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130B1 - 섬광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섬광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130B1
KR100514130B1 KR10-2000-0067761A KR20000067761A KR100514130B1 KR 100514130 B1 KR100514130 B1 KR 100514130B1 KR 20000067761 A KR20000067761 A KR 20000067761A KR 100514130 B1 KR100514130 B1 KR 10051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tube
trigger
capaci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705A (ko
Inventor
모또무라가쓰미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가 도모된 섬광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섬광 발생회로는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L1) 내에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을 발광관(16_1)과 함께 배치하고, 내장전지(1)의 전압을 승압회로(11)에 의해 소정 전압까지 승압하여, 메인 콘덴서(13) 및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전력을 축적하고, 트리거 스위치(15)를 폐쇄하여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의 트리거 전압에 의해 발광관(16_1)을 발광시킨다.

Description

섬광 발생회로{FLASHLIGHT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섬광을 발광시키는 섬광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피사체 휘도가 부족한 경우, 셔터 동작에 동기하여 플래시 광(섬광)을 발광하여 사진 촬영을 행하는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는 플래시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섬광 발생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도 14는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00)에는 카메라 전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내장전지(1)에 접속된 승압회로(2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승압회로(211)는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까지 승압한다.
또한, 섬광 발생회로(200)에는 승압회로(211)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다이오드(212)를 경유하여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213)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은 다이오드(212)의 양극 측에 접속되고, 그 다이오드(212)의 음극 측은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은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의 (-) 측 및 (+) 측에는 저항소자(214)와 트리거 스위치(215)가 직렬로 접속되며, 이 메인 콘덴서(213)에 병렬로 발광관(216)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관(216)은 양극(216a), 음극(216b), 측면 전극(216c)을 갖고, 내부에는 크세논(XE)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또한, 이 섬광 발생회로(200)에는 소정 권수(卷數)의 1차측 권선(218a)과, 그 권수보다도 큰 권수의 2차측 권선(218b)으로 구성된 트리거 코일(218)이 구비되어 있다. 1차측 권선(218a)의 한쪽 끝은 트리거용 콘덴서(217)를 통하여 저항소자(214)와 트리거 스위치(215)와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2차측 권선(218b)의 한쪽 끝은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1차측 권선(218a) 및 2차측 권선(218b)의 각 다른 쪽 끝은 발광관(216)의 양극(216a)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200)에서는, 먼저, 트리거 스위치(215)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211)에 의해 승압된다. 승압된 전력은 다이오드(212)를 경유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다. 또한, 이 승압된 전력은 1차측 권선(218a), 트리거용 콘덴서(217), 저항소자(214), 다이오드(212)의 경로를 통과하여 트리거용 콘덴서(217)에도 축적된다.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215)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기전력이 야기된다. 여기서, 2차측 권선(218b)의 권수는 1차측 권선(218a)의 권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2차측 권선(218b)에 야기되는 기전력은 증폭되어 커진다. 이와 같이 큰 기전력이 트리거 전압으로서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기 때문에,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勵起)되어,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L)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전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래시 광의 발광이 실행된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와는 상이한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10)를 구성하는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은 다이오드(212)를 경유하여 메인 콘덴서(213)의 (+) 측에 접속되며,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은 메인 콘덴서(213)의 (-)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의 (+) 측 및 (-) 측에는 직렬 접속된 저항소자(214) 및 트리거 스위치(21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메인 콘덴서(213)의 (+) 측 및 (-) 측은 발광관(216)의 양극(216a) 및 음극(216b)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소자(214)와 트리거 스위치(219)와의 접속점은 트리거용 콘덴서(217)를 통하여 트리거 코일(218)의 1차측 권선(218a)의 한쪽 끝에 접속되고, 그 트리거 코일(218)의 2차측 권선(218b)의 한쪽 끝은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1차측 권선(218a) 및 2차측 권선(218b)의 각 다른 쪽 끝은 발광관(216)의 음극(216b)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210)에서는 트리거 스위치(219)가 폐쇄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큰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트리거 전압으로서 발광관(218)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어,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200, 210)에서는 트리거 스위치(215, 219)가 폐쇄되어 트리거 전압이 발광관(216)에 공급되면, 발광관(216) 내에서 방전이 순간적으로 개시되어, 피크 광량이 크고 발광 시간이 짧은 급격한 상승의 발광 커브(이하, 단순히 급격한 발광 커브라고 기술한다)를 따라 발광이 종료된다. 이러한 급격한 발광 커브에 의한 발광에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의 플래시 광에 의한 노광 제어를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노광 조절회로를 구비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에서는, 광량 조절을 행함에 있어서, 플래시 광의 발광 지속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노광 조절회로의 응답 지연이 플래시 광의 발광에 추종할 수 없고, 따라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광량 조절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래시 광의 발광 도중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발광관(216)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배치해 두고, 그 무접점 스위치를 오프(off)함으로써 발광을 정지시킨다는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발광 접속 시간이 짧은 플래시 광에 의해 소정의 광량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방전 루프 내에 배치하는 무접점 스위치도 그 대전류에 견딜 수 있을 만큼 치수가 크고, 비용적으로도 높은 것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급격한 발광 커브에 의한 발광에서는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높아, 청색 성분이 많은 광이 발광된다. 사진 촬영에 있어서 이러한 청색 성분 광의 색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발광부 앞에 투명판이 착색 처리되어 이루어진 프로텍터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광 커브가 완만해지도록 방전 루프 내에 초크 코일을 추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도 16은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초크 코일이 접속되는 동시에, 발광관에 병렬로 사이리스터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20)에서는 메인 콘덴서(213)와 직렬로 초크 코일(221)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발광관(216)에 병렬로 사이리스터(222)가 접속되어 있다. 