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035B1 - 핑거스트랩 - Google Patents

핑거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035B1
KR100500035B1 KR1020050015226A KR20050015226A KR100500035B1 KR 100500035 B1 KR100500035 B1 KR 100500035B1 KR 1020050015226 A KR1020050015226 A KR 1020050015226A KR 20050015226 A KR20050015226 A KR 20050015226A KR 100500035 B1 KR100500035 B1 KR 10050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finger
core
grip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to KR102005001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핑거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휴대폰에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핑거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핑거스트랩{straps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핑거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휴대폰에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핑거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어느 장소에서든지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한 편리한 통신수단으로써, 현대 사회 생활에서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고가이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고 있으며, 따라서 실수로 놓치거나 손에서 미끄러졌을 때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줄이 휴대폰에 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 줄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984호에 공개된 것과 같이, 끝단에 손가락이 끼워지는 원형 걸이부를 구비하여 휴대폰을 사용할 때 부주의로 인해 휴대폰을 놓치더라도 손가락에 걸려 휴대폰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휴대폰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984호에 공개된 종래의 원형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폰 줄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휴대폰 줄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걸이부(10)와, 휴대폰의 걸걸이부에 용이하게 묶어서 연결하는 스트랩(30)과, 걸이부(10)와 스트랩(30)을 연결하는 연결띠(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이부(10)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연결띠(20)는 링의 연결공에 끼운 상태로 접어서 두 겹으로 구성되고, 그 외측둘레에는 접혀진 연결띠(2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벌어짐방지부재(22)가 연결띠(20)를 따라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벌어짐방지부재(22)의 일면에는 고정나사가 내부로 관통되게 체결되는데, 이 고정나사가 연결띠(20)를 누르면서 벌어짐방지부재(22)가 조정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폰 줄은 스트랩(30)을 휴대폰의 장착부에 걸때는, 스트랩(30)을 휴대폰 장착부에 끼운다음, 끼워진 스트랩(30)에 걸이부(10) 전체를 통과시킨 후 걸이부(10)를 잡아당기면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 줄을 휴대폰에 장착시키기에 용이하지 않고, 스트랩(30)이 걸이부(10)에 비해 짧게 형성되면, 스트랩(30)이 걸이부(10) 전체를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어 휴대폰 줄을 장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휴대폰에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핑거스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핑거스트랩은 손가락 등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걸이부와,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과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걸이부와 상기 스트랩을 연결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핑거스트랩은 걸이부와 스트랩이 강하게 연결되며, 그 제조공정 또한 단순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걸이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핑거스트랩을 휴대기기에 장착하기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그립부 내부에는 상기 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심부가 삽입되어, 스트랩과 그립부의 연결구조는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되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그립부로 스트랩과 심부의 연결부위를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커버함으로써, 외관상으로 미려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는 걸림턱으로 형성되어, 걸림부의 제조가 용이해지며, 걸림부와 스트랩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나아가, 상기 심부에는 상기 스트랩의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랩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탭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은 상기 그립부에 더욱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그립부와 접촉되는 상기 심부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심부와 그립부가 맞물리게 됨으로써, 심부와 그립부는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휴대기기 중에서는 휴대폰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 밖에도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인 PDA 등 손으로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휴대기기에 적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핑거스트랩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핑거스트랩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핑거스트랩(200)은 손가락 등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걸이부(122)와, 스트랩(140)과, 상기 스트랩(140)과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걸이부(122)와 상기 스트랩(140)을 연결하는 그립부(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이부(122)는 손가락 등에 걸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링 형태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걸이부(122)는 둥그런 링 형태에만 국한되지 않고 손가락 등에 걸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예를 들어 다각형상 등)가 될 수 있다.
스트랩(140)은 휴대폰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그립부(131)에 인서트 사출성형되며, 양끝단에는 스틸 등과 같이 큰 강성을 가진 재질로 탭(141)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스트랩(140) 양단을 묶어서 매듭부를 형성하여 상기 매듭부가 걸림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스트랩(140)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립부(131)는 스트랩(140)의 양끝단과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걸이부(122)와 상기 스트랩(140)을 연결한다.
