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579B1 - 돌출봉의 회전 기구 - Google Patents

돌출봉의 회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579B1
KR100517579B1 KR10-2003-0029300A KR20030029300A KR100517579B1 KR 100517579 B1 KR100517579 B1 KR 100517579B1 KR 20030029300 A KR20030029300 A KR 20030029300A KR 100517579 B1 KR100517579 B1 KR 10051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rod
roof plate
protrusion
protru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968A (ko
Inventor
시라야나기에이이찌
후루끼후미요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7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시키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돌출봉(14)은 건반 악기(그랜드 피아노)(10)의 지붕판(13)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지붕판(13)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와 도복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립 위치에서 자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돌출봉(14)과 그랜드 피아노(10)의 본체(11) 사이에는 돌출봉(14)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보유 지지하는 위치 규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돌출봉의 회전 기구{Brace Rotating Mechanism}
본 발명은 돌출봉 또는 상부 봉의 회전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랜드 피아노 등의 악기의 지붕판 또는 뚜껑이 부주의하게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봉의 회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아노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지붕판을 갖는 그랜드 피아노가 널리 이용되는 데 이르렀다. 공지의 그랜드 피아노는 지붕판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는 아암형의 돌출봉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봉은 기립 위치와 도복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봉은 지붕판의 개방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므로, 2 내지 3종류의 길고 짧은 길이의 돌출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붕판의 이면측에는 각 돌출봉에 대응하여 이들 돌출봉의 선단부를 수용 가능한 2매의 받침 접시가 나란히 부착되어 있고, 각 받침 접시는 개방 자세가 되는 지붕판의 면과 돌출봉의 축선이 대략 직교하는 상대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시키는 작업은 한 손으로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유지하면서, 다른 손으로 돌출봉을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돌출봉 상에 지붕판을 얹어 대응하는 받침 접시 내에 돌출봉의 선단부를 수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시키는 경우, 돌출봉의 선단부를 받침 접시 내에 수용시키기 위해, 지붕판과 돌출봉을 대략 동시에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지붕판의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지므로, 지붕판을 잡은 손이 흔들리기 쉬워져 받침 접시에 대해 돌출봉의 선단부가 확실히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것이 지붕판의 부주의한 회전을 야기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2매의 받침 접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응하는 받침 접시를 틀릴 우려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받침 접시 내에 돌출봉의 선단부를 수용시키면, 지붕판의 면과 각 돌출봉의 축선과의 각도를 대략 직각으로 유지할 수 없는 것에 기인하여 지붕판의 개방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이에 의해, 부주의한 충격 등에 의해 지붕판이 폐쇄되어 버려 그랜드 피아노의 고장이나 부상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초래한다.
그런데, 전술한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돌출봉의 베이스부측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를 구비한 것이 존재한다. 이 스토퍼는 돌출봉이 지붕판을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로 되었을 때에 돌출봉의 베이스부측과 접촉하고, 상기 접촉한 상태를 손으로 지지함으로써 돌출봉의 회전 각도를 보유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토퍼를 이용한 경우에는 돌출봉의 베이스부측을 스토퍼로 압박하는 힘, 즉 돌출봉을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부여하지 않으면 돌출봉이 도복해 버리므로, 한 손으로 돌출봉을 지지하는 것이 불가피해진다. 따라서, 지붕판을 양손으로 밀어 올리는 작업을 양손으로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생각해 낸 것이고, 그 목적은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돌출봉의 회전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돌출봉 회전 기구는 건반악기의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와 도복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출봉을 상기 기립 위치에서 자립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돌출봉을 기립시킨 상태를 독자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지붕판을 양손으로 잡으면서 돌출봉의 선단부에 얹을 수 있어,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시키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팔 힘이 비교적 약한 사람이라도 전술한 작업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의 베이스부측에 위치 규제부가 설치되고, 이 위치 규제부는 돌출봉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보유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붕판의 이면에 설치된 받침 접시와 돌출봉의 선단부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지붕판의 부주의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받침 접시가 서로 인접하여 복수인 경우에는 대응하는 받침 접시의 틀림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위치 규제부는 돌출봉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위치 