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077B1 -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077B1
KR100507077B1 KR10-2002-0053531A KR20020053531A KR100507077B1 KR 100507077 B1 KR100507077 B1 KR 100507077B1 KR 20020053531 A KR20020053531 A KR 20020053531A KR 100507077 B1 KR100507077 B1 KR 10050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ning
gas
closing
clo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882A (ko
Inventor
윤종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0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유구 개폐동작을 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주유구를 개폐하는 편리성을 증대시키며, 주유 중에 시동을 켜놓아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주유기와; 주유건의 위치를 검출하는 주유건 감지센서와; 상기 주유기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하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며,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와 주유건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주유구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GAS TANK DOOR OPEN AND SHUT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지속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보관할 수 있는 연료 탱크를 설치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부로 주입구가 돌출되도록 주유구를 설치하며, 주유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유구를 보호할 수 있는 주유구용 도어를 설치한다.
이러한 주유구용 도어는 주유구가 설치된 곳을 덮어 보호하다가 연료 급유를 하고자 할 때에는 원격조정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 해제 장치를 설치하고 운전석에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케이블 작동시 주유구용 도어가 개방되면서 주유구가 노출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주유구용 도어는 운전자에 의해 원격 조정으로 주유구용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열려진 주유구용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여 직접 주유구용 도어를 닫거나 주유자의 도움을 받아 주유구용 도어를 닫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유구 개폐동작을 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주유구를 개폐하는 편리성을 증대시키며, 주유 중에 시동을 켜놓아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주유기와; 주유건의 위치를 검출하는 주유건 감지센서와; 상기 주유기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하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며,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와 주유건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주유구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방법에 있어서, 주유기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부에 내장되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주유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주유기가 인식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에 따라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발생된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량 상태 검출부(110), 주유기(120), 주유건 감지센서(130), 제어부(140), 주유구 개폐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차량 상태 검출부(110)는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를 검출한다.
차량 상태 검출부(110)는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112)와,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1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주유기(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블루투스 ; Bluetooth) 모듈(122)을 내장한다.
참고적으로 상기의 설명에서 명기된 "블루투스"는 근거리에서 유선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을 대체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기로써 에릭슨(ERICSSON)사에 의해 제안된 블루투스 표준안(Bluetooth Protocol)에 기초한다.
주유건 감지센서(130)는 주유건의 위치를 검출한다.주유건 감지센서(130)는 주유구를 정면에서 보아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이러한 구성으로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빛을 수광 다이오드에서 감지하여 주유건이 주유구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주유건이 주유구 안으로 삽입되면(주유 중)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수광 다이오드에 도달하지 못하여 주유건이 삽입되어 있음을 제어부(140)는 판단할 수 있다.이와는 반대로, 주유건이 주유구로부터 이탈하여(주유 종료) 일정시간이 지나면(약 2~3초) 수광 다이오드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빛을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140)는 주유구를 닫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동작을 전반적으로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주유기(120)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과 근거리 통신을 하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2)을 내장하며, 차량 상태 검출부 (110)와 주유건 감지센서(1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40)로부터 발생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140)로부터 발생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는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주유구 개폐 구동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주유구 개폐용 모터로 구성한다.
주유구(160)는 주유구 개폐 구동부(150)의 구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구 개폐 구동부(150)의 구동시 기어부(152)가 슬라이딩 레일(154)을 따라 이동되어 주유구(160)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이 위치한 곳의 주유기(120)를 인식하고, 차량의 상태(차속 신호 및 엔진 회전수 (타코 ; TACHO)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주유구 개폐동작이 제어됨으로 운전자가 주유소에 진입한 후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 없이 주유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40)는 도 2의 (S210)에서 주유기(120)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과 제어부(140)에 내장되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2)을 통해 주유기(120)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만약,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주유기(120)가 인식된 상태이면, 제어부(140)는 (S212~S214)으로 진행하여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S212)으로 진행하여 차속 센서(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정차상태를 검출한다.
만약, 차량이 정차상태이면, 제어부(140)는 (S214)으로 진행하여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1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정지상태를 검출한다.
엔진 회전수 정지상태이면 제어부(140)는 (S216~S220)으로 진행하여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에 따른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로부터 발생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제어부(140)로부터 발생된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검출된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이면 닫혀진 주유구 (160)를 개방하는 단계(S216)와; 주유구(16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후 주유건의 위치를 검출하여 주유건이 주유구(160)로부터 이탈된 상태(S218)이면 열려진 주유구(160)를 닫는 단계(S22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유시 운전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블루투스)을 사용하여 주유소의 주유기(120)를 감지하고 차량이 주유기(120) 옆에 정차하고(차속 신호=0), 운전자가 시동을 끄면(엔진 회전수(TACHO) 신호=0) 이를 운전자가 주유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주유구(160)를 열고(Open), 주유가 끝나면 주유구(160)에 장착된 주유건 감지센서 (130)에 의해 주유건이 주유구(160)로부터 이탈됨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주유구 (160)를 닫는(Close) 기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은 자동으로 주유구를 개폐하는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정차시와 엔진의 시동 오프(OFF)시에 주유구를 개폐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유 중에 시동을 켜놓아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유구 개폐동작을 도시한 도면.

