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5311A -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5311A
KR20240075311A KR1020220157174A KR20220157174A KR20240075311A KR 20240075311 A KR20240075311 A KR 20240075311A KR 1020220157174 A KR1020220157174 A KR 1020220157174A KR 20220157174 A KR20220157174 A KR 20220157174A KR 20240075311 A KR20240075311 A KR 2024007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shaped part
accessories
mobile device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호
이범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지모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지모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지모루
Priority to KR102022015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5311A/ko
Priority to PCT/KR2023/018672 priority patent/WO2024112033A1/ko
Publication of KR2024007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53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는, 휴대 기기나 상기 휴대 기기를 감싸는 케이스의 일 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연결되는 탄성 변형 부재; 및 상기 탄성 변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결합 부재에 가까워지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가깝게 배치되며, 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콘 형상 파트; 및 상기 커버 부재에 가깝게 배치되고, 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콘 형상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며, 콘 형상에서 외경이 작은 부분에 해당하는 헤드끼리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ACCESSORY FOR MOBILE DEVICE}
이 발명은 휴대 기기나 휴대 기기를 감싸는 케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기기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제안되어 왔다. 그 중 미국 등록 특허 US 8,560,031 B2는 휴대 기기나 휴대 기기용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확장 소켓(Extending socket)을 개시하고 있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확장 소켓은 아코디언(accordion)이라 명명된 구성이 단단한 벽들(rigid walls, 10, 11, 12)과 그 사이의 굴곡 힌지 혹은 리빙 힌지(flexural hinges or living hinges, 9)를 구비하여, 굴곡 힌지를 기준으로 양측 벽의 접힘과 펼침에 따른 확장 소켓의 확장(extending)과 수축(retraction)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확장 소켓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나 케이스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확장 소켓을 수축 상태로 변형시켜 확장 소켓이 점유하는 공간의 부피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휴대 기기나 케이스를 옆으로 세우고자 할 경우나 파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확장 소켓을 확장 상태로 변형시켜 사용자에게 편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확장 소켓에는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할 점이 존재한다.
먼저, 휴대 기기나 케이스를 파지하고자 할 경우, 확장 소켓을 확장 상태로 변형시킨 후 두 손가락을 아코디언의 양 옆에 배치하게 되는데, 단단한 벽들과 굴곡 힌지의 반복 배열 구조는 단차의 존재로 인해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그립감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사람의 손가락은 손바닥을 향해 말리거나 접히는 형태를 갖는다는 점에서 손으로 휴대 기기나 케이스를 파지할 때에는 손가락의 말림 또는 접힘 형상대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아코디언은 한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는 손가락의 끝마디와 중간마디를 휴대 기기나 케이스에 밀착되게 하므로, 손가락의 말림 또는 접힘 형상대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제공이라 보기 어렵다.
나아가, 확장 소켓의 확장 길이 증가를 위해서는 단단한 벽들과 굴곡 힌지의 반복 배열 횟수가 증가되어야 하며, 이는 확장 소켓이 원위단에 위치하는 버튼(1)의 외경 증가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굴곡 힌지나 리빙 힌지는 접힘 라인을 가공하여 형성되고, 접힘 라인은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에 의해 내구성 저하 및 찢어짐이 발생하는 원인 지점이 된다.
이 발명은 사용자에게 더욱 부드러운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은 사람의 손가락이 말리거나 접히는 형상대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은 액세서리의 원위단에 위치하는 구성의 외경 증가 문제를 해결하면서 확장 길이 증가가 가능한 구조의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은 반복 사용에도 실질적인 내구성 저하나 찢어짐의 문제가 없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는, 휴대 기기나 상기 휴대 기기를 감싸는 케이스의 일 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연결되는 탄성 변형 부재; 및 상기 탄성 변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결합 부재에 가까워지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가깝게 배치되며, 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콘 형상 파트; 및 상기 커버 부재에 가깝게 배치되고, 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콘 형상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며, 콘 형상에서 외경이 작은 부분에 해당하는 헤드끼리 서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접힘 라인이 가공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멀어진 확장 상태에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측면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측면은 접선의 기울기에 변곡점을 갖지 않는다.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는 축소 상태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멀어진 상태는 확장 상태로 정의되며,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축소 상태로 변형 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굴곡지게 탄성 변형된다.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축소 상태로 변형 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측면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측면은 접선의 기울기에 변곡점을 갖도록 탄성 변형된다.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큰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진 축소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다른 하나를 덮는다.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상호 가까워짐 또는 멀어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헤드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헤드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파트는 양 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진 축소 상태에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측면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파트와 중첩된다.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멀어진 확장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축소 상태로 변형되는 동안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되게 한다.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에 의해 감까지는 영역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에 의해 감까지는 영역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로부터 상기 빈 공간을 향해 형성되는 돌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 시 맞은편에서 접근하는 돌기와 끼움 결합된다.
상기 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안쪽 면에서 상기 돌기 수용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안쪽 면으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단부는 상기 돌기의 다른 부분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다.