이러한 그립부(131) 내부에는 일단은 걸이부(122) 끝단에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걸이부(122)에 연결되며, 타단은 스트랩(14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심부(130)가 삽입된다.
상기 걸림부는 스트랩(140)의 탭(141) 또는 매듭부 등이 걸리는 걸림턱(1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133)에는 스트랩(140)이 안정적으로 걸릴수 있도록 스트랩(140)이 놓여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심부(130)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에 스트랩(140)을 삽입한 후 스트랩(140) 끝단에 매듭부나 탭(141)을 형성하여 스트랩(140)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심부(130)에는 걸림턱(133)에 이어 안착홈(132)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140)의 탭(141) 또는 매듭부가 안착되게 된다.
또한, 그립부(131)와 접촉되는 심부(130)의 외주면에는 평탄면 형상의 홈(134a, 134b)을 형성함으로써, 심부(130)와 그립부(131)가 맞물리도록 하여 그립부(131)가 심부(13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그립부(131)는 걸이부(122)에 일체로 형성된 심부(130)의 안착홈(132)에 탭(141)을 안착시키고, 걸림턱(133)의 끼움홈에 스트랩(140)을 끼운 상태에서 심부(130) 및 탭(141)을 감싸도록 사출성형되어 심부(130)에 스트랩(140)을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그립부(131)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로 된 심부(130)를 구비하고, 이러한 심부(130)에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여 탭(141)을 걸리도록 하여, 스트랩(140)을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걸림부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이를 그립부(131)에 인서트 사출성형함으로써 스트랩(140)이 상기 걸림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어, 스트랩(140)과 그립부(131)의 연결구조는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되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걸이부(122)와 심부(130)를 한번의 사출로 형성한 후, 그립부(131)에 심부(130) 및 스트랩(140)를 인서트 사출성형하면 핑거스트랩(200)의 성형이 완성되므로 그 작업공정이 단순해져 생산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그립부(131)는 플라스틱이나 수지재로 형성하여,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거나, 표면에 문양을 새겨넣어 장식효과나 광고효과를 줄 수 있다.
나아가, 걸이부(122)는 일측에 절개부(122a)가 형성된 개단면형상(예를 들어 폐단면에서 일측이 개방된 'C'형상 등)이 될 수 있다.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고안의 핑거스트랩(200)은 휴대폰(300)에 장착할 때, 먼저 스트랩(140)을 휴대폰(300) 장착부에 끼운후, 스트랩(140)을 걸이부(122)의 절개부(122a)에 끼워넣어 걸이부(122)를 통과시켜 당기기만 하면 설치된다. 핑거스트랩(200)을 휴대폰으로부터 탈거할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따라서, 스트랩(140)에 걸이부(122) 전체를 통과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스트랩(140)이 걸이부(122) 크기에 비해 짧더라도 핑거스트랩(200)을 휴대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걸이부(122)를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핑거스트랩(200)은 걸이부(122)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다양한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개부(122a)는 상기 걸이부(122)의 일단에 연결된 그립부(131)와 상기 걸이부(122)의 자유단 사이에 형성되어, 핑거스트랩(200)을 끈과 같은 것에 걸어두어도 끈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단면 형상의 걸이부(122)는 후크와 같은 역할을 하여, 휴대폰(300) 등을 가방끈이나 옷가지 등의 끈부위에 쉽게 걸어둘수 있고,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휴대폰(30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활동량이 많더라도 휴대폰(300)의 분실이 방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핑거스트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그립부에 스트랩이 인서트 사출성형 되므로, 스트랩과 걸이부의 연결부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둘째, 걸이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므로, 핑거스트랩을 휴대폰에 연결할 때 스트랩을 걸이부의 절개부에 끼워넣어 걸이부를 통과시키면, 스트랩이 짧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핑거스트랩을 휴대폰에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핑거스트랩은 걸이부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되므로, 걸이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핑거스트랩에 더욱 다양한 장식효과를 줄 수 있다.
셋째, 그립부보다 강한 재질의 심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스트랩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심부로부터 스트랩을 강하게 잡아당기더라도 심부의 걸림부가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되므로, 스트랩과 그립부의 연결구조는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되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그립부는 플라스틱이나 수지재로 형성하여, 그립부에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거나, 표면에 문양을 새겨넣기에 용이하여 장식효과나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나아가, 그립부로 스트랩과 심부의 연결부위를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커버함으로써, 외관상으로 미려하게 된다.
넷째, 상기 걸림부는 걸림턱으로 형성되어, 걸림부를 형성하기에 용이하며 스트랩과 걸림부의 조립도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심부에는 상기 스트랩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스트랩의 탭이나 매듭부가 볼록하게 튀어나오지 않게 안착되므로 외관이 미려해지고, 상기 심부에 상기 스트랩의 끝단이 안정되게 안착되게 된다.
여섯째, 상기 스트랩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탭이 형성되어, 스트랩보다 강한 강성을 가진 재질이 걸림부에 걸리게 되므로, 스트랩은 그립부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일곱째, 상기 그립부와 접촉되는 상기 심부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심부와 그립부가 맞물리게 됨으로써, 심부와 그립부는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핑거스트랩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핑거스트랩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2 : 걸이부 122a : 절개부
130 : 심부 131 : 그립부
132 : 안착홈 133 : 걸림턱
134a, 134b : 홈 140 : 스트랩
141 : 탭 200 : 핑거스트랩

