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830B1 -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830B1
KR100514830B1 KR10-2002-0047849A KR20020047849A KR100514830B1 KR 100514830 B1 KR100514830 B1 KR 100514830B1 KR 20020047849 A KR20020047849 A KR 20020047849A KR 100514830 B1 KR100514830 B1 KR 10051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engine
vehicle
brak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566A (ko
Inventor
이중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8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3Control of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시동 오프시, 운전자가 차량 정지를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함이 판단되면, 작동 밸브가 열려 벤츄리관에 유체 흐름 발생으로 부압 발생 통로와 연결된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시킴으로써, 주행중 엔진 시동이 오프 되어도 브레이크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할 목적으로;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량 동작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엔진 회전수, 이그니션 키 스위치, 차속,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등을 입력받아 주행중 엔진 시동이 오프됨이 판단되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부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브레이크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키 위해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브레이크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운전자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a device and the method for a restoration of vacuum in brake booster}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 특히, 일정속도 이상으로 고속 주행중 엔진 시동 오프시 브레이크 능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Brake system)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마찰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 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제동장치는 주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Foot Brake)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있고, 주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발로 조작하기 때문에 풋 브레이크라 하고 주차 브레이크는 보통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핸드 브레이크라고도 한다.
상기 주 브레이크는 유압식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유압이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그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슈(Shoe)를 드럼에 밀어 붙여 제동력을 발생케 하는 휠 실린더, 브레이크 파이프 및 호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브레이크 부스터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의 흡입 부압을 이용하여 패달을 밟을 때 마스터 실린더에 가해지는 힘을 배력시키는 장치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힘을 적게 하면서도 제동력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브레이크 부스터는 차량의 주행중 특히, 고속 주행중 엔진 시동 오프시, 발생하는 부압이 부스터에 공급되지 않아 브레이크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대형 교통사고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중 특히, 일정속도 이상으로 고속 주행중 엔진 시동 오프시 운전자가 차량 정지를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함이 판단되면, 작동 밸브가 열려 벤츄리관에 유체 흐름 발생으로 부압 발생 통로와 연결된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시켜 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량 동작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엔진 회전수, 이그니션 키 스위치, 차속,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등을 입력받아 주행중 엔진 시동이 오프됨이 판단되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부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브레이크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키 위해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엔진 흡기 매니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관로와; 상기 제1 연결관로에 결합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벤츄리 관과; 상기 벤츄리 관과 브레이크 부스터를 연결하며, 상기 벤츄리 관에 흐르는 유체 변화에 따라 부압이 형성되는 제2 연결관로와;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회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기어부와; 일측에 상기 기어부와 이동부재로 연결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의 회동방향에 따라 유압을 변화시키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와 연결 결합되어 있어,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변화시키는 마그넷 체크 밸브와; 상기 마그넷 체크 밸브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의 변화에 따라 피스톤의 움직임이 가변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제1 연결관로와 흡기 매니폴드가 연결 결합되는 입구에 구비되어, 엔진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벤츄리 관으로 공급 및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실린더에 구비된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엔진 시동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시동이 오프된 경우, 차량의 주행차속을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 주행인 경우,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부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엔진 시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이 시동 온 됨이 판단되면 부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구성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동 오프 후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동작 상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동 온 후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차단 동작 상태도 이다.
도 1은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제어장치 구성 블록도로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이그니션 키 스위치, 차속 및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등을 검출한다.
엔진 제어 장치(ECU : 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엔진 회전수, 이그니션 키 스위치, 차속 및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등을 입력받아 주행중 이그니션 키 스위치가 오프 됨이 판단되면,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 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가 온(on) 상태임이 판단되면,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의 부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엔진 시동이 온(on) 됨이 판단되면 부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동장치(3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ECU : 200)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및 부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주행중 엔진 시동 오프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따른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 및 해제하기 위해 구동된다.
