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008B1 -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 Google Patents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008B1
KR100510008B1 KR10-2002-0069826A KR20020069826A KR100510008B1 KR 100510008 B1 KR100510008 B1 KR 100510008B1 KR 20020069826 A KR20020069826 A KR 20020069826A KR 100510008 B1 KR100510008 B1 KR 10051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steel sheet
resin
roll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462A (ko
Inventor
강성일
정철영
노상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0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은 수지 조성물의 내오염성을 향상시켜 착색제가 롤에 전사되어 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기도금설비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을 향상시켜 유기피복강판이 가공된 후에 수지 조성물이 강판의 표면으로 박리되거나 흘러내려 변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도금강판 위에 수지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로서, 중량%로 우레탄 수지 80∼90%, 멜라민 수지 9∼16% 및 왁스 1∼4%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Organic coating steel plate with preventing pollution excellently and Organic coating steel plate coated therewith}
본 발명은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메이트처리한 전기도금강판 위에 수지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로서 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착색제가 강판 제조공정상에 사용되는 각종 롤에 전사되어 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강판에 대한 수지의 밀착성 등을 향상시킨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코팅한 유기피복강판에 관한 것이다.
방청강화 규제에 따라 전기도금강판 위에 크로메이트 처리와 수지 처리를 하여 강판, 크롬메이트층, 수지층으로 된 3층 구조의 자동차용 고내식성 표면처리강판(이하 "유기피복강판"이라 한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제철소에서는 이러한 유기피복강판의 수요에 대응하여 생산량을 증대하고 있다.
도1을 참조하여 이러한 유기피복강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금조(10)에서 아연-니켈을 전기도금한 강판을 크롬 코더(11)로 이송하여 크로메이트 처리를 한다. 상기 크롬 코더(11)는 어플리케이터 롤(Applicatior Roll, APR), 트랜스퍼 롤(Transfer Roll, TFR) 및 픽업 롤(Pickup Roll, PUR)로 구성된 3롤 타입으로 크로메이트 용액을 롤 픽업(Roll Pick Up) 방식에 의해 강판에 부착시킨다. 이 롤 픽업 방식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3개의 롤이 나란히 배치되고 상호 접촉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중 픽업 롤의 측면에는 상기 크로메이트 용액을 수용하고 있는 저장팬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롤은 전기도금된 강판과 직접 접촉된다. 이렇게 구성된 크롬 코터(11)에 있어서, 먼저, 픽업 롤이 회전하면 저장팬에 수용된 크로메이트 용액이 픽업 롤 표면에 전사되고, 이 전사된 크로메이트 용액은 트랜스퍼 롤, 어플리케이터 롤에 차례로 전사된 후 최종적으로 어플리케이터 롤에 접촉된 전기도금강판에 코팅된다. 코팅되는 크로메이트 용액의 구성은 무수크롬산을 물에 용해한 크롬 용액에 인산, 실리카 및 실란이 포함된 것이 통상적이나, 안정성을 위해 크롬 용액과 실란이 별도로 분리된 2액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크로메이트 처리에 의해 전기도금강판에 코팅되는 크롬의 양은 30∼200㎎/m2 정도이며 30㎎/m2 이하일 경우 내식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200㎎/m2 이상인 경우에는 도막 밀착성 및 가공성이 열화된다.
크로메이트 처리가 된 전기도금강판을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의 건조로(12) 내에서 약 100∼170℃의 온도로 건조하고 냉각대(13)에서 공랭 또는 수냉에 의해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기 위해 수지 코터(14,15)로 이송한다. 수지 코터는 상기 크롬 코터와 달리 제1 수지 코터(14), 제2 수지 코터(15)의 2개로 구성되며 하나는 대기용(Stand By)으로 사용된다. 수지 코터(14,15)도 상기 크롬 코터(11)와 동일한 3롤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롤 픽업 방식으로 크로메이트 처리된 전기도금강판 위에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수지층을 형성시킨다. 코팅된 유기피복강판을 건조로(16) 내에서 건조한 후 냉각대(17)에서 공랭 또는 수냉에 의해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크로메이트 처리 및 수지 처리를 한 유기피복강판을 검사대(18)에서 주문 사양에 적합한지를 최종 검사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권취기에 권취한다. 이 권취기는 상기 수지 코터(14,15)와 마찬가지로 제1 권취기(19) 및 제2 권취기(20)로 구성되어 교대로 가동된다.