Claims (6)

  1.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주유기와;
    상기 주유구의 입구측 상하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주유건이 상기 주유구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는 주유건 감지센서와;
    상기 주유기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하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며,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와 주유건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주유구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는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와;
    상기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는 상기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생하는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5. 제1항의 구성을 갖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방법에 있어서,
    주유기에 내장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부에 내장되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주유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주유기가 인식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에 따라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발생된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주유구 개폐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주유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차량의 주유 준비 상태이면 닫혀진 주유구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주유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후 주유건의 위치를 검출하여 주유건이 주유구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면 열려진 주유구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방법.
KR10-2002-0053531A 2002-09-05 2002-09-05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0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31A KR100507077B1 (ko) 2002-09-05 2002-09-05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31A KR100507077B1 (ko) 2002-09-05 2002-09-05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82A KR20040021882A (ko) 2004-03-11
KR100507077B1 true KR100507077B1 (ko) 2005-08-09

Family

ID=3732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531A KR100507077B1 (ko) 2002-09-05 2002-09-05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611B2 (en) 2017-10-13 2021-01-2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hydrogen charge stat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44B1 (ko) 2018-12-18 2021-04-29 김상희 오배자 추출물 및 프락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654A (ja) * 1994-12-09 1996-06-21 Toyota Motor Corp 自動給油口カバー開口装置
KR970021858U (ko) * 1995-11-28 1997-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자동개폐장치
KR19980029086A (ko) * 1996-10-25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자동 연료 필러도어 개폐 장치
KR19980037868A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주유시 자동 제어되는 승합차의 필러 도어
KR19990032411U (ko) * 1997-12-31 1999-07-26 오상수 차량의 연료 주유구 개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654A (ja) * 1994-12-09 1996-06-21 Toyota Motor Corp 自動給油口カバー開口装置
KR970021858U (ko) * 1995-11-28 1997-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자동개폐장치
KR19980029086A (ko) * 1996-10-25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자동 연료 필러도어 개폐 장치
KR19980037868A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주유시 자동 제어되는 승합차의 필러 도어
KR19990032411U (ko) * 1997-12-31 1999-07-26 오상수 차량의 연료 주유구 개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611B2 (en) 2017-10-13 2021-01-2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hydrogen charge stat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
US11415269B2 (en) 2017-10-13 2022-08-1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hydrogen charge stat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82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489B2 (en)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KR100507077B1 (ko) 차량의 주유구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CN101513840B (zh) 车载全智能指纹式酒后禁驾系统
CN106564372A (zh) 防酒驾断油断电装置及使用方法
CN209837998U (zh) 一种车用后备箱智能控制装置
CN114555410B (zh) 车辆用的充电端口装置
KR101362433B1 (ko) 차량 주유구 잠금장치
KR200145546Y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자동개폐장치
KR100401584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주유구 개폐장치 및 그 방법
JP2009067277A (ja) 車両用給油口開口装置、車両用給油口開口プログラム、及び車両用給油口開口方法
KR20230075564A (ko) 자동차용 혼유 방지 시스템
KR19980029086A (ko) 자동차의 자동 연료 필러도어 개폐 장치
KR100756944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도어의 연료필라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0252242B1 (ko) 주유시 자동 제어되는 승합차의 필러 도어
JP2002240580A (ja) 給油口の蓋構造
KR100980949B1 (ko) 디젤차량의 이종연료주유방지장치
KR200422355Y1 (ko) 주유시 자동차의 엔진 정지장치
JP2001315900A (ja) 自動車の給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の給油方法
KR19990026700U (ko) 연료 주입시 시동 오프 및 윈도우 하강 장치
KR0124271Y1 (ko) 자동차의 연료캡 개폐 장치
KR100428224B1 (ko) 주유건의 잔류연료 흡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25348U (ko) 차량의 주유시 주행 방지장치
KR20040099612A (ko) 주유구 열림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316238B1 (ko) 자동차의 연료필러 기구
KR100207035B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