사이리스터(222)의 게이트에는 그 사이리스터(222)의 온 및 오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단자(22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사이리스터(222)의 게이트와 메인 콘덴서(213)의 (-) 측에는 그 사이리스터(222)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소자(22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섬광 발생회로(22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224)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사이리스터(222)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 및 트리거용 콘덴서(217)의 양쪽에는 모두 전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트리거 스위치(219)가 폐쇄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어,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초크 코일(221),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루프 내에는 초크 코일(22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216)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고, 따라서, 발광 커브가 완만해져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낮아져, 발광색은 청색 성분이 적은 자연색에 가까운 것으로 된다.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단자(224)에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어 사이리스터(222)가 온(on)한다. 여기서, 사이리스터(222)의 온 상태에서의 임피던스는 발광관(216)의 여기 상태에서의 임피던스보다도 작기 때문에(예를 들어, 1/10),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은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초크 코일(221), 사이리스터(222),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경로에서 바이패스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여기서, 사이리스터(222)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은 초크 코일(221)에 의해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리스터(222)는 허용 전류가 비교적 작은 소자로 충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근거리에서도 정확도가 높은 광량 제어가 실행된다.
도 17은 메인 콘덴서의 양단에 초크 코일과 사이리스터가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30)에는 메인 콘덴서(213)의 양단에 초크 코일(221)과 사이리스터(22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리거 스위치(219)가 폐쇄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218)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어,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단자(224)에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어 사이리스터(222)가 온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은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초크 코일(221), 사이리스터(222),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경로에서 바이패스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초크 코일(221)에 의해 사이리스터(222)에 큰 피크 값을 갖는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220, 230)에서는 발광관(216)이나 사이리스터(222)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하기 위해, 초크 코일(221)이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며, 그만큼 기판회로 면적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가 도모된 섬광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섬광 발생회로는, 승압회로, 그 승압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 그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관, 및 트리거용 콘덴서와, 1차측 권선이 그 트리거용 콘덴서에 접속되고 그 트리거용 콘덴서에 흐르는 전력을 2차측 권선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트리거 코일을 갖는 트리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과 함께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섬광 발생회로는,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발광관과 함께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이 방전을 개시하고 나서 발광 광량의 피크 값이 최대로 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되는 동시에, 발광 광량의 피크 값도 비교적 작고, 발광 지속 시간이 길게 유지되어 비교적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기 위해서 방전 루프 내에 초크 코일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가 도모된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은 상기 발광관의 양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은 상기 발광관의 음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발광관의 양극 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발광관의 음극 측에 배치되는 것이면, 회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섬광 발생회로는 상기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하면, 발광 개시 타이밍으로 그 무접점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발광관으로부터 플래시 광을 발광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그 무접점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그의 섬광을 정지시킴으로써,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에서의 자동 조광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기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에, 그 무접점 스위치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천이(遷移)했을 때에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에 발생하는 역(逆)기전력에 의한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접점 스위치로서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순간적으로 천이하는 성능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면, 조광 성능은 향상되지만,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에 큰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의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두면, 그 발생한 역기전력이 그대로 무접점 스위치에 인가되어 그 무접점 스위치가 파괴되어 버린다는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가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와는 별도로,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그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전압 부가용 콘덴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전압 부가용 콘덴서를 구비한 경우에, 그 전압 부가용 콘덴서는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메인 콘덴서와 공동하여, 메인 콘덴서와 이 전압 부가용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었을 때의 전압을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그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면,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했을 때에 발광관이 발광하기 쉬워져, 트리거용 콘덴서의 용량을 감소시키거나, 트리거 전압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가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트리거 코일을 경유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그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하는 초크 코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기 때문에,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광 발생장치는,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발광관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를 