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489B1 -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 Google Patents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489B1
KR100513489B1 KR10-2002-0017878A KR20020017878A KR100513489B1 KR 100513489 B1 KR100513489 B1 KR 100513489B1 KR 20020017878 A KR20020017878 A KR 20020017878A KR 100513489 B1 KR100513489 B1 KR 10051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otus
depression
prese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104A (ko
Inventor
배현수
윤정환
신민규
홍무창
Original Assignee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리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489B1/ko
Priority to PCT/KR2003/001743 priority patent/WO2005021021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03/0017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5021021A1/en
Publication of KR2003007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5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자육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제조하며,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강력한 항우울 활성을 나타내고 천연약재로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우울증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Extract of Nelumbinis Seme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본 발명은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Nelumbinis Semen, Nelumbo nucifera)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얻어지는 연자육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과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자육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농축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얻어지는 연자육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복잡한 사회 속에서 발생되는 정신적 손상은 과거와는 달리 커다란 심리적 충격이나 자극에 의해서 나타나기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미약하지만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 많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환자 스스로도 인식을 못하면서 병원에서조차 이를 간과하기 쉬운 것으로, 약한 자극이 누적되어 개인을 우울증에 시달리게 한다.
우울증은 객관적 상황과는 관계없이 일어나는 정서적 병리현상으로 환자의 모든 생활이 우울한 기분으로 덮여있고, 흥미가 감소하고 무쾌감증(anhedonia)이 되며 정신운동의 저하, 염세감, 절망에 사로잡히게 되고 자살의욕을 느껴 자살기도에까지 이르는 질병인데, 식욕저하, 불면, 변비, 성욕감퇴 등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보인다.
우울증의 발생기전과 우울증의 치료제인 항우울제의 작용기전을 완벽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아직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synapse)내에 모노아민(monoamine)계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인 세로토닌(serotonin),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 도파민(dopamine) 등이 부족하게 되면 우울증이 유발된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가설이다. 그래서 항우울제는 모두 중추 세로토닌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이는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
항우울제는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여주는 메카니즘에 따라 크게 삼환계 항우울제(TCA; tricyclic antidepressants),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MAOI;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개발된지 비교적 오래된 페넬진(phenelzine) 등과 같은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는 심장병유발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잘 쓰이고 있지 않으며, 이미프라민 등과 같은 삼환계 항우울제 역시 항콜린성 부작용 및 진정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부작용이 상당한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부작용이 적은 우울증 치료제로서 선택적 세로토닌(5-HT) 재흡수 저해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이하, 'SSRI'라 약칭함)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의 개발에 촛점이 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약제로서 플루옥세틴(fluoxetine, 제품명; 푸로작), 파로세틴(paroxetine, 제품명; 세로자트), 세르트랄린(sertraline, 제품명; 졸로푸트) 등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그 효능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최근에는 서양에서도 천연약재 추출물의 약효를 인정하고 연구하는 추세에 있으며, 우울증과 관련해서는 주로 St. John's wort라 불리는 하이페리쿰 퍼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Neuropharmacology, 1999, 21(2), 247-257;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0, (2), CD000448; Drugs Aging, 2000, 16(3), 189-197).
