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766B1 - 혈압계의 완대 - Google Patents

혈압계의 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766B1
KR100502766B1 KR10-2002-0003012A KR20020003012A KR100502766B1 KR 100502766 B1 KR100502766 B1 KR 100502766B1 KR 20020003012 A KR20020003012 A KR 20020003012A KR 100502766 B1 KR100502766 B1 KR 10050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late
arm
blood pressure
elastic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687A (ko
Inventor
이나가키다카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에 대한 장착 동작을 하기 쉽고, 장착후에 통증을 주지 않으며, 장착성이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는 탄성판을 갖춘 혈압계의 완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탄성판(1A)은 그 일단부(11)를 내측에 감도록 타단부(12)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일단부(11)에서부터 일단부(11)가 대향하는 부분까지는 곡율 반경이 완만하게 증가하지만, 그 대향 부분에서부터 타단부(12)까지는 곡율 반경이 크게 증가하는 형태이다.

Description

혈압계의 완대{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본 발명은 혈압계의 완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 주머니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 완대의 환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판에 특징이 있는 완대에 관한 것이다.
혈압계의 완대는 일반적으로, 도 11(사시도) 및 도 12(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주머니(90) 내에 공기 주머니(91)와 탄성판(92)이 배치된 것으로, 공기 주머니(91)에는 튜브(93)가 접속되고, 천 주머니(90)의 외측에는 면 파스너(94)가 부착되어 있다. 탄성판(92)은 공기 주머니(9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완대를 환상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이며, 일부가 불연속 부분(92a)이 되는 둥근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도 13(a)와 같은 탄성판(92)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 ①∼③이 있다.
① 팔에 장착하기 위해서 탄성판(92)을 개방하는 동작을 하기 어렵다.
즉, 단면형상이 아주 둥근 원형이기 때문에, 탄성판(92)을 개방하고 나서 팔에 장착해야 한다. 상세히 말하면, 탄성판(92)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강도로 인장하지 않으면 안되어, 개방한 상태의 탄성판(92)을 그대로 팔에 장착하려면 어느 정도의 익숙함도 필요하다.
② 탄성판(92)의 단부가 팔에 파고 들어간다.
아주 둥근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탄성판(92)의 경우, 팔에 장착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 불연속 부분(92a)의 엣지가 팔에 파고 들어가, 피측정자에게 통증을 주는 일이 많다. 특히 굵은 팔이면, 그와 같은 경향이 현저하다.
③ 가냘픈 팔, 굵은 팔, 경사가 큰 팔(어깨에서부터 팔꿈치에 거쳐 굵기의 변화가 큰 팔), 곧바른 팔(어깨에서부터 팔꿈치에 걸쳐서 굵기의 변화가 작은 팔) 등의 팔의 굵기나 형상에 대응한 변형이 가능하지 않아, 팔에 딱 맞추기 어렵다.
이것은 탄성판(92)의 두께가 균일하고, 단면 형상이 둥근 원형이기 때문으로, 팔의 굵기나 형상은 천차만별임에도 불구하고, 만인에게 쉽게 맞출 수 있는 형태의 탄성판(92)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팔에 대한 장착을 쉽게 하여, 장착감을 높인 탄성판으로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도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1987-238229호 공보). 이 탄성판(92')은 양단부(불연속 부분(92'a))에서 중앙부를 향해서 서서히 두께가 두껍게 되어, 이에 따라 서서히 강성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중앙부에서 두께 및 강성이 최대로 되고 있다.
그러나, 이 탄성판(92')에서도,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해서 두께를 점점 증가시켜 놓을 뿐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팔에 대한 적합성에서 보면, 팔에 대응하는 변형이 유연하지 않아, 개량의 여지가 있고,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는 탄성판의 제공이 크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이나 실상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팔에 대한 장착 동작을 하기 쉽고, 장착후에 통증을 주지 않으며, 장착성이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는 탄성판을 갖춘 혈압계의 완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혈압계의 완대는 공기 주머니와, 이 공기 주머니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 완대의 환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판을 내부에 갖는 것에 있어서, 탄성판은 그 일단부를 내측으로 감도록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탄성판에서는, 팔에 장착할 때에는, 연장된 타단부를 팔에 걸치고, 그 상태에서 탄성판을 크게 열면서 팔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즉 탄성판을 넓히는 동작과 팔에 장착하는 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팔에 대한 장착 동작이 편하다. 또, 타단부가 일단부보다도 길고, 일단부가 내측으로 감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팔에 장착했을 때에 단부가 팔에 파고 들어가기 어려워, 피측정자에게 통증을 주지 않는다.