그 발광관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중에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를 정지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할 경우,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발광관과 직렬로 배치된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상기 발광관의 한쪽 단자 사이의 접속 노드와 그 발광관의 다른 쪽 단자 사이에 그 발광관과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바이패스 회로가 이와 같이 배치된 저항 및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경우, 발광관으로부터 섬광을 발광함에 있어서, 1차측 권선과 상기 저항과의 양쪽에 의해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어 한층 더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과 바이패스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바이패스 회로가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과 상기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경우,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과 저항과의 양쪽에 의해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관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그 발광관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을 검출하여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전류의 바이패스를 지시하는 조광회로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조광회로를 구비할 경우, 발광관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으로 그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착탈가능하게 상기 발광관과 병렬로 접속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플래시 광의 발광을 도중에 정지시키지 않는 통상의 플래시 장치와,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오토-플래시 장치)와의 양쪽의 제조에 있어서, 발광관이 실장되는 섬광 발생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를 구별하여 제조할 수 있어, 회로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나 제품 관리의 수고가 삭감된다. 또한, 통상의 플래시 장치의 하우징에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실장되어 이루어진 회로기판이 설치된 어댑터를 장착함으로써 오토-플래시 장치를 간단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카메라에 탑재된 섬광 발생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에는 카메라 전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내장전지(1)에 접속된 승압회로(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승압회로(11)는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압을 소정 전압까지 승압한다.
또한, 섬광 발생회로(10)에는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다이오드(12)를 경유하여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13)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콘덴서(13)의 양단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섬광 발생회로(10)에는 발광관(16_1),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코일(16_3)을 갖는 트리거 회로(16)가 구비되어 있다.
발광관(16_1)은 양극(16_la), 음극(16_lb), 측면 전극(16_lc)을 갖고, 내부에는 크세논(XE)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발광관(16_1)은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한다. 또한, 트리거 코일(16_3)은 소정 권수의 1차측 권선(16_3a)과, 그 권수보다도 큰 권수의 2차측 권선(16_3b)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측 권선(16_3a)의 한쪽 끝은 발광관(16_1)의 양극(16_1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1차측 권선(16_3a)의 한쪽 끝은 트리거용 콘덴서(16_2)를 통하여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15)의 접속점에도 접속되어 있다. 한편, 2차측 권선(16_3b)의 한쪽 끝은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1차측 권선(16_3a) 및 2차측 권선(16_3b)의 각 다른 쪽 끝은 메인 콘덴서(13)의 (+) 측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
트리거 코일(16_3)은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흐르는 전력을 2차측 권선(16_3b)에 전달하여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고, 이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은 발광관(16_1)과 함께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L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먼저, 트리거 스위치(15)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된다. 승압된 전력은 다이오드(12)를 경유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다. 또한, 이 승압된 전력은 1차측 권선(16_3a), 트리거용 콘덴서(16_2), 저항소자(14), 다이오드(12)의 경로를 통과하여,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축적된다.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13)의 전압이 트리거 스위치(15)를 경유하여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한쪽 끝에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그 인가된 전압보다도 그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전압분만큼 높은 플러스 전압이 출력된다. 이 플러스 전압은 발광관(16_1)의 양극(16_la) 및 1차측 권선(16_3a)에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16_3b)에 기전력이 야기된다. 여기서, 2차측 권선(16_3b)의 권수는 1차측 권선(16_3a)의 권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2차측 권선(16_3b)에 야기되는 기전력은 증폭되어 커진다. 이와 같이 큰 기전력이 트리거 전압으로서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공급되기 때문에, 발광관(16_1)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양극(16_1a), 음극(16_1b),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1)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래시 광의 발광이 실행된다.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 시점에서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 양극(16_la) 측이 상술한 플러스 전압, 음극(16_lb)이 마이너스 전압이라는 것과 같이,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이 부여된다. 따라서, 발광관(16_1)에 부여되는 트리거 전압과 상응하여, 발광관(16_1)이 발광하기 쉬워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의 발광 특성과,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곡선 A는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에 있어서 발광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발광 커브이다. 한편, 곡선 B는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에 있어서 발광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발광 커브이다. 또한, 곡선 A로 표시되는 발광량의 적분값과, 곡선 B로 표시되는 발광량의 적분값에 큰 차는 없다.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방전 루프 내에 발광관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발광관 내에서 방전이 순간적으로 개시되고, 곡선 A로 표시되는 급격한 발광 커브를 따라 발광이 종료된다. 이러한 급격한 발광 커브에 의한 발광에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의 플래시 광에 의한 노광 제어를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높아, 청색 성분이 많은 광이 발광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착색하여 형성된 프로텍터를 발광부 앞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과 함께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L1)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곡선 B와 같이, 발광관(16_1)이 방전을 개시하고 나서 발광 광량의 피크 값이 최대로 되는 시간이 지연되며, 발광 광량의 피크 값도 비교적 작아서 완만한 발광 커브로 되고, 발광 지속 시간이 길게 유지된다.