이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유기피복강판의 물성은 주로 소재 강판에 코팅된 크로메이트층과 수지층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데, 특히 강판 상층부에 코팅된 수지층은 부식인자를 1차적으로 차폐함과 동시에 크로메이트층에서의 급격한 크롬의 용출을 방지하여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만약, 상기 수지 코팅을 하지 않으면 크로메이트 처리된 전기도금강판이 자동차 차체로 사용될 때 전착도장이 되지 않은 헤밍(Hemming) 부분의 내식성을 보장할 수 없어 차체 부식과 함께 강판에 부식 구멍이 발생하여 차체 전체에 커다란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유기피복강판은 자동차 차체의 내식성이 취약한 부분의 내식성 보강용으로서 수출용 차종에는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강종인 것이다.
이러한 유기피복강판은 상기 수지 처리를 일면에만 하는가 양면 모두에 하는가에 따라서 편면재와 양면재와 나뉘는데, 편면재는 자동차 차체의 외부에 사용되고, 양면재는 자동차 차체의 내부에 사용된다. 상기 편면재의 경우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지 않은 일면이 차체의 외부를 향하도록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자동차의 전착도장시에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지 않은 면이 전착도장이 잘 되고 도장된 표면이 미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 공장 내에서 유기피복강판을 프레스할 때 반드시 수지 조성물이 코팅되지 않은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프레스하여야 하나, 아르곤등이나 네온등 아래에서 실내 작업을 하는 경우 코팅된 면과 코팅되지 않은 면의 구별이 어려워 반대로 프레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이 경우 강판은 불량으로 처리되어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가 매우 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피복강판의 제조 단계에서 수지 조성물에 착색제로서 적색의 안료를 혼합하여 전기도금강판에 코팅되는 수지층이 적색을 띠도록 함으로써 프레스 작업 시에 코팅 면을 혼동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착색제는 유기피복강판의 제조공정에서 새로운 문제점을 야기시키는데, 그것은 수지 코터(14,15)에 의해 수지 조성물이 코팅된 강판이 건조로(16) 및 냉각대(17)를 거쳐 권취기(19,2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통과하게 되는 롤에 착색제가 전사되어 롤을 오염시키는 것이다.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피복강판은 냉각대(17)에서 권취기(19,20)로 이송되는 동안 많은 롤을 거치게 되는데, 이 롤들은 아이들 롤(idle roll), 브라이들 롤(bridle roll) 및 디프렉터 롤(deflector roll)로 구성되며, 이 롤들은 내부는 철심으로 구성되고 유기피복강판과 접촉되는 외피는 우레탄 고무로 구성된다. 이 롤들 중에서 아이들 롤은 큰 문제없으나 설비공간의 협소로 유기피복강판을 직각으로 굽혀서 다른 롤로 이송시키는 브라이들 롤 또는 디플렉터 롤에 있어서는 유기피복강판의 수지층이 롤에 압착되어 돌아가기 때문에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롤의 표면에 수지층의 착색제가 전사되어 롤을 오염시킨다. 보통 전기도금설비에서는 유기피복강판 뿐만 아니라 내지문강판, 연료탱크강판 등 다양한 종류의 강판을 생산하기 때문에 유기피복강판 생산 시에 발생되는 착색제에 의한 롤의 오염은 다른 종류의 강판에도 전사되어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전기도금설비의 작업자들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기도금설비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롤을 청소하여야 하는바, 이는 상당히 번거로운 일일뿐만 아니라 작업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종래 수지 조성물의 또 다른 문제는 내화학성이 약해 전기도금강판에 수지가 밀착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는 수지 조성물의 퍼짐성이나 미세 입자의 응고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따라서, 수지 조성물이 코팅된 유기피복강판을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하기 위해 가공하는 경우, 심하게 가공된 부위의 수지 조성물이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거나 흘러내려 변색 등이 발생됨으로써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크로메이트 처리된 전기도금강판에 수지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에 소정량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착색제를 수지층 내에 완전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정량의 왁스를 첨가하여 롤과 수지층 사이에 윤활층을 형성시켜 수지 자체의 점착성을 