이 탄성판과는 다른 형태로서는,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이며, 일단부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탄성판이라도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팔 둘레 방향의 거의 중앙부와 양단부 사이에, 팔축 방향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늘게 한 협폭 부분 또는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박육 부분을 갖는 탄성판이라도 좋다. 이 경우, 협폭 부분이나 박육 부분에 의해 탄성이나 변형의 조정이 가능하다. 즉, 협폭 부분이나 박육 부분에 의해서, 탄성판(즉 완대)이 비틀어지기 쉽게 되어, 곧바른 팔이나 가늘어지는 팔 등의 모든 형상의 팔에 쉽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 탄성판의 양단부에는 협폭 부분 또는 박육 부분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데, 이에 따라, 양단부의 강성이 저하되지 않고, 양단부에 의해 팔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탄성판의 양단부에는 특히 협폭 부분을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양단부를 협폭 부분으로 하는 데에 비해서, 양단부가 팔에 파고 들어가는 식의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탄성판이 협폭 부분을 갖는 형태의 경우, 그대로도 좋지만, 협폭 부분에 의해 결여되는 부분을 협폭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은 박육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협폭 부분에 의해 결여된 부분이 있으면, 공기 주머니를 부풀렸을 때에 협폭 부분의 옆(결여 부분)에서부터 공기 주머니가 완대의 겉쪽으로 팽창되어, 팔을 충분히 압박할 수 없을 우려나, 공기압을 변경하여 혈압 데이터를 취득해 나가는 과정에서, 결여 부분으로부터의 공기 주머니 외측으로의 부풀어오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안정된 혈압 측정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협폭 부분에 의한 결여 부분을 박육 부분으로 하는 구성은 여러 가지 형태의 팔에 대하여, 양단부에 의해 장착성을 유지하면서, 비틀기 쉽게 함으로써, 곧바른 팔이나 가늘어지는 팔 등의 모든 형상의 팔에 맞추기 쉽게 하는 효과를 겨냥한 것이다.
또한, 협폭 부분은 팔 둘레 방향에 걸쳐 일정 폭이라도 좋지만, 중앙부에서 양단부를 향하여 점점 줄어드는 폭이라도 좋다.
또 다른 형태의 탄성판으로는 그 내주면이 거의 원형이며, 외주면이 다각형인 탄성판이라도 상관없다. 즉, 이 탄성판에서는 원형의 내주면이 다각형의 외주면에 내접하는(엄밀히 말하면 내접하지 않음) 단면 형상이며, 다각형의 각부(角部)에서 두꺼워지고, 변부(邊部)에서 얇아진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탄성판의 두께를 변화시킨 형태가 되어, 상기 변형 용이 부분을 갖는 탄성판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팔에 대응한 변형을 할 수 있어, 팔에 파고 들어가기 어렵고, 장착성이 좋다.
또, 상기 탄성판과는 전혀 다른 구조로서, 복수의 탄성편을 힌지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판을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하면 상기 탄성판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어 부치고, 반대로 상기 탄성판을 일정 각도 이하로 닫으면 상기 탄성판을 닫는 방향으로 밀어 부치는 압박 수단을, 각 탄성편의 힌지 연결 부분에 마련한 탄성판이라도 상관없다.
이 탄성판에서는, 탄성편 그 자체가 갖는 탄성력보다도, 압박 수단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의 압박력과 닫힘 방향으로의 압박력이 주어진다. 이 압박력은 탄성판의 일정 각도의 확대 개방을 분기점으로 하여 변화된다. 즉, 팔에 장착하는 경우 탄성판을 크게 개방할 때에는 압박 수단에 의해 탄성판이 자동적으로 크게 열리고, 팔에 고정하는 경우 탄성판을 닫을 때에는 압박 수단에 의해 탄성판이 자동적으로 닫혀, 팔에 딱 맞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혈압계의 완대에 있어서의 탄성판에 특징이 있으며, 완대의 구조는 도 12에 나타내는 통상의 것이라도 좋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탄성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물론, 탄성판의 작용에 관한 설명은 그 탄성판을 갖추는 완대에 관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혈압계의 완대에 구비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를 도 1(a)에, 그 탄성판을 팔에 장착했을 때의 사시도를 도 1(b)에 나타낸다. 이 탄성판(1A)은 그 일단부(11)를 내측으로 감도록 타단부(12)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일단부(11)에서부터 이 일단부(11)가 대향하는 부분까지는, 곡율 반경이 완만하게 증가하지만, 그 대향 부분에서부터 타단부(12)까지는 곡율 반경이 크게 증가하는 형태이다.
