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56B1 -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벨트용 윤활제 - Google Patents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벨트용 윤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56B1
KR100515156B1 KR10-2003-0011579A KR20030011579A KR100515156B1 KR 100515156 B1 KR100515156 B1 KR 100515156B1 KR 20030011579 A KR20030011579 A KR 20030011579A KR 100515156 B1 KR100515156 B1 KR 10051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ndless belt
pressure applying
endless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038A (ko
Inventor
하시가와요시히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Publication of KR2004000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2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방식의 이점을 살리면서, 비용 상승, 고장이나 수명 단축의 원인, 및 코일 비(非)정돈의 원인이 되는 풀리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엔들리스 벨트(1)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한 것을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설하며, 각 벨트(1)를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압력부여체(2, 3)를, 각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하고, 상기 각 압력부여체(2, 3)를 적어도,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형태인 벨트 가압부(21, 31)와, 측단면이 호형태인 벨트 반전부(23, 33)로 구성하며, 각 벨트(1)의 외측표면(1b)의 마찰계수가 내측표면(1a)의 마찰계수보다 큰 구성으로 하여, 슬릿 스트립(a)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용 윤활제{Strip grasping tension providing apparatus and endless belt thereof and lubricant material for endless bel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폭넓은 금속성 스트립을 이 스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재단하는 슬리터 라인에 있어서, 금속성 스트립의 절단(slit)후에 각 슬릿 스트립을 권취할 때 발생하는 장력의 불균형을 조정하고, 또 스트립 표면에 찰상(擦傷)을 내지 않고 균등한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용 윤활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당사 출원 특허 제1361033호(당사 상품명;벨트 브라이들) 및 당사 출원 특허 제2651891호(당사 상품명;로벨터)와 비슷한 금속성 스트립 혹은 플라스틱 시트 코일 권취장력 부여장치가 알려져 있다.
압착 펠트에 의한 찰상이나 압착 마크가 스트립의 표면에 부착되어도 문제가되지 않는 코일재로는 펠트압착방식의 "텐션 패드"가 많이 사용되며, 광택이 있는 도금 처리등을 실시한 재료나 스테인리스재나 광택 마무리가 행해진 비철금속재 등의 권취에는, 당사에서 개발한 풀리와 엔들리스 벨트를 구비한 "벨트 브라이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코일 모재 폭이 5피트인 슬리터 라인용 벨트 브라이들 장치에서는 엔들리스 벨트가 약 100개정도 있으며, 그 엔들리스 벨트를 긴장시키기 위해 총 약 200개정도의 풀리가 필요하다.
이 다수의 풀리에는 중심축에 장착을 위해 거의 동일한 개수의 볼 베어링이나 중간 스페이서 부품 등 각각 동수의 부품이 구성되어 있다.
이 다수의 풀리를 없애는 것도 목적으로 하여, 출원인은 원형 금속성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특허 제2651891)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원형 드럼으로 스트립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방식이므로, 압착 부분은 선형에 가까워서 면적이 작고, 이 때문에 이 방식으로는 발생 장력에 한계가 있고, 통과시킬 스트립의 판두께에 제한(현재는 판두께 2mm이하로 한정하고 있다)이 있어, 그 이상의 처리재는 대응할 수 없으므로, 풀리를 갖는 벨트 브라이들을 적용하고 있다.
이 원형 금속성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특허 제2651891)의 엔들리스 벨트는 대략 원형인 상하의 압력부여체로 압착되어 있으며, 권취할 스트립에 의해 당겨진 엔들리스 벨트는 압축과 복원의 연속적 변형이 반복되기 때문에, 벨트재 내부의 분자간 마찰이 심하고, 그 결과 벨트 자체의 발열과 압축과 복원의 반복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벨트의 열화가 심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엔들리스 벨트의 허용면압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넓은 판두께 범위의 처리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압(受壓)면적, 즉 누름판 부분에 상당하는 벨트의 압착면적을 넓게 하지 않으면 두꺼운 스트립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원형 드럼으로는 적응 범위에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원형 금속성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특허 제2651891)에서는 처리재의 범위에 한계가 있으며, 그 범위밖의 스트립의 슬릿 등을 대상으로 하는 라인에는 벨트 브라이들을 적용해왔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벨트 브라이들에는 다수의 구입부품, 제작부품 및 그들 조립에는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벨트 브라이들 장치의 비용상승 문제가 있어, 이 벨트 방식의 보급에 방해가 되고 있다.
또한, 벨트 브라이들은 스트립을 사이에 끼운 상하 한쌍의 엔들리스 벨트의 양측으로부터 누름판을 압착하여, 그 부분에서의 마찰 저항력을 스트립의 권취장력에 이용하는 장치로서, 그 결과 누름판 부분에는 마찰열이 작업량에 따라 발생하므로, 누름판 부분에는 냉각수를 순환시켜 마찰열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엔들리스 벨트측에도 마찰열이 발생하여 벨트 자체의 온도 상승이 있으며, 그 열은 풀리측으로 이동하므로, 벨트 브라이들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풀리가 과열상태가 된다. 이는 장착되어 있는 볼 베어링의 고장이나 엔들리스 벨트 수명의 단축을 초래하는 결과가 되고 있다.
혹은, 벨트 브라이들 장치의 엔들리스 벨트는 누름판 및 프레임 구조를 사이에 끼고 그 양측에 한쌍의 풀리에 의해 긴장되어 있는데, 그 중간의 약 500mm 남짓은 엔들리스 벨트가 가이드되고 있지 않으므로, 벨트가 좌우로 동요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가늘게 절단된 스트립의 권취작업에서는 스트립이 사행(蛇行, 좌우로 움직이는 것)하게 되어, 권취기에 감은 코일의 엣지가 가지런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와 같은 단점을 방지 또는 완화하기 위해서는 각 엔들리스 벨트를 강하게 긴장시킬 필요가 있으며, 엔들리스 벨트를 강하게 긴장시킨 상태에서, 회전 저항을 최소로 유지하며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각 엔들리스 벨트의 양측에 볼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한쌍의 풀리가 필수 불가결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벨트 방식의 이점을 살리면서, 비용 상승, 고장이나 수명 단축의 원인, 및 코일 비정돈의 원인이 되는 풀리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를 제공하는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에 윤활제를 함침할 수 있게 하여 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코스트 다운의 방해가 되는 풀리 및 그 관련부품을 생략하고 싶지만, 엔들리스 벨트를 강하게 긴장시켜 스트립의 사행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회전저항이 작은 베어링을 개재시킨 풀리가 필요하지만, 풀리의 경우에는 약 500mm의 엔들리스 벨트의 가이드 지지점 거리가 되어, 이 길이가 스트립 사행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 사행 방지 대책으로서는 엔들리스 벨트의 가이드 지지점 간격을 단축함으로써, 엔들리스 벤트를 양측에서 강하게 긴장시키지 않아도 엔들리스 벨트의 동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직선형태의 벨트 가압부와 그 양단측에 호형태의 벨트 반전부 및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들을 분할 가이드하는 벨트 가이드용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청구항에 따른 발명이 된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엔들리스 벨트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한 것을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설하며, 각 엔들리스 벨트를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가압하는 압력부여체를,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하고, 상기 각 압력부여체를,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형태인 벨트 가압부와, 벨트 가압부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호형태인 벨트 반전부로 적어도 구성하며, 각 엔들리스 벨트의 외측표면의 마찰계수가 내측표면의 마찰계수보다 큰 구성으로 하여,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외측표면 사이를 통과한 스트립의 양면에,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한 압력부여체로 상하에서 엔들리스 벨트를 눌러 압착하고, 각 엔들리스 벨트를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의 마찰 결합으로 구동하며,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 일체가 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를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 운동시켜, 상기 압력부여체와 엔들리스 벨트 내측표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스트립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엔들리스 벨트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한 것을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설하고, 각 엔들리스 벨트를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가압하는 압력부여체를,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하며, 상기 각 압력부여체를,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형태인 벨트 가압부와, 벨트 가압부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단면에서 볼 때, 엔들리스 벨트와의 접촉면이 둥근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를 일정 간격으로, 엔들리스 벨트와의 접촉 궤적이 호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는 벨트 반전부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 벨트 반전부에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를 분할 가이드하는 벨트 가이드용 돌기를 형성하며, 각 엔들리스 벨트의 외측표면의 마찰계수가 내측표면의 마찰계수보다 큰 구성으로 하여, 상하 엔들리스 벨트의 서로 마주하는 외측표면 사이를 통과한 스트립의 양면에,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한 압력부여체로 상하로부터 엔들리 벨트를 눌러 압착하고, 각 엔들리스 벨트를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의 마찰 결합으로 구동하며,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 일체가 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를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 운동시켜, 상기 압력부여체와 엔들리스 벨트 내측표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스트립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청구항 1, 청구항 2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압력부여체의 벨트 가압부의 내부에는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력부여체의 벨트 반전부의 내부에는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 가압부의 안쪽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그 요입부내에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에 긴장을 부여하는 벨트 긴장용 롤러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압력부여체의 벨트 가압부의 배치 개소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이 요입부내에는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와 연결되지 않는 벨트 가압부와, 이 벨트 가압부를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에 가압하는 팽축 주머니가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2의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에서 사용되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함침할 수 있도록,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직포로 하고, 엔들리스 벨트의 외측표면을, 압축 탄성이 작고, 가압되어도 압축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도를 갖는 가요성의 재료로 밀착 구성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2의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에서 사용되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윤활하는 윤활제로서, 상온에서는 고형체이고 고온이 되면 융점을 초과하여 액상이 되는 파라핀을 막대형상으로 형성한 부직포 또는 다공성 발포체에 함침시킨 것을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측에 접촉 배치하고, 엔들리스 벨트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내부의 함침된 파라핀이 녹아나와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윤활하여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1]
여기에서, 도 1은 기본 구성 단면도, 도 2는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4는 벨트 가이드용 돌기가 핀과 판인 경우의 구성 단면도, 도 5의 (A)는 수냉 냉각실을 구비한 구성 단면도, 도 5의 (B)는 수냉 냉각실과 공냉 냉각실을 구비한 구성 단면도, 도 6의 (A), (B)는 변형 구성 단면도이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슬릿 스트립(a)에 일정의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로,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의 전방쪽에서 슬릿 스트립(a)의 이동 통로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지지된 엔들리스 벨트(1)와,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가 각각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그 외주를 돌고,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상하 한쌍의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와, 양 압력부여체(2, 3)를 지지하는 스탠드(4), 상부 압력부여체(2)에 압하력을 부여하는 액압 실린더(5)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2)는 상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한편, 하부 압력부여체(3)는 하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부 압력부여체(2)와 하부 압력부여체(3)는 협동하여,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각 엔들리스 벨트(1)들 사이를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을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하로부터 동일한 가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것이 횡방향 즉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 배치되며, 또한 이들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상하로 배치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무단(無斷)형태의 벨트로 구성되며, 상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2)의 외주, 및 하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하부 압력부여체(3)의 외주에, 각각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독립적으로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가 장착된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에는 엔들리스 벨트(1)를 순환운동시키는 구동원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으로 순환운동하는 것 이외에, 자력으로 순환운동하는 일이 없다. 즉,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에 각각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과 접촉하지 않는 한 순환운동하는 일은 없다.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슬릿 스트립(a)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은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슬릿 스트립(a)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외측표면(1b)보다 마찰계수가 작고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함침할 수 있도록,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직포로 구성되며,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압축 탄성이 작고, 가압되어도 압축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도를 갖는 비교적 얇은 가요성(可撓性)의 재료로 밀착 구성되어 있다.