개선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착색제가 롤에 전사되어 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도금설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을 향상시켜 강판에 수지층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가공 후 수지가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거나 흘러내려 변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도금강판 위에 수지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로서 중량%로 우레탄 수지 80∼90%, 멜라민 수지 9∼16% 및 왁스 1∼4%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 조성물에 물성향상제로서 콜로이달 실리카를 9:1내지 8:2의 비율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착색제로서의 해당 안료를 99:1부터 95:5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전기도금강판에 코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기피복강판은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도금강판 위에 중량%로 우레탄 수지 80∼90%, 멜라민 수지 9∼16% 및 왁스 1∼4%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이 0.5∼2.0㎛의 두께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크로메이트 처리된 전기도금강판에 수지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착색제가 롤에 전사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착색제를 수지층 내에 완전히 고정시키고, 수지에 윤활성을 부여하여 수지 자체의 점착성을 개선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착색제를 수지층 내에 완전히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의 수지 조성물 내에 경화제의 함량을 증가시켜 수지의 경화도를 높힘으로써 수지 자체의 응집력을 증가시켰으며, 이로 인해 착색제가 수지층에서 유리되어 브라이들 롤 또는 디플렉터 롤에 전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지층의 윤활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종래의 수지 조성물에 왁스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수지 자체의 슬립성을 향상시킨다. 이로 인해 수지층과 롤 표면사이에 윤활층이 형성되어 수지층 내에 포함된 착색제가 롤 표면으로 전사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수지 조성물에 경화제 및 왁스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착색제에 의한 롤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의한 내오염성 향상의 효과는 도2 및 도3을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수지 조성물에 의해 유기피복강판을 제조하면 롤 표면이 적색의 착색제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나,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에는 착색제가 수지층 내에 단단히 고정되고 수지층과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롤 표면 사이에 윤활층이 형성되어 착색제가 롤로 전사되지 못하므로 롤이 오염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는 중량%로 80∼90%를 이루는 우레탄 수지를 주제로 사용한다. 이 우레탄 수지는 용액안정성이 우수한 수용성 타입의 우레탄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ester) 수지이며, 에스테르를 주사슬로하고 양말단에 우레탄 결합을 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우레탄 수지가 80%보다 적으면 용액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90%보다 많으면 우레탄 수지가 고가의 제품인 관계로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제인 우레탄 수지에 경화제로서 멜라민 수지를 중량%로 9∼16% 첨가한다. 이 멜라민 수지는 수지의 경화도를 높힘으로써 착색제가 수지층 내에 완전히 고정시켜 본 발명의 목적인 착색제의 롤 표면으로 전사를 방지하는 것이며, 이 멜라민 수지가 9%보다 적으면 수지층의 경화반응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아 혼합된 착색제를 수지층 내에서 완전히 결속시키지 못하므로 착색제에 의한 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없으며 16%보다 많으면 경화제 첨가에 의한 경화반응의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량 첨가된 경화제는 오히려 용액안정성과 수지피막의 물성을 저해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수지 자체의 슬립성을 향상시켜 수지층과 롤 표면과의 사이에 윤활층을 형성함으로써 수지층 내에 포함된 착색제가 롤 표면으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윤활제인 왁스를 중량%로 1∼4% 첨가한다. 