상기에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10)와;
운전자의 시동 키 조작여부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가변됨을 검출하는 이그니션 키 스위치 검출부(120)와;
차량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속 변화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130)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에 따라 가변되는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검출부(1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구동장치(3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ECU : 200)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및 해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회동하는 제1 구동부(31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및 해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온/오프 되는 제2 구동부(32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및 해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온/오프 되는 제3 구동부(3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구성도로서, 엔진(10)의 흡기 매니폴드(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관로(30)와; 상기 제1 연결관로(30)에 일측이 결합 연결되고, 타측은 대기중으로 개방된 구조로 유입되는 유체 흐름의 변화를 통해 부압을 형성하는 벤츄리 관(40)과; 상기 벤츄리 관(40)과 브레이크 부스터(60)를 연결하는 제2 연결관로(50)와;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회동되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기어부(400)와; 상기 기어부(400)와 이동부재(440)로 연결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400)의 회동방향에 따라 유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 실린더(440)와; 상기 제1 실린더(440)와 연결 결합되어 있어,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변화시키는 마그넷 체크 밸브(470)와; 상기 마그넷 체크 밸브(470)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440)의 변화에 따라 움직임이 가변되는 제2 실린더(480)와; 상기 흡기 매니폴드(20)와 연결 결합되는 제1 연결관로(30) 입구에 구비되어, 엔진(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벤츄리관(40)으로 공급 및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실린더(480)의 동작 변화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재(49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부스터(6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차속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페달(70)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70)의 움직임에 따라 필요한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80) 사이에 구비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 페달(70)을 조작하면, 흡기 매니폴드(20)의 흡입 부압을 이용하여 페달을 밟을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80)에 가해지는 힘을 배력 시킨다.
상기에서 기어부(400)는 구동기어(410)가 제1 연결로드(311)에 의해 구동모터(310)와 결합되어 있고, 종동기어(420)와 치합되어 있다.
상기 종동기어(420)는 제1 피니언 기어(421)와 제2 피니언 기어(4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피니언 기어(422)는 제1 피니언 기어(421) 상부에 소정의 원주 크기로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웜기어(423)와 치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실린더(440)는 일측이 내부에 구비된 제1 피스톤(441)과 연결 결합되어 있는 제2 이동로드(430)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420)의 웜기어(423) 일측과 연결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린더(440) 일측 내부에는 제1 피스톤(441)과 연결 결합되는 제2 이동로드(430) 방향으로 제1 리턴 스프링(442)이 상기 제1 실린더(440)의 일측 내부면과 제1 피스톤(441) 사이에 탄지되어 있다.
상기 제1 실린더(440)의 타측에는 제1 유로(450)의 일측이 연결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로(450) 소정의 위치에 필요시 작동유를 보충하는 보충 실린더(46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로(450)와 보충 실린더(460)사이에는 제1 유로(450)의 작동유가 상기 보충 실린더(46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체크 밸브(4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로(450)와 제1 체크 밸브(461)는 제2 유로(451)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체크 밸브(461)와 보충 실린더(460)는 제 3유로(462)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마그넷 체크 밸브(470)는 일측이 상기 제1 유로(450)의 타측과 연결 결합되어 있고, 타측에 제4 유로(479)의 일측이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넷 체크 밸브(470)는 내부에 제1 포트(471)와 제2 포트(4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에는 제1 실(473)이 타측에는 제2 실(4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넷 체크 밸브(470)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실(473)의 제1 포트(471)에는 엔진 제어 장치(ECU : 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3 구동부(320)와 연결 결합되어 온/오프 구동되는 제1 체크 볼(475)이 형성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실(474)의 제2 포트(472)에는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3 구동부(330)와 연결 결합되어 온/오프 구동되는 제2 체크 볼(476)이 형성 구비되어 있어, 오일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4 유로(479) 타측에는 제2 실린더(480)가 연결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실린더(480) 일측에는 내부에 구비된 제2 피스톤(481)과 연결 구비된 제3 이동 로드(482)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내부면과 상기 제2 피스톤(481) 사이에 제2 리턴 스프링(483)이 탄지되어 있다.