이 직포를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에 사용함으로써,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미리 스며들게 하여 마찰 계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직포는 판형태의 고체 재질과는 달리 가요성이 큰 특징이 있으므로, 압력부여체(2, 3)에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 저항이 작다. 직포는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원형 부여체의 엔들리스 벨트의 재질은 두께 방향으로 충분한 압축 탄성과 복원성이 요구되어, 원형 부여체의 선접촉에 가까운 압착 상태에서 벨트의 압축 탄성 왜곡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본 발명은 압도적으로 압착 면적이 크므로, 원형과 동등한 마찰 저항력(장력)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낮은 면압으로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는 원형 부여체인 경우의 압축 왜곡 변형 저항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얇게 압축 탄성도가 작은 합성수지계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합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에 윤활제를 함침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 및 외측표면(1b)에 사용하는 소재 자체의 마찰계수차가 있는 소재의 조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내측표면(1a)보다도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재는 내마모성의 재료, 예를 들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계 재료로 구성되며, 외측표면재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탄성체,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의 미끄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의 마찰계수가 외측표면(1b)의 마찰계수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2)는 상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상부 압력부여체(2)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21)와, 벨트 가압부(21)의 상방에 평행으로 형성되며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이드부(22)와,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22) 및 벨트 가압부(21)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23)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2)는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22) 및 벨트 가압부(21),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의 벨트 반전부(23)에 의해,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23)는 반원호 형태 이외에, 부분타원호 형태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압력부여체(2)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형태가 된다. 상부 압력부여체(2)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2)의 외주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상부 압력부여체(2)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 형태로 마무리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1)가 상부 압력부여체(2)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2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2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2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2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2)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24)가 그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2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蛇行)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24)는 양 벨트 반전부(2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2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24)에는 통상적으로 핀이 사용되는데,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25)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판(25)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25)은 벨트 반전부(23)에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24)는 벨트 가이드판(25)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23)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압력부여체(2)의 내부에는 냉각실(2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26)은 상부 압력부여체(2)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레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26)은 내부 칸막이판(2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2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21) 내부, 총 3개로 나뉘어진다. 또한, 벨트 가압부(21)의 내부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2b)에 의해 다시 2개로 구획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내부 칸막이판(2b)에 의해 그 이상으로 구획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벨트 가압부(21)의 내부를 복수개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2b)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2b)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2) 내부의 냉각실(26)을 나누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2a, 2b)은 내부가 냉각실(26)에 의해 공동(空洞)이 되는 상부 압력부여체(2)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부 압력부여체(2)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데, 내부 칸막이판(2a, 2b)이 이에 저항하여, 상부 압력부여체(2)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냉각실(26)에는 수냉 냉각실(26a)과 공냉 냉각실(26b)이 있다. 수냉 냉각실(26a)은 내부에 물을, 공냉 냉각실(26b)은 내부에 공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냉각한다. 수냉 냉각실(26a)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되기 쉬워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26b)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상부 압력부여체(2) 형상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가압부(21) 안쪽의 벨트 가이드부(22)가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23)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벨트 가압부(21)의 안쪽에 요입부(22a)가 형성된 상부 홈형의 대략 긴 원형 형태의 것도 있다. 이 경우, 상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와 요입부(22a)의 내부 사이에는 틈새가 생겨,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22a)내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에 긴장을 부여하는 벨트 긴장용 롤러(27)가 배치된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22a)내에 벨트 긴장용 롤러(27)를 대신하여 또는 병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는 윤활제(29)가 배치된다. 윤활제(29)는 요입부(22a) 바닥에 배치된 오목한 형태의 윤활제 홀더(29a)에 수용되어 있다. 윤활제(29)는 상온에서는 고형체이고 고온이 되면 융점을 초과하여 액상이 되는 파라핀을 막대 형태로 형성한 부직포 또는 다공성 발포체에 함침시킨 것을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측에 접촉 배치하고,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내부의 함침된 파라핀이 녹아나와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여 마찰 계수를 저하시킨다. 엔들리스 벨트(1)는 이 윤활제(29)에 의해 회전도중, 그 내측표면(1a)이 윤활되기 때문에, 빈번하게 라인을 멈추고 내측표면(1a)을 윤활시킬 필요도 없어, 요입부(22a)내의 윤활제(29)는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하부 압력부여체(3)는 하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하부 압력부여체(3)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31)와, 벨트 가압부(31)의 하방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측단면이 직선형상인 벨트 가이드부(32)와, 상하의 벨트 가압부(31) 및 벨트 가이드부(32)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33)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3)는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32) 및 벨트 가압부(31),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33)에 의해,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33)는 반원호 형태이외에, 부분타원호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부 압력부여체(3)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형태가 된다. 하부 압력부여체(3)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하부 압력부여체(3)의 외주를 따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하부 압력부여체(3)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형태로 마무리되며,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하부 압력부여체(3)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3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3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3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3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3)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34)가 그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3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34)는 양 벨트 반전부(3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3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34)에는 통상적으로 핀이 사용되지만,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35)이 사용되는 일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판(35)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35)은 벨트 반전부(33)에 원호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34)는 벨트 가이드판(35)의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33)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하부 압력부여체(3)의 내부에는 냉각실(3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36)은 하부 압력부여체(3)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리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36)은 내부 칸막이판(3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3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31) 내부, 총 3개로 나뉘어진다. 또한, 벨트 가압부(31)의 내부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3b)에 의해 다시 2개로 구획되거나, 또는 복수의 내부 칸막이판(3b)에 의해 그 이상으로 구획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벨트 가압부(31)의 내부를 복수개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3b)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3b)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3)의 내부 냉각실(36)을 나누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3a, 3b)은, 내부가 냉각실(36)에 의해 공동이 되는 하부 압력부여체(3)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하부 압력부여체(3)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 데, 내부 칸막이판(3a, 3b)이 이에 저항하여, 하부 압력부여체(3)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냉각실(36)에는 수냉 냉각실(36a)과 공냉 냉각실(36b)이 있다. 수냉 냉각실(36a)은 내부에 물을, 공냉 냉각실(36b)은 내부에 공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냉각한다. 수냉 냉각실(36a)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되기 쉬워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36b)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하부 압력부여체(3) 형상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가압부(31) 안쪽의 벨트 가이드부(32)가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의 벨트 반전부(33)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벨트 가압부(31)의 안쪽에 요입부(32a)가 형성된 하부 홈형의 대략 긴 원형 형태의 것도 있다. 이 경우, 하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와 요입부(32a) 내부와의 사이에는 틈새가 생겨,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32a)내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에 긴장을 부여하는 벨트 긴장용 롤러(37)가 배치된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32a)내에 벨트 긴장용 롤러(37)를 대신하여 또는 병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는 윤활제(39)가 배치된다. 윤활제(39)는 요입부(32a)의 바닥에 배치된 오목한 형태의 윤활제 홀더(39a)에 수용되어 있다. 윤활제(39)는 상온에서는 고형체이고 고온이 되면 융점을 초과하여 액상이 되는 파라핀을 막대 형태로 형성한 부직포 또는 다공성 발포체에 함침시킨 것을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측에 접촉 배치하고,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열에 의해 내부의 함침된 파라핀이 녹아나와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여 마찰 계수를 저하시킨다. 엔들리스 벨트(1)는 이 윤활제(29)에 의해 회전중, 그 내측표면(1a)이 윤활되기 때문에, 빈번하게 라인을 멈추고 내측표면(1a)을 윤활할 필요도 없고, 요입부(32a)내의 윤활제(39)는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하부 압력부여체(3)의 양단측은, 축(38)을 통해 그 양 외측에 설치된 문형(門形) 스탠드(4)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3)의 양단에는 바깥쪽을 향해 축(38)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각 축(38)은 문형 스탠드(4)의 상부 가로보(41)의 중앙에 축결합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3)의 양단측에 설치된 스탠드(4)는 상부 가로보(41)와, 상부 가로보(41)의 양단 하부를 지지하는 좌우 세로보(42)로 구성되는 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탠드(4)는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 가로보(41)의 상방에는 상부 압력부여체(2)의 양단측을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43)이 승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양측에 설치된 스탠드(4)는 그 하단이 판형태의 베이스(45)위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2)의 양단측은 축(28)을 통해 그 양 외측에 설치된 문형 스탠드(4)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2)의 양단에는 바깥쪽을 향해 축(28)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각 축(28)은 문형 스탠드(4)의 상부 가로보(41)의 상방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베어링(43)의 중앙에 축결합되어 있다.
문형 스탠드(4)의 내측 즉 상부 가로보(41)와 좌우 세로보(42) 사이에는 액압 실린더(5)가 형성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5)는 상부 베어링(43)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승강하는 상부 베어링(43)을 통해 상부 압력부여체(2)에 엔들리스 벨트(1)에 대한 압하력을 부여한다. 액압 실린더(5)로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가 사용된다.
액압 실린더(5)는 하방으로 신축되도록, 그 상단이 상부 가로보(41)의 하단 중앙에 지지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51)의 하단은 가로 연결판(52)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가로 연결판(52)의 양단측에는 상부 베어링(43)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축(44)의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승강축(44)은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부 가로보(41)를 승강가능하게 관통하고 있고, 관통된 상단은 상부 베어링(43)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2)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43)은 이 승강축(44)이 액압 실린더(5)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이와 일체가 되어 승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액압 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51)가 하방으로 신장되면, 승강축(44)은 하강하며, 이와 연동하여 상부 베어링(43) 및 상부 압력부여체(2)도 하강하고, 이로인해 엔들리스 벨트(1)에 압하력이 작용하여,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의 협동에 의해 상하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한다.