규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위치 규제 부재는 서로 작용하여 돌출봉의 회전 궤적을 형성하는 한편, 돌출봉을 상기 기립 위치로 하였을 때에, 서로 결합하여 돌출봉의 회전 각도를 보유 지지한다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 위치 규제부에 의해 돌출봉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회전 각도를 보유 지지하는 것도 가능해져 회전 기구 전체 구성의 간략화 및 콤팩트화가 도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규제부는 돌출봉을 도복 위치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돌출봉의 자중에 의해 상기 돌출봉을 상기 기립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돌출봉의 기립 위치를 무리없이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위치 결정되었을 때의 조작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그랜드 피아노」라 함은, 지붕판이 개폐되는 피아노에 대해 총칭하는 것이며, 같은 외형을 구비한 전자 피아노 또는 약음 기능을 가진 피아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돌출봉의 회전 기구가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에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그랜드 피아노의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그랜드 피아노(10)는 상부측을 개방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내부에 소정의 액션 기구 등을 갖는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일단부측에 따르는 2군데 위치에 설치된 힌지(12, 12)와, 이들 힌지(12, 12)를 거쳐서 본체(11)에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본체(11)의 개방측(상부측)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지붕판(13)과, 본체(11)의 타단부측, 즉 힌지(12)의 부착 위치의 반대측이며, 본체(11)의 내주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돌출봉(14)과, 이 돌출봉(14)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받침 접시(1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 접시(16)는 지붕판(13)의 자유 단부측 코너 영역에 있어서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 접시(16)는 전방측[건반(11A)측]의 단부에 따라서 부착된 2매의 받침 접시(16A, 1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돌출봉(14)은 지붕판(13)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와, 본체(11) 내에 수용되는 도복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봉(14)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축방향 길이가 다른 두개의 돌출봉, 즉 긴 돌출봉(14A)과 짧은 돌출봉(1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긴 돌출봉(14A)은 상기 기립 위치로 했을 때에 받침 접시(16A)에 수용되는(도1 참조) 한편, 짧은 돌출봉(14B)은 받침 접시(16B)에 수용된다. 각 돌출봉(14A, 14B)의 길이 및 받침 접시(16A, 16B)의 위치는 긴 돌출봉(14A) 및 짧은 돌출봉(14B)의 선단부를 대응하는 받침 접시(16A, 16B)에 수용시켰을 때에, 지붕판(13)의 면과 긴 돌출봉(14A) 및 짧은 돌출봉(14B)의 축선이 대략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긴 돌출봉(14A) 및 짧은 돌출봉(14B)은 본체(11)의 내주면측에 설치된 브래킷(20, 20)을 거쳐서 각각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각 브래킷(20, 20)은 대략 같은 구조가 채용되어 있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긴 돌출봉(14A) 및 이를 지지하는 브래킷(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짧은 돌출봉(14B) 및 이를 지지하는 브래킷(2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브래킷(20)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내주면에 나사 고정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부착면부(21)와, 이 부착면부(21)의 짧은 방향(도3 중 종이면 직교 방향) 양측에 연결되어 대략 수직면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대략 반원호형의 선단부 형상을 구비한 한 쌍의 지지면부(22, 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브래킷(20)과 긴 돌출봉(14A) 사이에는 상기 긴 돌출봉(14A)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위치 규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규제부(23)는 긴 돌출봉(14A)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1 위치 규제 부재로서의 축부(25, 25)와, 각 지지면부(22, 22)의 면 내에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축부(25, 25)를 각각 수용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위치 규제 부재로서의 가이드부(26, 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축부(25, 25)는 원주형의 축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절삭한 것과 같은 외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의 직경 방향 양측, 즉 긴 돌출봉(14A)을 도복 자세로 한 상태에서 도3 중 상하 양측에, 서로 대략 평행해지는 한 쌍의 평면부(27, 2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가이드부(26, 26)는 연장 돌출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만곡하는 형상을 구비한 슬롯 구멍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면, 가이드부(26)는 긴 돌출봉(14A)의 도복 위치에서 축부(25)를 수용하는 동시에, 대략 수평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부(29)와, 이 수평부(29)의 부착면부(21)측(도3 중 우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도3 중 우측 하부가 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만곡부(30)와, 이 만곡부(30)에 연결되어 도3 중 우측 경사 하부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1)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31)의 연장 돌출 방향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돌출봉(14A)의 선단부를 대응하는 받침 접시(16A)에 수용시킨 기립 위치로 한 상태에서 긴 돌출봉(14A)의 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6)의 짧은 방향 폭, 즉 구멍의 폭(W1)은 각 평면부(27, 