또한, 섬광 발생회로(10)의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값은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의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값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플래시 광의 광량을 유지하면서도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내려가게 되어, 발광색도 청색 성분이 적은 자연색에 가까운 것으로 되고, 그 자체로 사진 적성이 양호한 광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값이 작기 때문에, 발광관(16_1)의 수명이 연장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기 위해서 방전 루프 내에 초크 코일을 추가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가 도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특징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20)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통과에 의해 트리거 코일(16_3)을 경유하여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된다.
도 3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0)를 구성하는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lb) 사이에, 양극(16_la) 측으로부터 차례로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 트리거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는 저항소자(1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트리거 스위치(15)가 개방되어 있고, 전원 투입 후, 메인 콘덴서(13)가 충전된다. 한편,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방전된 상태에 머무른다.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스위치(15), 메인 콘덴서(13)의 (-) 측 경로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른다.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양극(16_la), 음극(16_lb),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2)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 시점에서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을 통과시킴으로써,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트리거 전압을 얻고, 이 트리거 전압에 의해 발광관(16_1)을 발광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의 양극(16_la) 측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의 음극(16_lb)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방전 루프(L3) 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메인 콘덴서(13) 사이에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무접점 스위치(17)는 그 무접점 스위치(17)의 온 및 오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단자(18)를 갖는다. 또한, 메인 콘덴서(13)의 양단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의 접속점은 다이오드(16_4)를 경유하여 음극(16_lb) 및 1차측 권선(16_3a)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3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13) 및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양쪽에는 모두 전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다이오드(16_4),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1a), 음극(16_lb),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 메인 콘덴서(13)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3)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고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여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방전 루프(L3) 내에 무접점 스위치(17)를 배치하고, 그 무접점 스위치(17)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에서도 정확도가 높은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40)에서는 방전 루프(L4) 내에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섬광 발생회로(40)를 구성하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통과에 의해 트리거 코일(16_3)을 경유하여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1b)의 사이에는, 양극(16_1a)으로부터 차례로 다이오드(16_4)와 트리거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스위치(15)에는 저항소자(1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극(16_1b)과 메인 콘덴서(13) 사이에는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메인 콘덴서(13)는 충전되는 한편,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방전된 상태에 머무른다.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1차측 권선(16_3a), 다이오드(16_4), 트리거용 콘덴서(16_2),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양극(16_1a), 음극(16_lb), 무접점 스위치(17),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4)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어서,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고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여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정확도가 높은 광량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50)에서는, 방전 루프(L5) 내에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섬광 발생회로(50)를 구성하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1b) 사이에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한다.
이 섬광 발생회로(50)에서는,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메인 콘덴서(13)에는 다이오드(12)를 경유하여 전력이 축적된다. 또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다이오드(12), 저항소자(14), 트리거용 콘덴서(16_2), 1차측 권선(16_3a), 저항소자(16_6)를 경유하여 전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한쪽 끝(무접점 스위치(17) 측)의 전위는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위까지 급격하게 감소된다. 그리하면,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압보다도 그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전압분만큼 낮은 마이너스 전압이 출력된다. 이 마이너스 전압은 음극(16_1b)에 부여되며,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무접점 스위치(17), 다이오드(16_5),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양극(16_1a), 음극(16_lb), 1차측 권선(16_3a), 다이오드(16_4),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는 방전 루프(L5)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된 시점에 있어서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 양극(16_la)에 플러스 전압, 음극(16_lb)에 상술한 마이너스 전압이라는 것과 같이,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이 부여되기 때문에, 발광관(16_1)에 부여되는 트리거 전압과 상응하여, 발광관(16_1)이 발광하기 쉬워진다.