또한, 액압 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51)가 수축하면, 승강축(44)은 상승하며, 이와 연동하여 상부 베어링(43) 및 상부 압력부여체(2)도 상승함으로 인해, 엔들리스 벨트(1)에 대응하는 압하력은 소실되고, 엔들리스 벨트(1)에 의한 슬릿 스트립(a)에 대한 권취장력도 소실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액압 실린더(5)는 하향으로 설치, 즉 상부 가로보(41)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피스톤 로드(51)가 신축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액압 실린더(5)를 상향으로 설치, 즉 액압 실린더(5)의 하단을 베이스(45)상에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51)가 상단측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방으로 피스톤 로드(51)가 신축되는 구조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액압 실린더(5)에는 슬릿 스트립(a)의 판두께나 판 폭에 맞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 액압 실린더(5)로의 유체압을 압력조정장치(미도시)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 기초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의 양단측에 설치된 각 스탠드(4)내에 지지된 액압 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51)를 수축하여, 각 스탠드(4) 상방의 상부 베어링(43)을 상승시킨다. 각 상부 베어링(43)을 상승시키면 양단이 상부 베어링(43)에 지지된 상부 압력부여체(2)는 상승하여, 상부 압력부여체(2)와 하부 압력부여체(3)와의 사이는 상하로 벌어진다.
이와 같이 벌어진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 사이에 각 슬릿 스트립(a)을 통과시켜, 액압 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51)를 하방으로 신장하여 상부 압력부여체(2)를 하강시킴으로써, 상부 압력부여체(2)와 하부 압력부여체(3)와의 사이를 완전히 좁혀 슬릿 스트립(a)의 통과 작업을 완료함과 아울러, 상하의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에 장착한 엔들리스 벨트(1)에 의해, 슬릿 스트립(a)을 상하로부터 일정의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상부 압력부여체(2)의 벨트 가압부(21)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내측표면(1a)에 완전히 밀착시킨다. 벨트 가압부(2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의 표면과 완전히 밀착된다.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의 표면과 완전히 밀착된 후에는 슬릿 스트립(a)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슬릿 스트립(a)의 이면과 접촉하는 하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는, 반력에 의해 하부 압력부여체(3)의 벨트 가압부(31)로 하부측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 슬릿 스트립(a)의 이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 사이에서 상하로부터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을 동일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 때,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과 밀착된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의 전체 범위에는 균등한 압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슬릿 스트립(a)의 권취를 개시하면,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과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의 밀착 마찰에 의해, 상하의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대략 긴 원형의 상부 압력부여체(2) 및 하부 압력부여체(3)의 외주를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며 돈다. 이 때,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대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한편,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2)의 벨트 가압부(21) 및 하부 압력부여체(3)의 벨트 가압부(31)의 표면과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즉,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에 의해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벨트 가압부(21) 및 벨트 가압부(31)가 소위 브레이크적인 기능을 하여,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와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필요한 권취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실시 형태-2]
여기에서, 도 7은 기본 구성 단면도, 도 8은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9는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슬릿 스트립(a)에 일정의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로,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의 전방쪽에서 슬릿 스트립(a)의 이동 통로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엔들리스 벨트(1)와,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가 각각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그 외주를 돌고,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상하 한쌍의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와, 양 압력부여체(6, 7)를 지지하는 스탠드(8), 상부 압력부여체(6)에 압하력을 부여하는 액압 실린더(9)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6)는 상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한편, 하부 압력부여체(7)는 하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부 압력부여체(6)와 하부 압력부여체(7)는 협동하여,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각 엔들리스 벨트(1)들 사이를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을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하로부터 동일 가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일정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것이 횡방향 즉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 배치되며, 또한 이들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상하로 배치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무단형태의 벨트로 구성되며, 상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6)의 외주, 및 하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하부 압력부여체(7)의 외주에, 각각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독립적으로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가 장착된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에는 엔들리스 벨트(1)를 순환운동시키는 구동원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으로 순환운동하는 것 이외에, 자력으로 순환운동하는 일이 없다. 즉,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에 각각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과 접촉하지 않는 한 순환운동하는 일은 없다.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슬릿 스트립(a)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은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슬릿 스트립(a)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외측표면(1b)보다 마찰계수가 작고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직포가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함침할 수 있도록,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직포로 구성되며,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압축 탄성이 작고, 가압되어도 압축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경도를 갖는 비교적 얇은 가요성의 재료로 밀착 구성되어 있다.
이 직포를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에 사용함으로써,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미리 스며들게 하여 마찰 계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직포는 판형태의 고체재질과는 달리 가요성이 큰 특징이 있으므로, 압력부여체(6, 7)에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 저항이 작다. 직포는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원형 부여체의 엔들리스 벨트의 재질은 두께 방향으로 충분한 압축 탄성과 복원성이 요구되어, 원형 부여체의 선접촉에 가까운 압착 상태에서 벨트의 압축 탄성 왜곡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본 발명은 압도적으로 압착 면적이 크므로, 원형과 동등한 마찰 저항력(장력)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낮은 면압으로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는 원형 부여체인 경우의 압축 왜곡 변형 저항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얇게 압축 탄성도가 작은 합성수지계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합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에 윤활제를 함침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 및 외측표면(1b)에 사용하는 소재 자체의 마찰계수차가 있는 소재의 조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내측표면(1a)보다도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재는 내마모성의 재료, 예를 들면 낮은 연질의 합성수지계 재료로 구성되며, 외측표면재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탄성체,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미끄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의 마찰계수가 외측표면(1b)의 마찰계수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6)는 상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상부 압력부여체(6)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61)와, 벨트 가압부(61)의 상방에 평행으로 형성되며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이드부(62)와,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62) 및 벨트 가압부(61)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63)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6)는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62) 및 벨트 가압부(61),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63)에 의해,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63)는 반원호 형태 이외에, 부분타원호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압력부여체(6)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형태가 된다. 상부 압력부여체(6)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로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6)의 외주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하다. 상부 압력부여체(6)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 형태로 마무리되며, 각 엔들리스 벨트(1)가 상부 압력부여체(6)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6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6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6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6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6)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64)가 그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6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64)는 양 벨트 반전부(6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6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64)에는 통상적으로 핀이 사용되는데,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가이드판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은 벨트 반전부(63)에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64)는 벨트 가이드판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63)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압력부여체(6)의 내부에는 냉각실(6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66)은 상부 압력부여체(6)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레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66)은 수냉 냉각실과 공냉 냉각실이 있는데,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즉, 수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하기 쉬어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냉각실(66)은 내부 칸막이판(6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6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61) 내부, 총 3개로 나뉘어진다. 또한, 벨트 가압부(61)의 내부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에 의해 다시 2개로 구획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내부 칸막이판에 의해 그 이상으로 구획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벨트 가압부(61)의 내부를 복수개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으로 더 구획되는 관계는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부 압력부여체(6) 내부의 냉각실(66)을 나누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6a)은 내부가 냉각실(66)에 의해 공동이 되는 상부 압력부여체(6)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부 압력부여체(6)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데, 내부 칸막이판(6a)이 이에 저항하여, 상부 압력부여체(6)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 하부 압력부여체(7)는 하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통과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하부 압력부여체(7)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71)와, 벨트 가압부(71)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팽축 주머니(71a)와, 벨트 가압부(71)와 팽축 주머니(71a)를 수용하는 요입부(72a)와, 요입부(72a)의 하방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이드부(72)와, 상하의 벨트 가압부(71) 및 벨트 가이드부(72)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7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벨트 가압부(71)는 벨트 가이드부(72)와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73)에 대해 비연결상태로 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부(72)와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73)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71) 및 팽출 주머니(71a)가 수용되는 요입부(72a)는 하부 압력부여체(7) 상부 중간의 벨트 가압부(71)의 배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7)는 상하의 벨트 가압부(71) 및 벨트 가이드부(72),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인 벨트 반전부(73)에 의해, 그 외주는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73)는 반원호 형태 이외에, 부분타원호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부 압력부여체(7)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형태가 된다. 하부 압력부여체(7)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 인 하부 압력부여체(7)의 외주를 따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하부 압력부여체(7)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형태로 마무리되며,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하부 압력부여체(7)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71)는 팽축 주머니(71a)에 의해 가압되어,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7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7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7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상기 팽축 주머니(71a)는 벨트 가압부(71)와 요입부(72a) 바닥면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팽축 주머니(71a)는 일정 폭과 길이와 두께를 갖는 중공 형태의 주머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설되며,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팽축 주머니(71a)는 중공 형태의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의 유체를 밀봉한 것으로, 내부의 유체 누설을 발생시키지 않는 밀봉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또 팽창 신축성 이 뛰어난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팽축 주머니(71a)는 내부의 유체 압력으로 팽축되고, 그 상측에 배치된 벨트 가압부(71)의 하부 평탄면을 유체압의 성질에 기초하여 균일하게 가압한다. 그리고, 팽축 주머니(71a)는 벨트 가압부(7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팽축 주머니(71a)의 내부 유체의 압력을 바꿈으로써, 벨트 가압부(71)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바꾸고, 또 벨트 가압부(7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바꿀 수 있다. 유체로서는, 예를 들면 공기나 오일 등의 기체 또는 액체가 이용된다.
하부 압력부여체(7)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로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74)가 그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7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74)는 양 벨트 반전부(7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7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74)에는 통상적으로 핀이 사용되지만,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이 사용되는 일도 있다. 벨트 가이드판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은 벨트 반전부(73)에 원호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74)는 벨트 가이드판의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73)에 돌출 형성된다(도 4 참조).