상기 제3 이동로드(482)의 타측에는 회동부재(490)가 연결 구비되어 있다.
상기에서 회동부재(490)는 제3 리턴 스프링(491)과 회동 판(492)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리턴 스프링(491)의 일측에 상기 제3 이동로드(482)의 타측이 연결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판(492)은 상기 제3 리턴 스프링(491)과 연결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3 리턴 스프링(491)의 회동에 연동되어 제1 연결관로(3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주행중인 차량에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이그니션 키 스위치 상태, 차속 및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등을 검출하여 출력한다(S100).
이에,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엔진 회전수, 이그니션 키 스위치 상태, 차속 및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등을 입력받아, 차속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엔진 시동이 오프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10). 참고로, 상기에서 일정속도의 기준은 차량의 주행중 위험정도를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변형하여 설정 가능한 값이다.
상기에서 차량이 주행 중 엔진 시동이 오프 된 상태가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차량이 현재 계속 주행중인가를 판단한다(S120).
상기에서, 차량이 계속 주행중임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를 판단한다(S130).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엔진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차속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조작을 수행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40).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중인 차량에서 엔진 시동이 꺼진 후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70)조작이 이루어지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구동장치(300)의 제1 구동부(310)인 구동모터(310)를 정회전 시키고, 제2 구동부(320)를 작동 온 구동시킨다.
상기에서 구동모터(310)가 정회전 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10)와 제1 연결로드(311)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있는 기어부(400)의 구동기어(410)가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410)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기어(420)의 제1 피니언 기어(421)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피니언 기어(4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 피니언 기어(422)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422)와 치합되어 있는 웜기어(423)를 하강시킨다.
상기에서 웜기어(423)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웜기어(423)와 제2 이동로드(430)와 연결 결합되어 있는 제1 실린더(440)에 구비된 제1 피스톤(441)이 하강하며 제1 유로(450)에 소정 압력의 유압을 발생시킨다.
이 때, 마그넷 체크 밸브(470)에 형성 구비되어 있는 제2 구동부(320)는 온 구동되어 제1 포트(471)를 오픈 시키고, 제3 구동부(33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로(450)에 형성된 유압은, 마그넷 체크 밸브(470)에 형성된 제1 포트(471)를 통하여 제4 유로(479)로 유압을 형성시켜 상기 제4 유로(479)와 연결 결합된 제2 실린더(480)에 구비된 제2 피스톤(481)을 하강시킨다.
상기 제2 피스톤(481)은 제2 실린더(480)에 구비된 제2 리턴 스프링(483)의 탄성을 이기고 하강한다.
상기에서 제2 실린더(480)에 구비된 제2 피스톤(481)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 피스톤(481)과 연결 결합된 제3 이동 로드(482)가 하강하며, 회동부재(490)를 정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판(492)을 오픈시킨다.
상기에서 흡기 매니폴드(20)와 제1 연결관로(30)가 연결 결합되는 입구에 구비된 회동판(492)이 정회전하여 오픈됨에 따라, 상기 흡기 매니폴드(20)로 흡입되는 공기는 제1 연결관로(30)로 유입되어 벤츄리 관(40)으로 공급된다. 즉, 차량의 현 주행상태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이므로, 흡기 매니폴드(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벤츄리 관(40)으로 흐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벤츄리 관(40)에 유체 흐름이 발생함으로써 벤츄리 관(40)과 연결 결합되어 있는 제2 연결관로(50)상에 부압이 형성되어 즉, 벤츄리 관(40)의 단면적 크기 변화를 통해 부스터에 필요한 부압이 제2 연결관로(50)상에 형성되어, 엔진이 정지함으로써 소멸되는 부압을 브레이크 부스터(60)에 다시 공급할 수 있어 엔진 시동 오프로 발생되는 브레이크 능력 저하를 회복시킨다.
이 후, 엔진 제어 장치(200)는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오프 후 엔진의 시동여부를 판단한다(S150).