이 때, 첨가되는 왁스의 종류는 포리올레핀계, 테프론계, 실리콘계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장 적은 함량으로도 슬립성이 우수한 테프론계 왁스가 첨가된다. 이 때, 첨가되는 왁스의 함량도 중요한데 그 함량이 1%보다 적으면 슬립성이 약하여 착색제가 롤 표면에 전사되기 때문에 내오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가공시의 수지층 박리가 발생된다. 그 함량이 4%보다 많으면 왁스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내오염성의 향상이 미미해질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이 열화되고 왁스가 고가인 관계로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
또한, 수지 조성물에 경화제 및 왁스를 첨가하는 것은 상기한 롤의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 내화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가져온다. 즉, 경화제에 의한 수지 경화능의 증가는 미세한 입자의 응고성을 향상시키고, 왁스에 의한 수지 조성물의 슬립성 증가는 수지 조성물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유기피복강판에 대한 수지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의한 내화학성 증가의 효과는 도4 및 도5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수지 조성물에 의해 코팅한 유기피복강판의 경우 수지 밀착성이 불량하여 자동차 부품 가공시 가공이 심한 부분에 수지층이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지거나 흘러내려 변색이 발생되는 반면,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경우에는 수지 밀착성이 우수하여 가공 부분의 변색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는 물성 향상을 위하여 첨가제의 투입이 가능한데 일반적인 물성향상제로서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가 있으며, 이 콜로이달 실리카를 상기 수지 조성물에 9:1 내지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10%보다 적은 경우에는 원하는 내식성의 효과가 불충분하고 25%보다 많은 경우에는 실리카 첨가에 대한 물성 향상 효과가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종합해보건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용액안정성이 우수한 우레탄 수지을 주제로 하여 경화제로서 멜라민 수지를, 윤활제로서 왁스를 첨가함으로써 착색제에 의한 롤의 오염을 방지하는 내오염성과 가공부위의 변색 등을 방지하는 내화학성을 모두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반드시 착색제인 해당 안료와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바, 상기 수지 조성물과 안료의 혼합비는 99:1부터 9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비율이 1보다 작으면 수지 조성물이 착색되지 않아 강판의 가공시에 코팅된 면의 구별이 어려우며, 안료의 비율이 5보다 크면 과다한 안료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악영향을 끼친다.
한편, 유기피복강판의 제조시에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가 강판에 대한 수지 조성물의 부착량인데,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층의 두께가 0.5∼2.0㎛가 되도록 코팅한다. 그 이유는 수지층의 두께가 0.5㎛보다 작으면 내식성이 저하되며, 2.0㎛보다 크면 수지층이 너무 두꺼워 용접 등 후속 가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수지 조성물을 코팅한 후에 건조로 내에서 수지층을 건조할 경우 120∼170℃의 온도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건조 온도가 120℃보다 낮으면 수지의 경화반응이 충분치 못하여 내오염성이 저하되고, 170℃보다 높으면 전기도금강판의 재질이 변화하여 베이크 하드닝(bake hardening) 강판의 성질을 보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레탄 수지(Neorez R-961)에 적색의 착색제를 99:1의 비율로 혼합한 후 경화제인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포르말드하이드(Methylated Melamine Formaldehyde, MMF)와 왁스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강판을 제조한 후 품질 평가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강판의 제조는 시편 두께가 0.7㎜이고, 도금 부착량은 30g/m2이며, 크롬 부착량 50㎎/m2로 크로메이트 처리된 아연합금 전기도금강판을 소지금속으로 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1.0㎛의 두께로 코팅한 후 160℃의 강판 온도에서 건조한 다음 수냉시켜 유기피복강판을 제조하였다.
