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257B1 -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257B1
KR100697257B1 KR1020060028383A KR20060028383A KR100697257B1 KR 100697257 B1 KR100697257 B1 KR 100697257B1 KR 1020060028383 A KR1020060028383 A KR 1020060028383A KR 20060028383 A KR20060028383 A KR 20060028383A KR 100697257 B1 KR100697257 B1 KR 10069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nsertion hole
mobile device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철
Original Assignee
황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철 filed Critical 황기철
Priority to KR102006002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연결부에는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되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조립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용이해지며 제조원가도 낮출수 있는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 악세사리, 줄

Description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and strap for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홀
120 : 연결부 121 : 삽입공
122 : 안착홈 123 : 인출공
124 : 경사면 130 : 설치핀
131 : 굴곡부 132 : 보조걸림턱
135 : 면취부 136 : 머리부
한국 등록특허 제548787호
본 발명은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연결부에는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되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조립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용이해지며 제조원가도 낮출수 있는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기기 악세사리는 한국 등록특허 제548787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휴대기기 악세사리는 하나의 링체를 사용하고, 상기 링체의 일측부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오목부에 일정한 폭을 갖는 연결밴드를 접어지게 걸쳐 연결밴드의 유동이 자유롭게 하고 동시에 오목부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체의 내측으로는 연결밴드의 두께만큼 턱이 지게 형성하여 링체가 손가락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밴드의 진폭 유동에 의하여도 연결밴드가 손가락과의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제거하였고, 또한 링체의 손가락이 밀착되어지는 내측면으로는 내측면에서 링체의 외측면으로 연장되게 만곡면을 형성하여 핸드폰의 진폭 유동시에 링체의 유동에 의하여도 상기의 만곡면에 의하여 손가락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토록 하면서 이러한 만곡면에 의하여 링체가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토록 상기한 만곡면은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체의 외측면의 상면에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각종 장식물을 삽입토록 하면서도 장식물이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토록 함으로서 링체의 장식효과는 물론 사용시 장식물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이진 오목부에 일정한 폭을 갖는 연결밴드를 걸쳐지도록 형성한 후 오목부에 걸쳐진 연결밴드의 바로 하단을 리벳으로 고정토록 하여 연결밴드가 오목부에서 어느 정도의 빡빡하게 고정되어지는 상태로 끼워지도록 하여 연결밴드가 오목부에서의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면서도 오목부에서는 좌우 진폭유동이 용이토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연결밴드의 하단은 연결끈이 끼워지도록 구멍이 천공되어져 구멍에 끼워진 연결끈에 매듭을 형성토록 한 후 연결끈을 연결체에 관통되어진 관통구멍에 끼워지게 한 후 당김으로서 연결체에 연결밴드와 연결끈이 내입토록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연결체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토록 하면 연결밴드와 연결끈이 긴밀하게 결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체를 하나의 몸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되어진 상태에서 절첩되어지게 하여 가압토록 함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기기 악세사리는 연결끈과 링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조립공정이 필요하며, 연결밴드, 리벳, 연결체 등과 같이 많은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원가를 낮추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결부에는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되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조립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용이해지며 제조원가도 낮출수 있는 휴대기기 악세사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기기 악세사리는, 휴대기기에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있어서,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조립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용이해지며 제조원가도 낮출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연결줄의 연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 및 연결부를 도금작업 등을 할 때에 상기 인출공에 고리를 연결하여 도금을 함으로써, 도금 라크자국이 조립이 되고 나면 보이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스트랩은,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휴대기기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줄과, 핀부와 상기 핀부 상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는 설치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 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부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휴대기기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줄과, 핀부와 상기 핀부 상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는 설치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전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악세사리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기기 스트랩은, 삽입공(121)이 형성된 연결부(120)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휴대기기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줄과, 핀부와 상기 핀부 상부에 형 성된 머리부(136)를 포함하는 설치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손가락 등이 삽입될 수 있는 홀(110)이 형성된 링으로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삽입공(121)이 형성된 연결부(120)가 구비된다.
본체(100)는 다이캐스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본체(100)의 형상은 악세사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본체(100)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향할 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20)와 본체(100)의 연결되는 부위는 폭이 넓게 형성되어 연결부위의 내구성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 하면은 삽입공(121)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연결부(120) 상면에는 평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20)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공(121)이 형성되는 부위의 높이가 다른 부위보다 더 높도록 형성되어, 삽입공(121)이 깊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20) 하면에는 광고효과 또는 디자인을 위해 로고등을 다양하게 각인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가 형성되어 삽입공(121)에 설치핀(130)을 삽입하기에 용이해진다.
나아가, 연결부(120) 상면에는 삽입공(121)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안 착되는 안착홈(122)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연결부(120) 전면에는 삽입공(121) 및 안착홈(122)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는 인출공(123)이 형성된다.
인출공(123)과 안착홈(122) 연결부위 저면에는 경사면(1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124)이 형성되어 조립시 연결줄을 인출공(123)으로 삽입하여 안착홈(122)으로 빼내기 용이해진다.
본체(100) 및 연결부(120)를 도금작업 등을 할 때에 인출공(123)과 안착홈(122)에 고리를 삽입하여 도금을 하면, 도금 라크자국이 인출공(123) 내벽과 안착홈(122) 내벽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금 라크자국이 조립이 되고 나면 보이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연결줄은 상기 연결부(120)에 설치되어 휴대기기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한다.
설치핀(130)은 핀부와 상기 핀부 상부에 형성된 머리부(136)를 포함하며, 상기 핀부가 상기 삽입공(121)에 압입되어 삽입된다.
또한, 머리부(136)의 단면적은 상기 핀부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머리부(136)의 단면적은 삽입공(12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설치핀(130)은 플라스틱 사출 또는 다이캐스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136)와 상기 연결부(120)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된다.
머리부(136) 상부에는 보조걸림턱(132)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연결부(120) 상면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걸림턱(132)가 형성되어 안착홈(122)과 머리부(136)의 사이공간을 막아주어서, 연결줄의 이음부위 및 안착홈(122) 등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착홈(122) 등으로 먼지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설치핀(130) 상면에는 타원형상으로 굴곡부(131)가 형성되어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설치핀(130)의 상부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및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설치핀(130) 하부 외주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어 설치핀(130)이 더욱 견고하게 삽입공(121)에 압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치핀(130) 하단에는 면취부(13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핀(130)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제2실시예로, 상기 연결부(120)에는 상기 삽입공(121)에 연통되도록 인출공(123)이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36)가 상기 삽입공(121)에 삽입되며, 상기 머리부(136)와 상기 연결부(120)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경우에는 삽입공(121)의 단면적이 상기 핀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136)의 단면적이 삽입공(121)의 단면적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136)가 삽입공(121)에 압입되어 삽입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설치핀은 하부에 신축가능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은 관통되게 형성하여 설치핀을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삽입공에 관통시킨 후에 머리부 및 걸림턱으로 인해 설치핀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조립시에는, 상기 연결줄의 양단을 인출공(123)으로 삽입하여 안착홈(122)으로 빼낸다.
빼내어진 연결줄의 양단은 매듭을 짓거나, 철판을 이용하여 철판 상부에 상기 연결줄 양단을 각각 놓고 철판 끝단을 말아서 양단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설치핀(130)을 연결줄 폐곡면 내부로 관통시키고 삽입공(121)에 압입한다.
이와 같이 설치핀(130)이 압입되면, 상기 연결줄은 상기 안착홈(122)에 안착되고 상기 머리부(136)과 상기 연결부(12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보조걸림턱(132)은 상기 연결부(120) 상면에 걸리게 되어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줄은 잡아 당기더라도 상기 설치핀(130)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연결부에는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되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조립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가 용이해지며 제조원가도 낮출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연결줄의 연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 및 연결부를 도금작업 등을 할 때에 상기 인출공에 고리를 연결하여 도금을 함으로써, 도금 라크자국이 조립이 되고 나면 보이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휴대기기에 연결줄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에 있어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줄이 설치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어 상기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어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악세사리.
  2.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휴대기기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줄;
    핀부와 상기 핀부 상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는 설치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핀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연통되어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스트랩.
  3.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휴대기기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줄;
    핀부와 상기 핀부 상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는 설치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줄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스트랩.
KR1020060028383A 2006-03-29 2006-03-29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KR10069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383A KR100697257B1 (ko) 2006-03-29 2006-03-29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383A KR100697257B1 (ko) 2006-03-29 2006-03-29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257B1 true KR100697257B1 (ko) 2007-03-21