이어서,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여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로 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정확하게 광량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에서는, 방전 루프(L6) 내에 메인 콘덴서(13)의 (+) 측으로부터 차례로 발광관(16_1),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13)의 (+) 측과 (-) 측 사이에는, (+) 측으로부터 차례로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의 접속점과, 발광관(16_1)과 1차측 권선(16_3a)과의 접속점 사이는 직결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코일(16_3)과 무접점 스위치(17)와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의 (+) 측 사이에는, 무접점 스위치(17) 측이 양극, 메인 콘덴서(13) 측이 음극인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가 접속되어 있다.
이 섬광 발생회로(6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13) 및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양쪽에는 전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1a), 음극(16_lb),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6)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고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여 발광이 정지된다.
여기서,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면, 그 직전까지 1차측 권선(16_3a)에 흐르고 있던 전류가 급격하게 차단되어, 그 1차측 권선(16_3a)에 큰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역기전력이 무접점 스위치(17)에 그대로 인가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파괴될 우려가 있으나, 이 도 7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의 경우,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 코일(16_3)에 발생한 역기전력에 기인하는 전류는 그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를 통과하여 흐르고, 무접점 스위치(17)에 그 역기전력에 의한 큰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되어, 그 무접점 스위치(17) 파괴의 발생이 방지된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30)와 도 7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60)를 비교하면, 두 가지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 중의 하나는,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에는,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에 구비되어 있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무접점 스위치(17)의 내압, 그 무접점 스위치(17)에서의 온으로부터 오프로 천이할 때의 천이 속도 등에 따라,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를 구비할 필요가 있고, 또는 그러한 바이패스용 다이오드가 없더라도 무접점 스위치(17)가 파괴되지는 않는다는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발광관(16_1)에 비교적 큰 전류가 흐르는 설계로 되어 있을 경우, 또는 무접점 스위치(17)의 내압이 비교적 낮을 경우, 또는 그 무접점 스위치(17)에서의 온에서 오프로의 천이 속도가 비교적 빠를 경우에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가 필요로 되고, 그와는 반대일 경우에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와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 사이의 다른 하나의 차이점은,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의 접속점과, 발광관(16_1)과 1차측 권선(16_3a)과의 접속점 사이에 다이오드(16_4)가 구비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에서는 그들 사이가 직결되어 있는 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되어 있던 전력이 방출됨으로써 발광이 개시되고, 따라서, 발광 개시 후,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천이하는 타이밍에서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비어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천이하면,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의 경우는 그 천이의 타이밍으로 발광이 정지되지만,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의 경우는, 엄밀하게는 그 천이의 타이밍에서는 발광이 정지되지 않고, 그 후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충전되고 나서 발광이 정지되어, 그만큼 지나치게 노광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발광 정지의 근소한 지연이 노광에 크게 기여하는, 예를 들어, 대규모 촬영에 사용되는 섬광 발생회로의 경우는 다이오드(16_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그다지 근거리에서 촬영되지 않는 카메라에 탑재되는 경우는 그 다이오드(16_4)를 없애, 그만큼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8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70)에서는, 방전 루프(L7) 내에 메인 콘덴서(13)의 (+) 측으로부터 차례로 발광관(16_1), 다이오드(16_4),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13)의 (+) 측과, 트리거 코일(16_3)과 무접점 스위치(17)와의 접속점 사이에는 저항소자(14)가 접속되고, 발광관(16_1)과 다이오드(16_4)와의 접속점과, 트리거 코일(16_3)과 무접점 스위치(17)와의 접속점 사이에는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가 접속되고, 발광관(16_1)과 다이오드(16_4)와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의 (-) 측 사이에는 저항소자(19)가 접속되며, 다이오드(16_4)와 1차측 권선(16_3a)과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의 (-) 측 사이에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섬광 발생회로(7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그 상태에서, 메인 콘덴서(13)에는 전력이 축적되고,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에도 저항소자(14),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 저항소자(19)를 경유하는 경로에서 전력이 축적되며,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저항소자(14), 1차측 권선(16_3a), 트리거용 콘덴서(16_2)를 경유하는 경로에서 전력이 축적된다.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한쪽 끝((+)에 축적된, 무접점 스위치(17) 측)의 전위가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위까지 급격하게 감소된다. 그리하면,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다른 쪽 끝(발광관(16_1) 측)은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압보다도 그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양단 전압분만큼 낮은 마이너스 전압으로 되고, 이 마이너스 전압이 발광관(16_1)의 음극(16_1b)에 부여된다. 따라서, 이 순간은,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는, 메인 콘덴서(13)와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충전 전압과의 합, 즉, 메인 콘덴서의 충전 전압의 대략 2배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의 경로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양극(16_la), 음극(16_lb), 다이오드(16_4),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는 방전 루프(L7)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도 8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70)의 경우,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작용에 의해,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1b) 사이에 메인 콘덴서(13)의 충전 전압의 약 2배의 전압이 인가되고, 발광관(16_1)에 부여되는 트리거 전압과 상응하여, 한층 더 확실하게 발광하게 된다.