구 분 주제 경화제 왁스 건조온도(℃) 품질 평가 종합평가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용액안정성 내화학성 내오염성
비교예1 100 0 0 × × ×
비교예2 95 3 2 ×
비교예3 93 5 2 160 ×
비교예4 91 7 2
비교예5 79 20 1 ×
비교예6 86 9 5
비교예7 89 9 2 100
비교예8 88 9 3 200
실시예1 89 9 2
실시예2 85 13 2
실시예3 82 16 2
실시예4 90 9 1 160
실시예5 89 9 2
실시예6 88 9 3
실시예7 87 9 4
실시예8 86 10 4
실시예9 89 9 2 120
실시예10 89 9 2 140
실시예11 88 9 3 160
실시예12 88 9 3 170
용액 안정성의 평가는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고려하여 상온에서 30일 동안 경과한 후 용액의 겔 유무에 따라 평가하였고, 내오염성은 현장에서 각각의 건조조건으로 생산한 다음 발생하는 오염정도로 평가하였으며, 그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용액 안정성 내오염성
◎ : 양호 디플렉터 롤에 전사없음
ㅁ : 중간 디플렉터 롤에 미세 전사
× : 불량 디플렉터 롤에 전사
내화학성은 MEK로 10회 문지런 다음 수지층이 변색되는 정도로 평가하였으며 그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 수지층의 박리가 없고 색차(처리전의 색차대비) △E 1 이하
○ : 수지층의 박리가 없고 색차(처리전의 색차대비) △E 2∼3
ㅁ : 수지층의 박리가 없고 색차(처리전의 색차대비) △E 5 이상
△ : 수지층의 부분박리(박리부분이 수지 코팅면의 30% 이하)
× : 수지층의 부분박리(박리부분이 수지 코팅면이 30% 이상)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1은 경화제와 왁스 모두가 첨가되지 않아 용액 안정성, 내화학성, 내오염성이 모두 불량하고, 비교예2∼4는 경화제의 함량이 적어 착색제를 수지층 내에 완전히 고정시키지 못하므로 디프렉터 롤을 오염시키며, 비교예5는 경화제의 함량이 많아 내오염성은 양호하나 과다한 경화제 첨가로 인해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6은 왁스의 함량이 너무 많아 오히려 내화학성을 저하시키며 고가의 왁스를 다량 첨가함에 따라 원가 부담이 크다. 비교예7은 경화제 및 왁스의 함량의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나 건조온도가 너무 낮아 수지의 경화반응이 불충분하여 내화학성, 내오염성이 불량하며, 비교예8 또한 경화제 및 왁스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나 건조온도가 너무 높아 품질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온도에 따르는 경우와 효과가 동일하나 에너지 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실시예1∼8은 경화제와 왁스의 함량, 건조온도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범위에 포함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나 소부 온도가 약간 높아 내화학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반면, 실시예9,10은 경화제와 왁스의 함량, 건조온도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범위에 포함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나 소부 온도가 약간 낮아 역시 내화학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실시예11,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화제의 함량이 9%이고 왁스의 함량이 3%이며 건조온도가 160∼170℃인 경우에 용액안정성,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 모두에 있어서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수지 조성물의 내오염성을 향상시켜 착색제가 롤에 전사되어 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기도금설비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을 향상시켜 유기피복강판이 가공된 후에 수지가 강판의 표면으로 박리되거나 흘러내려 변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유기피복강판의 생산 공정도.
도2는 종래의 롤이 오염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롤이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4는 종래의 불량한 수지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수지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금조 11: 크롬 코터(chrome coater)
12: 건조로 13: 냉각대
14: 제1 수지 코터(resin coater) 15: 제2 수지 코터
16: 건조로 17: 냉각대
18: 검사대 19: 제1 권취기
20: 제1 권취기

Claims (4)

  1.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도금강판 위에 수지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로서, 중량%로 우레탄 수지 80∼90%, 멜라민 수지 9∼16% 및 왁스 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물성향상제로서 콜로이달 실리카를 9:1내지 8:2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착색제로서 해당 안료를 99:1 내지 95:5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전기도금강판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4. 크로메이트처리된 전기도금강판 위에 중량%로 우레탄 수지 80∼90%, 멜라민 수지 9∼16%, 및 왁스 1∼4%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이 0.5∼2.0㎛의 두께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피복강판.