또한, 하부 압력부여체(7)의 내부에는 냉각실(7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76)은 하부 압력부여체(7)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리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76)에는 수냉 냉각실과 공냉 냉각실이 있다.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즉, 수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하기 쉬어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냉각실(76)은 내부 칸막이판(7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7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72a) 하방 내부, 총 3개로 나뉘어진다. 또한, 요입부(72a)의 하방 내부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에 의해 다시 2개로 나뉘어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내부 칸막이판에 의해 그 이상으로 나뉘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요입부(72a)의 하방내부를 복수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으로 더 구획되는 관계는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하부 압력부여체(7) 내부의 냉각실(76)을 나누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7a)은, 내부가 냉각실(76)에 의해 공동이 되는 하부 압력부여체(7)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하부 압력부여체(7)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데, 내부 칸막이판(7a)이 이에 저항하여, 하부 압력부여체(7)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양단측의 중앙측은, 그 양측방에 설치된 문형 스탠드(8)에 결합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6)는 스탠드(8)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7)의 양단 중앙측은 지지보(8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양단측에 설치된 스탠드(8)는 상부 가로보(81)와, 상부 가로보(81)의 양단 하부를 지지하는 좌우 높이가 있는 세로보(82)로 구성되는 문형(門形)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탠드(8)는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 압력부여체(6)는 스탠드(8)의 내측, 즉 상부 가로보(81)와 좌우 세로보(82) 사이에서 승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세로보(82)의 높이는 상부 압력부여체(6)의 승강보다도 높다.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양측에 설치된 스탠드(8)는 그 하단이 판형태의 베이스(84)위에 고정되어 있다.
문형 스탠드(8)의 상부 가로보(81)의 중앙상단에는 액압 실린더(9)가 형성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9)는 상부 압력부여체(6)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승강하는 상부 압력부여체(6)에 엔들리스 벨트(1)에 대한 압하력을 부여한다. 액압 실린더(9)로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가 사용된다.
액압 실린더(9)는 하방으로 신축되도록, 그 하단이 상부 가로보(81)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9)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91)는 상부 가로보(81)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뻗어 있어, 피스톤 로드(91)의 하단은 상부 압력부여체(6)의 양단측 중앙 상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액압 실린더(9)는 상부 압력부여체(6)의 양단측을 압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액압 실린더(9)의 피스톤 로드(91)가 하방으로 신장되면, 양단측이 연결된 상부 압력부여체(6)도 하강하여 엔들리스 벨트(1)에 압하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협동에 의해 상하로부터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한다.
또한, 액압 실린더(9)의 피스톤 로드(91)가 수축하면, 상부 압력부여체(6)도 상승함으로 인해, 엔들리스 벨트(1)에 대응하는 압하력은 소실되며, 엔들리스 벨트(1)에 의한 슬릿 스트립(a)에 대한 권취장력도 소실된다.
또한, 액압 실린더(9)에는 슬릿 스트립(a)의 판두께나 판폭에 맞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 액압 실린더(9)로의 유체압을 압력조정장치(미도시)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 기초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양단측에 설치된 각 스탠드(8)의 상부 가로보(81)의 상단 중앙에 하향 설치된 액압 실린더(9)의 피스톤 로드(91)를 상방으로 수축하면, 피스톤 로드(91)의 하단에 그 양단측이 연결된 상부 압력부여체(6)는 상승하며, 이로 인해 상부 압력부여체(6)와 하부 압력부여체(7)와의 사이는 상하로 벌여진다.
이와 같이 벌어진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 사이에 각 슬릿 스트립(a)을 통과시켜, 액압 실린더(9)의 피스톤 로드(91)를 하방으로 신장하여 상부 압력부여체(6)를 하강시킴으로써, 상부 압력부여체(6)와 하부 압력부여체(7)와의 사이를 완전히 좁혀 슬릿 스트립(a)의 통과 작업을 완료한 후, 하부 압력부여체(7)의 벨트 가압부(71)의 하측 팽축 주머니(71a)에 유체를 압입하여 팽축 주머니(71a)를 팽창시킨다. 유체는 펌프(미도시)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축 주머니(71a)의 내부에 압입되게 된다.
팽창된 팽축 주머니(71a)는 이 팽축 주머니(71a)의 상측 벨트 가압부(71)를 가압하는데, 유체내의 모든 점은 동일한 압력이 된다는 성질로 인해, 팽축 주머니(71a)는 이 팽축 주머니(71a)와 접하는 벨트 가압부(71)의 전체 범위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팽창에 의해 팽축 주머니(71a)가 상하방향으로 부풀어오름으로 인해, 벨트 가압부(71)는 상방으로 가압되어 그 상면이 하부측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에 완전히 밀착된다. 팽축 주머니(71a)의 유체압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 벨트 가압부(71)는 엔들리스 벨트(1)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의 이면과 완전히 밀착된다.
슬릿 스트립(a)의 표면과 접촉하는 상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는, 반력에 의해 상부 압력부여체(6)의 벨트 가압부(61)로 상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 사이에서 상하로부터 슬릿 스트립(a)의 표면/뒷면을 동일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 때, 팽축 주머니(71a)의 유체내의 모든 점은 동일한 압력이 된다는 성질로 인해,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과 밀착된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의 전체 범위에는 균등한 압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슬릿 스트립(a)의 권취를 개시하면,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과 상하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의 밀착 마찰에 의해, 상하의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대략 긴 원형의 상부 압력부여체(6)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외주를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며 돈다. 이 때,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대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한편,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6)의 벨트 가압부(61) 및 하부 압력부여체(7)의 벨트 가압부(71)의 표면과 상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즉,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에 의해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벨트 가압부(61) 및 벨트 가압부(71)가 소위 브레이크적인 기능을 하여,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와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필요한 권취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팽축 주머니(71a)의 유체 압력을 제어함으로서, 발생 장력은 자유롭게 조정가능해진다.
[실시 형태-3]
여기에서, 도 10은 기본 구성 단면도, 도 11은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12는 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13은 벨트 가이드용 돌기가 핀과 판인 경우의 구성 단면도, 도 14는 수냉 냉각실을 구비한 구성 단면도, 도 15의 (A)(B)는 변형 구성 단면도이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슬릿 스트립(a)에 일정의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로,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의 전방측에서 슬릿 스트립(a)의 이동 통로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엔들리스 벨트(1)와,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가 각각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그 외주를 돌고,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상하 한쌍의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와, 양 압력부여체(102, 103)를 지지하는 스탠드(104), 상부 압력부여체(102)에 압하력을 부여하는 액압 실린더(105)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2)는 상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한편, 하부 압력부여체(103)는 하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부 압력부여체(102)와 하부 압력부여체(103)는 협동하여,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각 엔들리스 벨트(1)들 사이를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을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하로부터 동일 가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일정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것이 횡방향 즉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 배치되며, 또한 이들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상하로 배치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무단형태의 벨트로 구성되며, 상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외주, 및 하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외주에, 각각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독립적으로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가 장착된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에는 엔들리스 벨트(1)를 순환운동시키는 구동원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으로 순환운동하는 것 이외에, 자력으로 순환운동하는 일이 없다. 즉,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에 각각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과 접촉하지 않는 한 순환운동하는 일은 없다.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슬릿 스트립(a)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은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슬릿 스트립(a)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외측표면(1b)보다 마찰계수가 작고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함침할 수 있도록,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직포로 구성되며,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압축 탄성이 작고, 가압되어도 압축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경도를 갖는 비교적 얇은 가요성의 재료로 밀착 구성되어 있다.
이 직포를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에 사용함으로써,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미리 스며들게 하여 마찰 계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직포는 판형태의 고체재질과는 달리 가요성이 큰 특징이 있으므로, 압력부여체(102, 103)에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 저항이 작다. 직포는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원형 부여체의 엔들리스 벨트의 재질은 두께 방향으로 충분한 압축 탄성과 복원성이 요구되어, 원형 부여체의 선접촉에 가까운 압착 상태에서 벨트의 압축 탄성 왜곡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본 발명은 압도적으로 압착 면적이 크므로, 원형과 동등한 마찰 저항력(장력)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낮은 면압으로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는 원형 부여체인 경우의 압축 왜곡 변형 저항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얇게 압축 탄성도가 작은 합성수지계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합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에 윤활제를 함침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 및 외측표면(1b)에 사용하는 소재 자체의 마찰계수차가 있는 소재의 조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내측표면(1a)보다도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재는 내마모성의 재료, 예를 들면 낮은 마찰계수의 연질 합성수지계 재료로, 외측표면재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탄성체,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미끄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의 마찰계수가 외측표면(1b)의 마찰계수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102)는 상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상부 압력부여체(102)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121)와, 벨트 가압부(121)의 상방에 평행으로 형성되며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이드부(122)와,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122) 및 벨트 가압부(121)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에서 볼 때,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면이 둥근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가 일정 간격으로,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 궤적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는 벨트 반전부(123)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2)는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122) 및 벨트 가압부(121),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로 이루어진 벨트 반전부(123)에 의해,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123)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는 반원호 형태의 배치, 부분타원호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의 배치로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압력부여체(102)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형태가 된다. 상부 압력부여체(102)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벨트 반전부(123)를 구성하는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로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과의 접촉면이 둥근 원통관이나 원형 막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는 고정 설치되어 있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반전부(123)가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벨트 반전부(123)의 내부에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하여 그 통기성이 도모되기 때문에 공냉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관이 사용될 경우에는 원통관 내부를 공냉함으로써 더욱 냉각 효과는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23a)에 내부와 일부 연통하는 홈을 갖는 단면이 원호형태인 관을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외주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 형태로 마무리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1)가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2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12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2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12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124)가 그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2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24)는 양 벨트 반전부(12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12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124)에는 통상적으로 핀이 사용되는데,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125)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가이드판(125)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125)은 벨트 반전부(123)에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124)는 벨트 가이드판(125)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23)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내부에는 냉각실(12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126)은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레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126)은 내부 칸막이판(102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2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121) 내부, 총 3개로 구획된다. 또한, 벨트 가압부(121)의 내부는 필요에 따라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102b)에 의해 다시 2개로 구획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내부 칸막이판에 의해 그 이상으로 구획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벨트 가압부(121)의 내부를 복수개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102b)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2) 내부의 냉각실(126)을 나누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102a, 102b)은 내부가 냉각실(126)에 의해 공동이 되는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부 압력부여체(102)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데, 내부 칸막이판(102a)이 이에 저항하여, 상부 압력부여체(102)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냉각실(126)에는 수냉 냉각실(126a)과 공냉 냉각실(126b)이 있다. 수냉 냉각실(126a)은 내부에 물을, 공냉 냉각실(126b)은 내부에 공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냉각한다. 수냉 냉각실(126a)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되기 쉬워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126b)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상부 압력부여체(102) 형상의 변형예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가압부(121) 안쪽의 벨트 가이드부(1222)가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의 벨트 반전부(123)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벨트 가압부(121)의 안쪽에 요입부(122a)가 형성된 상부 홈형의 대략 긴 원형 형태의 것도 있다. 이 경우, 상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와 요입부(122a)의 내부 사이에는 틈새가 생겨,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122a)내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에 긴장을 부여하는 벨트 긴장용 롤러(127)가 배치된다.