이어서,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여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로 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정확하게 광량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9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8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직렬로 배치된 1차측 권선(16_3a)과 메인 콘덴서(13)에 대하여 병렬로 발광관(16_1)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관(16_1)의 양단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81)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8l)와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와 1차측 권선(16_3a)의 접속점 사이에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코일(16_3)의 2차측 권선(16_3b)은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3c)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80)에서는, 먼저, 트리거 스위치(81)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되고, 다이오드(12), 메인 콘덴서(13),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메인 콘덴서(13)에 전력이 축적된다. 또한, 다이오드(12), 저항소자(14),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전력이 축적된다.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81)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16_3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공급되어, 발광관(16_1)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1a), 음극(16_1b), 1차측 권선(16_3a),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방전 루프(L8)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여기서,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하는 초크 코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90)에는,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80)가 실장된 회로기판(91)이 구비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91)은 접속단자(91_1, 91_2)를 갖는다.
또한, 섬광 발생회로(90)에는 접속단자(92_1, 92_2)를 갖는 회로기판(92)이 구비되어 있다. 회로기판(92)에는 사이리스터(93)와, 사이리스터(93)의 게이트에 접속된 저항소자(94)로 이루어진 바이패스 회로(90_1)가 실장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 회로(90_1)는 메인 콘덴서(13)로부터 공급되고 발광관(16_1)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를 그 발광관(16_1)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중에 바이패스함으로써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회로기판(92)에는 발광관(16_1)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그 발광관(16_1)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을 검출하여 바이패스 회로(90_1)에 전류의 바이패스를 지시하는 조광회로(95)가 실장되어 있다. 이 조광회로(95)는 수광 센서(95_1), 콘덴서(95_2), 스위치 소자(95_3), 증폭기(95_4), 가변저항기(95_5), 비교기(95_6),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 구성되어 있다.
수광 센서(95_1)는 발광관(16_1)으로부터의 섬광을 수광한다. 콘덴서(95_2)는 수광 센서(95_1)에 의해 수광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한다. 스위치 소자(95_3)는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하기 이전은 온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콘덴서(95_2)의 잔존 전하를 방전하고, 섬광이 발생되는 시점에서는 오프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콘덴서(95_2)에 전하를 축적시킨다. 증폭기(95_4)는 콘덴서(95_2)의 전하에 따른 전압까지 증폭한다. 가변저항기(95_5)는 필름 감도, 조리개, 원하는 명암 등에 따른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기(95_6)는 증폭기(95_4)로부터의 전압과 가변저항기(95_5)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을 입력하고, 증폭기(95_4)로부터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는 비교기(95_6)로부터의 'H' 레벨의 신호를 받아 트리거 펄스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이 섬광 발생회로(9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리거 스위치(81)가 폐쇄되어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할 때까지의 동작은,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80)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할 경우, 수광 센서(95_1)에 의해 그 섬광이 수광되어, 콘덴서(95_2)에는 수광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하가 축적된다. 증폭기(95_4)는 이 전하에 따른 전압까지 증폭한다. 증폭된 전압은 전압비교기(95_6)의 플러스(+) 단자에 입력된다. 비교기(95_6)의 마이너스(-) 단자에는 상기 임계값이 입력되어 있다. 비교기(95_6)는 이들 전압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증폭기(95_4)로부터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H' 레벨의 신호를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 향하여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부터 트리거 펄스가 출력된다.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부터 출력된 트리거 펄스는 사이리스터(93)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그리하면, 사이리스터(93)가 온 상태로 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은 메인 콘덴서(13)의 (+) 측으로부터 차례로 접속단자(91_1), 접속단자(92_1), 사이리스터(93), 접속단자(92_2), 접속단자(91_2),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경로에서 바이패스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콘덴서(13)로부터 공급되어 발광관(16_1)을 경유하여 흐르고 있는 전류가 바이패스 회로(90_1)에 흐르기 때문에, 발광관(16_1)에 흐르고 있는 전류가 정지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여기서,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초크 코일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사이리스터(93)에 비교적 큰 피크 값을 갖는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9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에 의해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어 한층 더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광량 제어에 있어서, 사이리스터(93)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리스터(93)는 비교적 작은 전류로 견딜 수 있을 만큼 치수가 작고, 비용적으로도 저렴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광회로(95)를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90)에서는, 바이패스 회로(90_1) 및 조강회로(95)가 실장된 회로기판(92)이 발광관(16_1) 등이 실장된 회로기판(91)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도중에 정지시키지 않는 통상의 플래시 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 카메라와,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오토 플래시 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 카메라와의 양쪽의 카메라 제조에 있어서, 회로기판(91)과 회로기판(92)을 구별하여 제조할 수 있어,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나 제품 관리의 수고가 삭감된다. 