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675B1 -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675B1
KR100521675B1 KR10-2002-0071891A KR20020071891A KR100521675B1 KR 100521675 B1 KR100521675 B1 KR 100521675B1 KR 20020071891 A KR20020071891 A KR 20020071891A KR 100521675 B1 KR100521675 B1 KR 100521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over
cowl top
support
cowl
windshiel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568A (ko
Inventor
조영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6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카울 톱 커버의 상부를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에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디 및 카울 톱 커버의 제작공차 및 윈드 실드 글래스의 설치공차가 발생할 경우에도 그 공차를 흡수하여 카울 톱 커버의 상단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울 톱 커버(1)의 상부 내면에 수개의 L형 걸림편(2)을 일체로 형성하여 L형 걸림편(2)과 카울 톱 커버(1)의 상단 사이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삽입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카울 톱 커버(1)의 상단에 지지돌기(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스트립(2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돌기(10)가 삽입되는 지지홈(21)을, 상하방에는 립(22)과 받침판(23)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홈(21)을 지지돌기(10)에 스트립(20)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COWL TOP COVER UPPER END SUPPORT MEAN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카울 톱 커버의 상부를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에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카울 톱 커버는 카울 패널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인바, 카울 톱 커버의 상부는 윈드 실드 글래스에 지지하고, 하부는 카울 톱 아웃터 패널에 스크류로 고정하는 것이다.
종래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는 도 1에서 참조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울 톱 커버(1)의 상부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L형 걸림편(2)을 일체로 형성하고, 카울 톱 커버(1)의 상단에 립(4)을 일체로 형성한 스트립(3)에 끼워 고정한 후 걸림편(2)과 카울 톱 커버(1)의 상단 사이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삽입하여서 립(4)이 윈드 실드 글래스(5)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6은 카울 패널이고, 7은 댐이다.
그러나 자동차는 보디 용접시 특히 카울 패널 및 그 결합부의 용접시에 공차가 발생하고, 윈드 실드 글래스 설치시에도 공차가 발생함과 동시에 카울 톱 커버도 성형 후 변형하여 공차가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공차가 발생한 상태에서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카울 톱 커버(1)의 상단과 L형 걸림편(2) 사이를 삽입하면 립(4)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접촉 압력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카울 톱 커버(1)의 상단과 윈드 실드 글래스(5) 사이에 들뜸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들뜸부분으로 누수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카울 톱 커버(1)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는 것인데 대하여, 스트립(3)은 립(4)의 밀착성능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연질 플라스틱으로 압출성형하는 것임으로 스트립(3)이 카울 톱 커버(1)에 비하여 수축이 심하고 색상이 상이함과 동시에 변색이 되어 외관이 나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들뜸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립(4)의 돌출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밀착성능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립(4)의 돌출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카울 톱 커버(1)의 상단에 립(4)을 일체로 형성한 스트립(3)을 끼워 고정한 후 L형 걸림편(2)과 카울 톱 커버(1)의 상단 사이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삽입할 때 립(4)이 내부로 말려 들어가서 수밀성이 더욱더 악화되고, 상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서는 별도의 후공정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보디 및 카울 톱 커버의 제작공차 및 윈드 실드 글래스의 설치공차가 발생할 경우에도 그 공차를 흡수하여 카울 톱 커버의 상단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울 톱 커버의 상부 내면에 수개의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편과 카울 톱 커버의 상단 사이를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에 삽입한 것에 있어서, 상기 카울 톱 커버의 상단에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스트립의 중앙에 지지홈을, 상하방에 립과 받침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홈을 지지돌기에 스트립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울 톱 커버(1)의 상부 내면에 수개의 L형 걸림편(2)을 일체로 형성하여 L형 걸림편(2)과 카울 톱 커버(1)의 상단 사이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삽입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카울 톱 커버(1)의 상단에 지지돌기(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스트립(2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돌기(10)가 삽입되는 지지홈(21)을, 상하방에는 립(22)과 받침판(23)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홈(21)을 지지돌기(10)에 스트립(20)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한 것이다.
상기한 카울 톱 커버(1)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고 스트립(20)은 카울 톱 커버(1)와 동일한 경질 플라스틱 또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압출성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0)와 지지홈(21)은 스트립(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카울 톱 커버(1)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삽입하기 전에 즉 조립라인 입고 전에 립(22)의 상단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도 3의 가상선 상태) 카울 톱 커버(1)를 윈드 실드 글래스(5)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지지돌기(10)의 외부 하방과 지지홈(21)의 외측단에 홈(11) 및 돌기(24)로 구성한 로크수단을 형성하여 돌기(24)를 홈(11)에 삽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6은 카울 패널이고, 7은 댐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카울 톱 커버(1)의 상단에 형성한 지지돌기(10)에 스트립(20)의 지지홈(21)을 로크수단이 로킹된 상태로 즉 립(22)의 상단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삽입한 후 L형 걸림편(2)과 카울 톱 커버(1)의 상단 사이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삽입하면 받침판(23)이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립(22)이 윈드 실드 글래스(5) 측으로 회전하면서 립(22)이 윈드 실드 글래스(5)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카울 톱 커버(1)가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지지될 때 또는 지지된 후 카울 패널(6) 및 그 결합부에 공차가 발생하거나, 카울 톱 커버가 변형하여 공차가 발생하였을 경우 등에도 립(22)의 길이가 길고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이 받침판(23)을 누르면서 립(22)은 윈드 실드 글래스(5)에 눌려짐으로써 공차를 흡수하고, 립(22)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밀착이 양호하여 카울 톱 커버(1)의 상단이 윈드 실드 글래스(5)에서 들뜸발생이 없어 수밀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울 톱 커버(1)와 스트립(20)은 동일재질로 형성할 경우에는 수축 또는 팽창이 동일하고 색상이 동일하여 외관이 향상되고, 립(22)은 상단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카울 톱 커버(1)를 윈드 실드 글래스(5)의 하단에 삽입함으로써 삽입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여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후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카울 톱 커버의 상단에 스트립을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여 카울 톱 커버의 상단을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에 삽입하면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이 스트립의 하방에 형성한 받침판을 누르므로 상방에 형성한 립은 윈드 실드 글래스에 눌려지기 때문에 립과 윈드 실드 글래스의 밀착이 양호하여 카울 톱 커버 상단의 들뜸발생이 없고 수밀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종래의 것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카울 톱 커버 5 : 윈드 실드 글래스 10 : 지지돌기
20 : 스트립 21 : 지지홈 22 : 립
23 : 받침판