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122a)내에 벨트 긴장용 롤러(127)를 대신하여 또는 병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는 윤활제(129)가 배치된다. 윤활제(129)는 요입부(122a)의 바닥에 배치된 오목한 형태의 윤활제 홀더(129a)에 수용되어 있다. 윤활제(129)는 상온에서는 고형체이고 고온이 되면 융점을 초과하여 액상이 되는 파라핀을 막대 형태로 형성한 부직포 또는 다공성 발포체에 함침시킨 것을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측에 접촉 배치하고,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열에 의해 내부의 함침된 파라핀이 녹아나와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여 마찰 계수를 저하시킨다. 엔들리스 벨트(1)는 이 윤활제(129)에 의해 회전중, 그 내측표면(1a)이 윤활되기 때문에, 빈번하게 라인을 멈추고 내측표면(1a)을 윤활할 필요도 없고, 요입부(122a)내의 윤활제(129)는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하부 압력부여체(103)는 하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하부 압력부여체(103)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131)와, 벨트 가압부(131)의 하방에 평행하게 현성되며 측단면이 직선형태인 벨트 가이드부(132)와, 상하의 벨트 가압부(131) 및 벨트 가이드부(132)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에서 볼 때,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면이 둥근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가 일정의 간격으로,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궤적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는 벨트 반전부(133)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103)는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132) 및 벨트 가압부(131),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로 이루어진 벨트 반전부(133)에 의해,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133)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는 반원호 형태의 배치, 부분타원호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의 배치로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부 압력부여체(103)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형태가 된다. 하부 압력부여체(103)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133)를 구성하는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에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과의 접촉면이 둥근 원통관이나 원형 막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는 고정 설치되어 있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반전부(133)가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벨트 반전부(133)의 내부에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하여 그 통기성이 도모되기 때문에 공냉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관이 사용될 경우에는 원통관 내부를 공냉함으로써 더욱 냉각 효과는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33a)에 내부와 일부 연통하는 홈을 갖는 단면이 원호형태인 관을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 인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외주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 형태로 마무리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31)는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13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3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와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13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134)가 그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3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34)는 양 벨트 반전부(13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13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134)에는 통상적으로 핀이 사용되지만,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135)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가이드판(135)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135)은 벨트 반전부(133)에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134)는 벨트 가이드판(135)의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33)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내부에는 냉각실(13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136)은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리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136)은 내부 칸막이판(103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3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131) 내부, 총 3개로 나뉘어진다. 또한, 요입부(131)의 내부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103b)에 의해 다시 2개로 나뉘거나, 또는 복수개의 내부 칸막이판(103b)에 의해 그 이상으로 나뉘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요입부(131)의 내부를 복수개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103b)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103b)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내부 냉각실(136)을 칸막이하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103a, 103b)은, 내부가 냉각실(136)에 의해 공동이 되는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하부 압력부여체(103)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데, 내부 칸막이판(103a, 103b)이 이에 저항하여, 하부 압력부여체(103)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냉각실(136)에는 수냉 냉각실(136a)과 공냉 냉각실(136b)이 있다. 수냉 냉각실(136a)은 내부에 물을, 공냉 냉각실(136b)은 내부에 공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냉각한다. 수냉 냉각실(136a)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되기 쉬워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136b)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하부 압력부여체(103) 형상의 변형예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가압부(131) 안쪽의 벨트 가이드부(132)가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의 벨트 반전부(133)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벨트 가압부(131)의 안쪽에 요입부(132a)가 형성된 하부 홈형의 대략 긴 원형 형태의 것도 있다. 이 경우, 상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와 요입부(132a)의 내부 사이에는 틈새가 생겨,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132a)내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에 긴장을 부여하는 벨트 긴장용 롤러(137)가 배치된다.
또한,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입부(132a)내에 벨트 긴장용 롤러(137)를 대신하여 또는 병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는 윤활제(139)가 배치된다. 윤활제(39)는 요입부(32a)의 바닥에 배치된 오목한 형태의 윤활제 홀더(139a)에 수용되어 있다. 윤활제(139)는 상온에서는 고형체이고 고온이 되면 융점을 초과하여 액상이 되는 파라핀을 막대 형태로 형성한 부직포 또는 다공성 발포체에 함침시킨 것을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측에 접촉 배치하고,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내부의 함침된 파라핀이 녹아나와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윤활하여 마찰 계수를 저하시킨다. 엔들리스 벨트(1)는 이 윤활제(129)에 의해 회전 도중, 그 내측표면(1a)이 윤활되기 때문에, 빈번하게 라인을 멈추고 내측표면(1a)을 윤활할 필요도 없고, 요입부(132a)내의 윤활제(139)는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양단측은, 축(138)을 통해 그 양 외측에 설치된 문형(門形) 스탠드(104)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양단에는 바깥쪽을 향해 축(138)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각 축(138)은 문형 스탠드(104)의 상부 가로보(141)의 중앙에 축결합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양단측에 설치된 스탠드(104)는 상부 가로보(141)와, 상부 가로보(141)의 양단 하부를 지지하는 좌우 세로보(142)로 구성되는 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탠드(104)는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 가로보(141)의 상방에는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양단측을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143)이 승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양측에 설치된 스탠드(104)는 그 하단이 판형태의 베이스(145)위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양단측은 축(128)을 통해 그 양 외측에 설치된 문형 스탠드(104)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양단에는 바깥쪽을 향해 축(128)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각 축(128)은 문형 스탠드(104)의 상부 가로보(141)의 상방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베어링(143)의 중앙에 축결합되어 있다.
문형 스탠드(104)의 내측 즉 상부 가로보(141)와 좌우 세로보(142) 사이에는 액압 실린더(105)가 형성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105)는 상부 베어링(143)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승강하는 상부 베어링(143)을 통해 상부 압력부여체(102)에 엔들리스 벨트(1)에 대한 압하력을 부여한다. 액압 실린더(105)에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가 사용된다.
액압 실린더(105)는 하방으로 신축되도록, 그 상단이 상부 가로보(141)의 하단 중앙에 지지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105)의 하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151)의 하단은 가로 연결판(152)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가로 연결판(152)의 양단측에는 상부 베어링(143)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축(144)의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승강축(144)은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부 가로보(141)를 승강가능하게 관통하고 있고, 관통된 상단은 상부 베어링(143)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2)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143)은 이 승강축(144)이 액압 실린더(105)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이와 일체가 되어 승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액압 실린더(105)의 피스톤 로드(151)가 하방으로 신장되면, 승강축(144)은 하강하며, 이와 연동하여 상부 베어링(143) 및 상부 압력부여체(102)도 하강하고, 이로인해 엔들리스 벨트(1)에 압하력이 작용하여,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협동에 의해 상하로부터 가압함으로써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한다.
또한, 액압 실린더(105)의 피스톤 로드(151)가 수축하면, 승강축(144)은 상승하며, 이와 연동하여 상부 베어링(143) 및 상부 압력부여체(102)도 상승함으로 인해, 엔들리스 벨트(1)에 대응하는 압하력은 소실되고, 엔들리스 벨트(1)에 의한 슬릿 스트립(a)에 대한 권취장력도 소실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액압 실린더(105)는 하향 설치, 즉 상부 가로보(141)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피스톤 로드(151)가 신축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액압 실린더(105)를 상향으로 설치, 즉 액압 실린더(105)의 하단을 베이스(145)상에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151)가 상단측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방으로 피스톤 로드(151)가 신축되는 구조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액압 실린더(105)에는 슬릿 스트립(a)의 판두께나 판폭에 맞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 액압 실린더(105)로의 유체압을 압력조정장치(미도시)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 기초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양단측에 설치된 각 스탠드(104)내에 지지된 액압 실린더(105)의 피스톤 로드(151)를 수축하여, 각 스탠드(104) 상방의 상부 베어링(143)을 상승시킨다. 각 상부 베어링(143)을 상승시키면 양단이 상부 베어링(143)에 지지된 상부 압력부여체(102)는 상승하여, 상부 압력부여체(102)와 하부 압력부여체(103)와의 사이는 상하로 벌어진다.
이와 같이 벌어진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 사이에 각 슬릿 스트립(a)을 통과시켜, 액압 실린더(105)의 피스톤 로드(151)를 하방으로 신장하여 상부 압력부여체(102)를 하강시킴으로써, 상부 압력부여체(102)와 하부 압력부여체(103)와의 사이를 완전히 좁혀 슬릿 스트립(a)의 통과 작업을 완료함과 아울러, 상하의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에 장착한 엔들리스 벨트(1)에 의해, 슬릿 스트립(a)을 상하로부터 일정의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벨트 가압부(121)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내측표면(1a)에 완전히 밀착시킨다. 벨트 가압부(12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의 표면과 완전히 밀착된다.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의 표면과 완전히 밀착된 후에는 슬릿 스트립(a)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슬릿 스트립(a)의 이면과 접촉하는 하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는, 반력에 의해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벨트 가압부(131)로 하부측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 슬릿 스트립(a)의 이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 사이에서 상하로부터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을 동일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 때,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과 밀착된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의 전체 범위에는 균등한 압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슬릿 스트립(a)의 권취를 개시하면,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과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의 밀착 마찰에 의해, 상하의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대략 긴 원형의 상부 압력부여체(102)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외주를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며 돈다. 이 때,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대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한편,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102)의 벨트 가압부(121) 및 하부 압력부여체(103)의 벨트 가압부(131)의 표면과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즉,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에 의해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벨트 가압부(121) 및 벨트 가압부(131)가 소위 브레이크적인 기능을 하여,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와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필요한 권취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실시 형태-4]
여기에서, 도 16은 기본 구성 단면도, 도 17는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18은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슬릿 스트립(a)에 일정의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로,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의 전방측에서 슬릿 스트립(a) 이동 통로의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엔들리스 벨트(1)와,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가 각각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그 외주를 돌고,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상하 한쌍의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와, 양 압력부여체(106, 107)를 지지하는 스탠드(108), 상부 압력부여체(106)에 압하력을 부여하는 액압 실린더(109)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상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한편, 하부 압력부여체(107)는 하부측에 배치된 엔들리스 벨트(1)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부 압력부여체(106)와 하부 압력부여체(107)는 협동하여,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각 엔들리스 벨트(1)들 사이를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을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하로부터 동일 가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일정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것이 횡방향 즉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 배치되며, 또한 이들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상하로 배치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무단 형상의 벨트로 구성되며, 상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외주, 및 하부측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외주에, 각각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독립적으로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으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가 장착된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에는 엔들리스 벨트(1)를 순환운동시키는 구동원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으로 순환운동하는 것 이외에, 자력으로 순환운동하는 일이 없다. 즉,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에 각각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는 슬릿 스트립(a)과 접촉하지 않는 한 순환운동하는 일은 없다.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슬릿 스트립(a)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은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슬릿 스트립(a)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외측표면(1b)보다 마찰계수가 작고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은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함침할 수 있도록,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직포로 구성되며,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압축 탄성이 작고, 가압되어도 압축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경도를 갖는 비교적 얇은 가요성의 재료로 밀착 구성되어 있다.
