재료의 혼합물에 추가로 혼합하여 1차 색을 내는 단계;
    상기 1차로 색을 낸 혼합물을 100℃∼150℃에서 20분∼40분간 익히면서 색을 내는 2차 증숙단계;로 구성되며 백설탕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색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찰약밥의 색을 내는 방법.
KR1020050047793A 2005-06-03 2005-06-03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 KR100522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793A KR100522981B1 (ko) 2005-06-03 2005-06-03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793A KR100522981B1 (ko) 2005-06-03 2005-06-03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2981B1 true KR100522981B1 (ko) 2005-10-25

Family

ID=3730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793A KR100522981B1 (ko) 2005-06-03 2005-06-03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9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2511A (zh) * 2015-01-20 2015-04-22 唐山广野食品集团有限公司 甘栗八宝饭及其制备方法
KR20190135699A (ko) 2018-05-29 2019-12-09 강원블루베리 영농조합법인 블루베리 약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6767B1 (ko) 2020-06-03 2021-04-05 김은희 연잎밥과 그 제조방법
KR102295335B1 (ko) 2020-11-23 2021-08-30 정애란 용안을 이용한 건강약식의 제조 방법
KR20240030069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케이에프 약밥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2511A (zh) * 2015-01-20 2015-04-22 唐山广野食品集团有限公司 甘栗八宝饭及其制备方法
KR20190135699A (ko) 2018-05-29 2019-12-09 강원블루베리 영농조합법인 블루베리 약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6767B1 (ko) 2020-06-03 2021-04-05 김은희 연잎밥과 그 제조방법
KR102295335B1 (ko) 2020-11-23 2021-08-30 정애란 용안을 이용한 건강약식의 제조 방법
KR20240030069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케이에프 약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668B1 (ko) 강정 소스, 닭 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3558B1 (ko) 흑미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흑미영양찰약밥
KR100522981B1 (ko) 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영양찰약밥
KR101869015B1 (ko) 소스가 첨가된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855153B1 (ko) 마카롱이 함유된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KR102333622B1 (ko) 면 재료를 이용한 반죽물의 제조 방법, 그 반죽물 및 이를 이용한 면 재료 가공식품
JPH01502476A (ja) サツマイモ、カサバ、食用アルム、アマランス、ヤマノイモ、ハスより製造される粉、パン、ミルクなどの製品類
KR20170077499A (ko) 연 성분이 함유된 팥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102048156B1 (ko) 멸치와 누룽지를 이용한 경단의 제조방법
KR100594619B1 (ko) 환이 함유된 튀김가루
KR101927849B1 (ko) 자색 고구마를 포함하는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과
KR20030086115A (ko) 천연 식재료가 도포된 초컬릿 한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06067A (ko) 양파와 계란을 이용한 식품
KR102386902B1 (ko) 팥절미 및 그 제조방법
KR101617012B1 (ko) 다랑어 및 매생이를 이용한 어묵 및 그 제조방법
KR102398679B1 (ko) 가래떡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가래떡 핫도그
KR100594381B1 (ko) 기능성혼합약과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기능성 혼합약과
KR100556783B1 (ko) 튀김가루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3187A (ko) 구운팥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2605986B1 (ko) 식감을 개선한 수제 호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22516B1 (ko) 오징어 먹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당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663857B1 (ko) 옹심이 칼국수 제조방법
KR102539826B1 (ko) 콩 마들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 마들렌
KR100446230B1 (ko) 호박을 이용한 약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