하이페리쿰 퍼포라툼과 이미프라민(imipramine)의 약효를 비교한 연구에서, 우울증 치료에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이 이미프라민과 동일한 정도의 효과를 보이면서도 부작용은 더 적음이 보고되었고(BMJ, 2000, 321, 536-539) 또한,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이 인간 시토크롬 P450 효소 활성(human cytochrom P450 enzyme activity)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J Pharmacol Exp Ther, 2000, 294(1), 88-95).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에는 중추신경계(CNS)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 많은 수의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하이페리쿰 퍼포라툼은 실제 하이페리신(hypericin), 하이퍼포린(hyperforin) 등과 같은 활성화합물들 및 이량체 플라본들(dimeric flavones)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동물 및 인간에 있어서 항우울작용 및 불안해소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작용기전을 살펴보면, 하이페리신은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 중에 함유된 이량체의 프로시아니딘(dimeric procyanidines)의 존재하에서 항우울 작용이 입증되었고(Regensburg,Germany, V. Butterwecke et.al., 45차 Annual Congress of the Society for Medicinal Plant Research, 1997, Abstract No. 011), 하이퍼포린(hyperforin)은 마우스의 시상하부(hypothalamus)와 해마(hippocampus)에서의 5-HT(serotonine)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하이퍼포린(hyperforin)의 항우울 효과는 세로토닌 시스템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J Pharm Pharmacol, 2001, 53(5), 583-600; Pharmacopsychiatry, 2000, 33(2), 60-65). 그러나, 우울증 환자들 중에는 기존의 항우울제로 치료가 되지 않는 환자가 약 20%나 존재하고 SSRI 등 최근 개발된 항우울제들의 부작용도 기존 항우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한편, 우울증의 치료를 위한 항우울제의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우울증 동물 모델들이 시도되어 왔다. 초기에는 강한 발 쇼크(intense foot-shock), 찬물 침례(cold water immersion), 48시간 먹이 또는 물 박탈(48 h food/water deprivation) 등과 같은 강한 강도의 자극을 주는 방법이 선호되었으나, 최근에는 약하면서도 지속적이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현대 인간의 일상을 더욱 잘 모사할 수 있는 경미한 강도의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Psychopharmacology, 1984, 83, 1-16). 그 중에서도 Willner 등이 제안한 만성적이고 약한 자극(Chronic Mild Stress, 이하 'CMS'라 약칭함) 모델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우수한 우울증 동물모델로서 인정받고 있다(Neuroscience and Biobehavial Review, 1981, 5, 231-246; TIPS, 1991, 12, 131-136).
온화한 스트레스를 받은 쥐(mild stressed rat)는 만성적이고 약한 자극(CMS)에 의해 유발된 행위적 변화가 몇 주간의 지속적 투약기간 동안 관찰되어지고 이것이 습관적으로 일어나지 않거나, 그 습관화가 일정한 한도적 범위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Psychopharmacology, 1997, 134, 319-320). 일반적 실험에서는 24시간 광주기(overnight illumimation), 일정기간 먹이 또는 물 박탈(periods of food and/or water deprivation), 케이지 경사(cage tilt), 케이지 배우자의 변화(change of cage mate) 등과 같은 다양한 만성적이고 약한 자극원이 이용된다(Psychopharmacology, 1997, 134, 319-320). 이와 같은 스트레스 절차를 반복하면 흰쥐들은 우울증의 대표적 증상이라고 볼 수 있는 무쾌감증(anhedonia)에 상응하는 증상으로, 자당용액(sucrose solution)의 섭취량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섭취량의 감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CMS 절차를 철회하고 난 후에도 수주간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수의 항우울제들은 CMS 처치에 따른 자당섭취량의 감소를 원래 수준으로 회복시켜 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Psychopharmacology, 1992, 109, 433-438).
연자육(蓮子肉)은 연꽃의 성숙한 열매 껍데기를 제거한 종자로서, 그 내부에 녹색 연심(蓮心)이 있다. 냄새는 없고 달고 산뜻하며 약간 떫다.
연자육은 다량의 전분과 라피노스(raffinose)라는 당을 함유하고 있으며, 약리작용으로는 비장과 위장의 기능 강화, 수면불안, 피부미백, 염증완화작용, 피부상처치유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울증 증상의 완화에 관련한 어떠한 보고도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로부터 연자육이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왔음을 착안하여 연자육 추출물의 약리활성을 조사한 결과, 연자육 추출물이 기존의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보다도 더욱 우세한 항우울 효과를 보임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항우울 활성을 갖는 연자육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우울 활성을 갖는 연자육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치료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우울 활성을 갖는 연자육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1)연자육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2)추출여액을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3) 동결건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은 10 내지 100%의 에틸알콜(ethyl alcohol), 10 내지 100%의 메틸알콜(methyl alcoho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70~100%의 에틸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또는 초음파 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초음파 추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이 항우울 활성을 갖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을 투여한 후 강제수영검사(Forced swim test) 전 48시간 동안 실험동물에게 밝은 빛을 쪼여줌으로써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강제 수영시키는 동안 사지를 버둥거리고 있는 시간(struggling time), 버둥거리다가 최초로 멈추는 시간(first latency) 및 최초로 버둥거림을 멈추고 지속된 시간(first rest duration)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항우울 활성을 나타내며, 아울러 비교군으로 사용한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보다 항우울 효과가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를 다수의 천연약재와 비교 검토하였다. 상기의 비교대상이 된 천연약재는 보음시키는 숙지황, 구기자, 산수유, 및 거담시키는 반하 등을 사용하였다(표 1).