이 직포를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에 사용함으로써,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미리 스며들게 하여 마찰 계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직포는 판형태의 고체재질과는 달리 가요성이 큰 특징이 있으므로, 압력부여체(106, 107)에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1)의 회전 저항이 작다. 직포는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원형 부여체의 엔들리스 벨트의 재질은 두께 방향으로 충분한 압축 탄성과 복원성이 요구되어, 원형 부여체의 선접촉에 가까운 압착 상태에서 벨트의 압축 탄성 왜곡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본원은 압도적으로 압착 면적이 크므로, 원형과 동등한 마찰 저항력(장력)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낮은 면압으로 충분하며, 본원에서는 원형 부여체인 경우의 압축 왜곡 변형 저항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얇게 압축 탄성도가 작은 합성수지계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합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에 윤활제를 함침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 및 외측표면(1b)에 사용하는 소재 자체의 마찰계수차가 있는 소재의 조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은 내측표면(1a)보다도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재는 내마모성의 재료, 예를 들면 낮은 연질의 합성수지계 재료으로, 외측표면재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탄성체,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미끄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의 마찰계수가 외측표면(1b)의 마찰계수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상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161)와, 벨트 가압부(161)의 상방에 평행으로 형성되며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이드부(162)와,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162) 및 벨트 가압부(161)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에서 볼 때,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면이 둥근 복수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가 일정 간격으로,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 궤적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는 벨트 반전부(163)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상하의 벨트 가이드부(162) 및 벨트 가압부(161),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로 이루어진 벨트 반전부(163)에 의해,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163)을 구성하는 복수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는 반원호 형태의 배치, 부분타원호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의 배치로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 형태가 된다.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벨트 반전부(163)를 구성하는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에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과의 접촉면이 둥근 원통관이나 원형 막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는 고정 설치되어 있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반전부(163)이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벨트 반전부(163)의 내부에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하여 그 통기성이 도모되기 때문에 공냉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관이 사용될 경우에는 원통관 내부를 공냉함으로써 더욱 냉각 효과는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63a)에 내부와 일부 연통하는 홈을 갖는 단면이 원호형태인 관을 사용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외주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 형태로 마무리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1)가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61)는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16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6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하여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과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16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164)가 그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6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64)는 양 벨트 반전부(16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16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164)에는 통상적으로 핀이 사용되는데,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가이드판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은 벨트 반전부(163)에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164)는 벨트 가이드판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63)에 돌출 형성된다(도 13 참조).
또한,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내부에는 냉각실(16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166)은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레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166)은 수냉 냉각실과 공냉 냉각실이 있다.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즉, 수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되기 쉬어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냉각실(166)은 내부 칸막이판(106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6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161) 하방 내부, 총 3개로 나뉘어진다. 또한, 벨트 가압부(161)의 내부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에 의해 다시 2개로 구획되거나, 또는 복수의 내부 칸막이판에 의해 그 이상으로 구획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벨트 가압부(161)의 내부를 복수개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으로 또 다시 구획되는 관계는 상기 실시 형태-3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부 압력부여체(106) 내부의 냉각실(166)을 나누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106a)은 내부가 냉각실(166)에 의해 공동이 되는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부 압력부여체(106)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 데, 내부 칸막이판(106a)이 이에 저항하여, 상부 압력부여체(106)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 하부 압력부여체(107)는 하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통과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설된 하부 압력부여체(107)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압부(171)와, 벨트 가압부(171)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팽축 주머니(171a)와, 벨트 가압부(171)와 팽축 주머니(171a)를 수용하는 요입부(172a)와, 요입부(172a)의 하방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측단면이 직선 형태인 벨트 가이드부(172)와, 상하의 벨트 가압부(171) 및 벨트 가이드부(172)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에서 볼 때,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면이 둥근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가 일정의 간격으로, 엔들리스 벨트(1)와의 접촉궤적이 호형태,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는 벨트 반전부(17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벨트 가압부(171)는 벨트 가이드부(172)와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73)에 대해 비연결상태로 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부(172)와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73)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71) 및 팽출 주머니(171a)가 수용되는 요입부(172a)는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상부 중간의 벨트 가압부(171)의 배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107)는 상하의 벨트 가압부(171) 및 벨트 가이드부(172), 그 양단측의 예를 들면 반원호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로 이루어진 벨트 반전부(173)에 의해, 예를 들면 단면이 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173)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는 반원호 형태의 배치, 부분타원호 또는 부분포물선 형태의 배치로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인 형태가 된다. 하부 압력부여체(107)는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설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벨트 반전부(173)를 구성하는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에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과의 접촉면이 둥근 원통관이나 원형 막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는 고정 설치되어 있지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반전부(173)가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벨트 반전부(173)의 내부에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하여 그 통기성이 도모되기 때문에 공냉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에 내부가 중공인 원통관이 사용될 경우에는 원통관 내부를 공냉함으로써 더욱 냉각 효과는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각 벨트 반전 가이드부(173a)에 내부와 일부 연통하는 홈을 갖는 단면이 원호형태인 관을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단면이 대략 긴 원형 인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외주를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둘레 표면은 긴 원형 형태로 마무리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둘레를 원활하게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71)는 팽축 주머니(171a)에 의해 가압되어,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면압으로 엔들리스 벨트(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벨트 가압부(171)는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에 평행이 되도록 슬릿 스트립(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압부(171)에 의해 내측표면(1a)이 가압되어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과 직접 접촉하는 엔들리스 벨트(1)는,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슬릿 스트립(a)와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순환운동한다. 벨트 가압부(171)는 엔들리스 벨트(1)와 접촉하는 표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마무리되어 있다.
상기 팽축 주머니(171a)는 벨트 가압부(171)와 요입부(172a)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끼인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팽축 주머니(171a)는 일정 폭과 길이와 두께를 갖는 중공 형태의 주머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방향이 슬릿 스트립(a)의 이동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배설되며, 횡방향으로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팽축 주머니(171a)는 중공 형태의 내부에 기체 또는 액체의 유체를 밀봉한 것으로, 내부의 유체 누설을 발생시키지 않는 밀봉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또 팽창 신축성 이 뛰어난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팽축 주머니(171a)는 내부의 유체 압력으로 팽축되고, 그 상측에 배치된 벨트 가압부(171)의 하부 평탄면을 유체압의 성질에 기초하여 균일하게 가압한다. 그리고, 팽축 주머니(171a)는 벨트 가압부(17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팽축 주머니(171a)의 내부 유체의 압력을 바꿈으로써, 벨트 가압부(171)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바꾸고, 또 벨트 가압부(171)를 통해 슬릿 스트립(a)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바꿀 수 있다. 유체로서, 예를 들면 공기나 오일 등의 기체 또는 액체가 이용된다.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외주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로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1)를 분할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벨트 가이드용 돌기(174)가 그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74)는 각 엔들리스 벨트(1)가 폭방향으로 사행 또는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벨트 가이드용 돌기(174)는 양 벨트 반전부(173)에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데, 필요에 따라 벨트 가이드부(172)에도 형성된다. 이 벨트 가이드용 돌기(174)에는 통상 적으로 핀이 사용되지만, 핀 이외에 예를 들면 판형태의 벨트 가이드판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벨트 가이드판(175)이 사용될 경우, 벨트 가이드판은 벨트 반전부(173)에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핀으로 이루어진 벨트 가이드용 돌기(174)는 벨트 가이드판의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73)에 돌출 형성된다(도 13 참조).
또한,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내부에는 냉각실(176)이 각 엔들리스 벨트(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실(176)은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외주를 순환운동하면서 도는 엔들리스 벨트(1)가 마찰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냉각실(176)에는 수냉 냉각실과 공냉 냉각실이 있다.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즉, 수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두껍고, 통과 속도가 빠르면 발생하는 마찰열도 커져서 과열되기 쉬어질 때에 사용된다. 공냉 냉각실은 통과하는 슬릿 스트립(a)의 두께가 얇고 통과 속도도 느려 과열되기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냉각실(176)은 내부 칸막이판(107a)에 의해,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173) 내부와 중간의 벨트 가압부(172a) 하방 내부, 총 3개로 나뉘어진다. 또한, 요입부(172a)의 하방 내부는 필요에 따라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에 의해 다시 2개로 나뉘거나, 또는 복수개의 내부 칸막이판에 의해 그 이상으로 나뉘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요입부(172a)의 하방내부를 복수개로 나누는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의 일부는 부분적으로 개구되어 있어, 일부의 내부 칸막이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이 부분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내부 칸막이판(미도시)으로 더 구획되는 관계는 상기 실시 형태-3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내부 냉각실(176)을 칸막이하는 이들 내부 칸막이판(107a)은, 내부가 냉각실(176)에 의해 공동이 되는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형상 유지 기능을 한다. 즉, 엔들리스 벨트(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하부 압력부여체(107)에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 데, 내부 칸막이판(107a)이 이에 저항하여, 하부 압력부여체(107)가 그 길이 방향으로 휘거나 활처럼 굽거나 하는 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지만, 상기 실시 형태-1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양단측의 중앙측은, 그 양측방에 설치된 문형 스탠드(108)에 결합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스탠드(108)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양단 중앙측은 지지보(18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양단측에 설치된 스탠드(108)는 상부 가로보(181)와 상부 가로보(181)의 양단 하부를 지지하는 좌우 높이가 있는 세로보(182)로 구성되는 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탠드(108)는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스탠드(108)의 내측, 즉 상부 가로보(181)와 좌우 세로보(182) 사이에서 승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세로보(182)의 높이는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승강보다도 높다.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양측에 설치된 스탠드(108)는 그 하단이 판형태의 베이스(184)위에 고정되어 있다.