이 탄성판(1A)을 팔(80)에 장착하는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a)에 있어서, 탄성판(1A)의 긴 쪽의 타단부(12)를 팔(80)에 걸치고, 그 상태 그대로 탄성판(1A)을 개방하면서 타단부(12)와는 반대측으로 잡아당긴다(도 2(b)). 또한 탄성판(1A)을 잡아당겨, 그 확대 개방폭이 팔(80)의 굵기와 동일한 정도가 되면(도 3(a)), 탄성판(1A)을 팔(80)에 씌운다(도 3(b)). 그렇게 하면, 탄성판(1A)은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팔(80)에 딱 맞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판(1A), 즉 완대가 팔에 장착된다.
이 탄성판(1A)에 의하면, 탄성판(1A)을 넓히는 동작과 팔(80)에 장착하는 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팔(80)에 대한 장착 동작이 편하다. 또한, 타단부(12)가 일단부(11)보다도 길고, 일단부(11)가 내측에 감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팔(80)에 장착했을 때에 일단부(11) 및 타단부(12)가 팔(80)을 파고 들어가기 어려워, 피측정자에게 통증을 주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를 도 4(a)에 도시한다. 이 탄성판(1B)은 그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이며, 일단부(14)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탄성판(1B)의 팔(80)에 대한 장착은 상기 탄성판(1A)과 같은 식으로 행하면 된다. 즉, 탄성판(1B)이 긴 쪽의 일단부(14)를 팔(80)에 걸고, 탄성판(1B)을 잡아당겨 개방하여, 팔(80)에 씌움으로써, 탄성판(1B)을 넓히는 동작과 팔(80)에 장착하는 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면 형상이 대략 3각형인 탄성판(1B)을 팔(80)에 장착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부와 팔(80)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데, 공기 주머니(91)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간극을 메우도록 팽창되기 때문에, 공기 주머니(91)에 의해 팔(80)이 압박되는 작용에 지장은 없다. 또, 탄성판(1B)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 외에, 사각형이나 다각형이라도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를 도 5(a)에, 그 전개도를 도 5(b)에 도시한다. 이 탄성판(1C)은 그 팔 둘레 방향의 중앙부(26')와 양단부(25) 사이에, 팔축 방향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늘게 한 협폭 부분(26)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의 협폭 부분(26)은 중앙부(26')에서 양단부(25)를 향하여 점점 즐어드는 폭을 갖는다. 이 탄성판(1C)에서는 협폭 부분(26)의 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탄성판(1C)(즉 완대)이 비틀어지기 쉽게 되어, 곧바른 팔이나 가늘어지는 팔 등의 온갖 형상의 팔에 장착하기 쉽게 된다.
또, 탄성판(1C)의 양단부(25)는 협폭 부분(26)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단부(25)의 강성은 저하되지 않고, 양단부(25)에서 팔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양단부(25)를 협폭 부분(26)으로 하지 않으므로, 양단부(25)도 협폭 부분(26)으로 하는 것에 비하여, 양단부(25)가 팔에 파고 들어가는 식의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를 도 6(a)에, 그 전개도를 도 6(b)에 도시한다. 이 탄성판(1D)은 그 팔 둘레 방향의 거의 중앙부(24)와 양단부(22, 23) 사이에, 팔축 방향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늘게 한 협폭 부분(21)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의 협폭 부분(21)은 팔 둘레 방향에 걸쳐 일정한 폭이다. 또한, 거의 중앙부(24)는 일정 폭이 아니라,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팔은 일반적으로 어깨측보다 팔꿈치측을 향하여 가늘게 되어 있는 것에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팔에 장착할 때는 중앙부(24)의 광폭측을 어깨측으로 할 필요가 있어, 완대의 천 주머니(90) 내에 배치할 때에 방향에 주의해야 한다. 더욱이, 일단부(22)를 내측에 감도록 타단부(23)가 외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이 탄성판(1D)에서는 상기 탄성판(1C)과 마찬가지로, 협폭 부분(21)의 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탄성판(1D)(즉 완대)이 비틀어지기 쉽게 되어, 곧바른 팔이나 가늘어지는 팔 등의 모든 형상의 팔에 장착하기 쉽게 된다.