약재 생 약 명 분 량
숙지황 Rehmanniae Radix Preparat 500g
산수유 Corni Fructus 500g
구기자 Lycii Fructus 500g
반하 Pinelliae Rhizoma 500g
연자육 Nelumbinis Semen 500g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Hypericum perforatum 500g
그 결과,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비교대상이 된 숙지황, 구기자, 산수유, 및 반하 추출물보다 탁월히 뛰어난 항우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우울증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연자육 추출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연자육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탈크(talc) 등과 같은 활택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liquid paraffin)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올리브 오일(olive oil)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ethyl oleate)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우울증 치료용 약학조성물에서, 연자육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10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단,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자육 추출물을 인체에 투약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인 관계로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하여 부작용의 우려가 없으며, 실제 연자육은 식품 첨가물로 허가를 받아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치료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원료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보혈제, 보양제, 피부미백제 등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 요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청심산약탕(淸心山藥湯),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 등과 같은 여러 한의학 처방들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
연자육 건조물 분말 500 g을 70% 에틸알콜 1ℓ가 담긴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10분간 초음파 추출(Branson co. USA)한 후 상청액을 포집하였다. 침전을 85%, 100% 에틸알콜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후 상청액을 모두 혼합하였다. 거즈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여과기(Eyela.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95 g의 건조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연자육 추출물을 이용한 항우울 활성실험
생후 85-95일된 스프래그-다우리(Sprague-Dawley)종 수컷 랫트에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다. 강제수영검사 전 48시간동안 실험동물에게 밝은 빛(300 Lux)을 쪼여줌으로써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강제수영검사를 위하여 실험 1일째에 원통모양의 수조(직경 22cm - 물의 깊이 30cm)에 흰쥐를 집어넣고 10분간 강제 수영시키고 2일째에 5분간 강제 수영시키는 동안 사지를 버둥거리고 있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강제 수영시키는 동안 사지를 버둥거리고 있는 시간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비교군인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은 25.2%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는 반면, 연자육 추출물은 43.9%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도 1).
또한, 버둥거리다가 최초로 멈추는 시간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는 75.8%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성이 없는 반면, 연자육 추출물은 90.2%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도 2).
또한, 최초로 버둥거림을 멈추고 지속된 시간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에서는 변화가 없는 반면, 연자육 추출물은 59.0%의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3).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항우울 활성을 나타내며, 아울러 비교군으로 사용한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보다 항우울 효과가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다른 천연약재와 비교한 항우울 활성실험
연자육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약재인 숙지황, 산수유, 구기자 및 반하 추출물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강제 수영시키는 동안 사지를 버둥거리고 있는 시간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숙지황 및 구기자 추출물은 각각 15.2% 및 4.9%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성이 없었고, 산수유 및 반하 추출물은 각각 3.9% 및 1.1% 감소를 나타낸 반면, 연자육 추출물은 43.9%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도 1).
또한, 버둥거리다가 최초로 멈추는 시간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숙지황, 산수유 및 반하 추출물은 각각 38.4%, 29.2% 및 65.5%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구기자 추출물은 21.4% 감소를 나타낸 반면, 연자육 추출물은 90.2%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도 2).