상기에서 엔진 시동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벤츄리 관(40)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6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3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ECU : 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제1 구동부(310)인 구동모터는 역회전함과 동시에 마그넷 체크 밸브(470)의 제3 구동부(330)는 작동 온(on) 및 제2 구동부(320)는 작동 오프(off) 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 체크 밸브(470)의 제1 포트(471)는 폐쇄됨과 동시에 제2 포트(472)는 오픈된다.
상기에서, 구동모터(310)가 역회전함에 따라 기어부(400) 또한 역회전하여 제1 실린더(440)에 형성된 제1 피스톤(441)이 상승되어 제4 유로(479)에 형성된 유압이 해제됨에 따라 회동부재(490)에 구비된 제3 리턴 스프링(491)이 리턴됨에 따라 회동 판(492)은 제1 연결관로(30)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한다.
상기에서, 제3 리턴 스프링(491)이 리턴되면서, 제3 이동로드(482)와 연결 결합된 제2 실린더(480)에 구비된 제2 피스톤(481)을 상승시키면서, 제4 유로(479)에 형성된 유압을 마그넷 체크 밸브(470)를 거쳐 제1 유로(450)로 리턴 시킨다.
따라서, 제4 유로(479)에 작용하던 오일은 마그넷 체크 밸브(470)의 제2 포트(472)를 통과하여 제1 유로(450)로 복귀된다.
이 때, 제1 유로(450)로 복귀되는 유압이 관로의 손실 등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저하되면, 보충 실린더(460)에서 제 1체크 밸브(461)를 거쳐 보충한다.
이로써, 차량의 주행중 엔진 시동이 오프 되어도 브레이크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하여 브레이크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운전자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특히, 고속 주행중 시동 오프시 운전자가 차량 정지를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함이 판단되면, 작동 밸브가 열려 벤츄리관에 유체 흐름 발생으로 부압 발생 통로와 연결된 부스터에 부압을 형성시킴으로써, 주행중 엔진 시동이 오프 되어도 브레이크 부스터에 부압의 형성으로 브레이크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운전자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방법 동작 순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구성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동 오프 후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동작 상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동 온 후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차단 동작 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진 20 : 흡기 매니폴드 30 : 제1 연결관로
40 : 벤츄리관 50 : 제2 연결관로 60 : 부스터
70 : 브레이크 페달 80 : 마스터 실린더
100 :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 110 : 엔진 회전수 검출부
120 : 이그니션 키 스위치 검출부 130 : 차속 검출부
140 :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검출부 200 : 엔진 제어 수단
300 : 구동수단 310 : 제1 구동부
320 : 제2 구동부 330 : 제 3 구동부
400 : 기어부 410 : 구동기어 420 : 종동기어
421 : 제1 피니언 기어 422 : 제2 피니언 기어 423 : 웜기어
430 : 제2 이동로드 440 : 제1 실린더 441 : 제1 피스톤
450 : 제1 유로 460 : 보충 실린더 461 : 제1 체크밸브
470 : 마그넷 체크밸브 471 : 제1 포트 472 : 제2 포트
473 : 제1 실 474 : 제2 실 479 : 제4 유로
480 : 제2 실린더 481 : 제2 피스톤 482 : 제3 이동로드
490 : 회동부재 491 : 리턴 스프링 492 : 회동 판

Claims (12)

  1.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와, 운전자의 시동 키 조작여부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가변됨을 검출하는 이그니션 키 스위치 검출부와, 차량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속 변화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에 따라 가변되는 브레이크 스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인가되는 엔진 회전수, 이그니션 키 스위치, 차속, 브레이크 페달 동작상태 등을 입력받아 주행중 엔진 시동이 오프됨이 판단되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부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및 해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회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및 해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온/오프 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부압 공급 및 해제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온/오프 되는 제3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엔진 흡기 매니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관로와; 상기 제1 연결관로에 결합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벤츄리 관과; 상기 벤츄리 관과 브레이크 부스터를 연결하며, 상기 벤츄리 관에 흐르는 유체 변화에 따라 부압이 형성되는 제2 연결관로와;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회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기어부와; 일측에 상기 기어부와 이동부재로 연결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의 회동방향에 따라 유압을 변화시키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와 연결 결합되어 있어,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변화시키는 마그넷 체크 밸브와; 상기 마그넷 체크 밸브와 연결 결합되어 상기 제1 실린더의 변화에 따라 피스톤의 움직임이 가변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제1 연결관로와 