또, 탄성판(1D)의 양단부(22, 23)는 협폭 부분(21)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단부(22, 23)의 강성은 저하되지 않고, 양단부(22, 23)에 의해 팔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양단부(22, 23)를 협폭 부분(21)으로 하지 않으므로, 양단부(22, 23)도 협폭 부분(21)으로 하는 데에 비해서, 양단부(22, 23)가 팔에 파고드는 식의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물론, 팔에 장착할 때에는 긴 쪽의 타단부(23)를 팔에 걸어 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를 도 7(a)에, 그 전개도를 도 7(b)에 도시한다. 이 탄성판(1E)은 그 팔 둘레 방향의 거의 중앙부(31')와 양단부(15, 16) 사이에, 팔축 방향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늘게 한 협폭 부분(31)을 갖는 동시에, 그 협폭 부분(31)에 의해 결여되는 부분이 협폭 부분(31)의 두께보다도 얇은 박육 부분(32)으로 되어 있다. 협폭 부분(31)은 각 단부(15, 16)에서부터 중앙부(31')에 걸쳐서 완만하게 증감하는 폭을 지니고, 이 협폭 부분(31)에 의해서 형성되는 결여 부분을 메우도록 박육 부분(32)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탄성판(1E)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폭이다. 또한, 일단부(15)가 내측에 감기도록, 타단부(16)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협폭 부분(31)에 의해서 형성되는 결여 부분에 박육 부분(32)을 마련하려면, 예컨대 협폭 부분(31)에 박육 부분(32)을 별도로 접합하거나, 혹은 탄성판(1E) 전체를 제작할 때에 절삭이나 일체 성형 등에 의해 협폭 부분(31) 이외의 부분(3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 된다. 또, 협폭 부분(31)의 평면 형상 패턴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6의 탄성판(1D)에서의 협폭 부분(21)과 같은 패턴이라도 좋다.
이 탄성판(1E)은 상기 탄성판(1D)을 개량한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협폭 부분(31)에 의해 결여된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의 경우는 공기 주머니를 부풀렸을 때에 협폭 부분(31)의 옆(결여 부분)에서부터 공기 주머니가 완대의 겉쪽으로 팽창되어, 팔을 충분히 압박할 수 없을 우려나, 공기압을 변경하여 혈압 데이터를 취득해 나가는 과정에서, 결여 부분에서부터 공기 주머니의 외측으로의 부풀어오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안정된 혈압 측정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협폭 부분(31)에 의해 생성된 결여 부분을 박육 부분(32)으로 함으로써, 상기 탄성판(1D)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제점의 가능성도 해소할 수 있다. 즉, 여러 가지 형태의 팔에 대하여, 양단부에 의해 장착성을 유지하면서, 비틀기 쉽게 함으로써, 곧바른 팔이나 가늘어지는 팔 등의 온갖 형상의 팔에 장착하기 쉽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를 도 8(a)에, 그 단면도를 도 8(b)에 도시한다. 이 탄성판(1F)은 그 내주면(1a)이 거의 원형이고, 외주면(1b)이 다각형(여기서는 대략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구조에 의해, 다각형의 각부가 두꺼운 부분(35)이 되고, 변부가 얇은 부분(36)이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두께를 변화시킨 형태가 되어, 특히 상기 탄성판(1C∼1E)과 같이, 다양한 팔에 대응한 변형이 가능하여, 팔에 파고 들어가기 어렵고, 장착성이 좋다. 물론, 타단부(28)가 일단부(27)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팔에 대한 장착도 편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를 도 9에, 그 열린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도 10(a)에, 닫힌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도 10(b)에 도시한다. 이 탄성판(1G)은 복수(여기서는 3장)의 탄성편(41, 42, 43)을 힌지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각 힌지 연결 부분에 압박 수단으로 코일 스프링(50)이 각각 2개 부착되어 있다. 탄성편(41, 43)은 양단부를 구성하고, 탄성편(42)은 중앙부를 구성한다. 또, 탄성편(43)의 단부(43a)를 감도록, 탄성편(41)이 탄성편(43)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힌지 연결 부분은 탄성편(41)과 탄성편(42) 사이, 탄성편(42)과 탄성편(43) 사이에 각각 3곳에 설치되고, 탄성편(41∼43)은 각각 힌지 연결 부분의 지지축(55)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다. 