또한, 최초로 버둥거림을 멈추고 지속된 시간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숙지황, 산수유, 구기자 및 반하 추출물은 각각 63.1%, 31.6%, 12.4% 및 62.4% 감소한 반면, 연자육 추출물은 59.0%의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3).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의 항우울 활성은 숙지황 추출물보다도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연질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자육 추출물 100.0 mg, 콩기름 175.0 mg, 황납 45.0 mg, 야자경화유 127.5 mg, 대두인지질 21.0 mg, 젤라틴 212.0 mg, 글리세린 (비중 1.24) 50.0 mg, 디-소르비톨 76.0 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54 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90 mg, 메칠바닐린 0.56 mg, 황색 203호 적량의 성분이 1 캅셀 중에 함유되도록 약전 제제총칙중 연질캅셀의 제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자육 추출물 100.0 mg, 옥수수전분 90.0 mg, 유당 175.0 mg, 엘-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5.0 mg, 폴리비닐피롤리돈90 5.0 mg 및 에탄올 적량의 원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습식과립법으로 과립화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 mg을 가하여 혼합한 후 1정이 400mg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자육 추출물 100.0 mg, 옥수수전분 83.2 mg, 유당 175.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 mg의 원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1캅셀에 360mg이 함유되도록 충전하였다.
<제제예 4> 식품 및 음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자들은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4-1> 츄잉껌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자육 추출물 0.24 ∼ 0.64 %, 껌베이스 20 %, 설탕 76.36 ∼ 76.76 %, 후르츠향 1 % 및 물 2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4-2> 아이스크림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자육 추출물 0.24 ∼ 0.64 %, 유지방 10.0 %, 무지유고형분 10.8 %, 설탕 12.0 %, 물엿 3.0 %, 유화안정제(스팬,span) 0.5 %, 향료(스트로베리) 0.15 % 및 물 63.31 ∼ 62.91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4-3>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자육 추출물 0.48 ∼ 1.28 ㎎,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및 물 200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4-4> 소세지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연자육 추출물 0.24 ∼ 0.64 %, 돈육 63.6 %, 계육 27.5 %, 전분 3.5 %, 대두단백 1.7 %, 식염 1.62 %, 포도당 0.5 % 및 기타첨가물(글리세린) 0.94 ∼ 1.34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자육 추출물은 매우 높은 항우울 활성을 나타내고 연자육 추출물의 원료인 연자육은 우울증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사용할 때 인체에 무해하고 흡수율이 좋은 천연약재이므로 우울증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에 대한 강제수영검사에 있어서 사지를 버둥거리는 시간을 대조군, 숙지황 추출물 투여군, 산수유 추출물 투여군,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 반하 추출물 투여군 및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 투여군 흰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에 대한 강제수영검사에 있어서 버둥거리다가 최초로 멈추는 시간을 대조군, 숙지황 추출물 투여군, 산수유 추출물 투여군,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 반하 추출물 투여군 및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 투여군 흰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에 대한 강제수영검사에 있어서 버둥거림을 멈추고 지속된 시간을 대조군, 숙지황 추출물 투여군, 산수유 추출물 투여군,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 반하 추출물 투여군 및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추출물 투여군 흰쥐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Claims (8)

  1. 연자육(Nelumbinis Semen)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항우울 활성을 갖는 연자육 추출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70 내지 97%의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자육 추출물.