상기 커버 부재의 안쪽 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커버 부재의 바깥쪽 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휴대 기기 또는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는 상기 커버 부재의 배치를 위해 가운데가 비어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는 상기 커버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커버 부재를 감싸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에는 내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테두리 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의 비어있는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돔 파트; 상기 돔 파트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돔 파트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돌출 파트; 및 상기 돔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측벽 파트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 홈에는 방사 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홀에 적어도 하나씩 삽입되는 삽입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파트는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상기 측벽 파트는, 상기 돔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에 연결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돔 파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부분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과 외부 공간을 서로 소통하게 하도록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의 사이에는 원호 형상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원호 형상의 홀은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 크기의 반경은 제1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작거나 같고, 제2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는 마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기기 또는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상기 마감 부재의 배치를 위해 가운데가 비어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상기 마감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마감 부재를 감싸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의 내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마감 부재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테두리 홈; 및 상기 마감 부재의 테두리와 대응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홈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 파트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휴대 기기에 부착되는 방향은 상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축소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축소 방향의 반대 방향은 상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확장 방향으로 정의되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축소 방향으로 상기 결합 부재의 중공을 통과한 후 상기 마감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상기 마감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 방향으로 상기 결합 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마감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억지 끼움 결합된다.
상기 마감 부재는, 상기 휴대 기기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원판 파트; 상기 원판 파트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원판 파트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돌출 파트; 상기 원판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측벽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파트가 상기 마감 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이탈 방지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판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의 단차가 형성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근위 파트의 이탈 방지 파트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이탈 방지 파트는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마다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 부재는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억지 끼움 돌출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억지 끼움 돌출 파트는 복수의 상기 이탈 방지 파트의 사이마다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억지 끼움 돌출 파트는 상기 커버 부재의 중공에 형성되는 중공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 결합된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의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와 결합 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 상기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로부터 돌출되며, 적어도 일부가 서로 분할 형성된 측벽 파트; 및 상기 측벽 파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원판 파트의 안쪽 부분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 시 맞은편에서 접근하는 돌기 수용부와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원주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접힙 라인이 가공되지 않고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 사출에 의한 탄성 변형 부재의 일체 형성, 및/또는 실리콘 재질에 의해 사용자에게 종래보다 더욱 부드러운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모래시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 변형 부재는 손가락의 끝마디와 중간마디를 휴대 기기나 케이스로부터 살짝 이격되게 하므로, 사람의 손가락이 말리거나 접히는 형상대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는 종래보다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한다.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1 콘 형상 파트와 제2 콘 형상 파트의 중첩 및 덮는 구조 구조에 의하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커버 부재와 원위 파트의 외경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확장 길이 증가가 가능하다.
또한, 반복 사용에 의한 내구성 저하나 찢어짐은 접힘 라인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접힙 라인이 가동되지 않으면, 반복 사용에도 실질적인 내구성 저하나 찢어짐의 문제가 없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일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2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3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측면도다.
도 4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확장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다.
도 5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로, 일 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로, 타 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축소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다.
이하, 이 발명에 관련된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란 사용자에게 편의 제공을 위해 휴대 기기 또는 상기 휴대 기기를 감싸는 케이스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장치를 가리킨다.
첨부된 도면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이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이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일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2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를 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3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측면도다.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는 결합 부재(110), 탄성 변형 부재(120), 커버 부재(130)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는 보호 테이프(140)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는 마감 부재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110)는 휴대 기기(10)나 휴대 기기를 감싸는 케이스(미도시)의 일 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휴대 기기(10)의 일 면이나 케이스의 일 면이란 주로 평평한 면을 가리키며, 그 예로 휴대 기기(10)나 케이스의 배면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발명에서 결합 부재(110)가 휴대 기기나 케이스에 부착되는 메커니즘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메커니즘은 자석(112)과 자석(112) 간 자력이나 자석(112)과 금속 간 자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커니즘은 접착 테이프일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 가능하다.
결합 부재(110)는 탄성 변형 부재(120)와 결합되며, 탄성 변형 부재(120)를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한다.
탄성 변형 부재(120)는 탄상 변형에 의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과 축소를 구현하는 구성이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상태란 탄성 변형 부재(12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결합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가 서로 멀어진 상태로 정의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상태란 탄성 변형 부재(12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결합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로 정의된다.
탄성 변형 부재(120)는 결합 부재(110), 그리고 후술하게 될 커버 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결합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에 연결된다. 탄성 변형 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결합 부재(110)는 휴대 기기(10)나 케이스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며, 커버 부재(130)는 휴대 기기(10)나 케이스로부터 먼 쪽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커버 부재(130)를 가압하면, 탄성 변형 부재(120)가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된다.
이하에서는 단면도와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확장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다.
도 5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로, 일 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로, 타 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그림이다.
결합 부재(110)는 중앙에 중공(111)이 형성된 원형일 수 있으며, 비교적 납작하지만 높이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결합 부재(110)가 휴대 기기나 케이스에 부착되는 메커니즘이 자력인 경우, 복수의 자석(112)이 결합 부재(110)의 바깥 테두리와 중공(111) 사이의 환형 영역(113)에 원주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결합 부재(110)는 자석(112)을 세 방향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 방향이란, 첫째는 휴대 기기나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 둘째는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 셋째는 결합 부재(110)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의 중공(111)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각 방향에서 자석(112)을 감싸는 결합 부재(110)의 부분들이 도 4에 도면부호 110a, 110b, 110c로 표시되어 있다.