문형 스탠드(108)는 상부 가로보(181)의 중앙상단에는, 액압 실린더(109)가 형성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109)는 상부 압력부여체(106)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승강하는 상부 압력부여체(106)에 엔들리스 벨트(1)에 대한 압하력을 부여한다. 액압 실린더(109)로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가 사용된다.
액압 실린더(109)는 하방으로 신축하도록, 그 하단이 상부 가로보(181)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109)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191)는 상부 가로보(181)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뻗어 있어, 피스톤 로드(191)의 하단은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양단측 중앙 상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액압 실린더(109)는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양단측을 압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액압 실린더(109)의 피스톤 로드(191)가 하방으로 신장되면, 양단측이 연결된 상부 압력부여체(106)도 하강하여, 엔들리스 벨트(1)에 압하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협동에 의해 상하로부터 가압하여 슬릿 스트립(a)에 권취장력을 부여한다.
또한, 액압 실린더(109)의 피스톤 로드(191)가 수축하면, 상부 압력부여체(106)도 상승함으로써, 엔들리스 벨트(1)에 대응하는 압하력은 소실되며, 엔들리스 벨트(1)에 의한 슬릿 스트립(a)에 대한 권취장력도 소실된다.
또한, 액압 실린더(109)에는 슬릿 스트립(a)의 판두께나 판폭에 맞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 액압 실린더(109)로의 유체압을 압력조정장치(미도시)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 기초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양단측에 설치된 각 스탠드(108)의 상부 가로보(181)의 상단 중앙에 하향 설치된 액압 실린더(109)의 피스톤 로드(191)를 상방으로 수축하면, 피스톤 로드(191)의 하단에 그 양단측이 연결된 상부 압력부여체(106)는 상승하고, 이로 인해 상부 압력부여체(106)와 하부 압력부여체(107)와의 사이는 상하로 벌여진다.
이와 같이 벌어진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 사이에 각 슬릿 스트립(a)을 통과시켜, 액압 실린더(109)의 피스톤 로드(191)를 하방으로 신장하여 상부 압력부여체(106)를 하강시킴으로써, 상부 압력부여체(106)와 하부 압력부여체(107)와의 사이를 완전히 좁혀 슬릿 스트립(a)의 통과 작업을 완료한 후,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벨트 가압부의 하측 팽축 주머니(171a)에 유체를 압입하여 팽축 주머니(171a)를 팽창시킨다. 유체는 펌프(미도시)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팽축 주머니(171a)의 내부에 압입된다.
팽창된 팽축 주머니(171a)는 이 팽축 주머니(171a)의 상측 벨트 가압부(171)를 가압하는데, 유체내의 모든 점은 동일한 압력이 된다는 성질로 인해, 팽축 주머니(171a)는 이 팽축 주머니(171a)와 접하는 벨트 가압부(171)의 전체 범위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팽창에 의해 팽축 주머니(171a)가 상하방향으로 부풀어오름으로 인해, 벨트 가압부(171)는 상방으로 가압되어 그 상면이 하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에 완전히 밀착된다. 팽축 주머니(171a)의 유체압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 벨트 가압부(171)는 엔들리스 벨트(1)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이 슬릿 스트립(a)의 이면과 완전히 밀착된다.
슬릿 스트립(a)의 표면과 접촉하는 상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는, 반력에 의해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벨트 가압부(161)로 상부측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 사이에서 상하로부터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을 동일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 때, 팽축 주머니(171a)의 유체내의 모든 점은 동일한 압력이 된다는 성질로 인해, 상하의 서로 마주보는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들과 밀착된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의 전체 범위에는 균등한 압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슬릿 스트립(a)의 권취를 개시하면,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의 표면/이면과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의 외측표면(1b)과의 밀착 마찰에 의해, 상하의 각 엔들리스 벨트(1)는 대략 긴 원형의 상부 압력부여체(106)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외주를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며 돈다. 이 때,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는 이동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대해 미끄러지는 일 없이 일체가 되어 동일 속도로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운동한다.
한편, 상기 상부 압력부여체(106)의 벨트 가압부(161) 및 하부 압력부여체(107)의 벨트 가압부(171)의 표면과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과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즉, 이동하는 슬릿 스트립(a)과의 마찰 결합에 의해 대략 긴 원형 상태로 순환운동하는 엔들리스 벨트(1)의 내측표면(1a)을 가압하는 벨트 가압부(161) 및 벨트 가압부(171)가 소위 브레이크적인 기능을 하여,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b)(도 20 참조)와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 슬릿 스트립(a)에 필요한 권취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팽축 주머니(171a)의 유체 압력을 제어함으로서, 발생 장력은 자유롭게 조정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개량, 변형을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절단후의 다수의 각 슬릿 스트립을 권취할 때의 권취장력의 부여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1개의 폭 넓은 금속성 스트립을 권취할 때의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신규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벨트 가압부의 양측에, 호형태의 벨트 반전부를 구비한 단면의 압력부여체를 배치하고, 그 외주에 엔들리스 벨트를 장착한 압력부여체를 스트립의 상하에 마주보게 배치함으로써, 터무니 없는 수량의 풀리 및 그 부속 부품을 생략하여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엔들리스 벨트는 압력부여체의 호형태의 벨트 반전부 외주에도 접촉하고 있으므로, 풀리의 경우와는 달리 호형상 부분의 내부에 냉각수를 통과, 순환시키면, 효율적으로 마찰 부분의 열을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풀리를 구비한 벨트 브라이들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은 물론이고, 설치후의 보수 점검도 용이하며, 따라서 유지 비용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열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가능하므로, 엔들리스 벨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이 때문에 보수비용도 경감되며, 또 엔들리스 벨트의 교환 작업도 짧고 또한 회수도 적어지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엔들리스 벨트의 길이도 짧아지고 벨트의 가격도 저감된다.
엔들리스 벨트의 가이드 간격이 풀리의 경우보다 단축되므로, 엔들리스 벨트의 직진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통과하는 스트립의 사행 현상도 없어지고, 권취 코일의 엣지가 가지런하지 못한 단점도 해소된다.
풀리가 필요없게 되어 장치의 폭이 단축되므로, 설치 스페이스가 적어도 된다. 이 때문에, 기존 라인의 텐션장치 부분의 개조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종래의 벨트식 또는 텐션 패드식 장력장치와 권취기와의 중간에는 안내 롤러를 배치하여, 권취 드럼상의 코일의 와인딩 굵기로 인한 외경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벨트식의 경우에는 나오는 쪽의 스트립과 풀리와의 접촉을 피해야만 하므로, 안내 롤러(업계에서는 통상 디플렉터 롤러로 칭한다)로 스트립을 수평으로 끌어내는 것이 필수이다. 그러나, 본원을 적용하면, 코일 외경의 와인딩 굵기에 의해, 스트립의 나오는 쪽의 각도가 변화되더라도, 스트립은 반원형 드럼의 견고한 구조로 지지되므로, 디플렉터 롤러가 없어도 권취 작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디플렉터 롤러의 설비 비용의 감액은 물론이고,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없으므로 라인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력장치로부터 권취기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권취기상의 코일 에지가 가지런하지 못한 트러블도 호전되므로, 코일의 품질 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의 경우에는 벨트 반전부는 측단면에서 볼 때, 엔들리스 벨트와의 접촉면이 둥근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를 일정의 간격으로, 엔들리스 벨트와의 접촉 궤적이 호형태가 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므로, 벨트 반전부는 통기성이 좋고, 이 때문에 엔들리스 벨트를 공냉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에 따르면, 이 직포를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에 사용함으로써,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미리 스며들게 하여 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직포는 판형태의 고체 재질과는 달리 가요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압력부여체에 장착된 엔들리스 벨트의 회전 저항이 작다.
또한, 원형 부여체의 엔들리스 벨트의 재질은 두께방향으로 충분한 압축 탄성과 복원성이 요구되며, 원형 부여체의 선접촉에 가까운 압착상태에서 벨트의 압축 탄성 왜곡을 이용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본원의 벨트 가압부는 압도적으로 압착면적이 크기때문에, 원형과 동등한 마찰 저항력(장력)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벨트 가압부에서의 낮은 면압으로 충분하며, 본 발명에서는 원형 부여체인 경우의 압축 왜곡 변형 저항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얇고 압축 탄성도가 작은 합성 수지계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합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에 윤활제를 함침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벨트의 표면/이면에 사용하는 소재 자체의 마찰계수차가 있는 소재의 조합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본발명은 원형 금속성 스트립 장력부여장치(특허 제2651891)와 달리 압력부여체의 압착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엔들리스 벨트는 두께 방향의 압축성과 복원성을 갖는 탄성체일 필요는 없으며, 또, 벨트 내측표면의 직포의 그물코에 윤활제를 함침시킬 수 있다면, 벨트의 내측표면과 외측표면의 재료로서는 반드시 마찰계수차가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른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용 윤활제에 따르면, 종래에는 직접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에 윤활유를 적하하여 도포하는 방법이었는데, 적하시에는 라인의 운전을 정지하고 오일을 공급할 필요성이 있어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한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미리 성형한 막대 형태의 부직포 또는 다공성 발포체에,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융점이 예를 들면 40℃ 이상이 되면 유동화되는 고형 파라핀을 녹인 용기에 막대형상체를 넣어 함침시켜 두고, 이를 윤활제로서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1a)에 접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엔들리스 벨트의 회전에 따라 마찰열에 의해 막대형상체의 내부 파라핀이 녹아나와 윤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나 발포체를 이용함으로써 내부의 공간에 파라핀이 함침되며, 또한 모세관 현상의 원리도 있어 장기간의 이용이 가능해지므로, 빈번하게 라인을 멈추고 오일을 공급하는 일도 없어, 라인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을 나타내는 기본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을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을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을 나타내는 벨트 가이드용 돌기가 핀과 판인 경우의 구성 단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을 나타내는 수냉 냉각실을 구비한 구성 단면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을 나타내는 수냉 냉각실과 공냉 냉각실을 구비한 구성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을 나타내는 변형 구성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을 나타내는 기본 구성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을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을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을 나타내는 기본 구성 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을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을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을 나타내는 벨트 가이드용 돌기가 핀과 판인 경우의 구성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을 나타내는 수냉 냉각실을 구비한 구성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을 나타내는 변형 구성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4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 단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4를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4를 나타내는 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19는 종래의 기본 구성 단면도.