또한, 통상의 플래시 장치가 설치된 카메라의 하우징에 회로기판이 설치된 어댑터를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오토-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를 간단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90)에서는, 조광회로(9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이리스터(93)를 제어하는 예에 의해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넘버에 따른 신호에 의해 사이리스터(9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0)에는, 메인 콘덴서(13)의 (+) 측과 발광관(16_1)의 양극(16_la)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저항소자(102)가 실장된 회로기판(10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 저항소자(102)와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의 접속점과 발광관(16_1)의 음극(16_1b) 사이에, 접속단자(101_1, 92_1) 및 접속단자(101_2, 92_2)를 경유하여 사이리스터(9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02) 및 사이리스터(93)가 본 발명의 바이패스 회로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0)는, 이와 같이 배치된 저항소자(102) 및 사이리스터(93)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저항소자(102)와의 양쪽에 의해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어 한층 더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발광관(16_1)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저항소자(102)와의 양쪽에 의해 사이리스터(93)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10)는,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 접속단자(91_1, 92_1) 및 접속단자(91_2, 92_2)를 경유하여,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소자(111)와 바이패스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사이리스터(93)를 갖는다. 이들 저항소자(111) 및 사이리스터(93)가 본 발명의 바이패스 회로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10)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소자(111) 및 사이리스터(93)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발광관(16_1)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저항소자(111)와의 양쪽에 의해 사이리스터(93)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20)는, IGBT 소자(124)에 일련의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펄스 구동시켜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섬광 발생회로(120)는 상술한 도 9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80)와 비교하여, 트리거 스위치(81)가 사이리스터(121)로 치환되어 있다. 사이리스터(121)의 게이트에는 저항소자(122) 및 제어단자(12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방전 루프(L9) 내에 콜렉터가 발광관(16_1)의 음극(16_lb)과 접속되는 동시에, 이미터(emitter)가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을 통하여 메인 콘덴서(13)의 (-) 측에 접속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소자(124)가 배치되어 있다. IGBT 소자(124)의 게이트에는 제어단자(125)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12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23)에는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사이리스터(121)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되고, 다이오드(12), 메인 콘덴서(13),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메인 콘덴서(13)에 전력이 축적된다. 또한, 다이오드(12), 저항소자(14),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전력이 축적된다.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23)에 트리거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제어단자(125)에는 일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단자(123)에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사이리스터(121)가 온 상태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16_3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공급되어, 발광관(16_1)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된다. 한편, 제어단자(125)에도 일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IGBT 소자(124)는 그 일련의 펄스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la), 음극(16_lb), IGBT 소자(124), 1차측 권선(16_3a),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방전 루프(L9)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여기서,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IGBT 소자(124)에 흐르는 펄스 전류의 피크 값을 1차측 권선(16_3a)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초크 코일을 구비할 필요도 없고, 허용 전류가 비교적 작은 IGBT 소자(124)를 채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섬광(閃光)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의 발광 특성과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와는 상이한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
도 16은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초크(choke) 코일이 접속되는 동시에, 발광관에 병렬로 사이리스터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
도 17은 메인 콘덴서의 양단에 초크 코일과 사이리스터가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장전지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 섬광 발생회로