27)의 이격 폭(W2)과 대략 동일 혹은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부(25, 25)의 각 평면부(27, 27)가 가이드부(26, 26)의 내주연에 따라서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짧은 돌출봉(14B)을 지지하는 브래킷(20)에 있어서, 경사부의 연장 돌출 방향은 짧은 돌출봉(14B)의 선단부를 대응하는 받침 접시(16B)에 수용시켰을 때에, 짧은 돌출봉(14B)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짧은 돌출봉(14B)은 긴 돌출봉(14A)을 기립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부수하여 회전하지만, 짧은 돌출봉(14B)을 직접 들어 기립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긴 돌출봉(14A)과는 독립하여 단독으로 기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지붕판(13)을 폐색한 상태로부터 도1에 도시된 개방 자세로 유지하는 경우, 우선 한 손으로 지붕판(13)을 크게 개방한 후, 다른 손으로 긴 돌출봉(14A)을 도복 위치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축부(25)와 가이드부(26)가 서로 작용하여, 즉 축부(25)가 가이드부(26)의 만곡부(30)의 내주면에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긴 돌출봉(14A)의 회전 궤적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붕판(13)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까지 긴 돌출봉(14A)을 회전시켰을 때에, 긴 돌출봉(14A)의 자중에 의해 축부(25)가 경사부(31)에 따라서 하강하여 상기 경사부(31)의 바닥부측에 배치된다(도4 참조). 이 때, 각 평면부(27, 27)와 경사부(31)의 내면이 서로 면접촉하는 상태로 결합하고, 긴 돌출봉(14A)의 회전 각도가 보유 지지되어 긴 돌출봉(14A)이 상기 기립 위치에서 자립하게 된다. 이 후, 지붕판(1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긴 돌출봉(14A)의 선단부측이 대응하는 받침 접시(16A) 내에 정확하게 수용된다.
이 상태로부터 지붕판(13)을 폐색할 경우, 상기 지붕판(13)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약간 들어 올린 후, 긴 돌출봉(14A)을 도복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좋다. 이 때, 긴 돌출봉(14A)을 상기 긴 돌출봉(14A)의 축선 방향에 따라서 들어 올려 축부(25)를 경사부(31)로부터 탈출시킨 후 만곡부(30)에 따르도록 회전시키면 좋다.
또한, 짧은 돌출봉(14B)에 있어서도 긴 돌출봉(14A)과 대략 마찬가지로 지붕판(13)을 개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지붕판(13)의 개방 각도가 2단계로 조정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각 돌출봉(14A, 14B)이 상기 기립 위치에서 자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받침 접시(16A, 16B) 내에 각 돌출봉(14A, 14B)의 선단부측을 수용시킬 때에, 지붕판(13)을 양손으로 잡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부(26)가 만곡부(30)를 구비한 굴곡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축부(25)와 만곡부(30)의 마찰 저항을 적게 하여 각 돌출봉(14A, 14B)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부(31)의 연장 돌출 방향을 상기 기립 위치로 했을 때의 긴 돌출봉(14A)의 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정하였으므로, 각 돌출봉(14A, 14B)을 도복할 때에 상기 돌출봉(14A, 14B)의 축선 방향에 따라서 들어 올리면 좋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용이한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혹은 동등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하게 한다.
도5 내지 도9에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기구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위치 규제 부재로서의 축부(34)를 브래킷(20)에 부착하는 동시에, 제2 위치 규제 부재로서의 가이드부(35)를 돌출봉(14)에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즉,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부(34)는 각 지지면부(22, 22)의 면 내에 마련된 구멍(22A, 22A)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부(34)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면부(36, 36)를 구비하고 있고, 각 평면부(36)의 방향은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13)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긴 돌출봉(14A)의 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35)는 도6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본 횡방향의 열쇠 구멍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긴 돌출봉(14A)을 도복 위치로 했을 때에 축부(34)를 수용하는 대경 구멍부(38)와, 이 대경 구멍부(38)에 연결되어 긴 돌출봉(14A)의 선단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긴 구멍부(39)를 구비하고 있다. 대경 구멍부(38)의 내경은 축부(34)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는 한편, 긴 구멍부(39)의 폭은 평면부(36, 36)의 이격 폭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긴 돌출봉(14A)을 도복 위치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축부(34)의 외주에 따라서 가이드부(35)의 대경 구멍부(38)가 회전한다. 그리고, 지붕판(13)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까지 긴 돌출봉(14A)을 회전시킴으로써, 긴 돌출봉(14A)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축부(34)가 긴 구멍부(39) 내에 수용된다. 이 때, 축부(34)의 각 평면부(36, 36)와 긴 구멍부(39)가 서로 결합하여 긴 돌출봉(14A)이 자립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긴 돌출봉(14A)의 회전 각도가 유지되어, 지붕판(13)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작업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축부(34)의 외주에 따라서 대경 구멍부(38)가 회전함으로써 긴 돌출봉(14A)의 회전 궤적이 형성되므로, 상기 회전 조작을 보다 한층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부(23)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봉(14)을 자립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출봉(14)은 나타낸 구성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긴 돌출봉(14A)의 기단부측을 두 갈래로 분기하여 이들 사이에 짧은 돌출봉(14B)을 조립하는 구성 등으로 해도 좋다.