코일 스프링(50)은 각 탄성편(41∼43)의 대향 단부에 마련된 지지부(51)에 부착되어 있다. 또, 각 탄성편(41∼43)에는 코일 스프링(50)을 수용하는 노치(부호는 붙이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0)은 이 탄성판(1G)을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하면 탄성판(1G)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어 부치고, 반대로 탄성판(1G)을 일정 각도 이하로 닫으면 탄성판(1G)을 닫는 방향으로 밀어 부친다. 즉, 도 10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탄성편(41∼43)의 지지점이 되는 지지축(55)보다도 외측에 코일 스프링(50)이 위치하면, 탄성판(1G)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이 작용하고(도 10(a)), 반대로 지지축(55)보다도 내측에 코일 스프링(50)이 위치하면, 탄성판(1G)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이 작동한다(도 10(b)). 단, 통상은 도 10(b)의 닫힌 상태로 해 놓는다.
이 탄성판(1G)을 팔에 장착할 때에는, 긴 탄성편(41)의 단부(41a)를 팔에 걸치고, 그 상태에서 탄성판(1G)을 외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한다. 그렇게 하면, 코일 스프링(50)의 압박력에 의해 탄성판(1G)은 자연스럽게 최대 확대 개방 상태가 된다. 이 탄성판(1G)을 팔의 소정 부위에 위치 결정하고 나서, 이번에는 탄성판(1G)을 일정 각도 이상으로 닫으면, 코일 스프링(50)의 압박력에 의해 탄성판(1G)은 자연스럽게 닫혀, 코일 스프링(50)의 압박력에 의해 탄성판(1G)은 팔에 적절한 압박력으로 딱 맞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압계의 완대에 따르면, 고유 형태의 탄성판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팔에 대한 장착 동작이 편할 뿐만 아니라, 팔에 장착했을 때에 단부가 팔에 파고 들어가기 어려워, 피측정자에게 통증을 주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팔에 대응한 변형을 할 수 있어, 장착성이 좋다.
도 1(a)는 혈압계의 완대에 구비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탄성판을 팔에 장착했을 때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탄성판을 팔에 장착할 때의 제1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2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탄성판을 팔에 장착할 때의 제3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장착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탄성판을 구비한 완대를 팔에 장착했을 때의 사시도.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그 탄성판의 전개도.
도 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 탄성판의 전개도.
도 7(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그 탄성판의 전개도.
도 8(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그 탄성판의 단면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
도 10(a)은 도 9의 탄성판의 열린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10(b)는 닫힌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11은 일반적인 완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완대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a)는 도 11의 완대의 내부에 배치되는 종래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별도의 종래예에 따른 탄성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G : 탄성판
11, 12 : 단부
13, 14 : 단부
15, 16 : 단부
21, 26 : 협폭 부분
22, 23 : 단부
24 : 중앙부
25 : 단부
26', 31' : 중앙부
27, 28 : 단부
31, 35 : 두꺼운 부분
32, 36 : 얇은 부분
41∼43 : 탄성편
41a, 43a : 단부
50 : 코일 스프링(압박 수단)
80 : 팔

Claims (7)

  1. 삭제
  2. 공기 주머니와, 이 공기 주머니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신의 환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판을 내부에 갖는 혈압계의 완대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그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이며, 그 일단부를 내측으로 감도록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의 완대.
