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606Y1 - 휴대기기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606Y1
KR200383606Y1 KR20-2005-0004412U KR20050004412U KR200383606Y1 KR 200383606 Y1 KR200383606 Y1 KR 200383606Y1 KR 20050004412 U KR20050004412 U KR 20050004412U KR 200383606 Y1 KR200383606 Y1 KR 200383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necklace
length
mobile device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흠
Original Assignee
박용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흠 filed Critical 박용흠
Priority to KR20-2005-0004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기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목줄과, 상부 일측에는 상기 목줄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목줄의 타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통로가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관통 형성된 길이조절구와, 상기 목줄의 타단에 마련되어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목걸이 줄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길이를 조절했을 때 조절된 부분이 목줄의 일부분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목걸이{NECKLACE FOR PORTAB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기기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목줄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휴대기기용 목걸이에 관한것이다.
목걸이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널리 애용되는 액세서리의 한 종류로써, 통상적으로 금속 또는 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줄에 다양한 디자인을 각는 펜던트를 매달고 다니거나 펜던트 없이 줄만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목걸이가 액세서리의 목적 외에도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및 디카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사용자가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최근에는 음향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들의 성능이 매우 향상되는 것과 더불어 사이즈가 작아지고 무게가 가벼워질 뿐만 아니라 고가이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기기들의 분실 또는 파손을 방지할 목적으로 목에 걸어서 휴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 또는 기능을 갖는 목걸이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첨부된 도 1과 도 2에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목걸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기기용 목걸이는 목줄(1)의 양단부가 연결구(3)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마련되고, 연결구(3)의 하단부에는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P)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결속끈(3a)이 마련된다. 또한, 목줄(1)의 일부분에는 길이조절구(5)가 마련되는데, 이 길이조절구(5)는 줄을 따라 이동하면서 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기기용 목걸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의 길이 즉, 사이즈를 줄였을 때 길이조절구의 후방으로 목줄의 일부분이 연장되어 튀어나오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움직일 때 튀어나온 부분이 머리나 옷깃 등에 걸려서 거동하는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목줄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이즈를 조절했을 때 목줄의 일부분이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목걸이를 걸고 활동하는데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한 휴대기기용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목걸이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목줄; 상부 일측에는 상기 목줄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목줄의 타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통로가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관통 형성된 길이조절구; 및 상기 목줄의 타단에 마련되어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목줄이 슬라이딩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길이 조절되고, 굴곡 형성된 슬라이딩통로의 형상에 의해 목줄이 조절된 위치에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구는 “ Y ”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목줄의 외경과 길이조절구에 형성된 슬라이딩통로의 내경은 동일하거나 목줄의 외경이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목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길이조절구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서 목줄과 길이조절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목줄의 길이를 조절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서 목줄의 길이가 조절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목걸이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적당한 길이를 갖는 목줄(10)과, 목줄의 길이 즉,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길이조절구(20)와,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목줄(10)은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목에 장시간 걸고 있을 때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적당한 직경을 갖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구(20)는 “ Y ”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길이조절구(20)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홈(21)이 형성되어 목줄(1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부 타측에는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관통되는 슬라이딩통로(22)가 형성되어 목줄(10)의 타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목줄(10)이 일단부를 고정홈(21)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은 길이조절구(20)를 사출할 때 목줄(10)의 일단부를 고정홈(21)의 위치에 미리 놓고 함께 인서트 사출하는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목줄(10) 고정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밴딩이나 본딩과 같은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목줄(10)과 길이조절구(20)를 제조할 때, 목줄(10)의 외경과 길이조절구(20)의 슬라이딩통로(22)의 내경은 그 직경이 서로 동일하거나, 목줄의 외경이 약간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조절구(20)의 일측면에는 목줄(10)이 인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목줄을 인출할 수 있게 길이조절용 인출공(2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통로(22)를 통해 하방향으로 인출된 목줄(10)이 압축되면서 길이조절용 인출공(24)으로 이동할 수 있게 절개홈(23)이 연통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길이조절구(20)의 형상이 “ Y ” 자 형상을 갖도록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 및 작용을 갖는다면 다른 형상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길이조절구(20)는 녹쓰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무게에 따른 부담감 및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조절구(20)의 정면에 형성된 원형 부분에는 회사의 로고나 도형 등을 인쇄 및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라이딩통로(22)를 관통해 나온 목줄(10)의 단부에는 연결부재(30)가 장착되며, 이 연결부재(30)에는 결속끈(31)이 마련되어 휴대기기(P)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목걸이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목걸이는 목줄(10)의 일단부가 길이조절구(20)의 고정홈(21)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길이조절구(20)의 슬라이딩통로(22)에 끼워져 이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목줄(10)의 사이즈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길이조절구(20)를 잡고 목줄(10)을 일정한 힘으로 잡아 당기면 목줄(10)의 사이즈는 작아지고, 길이조절구(20)와 목줄(10)을 잡은 상태에서 길이조절구를 잡아 당기면 목줄의 사이즈는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목줄(10)의 사이즈를 조절한 후 목줄을 잡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목줄의 사이즈는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목줄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슬라이딩통로의 내부가 굴곡져 있고, 이 슬라이딩통로를 따라 결합되는 목줄 역시 굴곡지게 결합되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기기의 하중과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목부분에서 목줄을 잡아당기기 때문이다.
한편, 휴대기기(P)가 장착된 목걸이를 사용자의 목에 건 상태에서 목줄(10)의 사이즈를 조절할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10)을 길이조절구(20)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홈(23)을 통해 길이조절용 인출공(24)으로 이동시킨 후, 목줄(10)을 잡아 당기면서 목줄의 사이즈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목줄(10)을 길이조절용 인출공(24)으로 이동시키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목줄(10)이 슬라이딩통로(22)를 통해 인입되는 방향과 인출공(24)을 통해 인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유지되며, 따라서 목줄(10)의 진행 방향과 목줄을 잡아 당기는 힘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목줄(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목줄(10)의 사이즈를 조절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10)을 다시 절개홈(23)을 통해 슬라이딩통로(22)로 이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목줄은 조절된 위치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길이조절구를 잡고 목줄을 잡아 당기거나 길이조절구를 잡아 당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목줄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걸이 줄의 사이즈를 늘리거나 줄일 때 목걸이 줄의 외측 부분으로 목줄의 일부분이 돌출되게 튀어나오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활동할 때 종래와 같이 목줄이 일부분이 머리나 옷깃 등에 걸리적 거리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목걸이 줄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목줄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목걸이 줄의 사이즈를 늘리거나 줄일 때 목걸이 줄의 외측 부분으로 목줄의 일부분이 돌출되게 튀어나오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걸리적 거리지 않고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목걸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목걸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길이조절구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목줄과 길이조절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목줄의 길이를 조절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목줄의 길이가 조절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목줄 20: 길이조절구
21: 고정홈 22: 슬라이드통로
23: 절개홈 24: 길이조절용 인출공
30: 연결부재 31: 결속끈
P: 휴대기기