더욱이, 건반 악기는 도1에 도시된 그랜드 피아노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대신 도10에 도시된 그 구성이 전자 피아노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에서 돌출봉을 자립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돌출봉을 손으로 지지하는 일 없이 지붕판을 돌출봉의 선단부에 양손으로 잡으면서 얹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용이하게 보유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출봉의 기단부측에는 돌출봉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보유 지지하는 위치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붕판 이면의 받침 접시와 돌출봉의 선단부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치 규제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위치 규제 부재는 서로 작용하여 돌출봉의 회전 궤적을 형성하는 한편, 돌출봉을 상기 기립 위치로 하였을 때에, 서로 결합하여 돌출봉의 회전 각도를 보유 지지하므로, 회전 기구 전체 구성의 간략화 및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규제부를 돌출봉의 자중에 의해 상기 돌출봉을 상기 기립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기립 위치를 무리없이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구가 적용된 그랜드 피아노의 개략 사시도.
도2는 상기 회전 기구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돌출봉을 구성하는 긴 돌출봉을 도복 위치로 하였을 때의 설명도.
도4는 상기 긴 돌출봉을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로 하였을 때의 설명도.
도5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회전 기구의 도2와 같은 사시도.
도6은 돌출봉을 구성하는 긴 돌출봉을 도복 위치로 하였을 때의 설명도.
도7은 상기 긴 돌출봉을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로 하였을 때의 설명도.
도8은 도6의 정면 단면도.
도9는 도7의 정면 단면도.
도10은 전자 피아노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그랜드 피아노
11 : 본체
13 : 지붕판
14 : 돌출봉
14A : 긴 돌출봉
14B : 짧은 돌출봉
23 : 위치 규제부
25, 34 : 축부(제1 위치 규제 부재)
26, 35 : 가이드부(제2 위치 규제 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건반 악기의 지붕판의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고, 개방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기립 위치와 도복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의 베이스부측에 설치되고, 돌출봉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보유 지지하는 위치 규제부를 포함하는 돌출봉의 회전 기구이며,
    상기 위치 규제부는 돌출봉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위치 규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위치 규제 부재는 서로 작용하여 돌출봉의 회전 궤적을 형성하는 한편, 돌출봉을 상기 기립 위치로 하였을 때에 서로 결합하여 돌출봉의 회전 각도를 보유 지지하는 돌출봉의 회전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제부는 돌출봉을 도복 위치로부터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돌출봉의 자중에 의해 상기 돌출봉을 상기 기립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돌출봉의 회전 기구.
KR10-2003-0029300A 2002-05-10 2003-05-09 돌출봉의 회전 기구 KR100517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5507A JP3772789B2 (ja) 2002-05-10 2002-05-10 突上棒の回動機構
JPJP-P-2002-00135507 2002-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968A KR20030087968A (ko) 2003-11-15
KR100517579B1 true KR100517579B1 (ko) 2005-09-28

Family

ID=2924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300A KR100517579B1 (ko) 2002-05-10 2003-05-09 돌출봉의 회전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40588B2 (ko)
EP (1) EP1361390B1 (ko)
JP (1) JP3772789B2 (ko)
KR (1) KR100517579B1 (ko)
CN (1) CN10047439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0007793A (es) * 2008-01-15 2010-12-21 Daniel E Geoghegan Soporte para la tapa de un piano.