  3. 공기 주머니와, 이 공기 주머니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신의 환상 형태를 유지하고, 자신의 탄성력에 의하여 팔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판을 내부에 갖는 혈압계의 완대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그 팔 둘레 방향의 거의 중앙부와 양단부 사이에, 팔축 방향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늘게 한 협폭 부분 또는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박육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의 완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상기 협폭 부분을 지니는 동시에, 그 협폭 부분에 의해 결여된 부분이 협폭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은 박육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의 완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 부분은 상기 중앙부에서부터 양단부를 향하여 폭이 점점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의 완대.
  6. 공기 주머니와, 이 공기 주머니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신의 환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판을 내부에 갖는 혈압계의 완대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그 내주면이 거의 원형이며, 외주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의 완대.
  7. 공기 주머니와, 이 공기 주머니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신의 환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판을 내부에 갖는 혈압계의 완대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복수의 탄성편을 힌지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판을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하면 상기 탄성판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어 부치고, 반대로 상기 탄성판을 일정 각도 이하로 닫으면 상기 탄성판을 닫는 방향으로 밀어 부치는 압박 수단을, 각 탄성편의 힌지 연결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의 완대.
KR10-2002-0003012A 2001-01-23 2002-01-18 혈압계의 완대 KR100502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3921 2001-01-23
JP2001013921A JP3740985B2 (ja) 2001-01-23 2001-01-23 血圧計用カ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687A KR20020062687A (ko) 2002-07-29
KR100502766B1 true KR100502766B1 (ko) 2005-07-22

Family

ID=1888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012A KR100502766B1 (ko) 2001-01-23 2002-01-18 혈압계의 완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45157B2 (ko)
EP (2) EP1224907B1 (ko)
JP (1) JP3740985B2 (ko)
KR (1) KR100502766B1 (ko)
CN (3) CN100444786C (ko)
DE (1) DE6020844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6938B2 (ja) * 2004-02-18 2006-09-2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
JP4534583B2 (ja) * 2004-05-07 2010-09-0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JP2006006450A (ja) * 2004-06-23 2006-01-12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計用締付装置及び電子血圧計
JP4595449B2 (ja) 2004-09-02 2010-12-0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JP4590998B2 (ja) * 2004-09-15 2010-12-0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
JP2006255097A (ja) * 2005-03-16 2006-09-28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JP4665757B2 (ja) 2005-12-27 2011-04-06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US8771196B2 (en) * 2006-03-29 2014-07-08 Citizen Holdings Co., Ltd. Cuff for blood pressure meter
JP2007275483A (ja) * 2006-04-12 2007-10-25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計用カフ
US20080026863A1 (en) * 2006-07-31 2008-01-31 Eck Terrence P Golf swing connector training device and method
JP4961062B2 (ja) * 2006-12-22 2012-06-27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血圧測定用圧迫帯
US20090062668A1 (en) * 2007-08-30 2009-03-05 Nihon Kohden Corporation Blood pressure measurement cuff
JP5145930B2 (ja) 2007-12-28 2013-02-2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JP5082963B2 (ja) 2008-03-19 2012-11-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JP5076996B2 (ja) 2008-03-19 2012-11-2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
JP5169552B2 (ja) * 2008-07-07 2013-03-2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151801B2 (ja) 2008-08-22 2013-02-2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257162B2 (ja) * 2009-03-12 2013-08-0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405860B2 (ja) * 2009-03-18 2014-02-05 テルモ株式会社 血圧計
JP5335498B2 (ja) * 2009-03-18 2013-11-06 テルモ株式会社 血圧計
JP5461950B2 (ja) * 2009-10-15 2014-04-02 テルモ株式会社 電子血圧計
JP5487963B2 (ja) * 2009-12-29 2014-05-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EP2603134A4 (en) * 2010-08-11 2017-11-15 Empirical Technologies Corporation Hydrostatic finger cuff for blood wave form analysis and diagnostic support