Family

ID=4156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383A KR100697257B1 (ko) 2006-03-29 2006-03-29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2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790Y1 (ko) * 2004-08-25 2004-11-08 박용흠 휴대기기용 목걸이
KR200379805Y1 (ko) * 2005-01-03 2005-03-28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KR200383606Y1 (ko) * 2005-02-18 2005-05-06 박용흠 휴대기기용 목걸이
KR100500035B1 (ko) * 2005-02-24 2005-07-05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790Y1 (ko) * 2004-08-25 2004-11-08 박용흠 휴대기기용 목걸이
KR200379805Y1 (ko) * 2005-01-03 2005-03-28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KR200383606Y1 (ko) * 2005-02-18 2005-05-06 박용흠 휴대기기용 목걸이
KR100500035B1 (ko) * 2005-02-24 2005-07-05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637B1 (en) Movable buckle structure
WO2010113247A1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US7290295B2 (en) Captive drain plug assembly
KR100697257B1 (ko)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CN201197426Y (zh) 用于匙扣环的配件
CN206398185U (zh) 一种可调节固定卡扣
US7574785B1 (en) Buckling fastening device for luggage
CN202148743U (zh) 一种内空腔锁
JPH0338775Y2 (ko)
CN210809556U (zh) 表带拆生结构
JP3108504U (ja) バンドの留め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バンド
CN220088763U (zh) 一种方便佩戴的项链
CN217906599U (zh) 一种用于首饰的字母锁扣及带字母锁扣的手环
CN209526741U (zh) 一种爪式镶仿钻手机壳
CN220236220U (zh) 贵金属手镯
KR100500035B1 (ko) 핑거스트랩
KR200369340Y1 (ko) 식물 열매형 브로치
JP3082226U (ja) リンク部材
KR200371999Y1 (ko) 휴대전화용 식물 열매 액세서리
CN215496348U (zh) 一种新型互感器
KR200383606Y1 (ko) 휴대기기용 목걸이
CN219145832U (zh) 脱毛仪改进型外壳结构
KR200399222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CN209896329U (zh) 汽车连接器的母端护套
KR200181206Y1 (ko) 열쇠의 클립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