JP5107102B2 (ja) * 2008-03-10 2012-12-26 ローランド株式会社 鍵盤装置
CN102682745A (zh) * 2012-06-13 2012-09-19 曹秋瑶 一种立式钢琴的导音装置
JP6546484B2 (ja) * 2015-09-01 2019-07-1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グランドピアノの大屋根支持装置
CN108587897B (zh) * 2018-05-03 2021-08-10 莫纳(苏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pcr扩增装置
CN109979416B (zh) * 2019-05-14 2021-03-12 潍坊工程职业学院 一种钢琴合页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8760A (en) * 1937-08-03 1938-07-13 Douglas Walter Grover Improvements relating to piano and like musical instrument cases provided with hinged top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0251A (en) * 1945-08-09 1950-11-14 Luberoff Louis Piano construction for sound amplification
US3969970A (en) * 1974-11-08 1976-07-20 Libbey-Owens-Ford Company Transparent grand piano tops
JPS53147819A (en) 1977-05-28 1978-12-22 Miyoshi Yushi Kk Method of producing hygroscopic acrylonitrile fiber
DE2724259A1 (de) 1977-05-28 1978-12-0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schwerbrennbarer acrylnitrilpolymerisate bzw. formmassen daraus
FR2546137B1 (fr) 1983-05-17 1986-11-21 Oreal Boitier, notamment de maquillage
JPS6251389A (ja) 1985-08-30 1987-03-06 Fuji Photo Film Co Ltd 静止画再生装置
US4657155A (en) * 1986-04-21 1987-04-14 Kendrick Billy J Lid support rod
US4920592A (en) * 1988-06-13 1990-05-01 Scott Robert S Combination hood support, jack crank, lug wrench and wheel cover removal apparatus
JPH09190174A (ja) 1996-01-09 1997-07-22 Yamaha Corp グランドピアノにおける屋根板の突上棒取付構造
JPH11272262A (ja) * 1998-03-19 1999-10-08 Yamaha Corp 鍵盤楽器
JP3556106B2 (ja) * 1998-10-26 2004-08-1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グランドピアノ及びその大屋根突揚棒取付金具
JP2000206958A (ja) 1999-01-08 2000-07-2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の大屋根開閉装置
JP2001195055A (ja) * 1999-10-28 2001-07-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グランドピアノ大屋根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8760A (en) * 1937-08-03 1938-07-13 Douglas Walter Grover Improvements relating to piano and like musical instrument cases provided with hinged to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30451A (ja) 2003-11-19
CN100474393C (zh) 2009-04-01
CN1457037A (zh) 2003-11-19
US20030209644A1 (en) 2003-11-13
KR20030087968A (ko) 2003-11-15
EP1361390B1 (en) 2012-06-27
JP3772789B2 (ja) 2006-05-10
US7140588B2 (en) 2006-11-28
EP1361390A2 (en) 2003-11-12
EP1361390A3 (en)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80598A (zh) 电子设备
EP2733568B1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link mechanism of information apparatus
JP5324600B2 (ja) 家具の上方可動フラップ扉を駆動するための駆動機構
US5818360A (en) Configuration for a computer input device
KR950000159B1 (ko) 휴대용 통신장비의 바테리커버 잠금장치
KR100517579B1 (ko) 돌출봉의 회전 기구
JP2004342114A (ja) チルトスタンドを備えた携帯用電子機器
US11712110B2 (en) Electrical operating panel
US7267316B2 (en) Brace rotating mechanism
KR200319067Y1 (ko) 선반장의 도어개폐구조
JPH11305761A (ja) 鍵盤楽器
JPH0339825Y2 (ko)
JP4048803B2 (ja) 電子機器
JP3777994B2 (ja) 鍵盤楽器の譜面台装置及び譜面受け構造
JP3110877B2 (ja) チルトフット機構
JP2001161446A (ja) テーブル
JP4952195B2 (ja) 鍵盤装置
KR940004994Y1 (ko) 노우트형 컴퓨터의 표시부 기울기 조정장치
JP3780964B2 (ja) 電子機器
KR200373794Y1 (ko) 사물함 도어용 경첩
JP4670648B2 (ja) 電子鍵盤楽器
JP6740149B2 (ja) コンソールドロワー
JPH0348636Y2 (ko)
JPH0692174A (ja) 格納式カップホルダー
KR200338939Y1 (ko) 휴대폰 커버의 이중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