Claims (6)

  1. 카울 톱 커버의 상부 내면에 수개의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편과 카울 톱 커버의 상단 사이를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에 삽입한 것에 있어서, 상기 카울 톱 커버의 상단에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스트립의 중앙에 지지홈을, 상하방에 립과 받침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홈을 지지돌기에 스트립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하여서 된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카울 톱 커버와 스트립은 동일재질로 형성한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돌기와 지지홈은 원형으로 형성한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돌기의 외부하방과 지지홈의 외측단에 로킹수단을 형성한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로킹수단은 홈 및 돌기인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립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KR10-2002-0071891A 2002-11-19 2002-11-19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KR10052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891A KR100521675B1 (ko) 2002-11-19 2002-11-19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891A KR100521675B1 (ko) 2002-11-19 2002-11-19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68A KR20040043568A (ko) 2004-05-24
KR100521675B1 true KR100521675B1 (ko) 2005-10-17

Family

ID=3734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891A KR100521675B1 (ko) 2002-11-19 2002-11-19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69B1 (ko) * 2009-03-02 2012-01-13 김명숙 액체의 리필이 용이한 저장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816U (ko) * 1985-12-26 1987-07-08
JPS63147373U (ko) * 1987-03-18 1988-09-28
JPH08282541A (ja) * 1995-04-14 1996-10-29 Kojima Press Co Ltd カウルルーバ
JPH10119566A (ja) * 1996-10-22 1998-05-12 Nippon Plast Co Ltd シールリップ
JP2000142474A (ja) * 1998-11-18 2000-05-23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のカウルトップカバー構造
JP2002002539A (ja) * 2000-06-23 2002-01-09 Fuji Heavy Ind Ltd カウルパネルリップ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816U (ko) * 1985-12-26 1987-07-08
JPS63147373U (ko) * 1987-03-18 1988-09-28
JPH08282541A (ja) * 1995-04-14 1996-10-29 Kojima Press Co Ltd カウルルーバ
JPH10119566A (ja) * 1996-10-22 1998-05-12 Nippon Plast Co Ltd シールリップ
JP2000142474A (ja) * 1998-11-18 2000-05-23 Nippon Plast Co Ltd 自動車のカウルトップカバー構造
JP2002002539A (ja) * 2000-06-23 2002-01-09 Fuji Heavy Ind Ltd カウルパネルリッ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68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2144B1 (en) Sealing strip for motor vehicle doors having rounded edges
US5039157A (en) Windshield molding
JP2009220750A (ja) 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100521675B1 (ko) 자동차의 카울 톱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CN202557264U (zh) 一种车门内水切安装结构
US20060055211A1 (en) Cover panel edge seal and cover panel for vehicle roof provided therewith
CN215663270U (zh) 防水饰板、车载设备及车辆
KR20010066485A (ko) 자동차용 도어 웨더 스트립의 설치구조
JP3517348B2 (ja) 自動車ドア用回路体取り付け部の止水構造
JP2001310635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CN219406113U (zh) 车辆的车门及具有其的车辆
JP7412284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JP2009202817A (ja) 自動車用可動ルーフパネルのシール構造
JP2011168177A (ja)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3194858B2 (ja) 車輌用ウインドモールデイング装置
JP2004268890A (ja) 自動車ドアのセンターサッシュ構造
KR20014956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와 범퍼사이의 시일링구조
KR200205659Y1 (ko) 실링 효과를 높인 자동차용 윈드 글래스의 웨더 스트립
KR200141410Y1 (ko) 자동차의 측면 유리 체결용 소켓
KR200175606Y1 (ko) 자동차 센터필러 웨더스트립
KR20010066486A (ko) 자동차용 도어 웨더 스트립의 설치구조
KR200151701Y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JP3713166B2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KR100357794B1 (ko) 자동차의 카울 탑 커버의 상부 지지구조
JPS607209Y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ウェザ−ストリツ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