  4. 1) 연자육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
    2) 추출여액을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3)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추출은 냉침, 환류 또는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초음파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의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KR10-2002-0017878A 2002-04-01 2002-04-01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KR10051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878A KR100513489B1 (ko) 2002-04-01 2002-04-01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PCT/KR2003/001743 WO2005021021A1 (en) 2002-04-01 2003-08-28 Extract of nelumbinis seme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878A KR100513489B1 (ko) 2002-04-01 2002-04-01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PCT/KR2003/001743 WO2005021021A1 (en) 2002-04-01 2003-08-28 Extract of nelumbinis seme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104A KR20030079104A (ko) 2003-10-10
KR100513489B1 true KR100513489B1 (ko) 2005-09-09

Family

ID=3452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878A KR100513489B1 (ko) 2002-04-01 2002-04-01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48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347A (ko) 2017-02-13 2018-08-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9244A (ko) 2018-05-10 2019-11-20 한국식품연구원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20200044766A (ko) 2020-04-21 2020-04-29 한국식품연구원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20210106620A (ko)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10106603A (ko)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카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10106618A (ko)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스웰리아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2345335B1 (ko) 2020-10-06 2021-12-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닥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20046056A (ko) 2020-10-06 2022-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울증의 개선 및 스트레스 지수 완화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20046055A (ko) 2020-10-06 2022-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영춘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21257T1 (de) 2003-08-28 2009-02-15 Purimed Co Ltd Extrakt aus nelumbinis samen zur behandlung von depression
KR100672949B1 (ko) * 2004-03-31 2007-04-12 퓨리메드 주식회사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조성물 및 건강식품
US7799802B2 (en) 2004-08-03 2010-09-21 Institstute of Oriental Medical Science Inc. Method and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or alleviating psychiatric disorder, and/or for effectuating sedation
JP4838301B2 (ja) 2005-05-02 2011-12-14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イション 宿酔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527194B1 (ko) * 2021-01-22 2023-04-27 신지환 인지기능 개선용, 기억력 개선용, 스트레스 완화용 및 항불안용 조성물
KR102527193B1 (ko) * 2021-01-22 2023-04-27 신지환 항우울용, 스트레스 완화용 및 항불안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530A (ja) * 1984-10-09 1986-05-10 Uji Kadotaen:Kk 健康飲料
JPS6366126A (ja) * 1986-09-05 1988-03-24 Uji Seiyaku Kk 血圧降下作用を有する医薬組成物
JPS6490129A (en) * 1987-09-30 1989-04-06 Kodama Kk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lotus embryo
JPH08140577A (ja) * 1994-11-18 1996-06-04 Osaka Yakuhin Kenkyusho:Kk ハス茶
KR20020015540A (ko) * 2000-08-22 2002-02-28 김상근 치매관련 질환예방용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20030062994A (ko) * 2002-01-22 2003-07-28 전현명 무고미 삼령백출 과립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530A (ja) * 1984-10-09 1986-05-10 Uji Kadotaen:Kk 健康飲料
JPS6366126A (ja) * 1986-09-05 1988-03-24 Uji Seiyaku Kk 血圧降下作用を有する医薬組成物
JPS6490129A (en) * 1987-09-30 1989-04-06 Kodama Kk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lotus embryo
JPH08140577A (ja) * 1994-11-18 1996-06-04 Osaka Yakuhin Kenkyusho:Kk ハス茶
KR20020015540A (ko) * 2000-08-22 2002-02-28 김상근 치매관련 질환예방용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20030062994A (ko) * 2002-01-22 2003-07-28 전현명 무고미 삼령백출 과립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Nat. Prod. 50(4), 773-4 (1987. Reference 1) *
J. Pharm. Pharmacol. 49(11), 1145-9 (1997. Reference 2)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347A (ko) 2017-02-13 2018-08-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9244A (ko) 2018-05-10 2019-11-20 한국식품연구원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20210106620A (ko)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10106603A (ko)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카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10106618A (ko)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스웰리아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00044766A (ko) 2020-04-21 2020-04-29 한국식품연구원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2345335B1 (ko) 2020-10-06 2021-12-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닥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220046056A (ko) 2020-10-06 2022-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울증의 개선 및 스트레스 지수 완화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20046055A (ko) 2020-10-06 2022-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영춘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104A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489B1 (ko) 우울증 치료용 연자육 추출물
KR101738912B1 (ko)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US6416795B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stress prevention and treatment
KR101498780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987395A (zh) 含有鱼腥草提取物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和治疗痴呆、帕金森病或癫痫的药物组合物
JP2007530669A (ja) 憂鬱症治療用蓮肉抽出物、こ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及び健康食品
CN105250913B (zh) 一种治疗蛋鸡脂肪肝综合症的药物组合物
KR101427784B1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2287719B1 (ko) 신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6513B1 (ko) 반려동물 변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0955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의 제조방법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85657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413771B1 (ko) 잣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40032961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80126231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135082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101649A (ko)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016754A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71571B1 (ko)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2262759B1 (ko)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부작용 경감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