11 : 승압회로 12, 16_4, 16_5 : 다이오드
13 : 메인 콘덴서
14, 16_6, 94, 102, 111, 122 : 저항소자
15, 81 : 트리거 스위치 16 : 트리거 회로
16_1 : 발광관 16_1a : 양극
16_1b : 음극 16_1c : 측면 전극
16_2 : 트리거용 콘덴서 16_3 : 트리거 코일
16_3a : 1차측 권선 16_3b : 2차측 권선
16_7 : 바이패스(bypass)용 다이오드 16_8 : 전압 부가용 콘덴서
17 : 무(無)접점 스위치 18, 123, 125 : 제어단자
90_1 : 바이패스 회로 91, 92, 101 : 회로기판
91_1, 91_2, 92_1, 92_2, 101_1, 101_2 : 접속단자
93, 121 : 사이리스터(thyristor) 95 : 조광(調光)회로
95_1 : 수광(受光) 센서 95_2 : 콘덴서
95_3 : 스위치 소자 95_4 : 증폭기
95_5 : 가변저항기 95_6 : 비교기
95_7 : 트리거 펄스 발생기 124 : IGBT 소자

Claims (15)

  1. 승압회로,
    상기 승압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관, 및
    트리거용 콘덴서와, 1차측 권선이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에 접속되고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에 흐르는 전력을 2차측 권선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트리거 코일을 갖는 트리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과 함께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의 양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의 음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 스위치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의한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가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전압 부가용 콘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부가용 콘덴서는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메인 콘덴서와 공동하여, 상기 메인 콘덴서와 상기 전압 부가용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었을 때의 전압을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는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통과에 의해 상기 트리거 코일을 경유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발광관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를 상기 발광관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중에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를 정지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발광관과 직렬로 배치된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상기 발광관의 한쪽 단자 사이의 접속 노드와 상기 발광관의 다른 쪽 단자 사이에 상기 발광관과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과 바이패스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을 검출하여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전류의 바이패스를 지시하는 조광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착탈가능하게 상기 발광관과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
KR10-2000-0067761A 1999-11-16 2000-11-15 섬광 발생회로 KR100514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511699 1999-11-16
JP99-325116 1999-11-16
JP2000255769 2000-08-25
JP2000-255769 200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05A KR20010051705A (ko) 2001-06-25
KR100514130B1 true KR100514130B1 (ko) 2005-09-09

Family

ID=2657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761A KR100514130B1 (ko) 1999-11-16 2000-11-15 섬광 발생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14130B1 (ko)
CN (1) CN1259808C (ko)
TW (1) TW4942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5092B2 (en) * 2015-03-02 2018-09-25 Profoto Ab Flash head and extension cable with identification electronics and a flash gen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125A (ja) * 1984-08-18 1986-03-12 West Electric Co Ltd 電子閃光装置
JPH03230136A (ja) * 1990-02-05 1991-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閃光装置
JPH04344622A (ja) * 1991-05-22 1992-12-01 Olympus Optical Co Ltd ストロボ発光制御装置
JPH09230445A (ja) * 1996-02-20 1997-09-05 Ki Matsuo 定電圧自動充電ストロボ回路
JPH10153814A (ja) * 1996-09-30 1998-06-09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125A (ja) * 1984-08-18 1986-03-12 West Electric Co Ltd 電子閃光装置
JPH03230136A (ja) * 1990-02-05 1991-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閃光装置
JPH04344622A (ja) * 1991-05-22 1992-12-01 Olympus Optical Co Ltd ストロボ発光制御装置
JPH09230445A (ja) * 1996-02-20 1997-09-05 Ki Matsuo 定電圧自動充電ストロボ回路
JPH10153814A (ja) * 1996-09-30 1998-06-09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0989A (zh) 2002-03-20
CN1259808C (zh) 2006-06-14
KR20010051705A (ko) 2001-06-25
TW494267B (en)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7944A (en) Flash device having plural emission modes in one of which a flash inductor is selectively short-circuited
KR100514130B1 (ko) 섬광 발생회로
JP2002328416A (ja) ストロボ装置
US4737806A (en) Apparatus for flash photographing
US6291974B1 (en) Electronic strobe
JP4564691B2 (ja) コンデンサ充電装置及びストロボ装置
JP4250351B2 (ja) ストロボ装置
JP2002139776A (ja) 閃光発生回路
JP4008702B2 (ja) 閃光発生回路
US4375912A (en) Electric circuits for use in camera
JP3950187B2 (ja) 自動調光ストロボ装置
JP3720503B2 (ja) ストロボ装置
JPS59180530A (ja) 2灯自動調光閃光装置
US4370042A (en) Ready-to-flash condition indicating device for a camera
JPS595853Y2 (ja) 自動調光電子閃光装置
JP2001350189A (ja) カメラ
JP2005339987A (ja) 撮影用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
KR920008985Y1 (ko) 광량 조절이 가능한 스트로보 플래쉬회로
JPH0680599B2 (ja) 電子閃光装置
JP3196039B2 (ja) Dc−dcコンバ−タ
JPH0610713B2 (ja) ストロボ装置
JP2003186092A (ja) ストロボ回路
JPS60220323A (ja) ストロボ装置
JPS636535A (ja) ストロボ装置
JP2002196402A (ja) 発光装置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