Claims (7)

  1. 손가락 등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걸이부와;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과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상기 걸이부와 상기 스트랩을 연결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 내부에는 상기 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심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에는 상기 스트랩의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와 접촉되는 상기 심부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스트랩.
KR1020050015226A 2005-02-24 2005-02-24 핑거스트랩 KR10050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226A KR100500035B1 (ko) 2005-02-24 2005-02-24 핑거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226A KR100500035B1 (ko) 2005-02-24 2005-02-24 핑거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035B1 true KR100500035B1 (ko) 2005-07-05

Family

ID=3730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226A KR100500035B1 (ko) 2005-02-24 2005-02-24 핑거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57B1 (ko) * 2006-03-29 2007-03-21 황기철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57B1 (ko) * 2006-03-29 2007-03-21 황기철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23021A1 (en) Hair Clip with Friction Member
KR100500035B1 (ko) 핑거스트랩
JP3064995U (ja) 携帯機器用ストラップの簡易着脱式アクセサリ―
KR200421546Y1 (ko) 휴대기기용 핸드스트랩
JP3082226U (ja) リンク部材
KR200379805Y1 (ko) 핑거스트랩
KR20070105606A (ko) 휴대폰의 핸즈프리용 이어마이크폰의 수납 케이스
JP3111015U (ja) 携帯ストラップ
KR200450093Y1 (ko) 줄넘기 묶음용 밴드
CN209526741U (zh) 一种爪式镶仿钻手机壳
KR200405052Y1 (ko) 핸드폰용 푸쉬버튼 장식구
KR20060092399A (ko)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CN210492926U (zh) 戒指
JP2012125267A (ja) 装身具兼襟巻き保持具
KR200183218Y1 (ko) 쇼울 핀
KR200357811Y1 (ko) 걸이끈 장착 수단을 갖는 핸드폰 악세서리
TWI356880B (en) Hanging ornament connect structure
KR200308183Y1 (ko) 캔 손잡이 덮개
KR100500034B1 (ko) 핑거스트랩 및 그 제조방법
KR200371999Y1 (ko)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KR200208028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KR200360222Y1 (ko) 핸드폰 줄
KR20240075311A (ko)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JP2005007012A (ja) ピンチ及びピンチ付物干器
KR200168349Y1 (ko) 셀룰러폰용 식별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