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999Y1 -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99Y1
KR200371999Y1 KR20-2004-0025901U KR20040025901U KR200371999Y1 KR 200371999 Y1 KR200371999 Y1 KR 200371999Y1 KR 20040025901 U KR20040025901 U KR 20040025901U KR 200371999 Y1 KR200371999 Y1 KR 200371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ccessory
string
connecting portion
plant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준
Original Assignee
김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준 filed Critical 김승준
Priority to KR20-2004-0025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의 열매 모양을 이용한 휴대전화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물의 열매 모양으로 된 본체(10) 일측에 연결부(10a)를 형성하여 그 연결부(10a)에 연결끈(801)을 직접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부에 탄력성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재로 된 환성의 걸고리(201,202)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탄력적으로 개방 가능한 외향절곡부(202a)를 형성하거나 이와 유사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할 뿐 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하고,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필요에 따라서 끈의 매듭부를 은폐시킬 수 있게되어 그 외관이 매우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PLANT FRUIT ACCESSORY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식물의 열매 모양을 이용한 휴대전화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서리 본체에 휴대전화를 연결하는 끈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핸드폰이나 열쇠고리 등에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전화에 매달아서 사용하는 액세서리는 첨부도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연결끈(A)을 매달아놓은 연결고리(B)에 액세서리 본체(C)를 끼워서 연결한 후 연결끈(A)을 휴대전화의 끈연결부에 매달아서 고정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전화용 액세서리는 액세서리 본체(C)와 연결끈(A)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고리(B)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인상될 뿐 만아니라, 액세서리 본체를 연결고리에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물의 열매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에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를 형성하여 그 연결부에 연결끈을 보다 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전화용 액세서리로서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부를 탄력성 고리형으로 형성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부를 결합공에 끼워진 고리형으로 형성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부를 분할 형성한 후 이를 초음파접착으로 일체화하는 형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부에 돌출편을 형성한 후 이를 초음파접착으로 일체화 하는 형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부에 부속체를 형성한 형태의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전화용 액세서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0a : 연결부
102 : 결합공 201, 202 : 걸고리
202a : 외향절곡부 301, 302 : 쇠고리
401 : 끈고정부 401a : 투입홈부
501 : 돌출편 502 : 끈투입부
601 : 부속체결합부 601a : 절개홈
601b : 끈안착부 701 : 부속체
701b : 결합홈 701a : 절개홈
801 : 연결끈 801a : 매듭
식물의 열매 모양으로 된 본체(10) 일측에 연결부(10a)를 형성하여, 그 연결부(10a)에 연결끈(801)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부에 탄력성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재로 된 환성의 걸고리(201,202)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탄력적으로 개방 가능한 외향절곡부(202a)를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부에 결합공(102)을 형성하여 금속재로 된 쇠고리(301,302)를 결합공(102)에 끼워서 설치하거나,
상기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두 편으로 양분하여 일측편 내측에는 끈고정부(401)를 형성하고, 타측편 내측에는 상기 끈고정부(401)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도록 투입홈부(401a)를 형성하여 양측편을 초음파접착으로 일체화하거나,
상기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단부 양측에 돌출편(501)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끈투입부(502)를 형성하여 양측의 돌출편(501)이 내향으로 맞닿도록 구부려 초음파 접착한 후 외벽을 눌러서 압착 성형하거나,
상기 연결부(10a)는 본체(10) 상부에 부속체결합부(601)를 형성하여 결합홈(701b)를 형성한 부속체(701)를 끼워서 결합 가능케 하되, 부속체결합부(601)와 부속체(701)의 상측에는 각각 절개홈(601a,701a)을 형성하고, 부속체결합부(601) 내측에는 끈안착부(601b)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본 고안은 식물의 열매 모양으로 본체(10)를 형성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휴대하는데 부담이 없는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도면에서 도시한 식물의 열매 모양은 하나의 실시 예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도면과 같이 본체(10)의 일측 하부에는 휴대전화에 연결하기 위한 끈이나 고리 등의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10a)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부(10a)의 형태는 본 고안의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첨부도면 2와 같이 본체(10) 하부에 탄력성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재로 된 환성의 걸고리(201,202)를 형성하되, 걸고리(201,202)의 일측은 탄력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외향절곡부(202a)를 형성하여, 외향절곡부(202a)의 내측으로 연결끈(801)을 억지끼움으로 투입하게 되면 탄력적으로 개방되는 걸고리(201,202)의 일측편이 젖혀지면서 걸고리(201,202) 내부로 연결끈(801)이 투입된 후 개방되었던 걸고리(201,202)의 일측은 원래 형태대로 닫혀지면서 끈의 연결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걸고리(201,202)의 형태는 첨부도면 도 2의 (가) 또는 (나)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본체(10) 하부에 결합공(102)을 형성하여 이 결합공(102)에 탄력적인 움직임으로 일측 단부의 개방이 가능한 금속재로 된 쇠고리(301)을 끼워서 설치하게 되면, 이 쇠고리(301)에 휴대전화용 연결부재인 끈을 억지끼움으로 투입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끈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공(102)에 끼워지는 쇠고리의 형태는 첨부도면 도 3의 (다) 와 같이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개방부가 있는 형태뿐 만 아니라, 도 3의 (라) 와 같이 탄력적인 움직임이 불가능한 절개부를 가진 환상의 쇠고리(302)를 결합공(102)에 끼워서 결합한 후 이 쇠고리에 연결끈(801)의 