도 20은 종래와 본 발명과의 비교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종래, (B)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들리스 벨트 1a : 내측표면
1b : 외측표면 2 : 상부 압력부여체
2a : 내부 칸막이판 2b : 내부 칸막이판
21 : 벨트 가압부 22 : 벨트 가이드부
22a : 요입부 23 : 벨트 반전부
2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25 : 벨트 가이드판
26 : 냉각실 26a : 수냉 냉각실
26b : 공냉 냉각실 27 : 벨트 긴장용 롤러
28 : 축 29 : 윤활제
29a : 윤활제 홀더 3 : 하부 압력부여체
3a : 내부 칸막이판 3b : 내부 칸막이판
31 : 벨트 가압부 32 : 벨트 가이드부
32a : 요입부 33 : 벨트 반전부
3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35 : 벨트 가이드판
36 : 냉각실 36a : 수냉 냉각실
36b : 공냉 냉각실 37 : 벨트 긴장용 롤러
38 : 축 39 : 윤활제
39a : 윤활제 홀더 4 : 스탠드
41 : 상부 가로보 42 : 세로보
43 : 상부 베어링 44 : 승강축
45 : 베이스 5 : 액압 실린더
51 : 피스톤 로드 52 : 가로 연결판
6 : 상부 압력부여체 6a : 내부 칸막이판
61 : 벨트 가압부 62 : 벨트 가이드부
63 : 벨트 반전부 6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66 : 냉각실 7 : 하부 압력부여체
7a : 내부 칸막이판 71 : 벨트 가압부
71a : 팽축(膨縮) 주머니 72 : 벨트 가이드부
72a : 요입부 73 : 벨트 반전부
7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76 : 냉각실
8 : 스탠드 81 : 상부 가로보
82 : 세로보 83 : 지지보
84 : 베이스 9 : 액압 실린더
91 : 피스톤 로드 102 : 상부 압력부여체
102a : 내부 칸막이판 102b : 내부 칸막이판
121 : 벨트 가압부 122 : 벨트 가이드부
122a : 요입부 123 : 벨트 반전부
123a : 벨트 반전 가이드부 12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125 : 벨트 가이드판 126 : 냉각실
126a : 수냉 냉각실 126b : 공냉 냉각실
127 : 벨트 긴장용 롤러 128 : 축
129 : 윤활제 129a : 윤활제 홀더
103 : 하부 압력부여체 103a : 내부 칸막이판
103b : 내부 칸막이판 131 : 벨트 가압부
132 : 벨트 가이드부 132a : 요입부
133 : 벨트 반전부 133a : 벨트 반전 가이드부
13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135 : 벨트 가이드판
136 : 냉각실 136a : 수냉 냉각실
136b : 공냉 냉각실 137 : 벨트 긴장용 롤러
138 : 축 139 : 윤활제
139a : 윤활제 홀더 104 : 스탠드
141 : 상부 가로보 142 : 세로보
143 : 상부 베어링 144 : 승강축
145 : 베이스 105 : 액압 실린더
151 : 피스톤 로드 152 : 가로 연결판
106 : 상부 압력부여체 106a : 내부 칸막이판
161 : 벨트 가압부 162 : 벨트 가이드부
163 : 벨트 반전부 163a : 벨트 반전 가이드부
16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166 : 냉각실
107 : 하부 압력부여체 107a : 내부 칸막이판
171 : 벨트 가압부 171a : 팽축 주머니
172 : 벨트 가이드부 172a : 요입부
173 : 벨트 반전부 173a : 벨트 반전 가이드부
174 : 벨트 가이드용 돌기 176 : 냉각실
108 : 스탠드 181 : 상부 가로보
182 : 세로보 183 : 지지보
184 : 베이스 109 : 액압 실린더
191 : 피스톤 로드 a : 슬릿 스트립
b : 슬릿 스트립 권취장치 c : 풀리

Claims (8)

  1. 엔들리스 벨트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한 것을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설하며, 각 엔들리스 벨트를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가압하는 압력부여체를,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하고, 상기 각 압력부여체를,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형태인 벨트 가압부와, 벨트 가압부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호형태인 벨트 반전부로 적어도 구성하며, 이 벨트 반전부에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를 분할 가이드하는 벨트 가이드용 돌기를 형성하고, 각 엔들리스 벨트의 외측표면의 마찰계수가 내측표면의 마찰계수보다 큰 구성으로 하여, 상하의 엔들리스 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외측표면 사이를 통과한 스트립의 양면에,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한 압력부여체로 상하로부터 엔들리스 벨트를 눌러 압착하고, 각 엔들리스 벨트를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의 마찰 결합으로 구동하며,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 일체가 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를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 운동시켜, 상기 압력부여체와 엔들리스 벨트 내측표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스트립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2. 엔들리스 벨트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형성한 것을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설하고, 각 엔들리스 벨트를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가압하는 압력부여체를, 각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하며, 상기 각 압력부여체를,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직접 가압하는 측단면이 직선형태인 벨트 가압부와, 벨트 가압부의 양단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단면에서 볼 때, 엔들리스 벨트와의 접촉면이 둥근 복수개의 벨트 반전 가이드부를 일정 간격으로, 엔들리스 벨트와의 접촉 궤적이 호형태가 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는 벨트 반전부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 벨트 반전부에 병렬 형성된 각 엔들리스 벨트를 분할 가이드하는 벨트 가이드용 돌기를 형성하며, 각 엔들리스 벨트의 외측표면의 마찰계수가 내측표면의 마찰계수보다 큰 구성으로 하여, 상하 엔들리스 벨트의 서로 마주하는 외측표면 사이를 통과한 스트립의 양면에,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을 삽입 관통하게 배치한 압력부여체로 상하로부터 엔들리스 벨트를 눌러 압착하고, 각 엔들리스 벨트를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의 마찰 결합으로 구동하며, 이동하는 각 스트립과 일체가 되어 각 엔들리스 벨트를 독립적으로 대략 긴 원형상태로 순환 운동시켜, 상기 압력부여체와 엔들리스 벨트 내측표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찰력으로 스트립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부여체의 벨트 가압부의 내부에는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부여체의 벨트 반전부의 내부에는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벨트 가압부의 안쪽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그 요입부내에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가압하여 엔들리스 벨트에 긴장을 부여하는 벨트 긴장용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쪽 압력부여체의 벨트 가압부의 배치 개소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이 요입부내에는 양단측의 벨트 반전부와 연결되지 않은 벨트 가압부와 이 벨트 가압부를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에 가압하는 팽축 주머니가 수용되어 있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에서 사용되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직포의 각 섬유 사이 및 그물코의 요입부에 윤활제를 함침할 수 있도록,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직포로 하고, 엔들리스 벨트의 외측표면을, 압축 탄성이 작고 가압되어도 압축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도를 갖는 가요성의 재료로 밀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에서 사용되는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윤활하는 윤활제로서, 상온에서는 고형체이고 고온이 되면 융점을 초과하여 액상이 되는 파라핀을 막대형태로 형성한 부직포 또는 다공성 발포체에 함침시킨 것을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측에 접촉 배치하고, 엔들리스 벨트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내부의 함침된 파라핀이 녹아나와 엔들리스 벨트의 내측표면을 윤활하여 마찰 계수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용 윤활제.
KR10-2003-0011579A 2002-07-02 2003-02-25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벨트용 윤활제 KR100515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3826 2002-07-02
JP2002193826A JP3769730B2 (ja) 2002-07-02 2002-07-02 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及び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エンドレスベルト並びに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エンドレスベルト用潤滑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038A KR20040004038A (ko) 2004-01-13
KR100515156B1 true KR100515156B1 (ko) 2005-09-16

Family

ID=3170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579A KR100515156B1 (ko) 2002-07-02 2003-02-25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벨트용 윤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69730B2 (ko)
KR (1) KR100515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5516B2 (ja) * 2008-10-06 2011-02-02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ベルト式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スリット入りエンドレスベルト
JP4801788B1 (ja) 2010-10-07 2011-10-26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多条エンドレスベルト式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
EP3272686B1 (en) * 2015-03-20 2022-02-02 JDC, Inc. Slit band sheet coiling-tension applying device
CN105855852B (zh) * 2016-05-19 2018-03-20 青岛衡均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穿磁条机
TWI611849B (zh) * 2016-08-05 2018-01-21 Jdc Inc 分條帶板之捲繞張力賦予裝置
US10875070B2 (en) 2016-09-15 2020-12-29 Jdc, Inc. Device for applying coiling-tension to a slit band sheet
CN106829586B (zh) * 2017-04-01 2018-03-27 罗兰丝汇时尚家纺有限公司 家纺布料卷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038A (ko) 2004-01-13
JP3769730B2 (ja) 2006-04-26
JP2004035174A (ja)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4207B2 (ja) 帯状の繊維材料を脱水するためのプレス
KR101202465B1 (ko) 다줄 엔드리스 벨트식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KR100515156B1 (ko)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벨트용 윤활제
EP1380359B1 (en) Tensioning apparatus for a strip coiler
JPS59211696A (ja) 特に紙ウエブの脱水を行なうためのプレス装置
JPH07171623A (ja) 円形型金属性帯板張力付与装置
US5951824A (en) Compliant hydrodynamic/hydrostatic shoe for papermaking press
US11534812B2 (en) Device for applying coiling-tension to a slit band sheet
JPH0229440B2 (ko)
KR100515160B1 (ko)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JP3947714B2 (ja) 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
JPH04305315A (ja) 金属帯の張力付与装置
KR0167024B1 (ko) 원형 금속성 띠강판의 장력부여장치
KR100504586B1 (ko) 교정부재를 갖춘 선재 직선교정기
US20180319613A1 (en) Traction tensioning machine
FI114404B (fi) Laitteisto ja menetelmä kuiturainen käsittelylaitteen päättömän hihnan vaihtamiseksi
JP3087063B2 (ja) 密閉エンドレスループ形ブランケットの寿命延長方法
JP3788285B2 (ja) 金属箔の溝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600233B1 (ko) 슈 프레스용 탄성 슬리브, 슈 프레스용 탄성 슬리브의제조 방법 및 슈 프레스 롤
JP2006111986A (ja) 製紙機械用加圧ロール
JP2003253584A (ja) シュープレス装置
SE508678C2 (sv) Pressanordning för en rörlig b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