JP5998601B2 (ja) * 2012-04-16 2016-09-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手首式血圧計
JP6051964B2 (ja) * 2013-03-07 2016-12-2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血圧測定用カフの製造方法
JP6225705B2 (ja) 2013-12-27 2017-11-0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それを備えた血圧計
WO2016056144A1 (en) * 2014-10-10 2016-04-14 Nec Corporation Blood pressure meter and cuff
KR101583786B1 (ko) * 2015-06-06 2016-01-11 김광철 지름 가변형 말이식 손가락 위생 장갑
CN111173997B (zh) * 2015-06-19 2022-06-17 洛科威国际有限公司 热胀型防火套管、几个热胀型防火套管的盘卷以及用于安装热胀型防火套管的方法
CN105919580B (zh) * 2016-06-13 2019-07-09 江苏鱼跃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血压计用腕带
JP7055671B2 (ja) * 2018-03-14 2022-04-1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US20200281486A1 (en) * 2019-03-08 2020-09-10 Angelica Raquel Johnson Blood pressure cuff having improved comfort and safet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102423078B1 (ko) * 2020-10-13 2022-07-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마이크가 내장된 자동 혈압계용 커프 및 그 제어방법
JP7083933B1 (ja) 2021-03-25 2022-06-13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血圧計用腕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5722A1 (en) * 1993-03-15 1994-09-21 Omron Corporation Cuff for blood pressure meter
JPH09117419A (ja) * 1995-10-26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のカフ帯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531A (ja) * 1983-06-15 1984-12-27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JPS61238229A (ja) * 1985-04-13 1986-10-23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のカフ帯
US4790325A (en) * 1985-11-25 1988-12-13 Lee Arnold S Automatic arterial blood pressure recorder
US4901732A (en) * 1988-01-15 1990-02-20 Williams Richard B Delta cuff
US5228448A (en) * 1991-09-03 1993-07-20 Byrd Timothy N Protective cover for blood-pressure cuffs
US5595180A (en) * 1994-08-10 1997-01-21 Col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cuff in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5840037A (en) * 1995-04-19 1998-11-24 A & D Company, Limited Sphygmomanometer
WO1997018750A1 (de) * 1995-11-21 1997-05-29 Disetronic Licensing Ag Manschette für blutdruckmessgerät
WO1999035962A1 (fr) * 1998-01-13 1999-07-22 Omron Corporation Tensiometre a brassard
JP2000175873A (ja) * 1998-12-18 2000-06-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己診断血圧測定装置
JP3235602B2 (ja) * 1999-09-28 2001-12-04 オムロン株式会社 生体圧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5722A1 (en) * 1993-03-15 1994-09-21 Omron Corporation Cuff for blood pressure meter
JPH09117419A (ja) * 1995-10-26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のカフ帯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0638C (zh) 2005-05-11
EP1224907A3 (en) 2004-01-14
EP1486161A1 (en) 2004-12-15
CN100444786C (zh) 2008-12-24
CN100353913C (zh) 2007-12-12
JP3740985B2 (ja) 2006-02-01
CN1582846A (zh) 2005-02-23
EP1224907B1 (en) 2006-01-04
JP2002209858A (ja) 2002-07-30
DE60208448D1 (de) 2006-03-30
US20020099299A1 (en) 2002-07-25
KR20020062687A (ko) 2002-07-29
CN1366860A (zh) 2002-09-04
CN1650796A (zh) 2005-08-10
EP1224907A2 (en) 2002-07-24
US6645157B2 (en) 2003-11-11
DE60208448T2 (de)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766B1 (ko) 혈압계의 완대
US4512063A (en) Button
US4190042A (en) Surgical retractor for endoscopes
KR101034390B1 (ko) 혈압계용 커프
JP2000166630A (ja) 傘のろくろ
JP4777640B2 (ja) 手首用血圧計
EP1369052B1 (en) Band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die members therefor
JP2020185036A (ja) 内視鏡用クリップユニット
US20020112750A1 (en) Five-folded umbrella frame
KR200232204Y1 (ko)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CN209959016U (zh) 冰箱闭门组件
US10357086B2 (en) Collapsible retaining structure for body piercing jewelry
US2388791A (en) Hair curler
JP2002130250A (ja) ヒンジモジュール
KR970005661Y1 (ko) 청진기용 이어피스
JP3705947B2 (ja) 筆記具用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3049440U (ja) 多段式の折り畳み傘
KR200434653Y1 (ko) 귀마개용 프레임
JPH0430942Y2 (ko)
JPH08103460A (ja) 手術用補助具
JP2000145862A (ja) エアダンパー
KR200208711Y1 (ko) 회동체가 형성된 클립
CN115590646A (zh) 一种口腔棉球固定及辅助开口装置
JPH0244902Y2 (ko)
JP2000093214A (ja) 帯状装身具における駒と連結具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