연결방식을 달리하여 연결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4는 본체(10) 하단부에 끈고정부(401)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연결끈(801)의 매듭(801a) 부분을 투입한 후 투입된 매듭(801a)이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10) 하단부를 마감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의 (마)와 같이 본체(10)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두 편으로 양분하여 일측편 내측에는 끈고정부(401)를 형성하고, 타측편 내측에는 상기 끈고정부(401)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도록 투입홈부(401a)를 형성하여 끈고정부(401)에 연결끈(801)의 매듭(801a) 부분을 투입한 후 벌어진 두 편을 맞물리게 밀착시키고 그 밀착면을 초음파 접착하게 되면, (바)와 같이 벌어지게 형성된 두 편이 맞물려 일체로 되면서 내부에 투입된 연결끈(801)의 매듭(801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매듭(801a)을 은폐함으로써, 미감을 높이는 작용을 하게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5의 (사)와 같이 본체(10) 하단부 양측에 돌출편(501)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끈투입부(502)를 형성하여 연결끈(801)의 매듭(801a)을 끈투입부(502)에 끼워 넣은 후 도 5의 (아)와 같이 양측의 돌출편(501)이 내향으로 맞닿도록 구부려 초음파 접착한 후 외벽을 눌러서 압착 성형하게 되면, 끈투입부(502)에 투입된 연결끈(801)의 매듭(801a)이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끈투입부(502) 내부에서 은폐되어 미감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은 끈을 연결하는 연결부(10a)를 본체(10) 상부에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인데, 도면과 같이 본체(10) 상부에 부속체결합부(601)를 형성하여 결합홈(701b)을 형성한 부속체(701)를 끼워서 결합 가능케 하되, 부속체결합부(601)와 부속체(701)의 상측에는 각각 절개홈(601a,701a)을 형성하고, 부속체결합부(601) 내측에는 끈안착부(601b)를 형성함으로써, 부속체결합부(601) 내측의 끈안착부(601b)에 연결끈(801)의 매듭(801a)이 끼워지도록 연결끈(801)을 넣은 후 연결끈의 나머지 부분을 부속체결합부(601)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601a)으로 빼낸 상태에서 부속체결합부(601)를 부속체(701)의 결합홈(701b) 내부에 억지끼움으로 끼워넣게 되면, 부속체결합부(601)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601a)으로 빼낸 연결끈(801)의 배출 부분이 부속체(701)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70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연결끈(801)의 매듭(801a)을 깔끔하게 은폐시킴과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본체(10)와 연결끈(801)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액세서리로서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할 뿐 만 아니라, 동일한 본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를 구성할 수 있게되어,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응용 및 변형이 매우 자유롭고, 그에 따라 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을뿐 만 아니라, 연결끈의 고정에 따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연결끈의 매듭은 필요에 따라서 쉽게 은폐시킬 수 있어 그 외관이 매우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식물의 열매 모양으로 된 본체(10) 일측에 연결부(10a)를 형성하여, 그 연결부(10a)에 연결끈(801)을 직접 연결하는 구성으로 된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부에 탄력성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재로 된 환성의 걸고리(201,202)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탄력적으로 개방 가능한 외향절곡부(202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부에 결합공(102)을 형성하여 금속재로 된 쇠고리(301,302)를 결합공(102)에 끼워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두 편으로 양분하여 일측편 내측에는 끈고정부(401)를 형성하고, 타측편 내측에는 상기 끈고정부(401)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도록 투입홈부(401a)를 형성하여 양측편을 초음파접착으로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10a)는 본체(10) 하단부 양측에 돌출편(501)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끈투입부(502)를 형성하여 양측의 돌출편(501)이 내향으로 맞닿도록 구부려 초음파 접착한 후 외벽을 눌러서 압착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10a)는 본체(10) 상부에 부속체결합부(601)를 형성하여 결합홈(701b)을 형성한 부속체(701)를 끼워서 결합 가능케 하되, 부속체결합부(601)와 부속체(701)의 상측에는 각각 절개홈(601a,701a)을 형성하고, 부속체결합부(601) 내측에는 끈안착부(601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KR20-2004-0025901U 2004-09-09 2004-09-09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KR200371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01U KR200371999Y1 (ko) 2004-09-09 2004-09-09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01U KR200371999Y1 (ko) 2004-09-09 2004-09-09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99Y1 true KR200371999Y1 (ko) 2005-01-10

Family

ID=4935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01U KR200371999Y1 (ko) 2004-09-09 2004-09-09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9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1340A1 (en) Improvements in a press-stud
WO2019105089A1 (en) Snap button
US2010003566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5913319A (en) Hair binder
US20200077752A1 (en) Breakaway Silicone Ring
KR200371999Y1 (ko)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US20080282516A1 (en) Apparatus of Fixing a Belt Buckle
JP2014004074A (ja) 紐留め具
US20120009045A1 (en) Structure of assembling a plastic locking device with a surface material
JPH08126504A (ja) 紐の連結具および紐体
KR101226448B1 (ko)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JP4883497B2 (ja) 携行品の着身連結具
KR101729291B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KR200483277Y1 (ko) 투컬러 암스냅단추
KR100500035B1 (ko) 핑거스트랩
JP2001245723A (ja) 携行品のストラップ
KR100536179B1 (ko) 휴대용 기기의 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JP2001224420A (ja) 携行品のストラップ
KR100512974B1 (ko) 버클장치의 잠금 구조
KR200434884Y1 (ko) 결합끈 이탈을 방지한 휴대폰줄
JP3145275U (ja) 服飾用スナップ
KR200398925Y1 (ko) 휴대폰 케이스
WO2003026456A1 (en) An ornament for decorating a button
KR100697257B1 (ko)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KR100548790B1 (ko) 핸드폰 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