KR10-2002-0069826A 2002-11-11 2002-11-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KR10051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826A KR100510008B1 (ko) 2002-11-11 2002-11-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826A KR100510008B1 (ko) 2002-11-11 2002-11-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462A KR20040041462A (ko) 2004-05-17
KR100510008B1 true KR100510008B1 (ko) 2005-08-26

Family

ID=3733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826A KR100510008B1 (ko) 2002-11-11 2002-11-11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0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412A (ko) * 1988-05-31 1990-12-21 야기 야스히로 성형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윤활수지 처리 강판
KR19980020581A (ko) * 1996-09-10 1998-06-25 김종진 가공후 내흑화성이 우수한 수지처리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9980053192A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내식성 및 가공후 내흑화성이 우수한 수지처리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2002146282A (ja) * 2000-11-10 2002-05-22 Nippon Paint Co Ltd 水性塗料組成物、複層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412A (ko) * 1988-05-31 1990-12-21 야기 야스히로 성형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윤활수지 처리 강판
KR19980020581A (ko) * 1996-09-10 1998-06-25 김종진 가공후 내흑화성이 우수한 수지처리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9980053192A (ko) * 1996-12-26 1998-09-25 김종진 내식성 및 가공후 내흑화성이 우수한 수지처리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2002146282A (ja) * 2000-11-10 2002-05-22 Nippon Paint Co Ltd 水性塗料組成物、複層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462A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0024B1 (en) Organic composite plated steel sheet highly susceptible to cationic electrodeposition
JPH0324295A (ja) 黒色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KR100415679B1 (ko) 프레스 가공성이 개선된 연료탱크용 수지피복강판의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피복강판
JPH10251509A (ja) 金属表面処理液および表面処理金属板
KR20010046371A (ko) 가공후 밀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용 수지피복용액 및 이를이용한 수지피복 강판의 제조방법
KR100510008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유기피복강판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유기피복강판
JP2844953B2 (ja) 溶接可能な着色鋼板
JP3833033B2 (ja) 耐食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鋼板
KR20050063979A (ko) 고분자-클레이 복합체를 함유한 프리실드 강판용수지조성물 및 이를 프리실드강판에 피복하는 방법
JP2621751B2 (ja) 自動車用表面処理鋼板
KR970005446B1 (ko) 용접가능한 착색강판
KR100236188B1 (ko) 내지문강판용 수지용액 및 이를 이용한 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KR100321624B1 (ko) 식별성과 롤코팅성이 우수한 착색 박막수지피복 강판용 수지용액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지처리 전기아연합금도금강판 제조방법
KR20010071958A (ko) 수지피복강판, 그것을 이용한 카트리지캡 및 카트리지몸통부
JPH01301332A (ja) 成形性に優れた潤滑樹脂処理鋼板
JPH0427538A (ja) 耐低温チッピング性および耐塗膜剥離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
JP2000239861A (ja) 耐食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鋼板
JP3076892B2 (ja) 外観、耐食性及び加工性に優れた潤滑処理鋼板
JP2001088242A (ja) プレス成形性、プレス成形後の外観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
KR100368215B1 (ko) 작업성,용액안정성,가공후흑화성이우수한수지용액및이를이용한수지피복강판의제조방법
KR20010060751A (ko) 내지문강판의 제조방법
JP3588373B2 (ja) 耐プレッシャーマーク性に優れた黒色プレコート鋼板
JP3172083B2 (ja) 加工性、加工後耐食性に優れた低光沢黒色鋼板
JPH07243055A (ja) 耐クロム溶出性に優れた着色有機複合鋼板
JPH09323376A (ja) 着色潤滑処理鋼板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