흡기 매니폴드가 연결 결합되는 입구에 구비되어, 엔진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벤츄리 관으로 공급 및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실린더에 구비된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기어부는 구동모터와 제1 연결로드로 연결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어 승,하강되는 웜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종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제2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제1 피니언 기어는 제2 피니언 기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피니언 기어가 제1 피니언 기어보다 소정의 원주율로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제1 실린더의 타측은 마그넷 체크 밸브의 일측과 연결 결합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그넷 체크 밸브의 타측에는 제2 실린더의 일측과 연결 결합되는 제4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제1 유로 소정의 위치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로에서 역류되는 오일을 차단하는 제1 체크 밸브와; 상기 제1 체크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로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로 저하되면 오일을 보충해주는 보충 실린더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제2 실린더 내에 구비된 제2 피스톤은 제3 이동 로드에 의해 회동부재와 연결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11. 제 4항 또는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동부재는 제3 리턴 스프링과 회동 판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12. 주행중인 차량에서, 엔진 시동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 시동 오프 됨이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차속을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 주행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부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 조작 오프 후 엔진 시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이 시동 온 됨이 판단되면, 부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방법.
KR10-2002-0047849A 2002-08-13 2002-08-13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51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49A KR100514830B1 (ko) 2002-08-13 2002-08-13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849A KR100514830B1 (ko) 2002-08-13 2002-08-13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566A KR20040015566A (ko) 2004-02-19
KR100514830B1 true KR100514830B1 (ko) 2005-09-14

Family

ID=3732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849A KR100514830B1 (ko) 2002-08-13 2002-08-13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756B1 (ko) * 2004-08-30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과 모터가 탑재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부압 제어방법
KR101281313B1 (ko) * 2011-10-27 2013-07-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감속시 흡기 매니폴드의 압력제어를 이용한 연비 및 제동 성능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566A (ko)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998B2 (en) Brak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7813859B2 (en) Automatic braking devic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vehicle in unintended direction of the driver with target brake decreasing control
CN101304909B (zh) 一种用于车辆的制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5636357B2 (ja) 車両制御装置
ITRM970128A1 (it) Dispositivo per l&#39;azionamento automatico dell&#39;impianto frenante idraulico di un veicolo stradale
JPH1024817A (ja) 車両の意図しない走り去りを防止する方法
JP3287259B2 (ja) 制動力制御装置
US10507815B2 (en) Brake system
JPH09272418A (ja) 制動力制御装置
JP3528415B2 (ja) 制動圧力制御装置
JP4830939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0514830B1 (ko)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회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0118373A (ja) 制動力制御方法および制動力制御装置
JP3815177B2 (ja) 制動力制御装置
KR100243606B1 (ko) 브레이크라인의 자동공기배출장치
KR101444955B1 (ko) 자동차 브레이크용 마스터실린더의 자유간극 자동조절장치
KR100398260B1 (ko) 차량용 오토 크루즈 장치를 이용한 제동방법
KR970007717B1 (ko) 자동차용 제동력 유지장치
KR20030088951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배력장치 구조
KR200227704Y1 (ko) 자동주행시스템용부스터의제동스위치장착구조
JPH11227590A (ja) 車両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JPH10264790A (ja) 制動力制御装置
JP2700313B2 (ja) クラツチ制御装置
JPH07266912A (ja) 車両のブレーキエネルギ回生装置
JPS6283243A (ja) 車両用ブレ−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