Claims (4)

  1.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목줄;
    상부 일측에는 상기 목줄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목줄의 타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통로가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관통 형성된 길이조절구; 및
    상기 목줄의 타단에 마련되어 휴대기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목줄이 슬라이딩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길이 조절되고, 굴곡 형성된 슬라이딩통로의 형상에 의해 목줄이 조절된 위치에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목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구는 “ Y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목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의 외경과 길이조절구에 형성된 슬라이딩통로의 내경은 동일하거나, 목줄의 외경이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목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구의 일측면에는 목줄이 인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목줄을 인출할 수 있게 길이조절용 인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통로를 통해 하방향으로 인출된 목줄이 압축되면서 길이조절용 인출공으로 이동할 수 있게 절개홈이 연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목걸이.
KR20-2005-0004412U 2005-02-18 2005-02-18 휴대기기용 목걸이 KR200383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12U KR200383606Y1 (ko) 2005-02-18 2005-02-18 휴대기기용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412U KR200383606Y1 (ko) 2005-02-18 2005-02-18 휴대기기용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606Y1 true KR200383606Y1 (ko) 2005-05-06

Family

ID=4368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412U KR200383606Y1 (ko) 2005-02-18 2005-02-18 휴대기기용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57B1 (ko) * 2006-03-29 2007-03-21 황기철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57B1 (ko) * 2006-03-29 2007-03-21 황기철 휴대기기 악세사리 및 휴대기기 스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568B1 (en) Necklace
US10117474B1 (en) Modular interchangeable necktie
US20230000189A1 (en) Pre-Knotted Adjustable Necktie
US20140220893A1 (en) Bluetooth receiv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KR200383606Y1 (ko) 휴대기기용 목걸이
US20140283278A1 (en) Hook Button Simulated Knot Adjustable Length Necktie
KR200286053Y1 (ko) 넥타이 착용구
CN205624805U (zh) 一种磁性固定式环状首饰
EP2785073A1 (en) Bluetooth listen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KR20210038443A (ko) 의류용 벨트의 조립구조
KR200366287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목걸이 줄
KR200419854Y1 (ko) 넥타이 착용기
KR200322802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JP2006314368A (ja) 可動型動物耳(仮装用品)
JP4819974B1 (ja) 携帯ストラップの取付方法および携帯ストラップ
KR101821486B1 (ko) 이어폰과 버튼이 구비된 넥타이핀
CN212036486U (zh) 一种用于衣物的便捷置物结构
CN219835276U (zh) 一种耳环挂置夹
KR200208028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KR100512974B1 (ko) 버클장치의 잠금 구조
JP3904150B2 (ja) 女性用下着の肩紐安定装置付アクセサリ−
KR200400273Y1 (ko) 목걸이 겸용 귀걸이
KR200398639Y1 (ko) 풀림이 방지되는 지퍼식 매듭 넥타이
KR100817725B1 (ko) 탄성 핸드폰 고리 클립
CN206760855U (zh) 一种新型的磁扣腰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