복수의 자석(112)은 결합 부재(110)에 의해 감싸지는 환형 영역(113)에 압입될 수 있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방향에서 결합 부재(110)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데, 자석(112)을 덮는 부분(110a)과 탄성 변형 부재(120)를 덮는 부분(114)은 주위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두께로 인해 자석(112)을 덮는 부분(110a)과 탄성 변형 부재(120)를 덮는 부분(114)의 사이에는 환형의 그루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결합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의 상호 가까워짐 또는 멀어짐 방향이란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축소되는 방향(축소 방향) 또는 확장되는 방향(확장 방향)에 해당한다. 도 4에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방향이 D1으로 표시되고, 확장 방향이 D2로 표시되었다.
축소 방향(D2)과 확장 방향(D1)이라는 이름은 임의적 명명이다. 축소 방향(D1)은 결합 부재(110)가 휴대 기기에 부착되는 방향에 해당하며, 제1 방향이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또한 확장 방향(D2)은 결합 부재(110)가 휴대 기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 해당하며, 제2 방향이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축소 방향(D1)과 확장 방향(D2)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에 해당한다.
결합 부재(110)의 부착 대상 휴대 기기 또는 부착 대상 케이스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 부재(120)의 근위 파트(124)는 결합 부재(110)에 결합되고,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는 커버 부재(130)에 결합된다.
상기 원위 파트(125)와 근위 파트(124)의 사이에는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가 형성되며,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사이에는 연결 파트(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제부터는 각 파트에 대하여 설명된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형태를 정의하는 콘 형상이란 어느 한 쪽 끝 부분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 한 쪽 끝 부분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어느 한 쪽과 상기 다른 한 쪽 사이의 측면(121a)(122a)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적 형상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콘 형상은 다른 이름으로도 명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측면(121a)(122a)이 둥근 원뿔, 측면이 둥근 원뿔대, 혹은 측면이 둥근 종(bell) 형상으로 이름할 수 있다.
제1 콘 형상 파트(121)는 결합 부재(110)에 가깝게 배치되며, 제2 콘 형상 파트(122)는 커버 부재(130)에 가깝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각각 측면(121a)(122a)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크기나 세부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콘 형상 파트(121)보다 제2 콘 형상 파트(122)가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축소 상태로 전화되었을 때에는 이러한 외경의 차이로 인해 제2 콘 형상 파트(122)가 제1 콘 형상 파트(121)를 덮을 수 있다.
앞서 콘 형상은 종 형상으로 이름할 수도 있음을 설명하였다. 종(bell)의 각 부위 별 명칭에 있어서, 헤드(head)는 외경이 작아진 정점 혹은 그 주위 영역을 가리키고, 립(lip)은 헤드의 반대쪽 개구의 둘레를 가리킨다. 헤드라는 용어와 립이라는 용어는 콘 형상에도 유사한 취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콘 형상의 외경은 전체적으로 한 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거나 작아지는데, 콘 형상에서 외경이 작아진 정점 혹은 그 주위 영역이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헤드(121b)(122b)에 해당하고, 상기 헤드(121b)(122b)의 반대쪽에서 헤드에 비해 큰 외경을 형성하는 영역이 립(121c)(122c)에 해당한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 구체적으로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헤드(121b)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헤드(122b)는 서로를 향한다. 그리고 두 헤드(121b)(122b)의 반대쪽 부분, 즉 두 립(121c)(122c)은 서로 반대쪽을 향한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는 헤드(121b)(122b)끼리 서로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된다. 이는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사이에 둘을 연결하는 다른 구성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가 서로 간접 연결되는 경우라면,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사이에 연결 파트(123)가 구비된다.
연결 파트(123)는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헤드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헤드(121b)(122b)를 서로 연결되게 한다. 연결 파트(123)는 결합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의 상호 가까워짐 방향(D1) 또는 멀어짐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에 연결된다.
한편, 연결 파트(123)는 양 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양 단이란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방향(D1) 또는 확장 방향(D2)에서의 양 단을 가리킨다. 따라서 연결 파트(123)는 중앙에서 가장 외경이 작고 양 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 4에도 미소한 외경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사이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 그리고 이 둘의 연결 관계로 인해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는 전체적으로 모래시계(sand glass or hourglass)의 형상을 갖게 된다. 다만, 모래시계의 양쪽이 반드시 대칭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적으로 모래시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 변형 부재(120)는 손가락의 끝마디와 중간마디를 휴대 기기나 케이스로부터 살짝 이격되게 하므로, 사람의 손가락이 말리거나 접히는 형상대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는 종래보다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한다.
한편,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내부에는 빈 공간(S1)(S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내부란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마감 부재(15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S1)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내부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122)와 커버 부재(13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S2)을 가리킨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되려면, 상기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21d)(122d)이 형성된다. 구멍(121d)(122d)은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1a)(122a)에 형성되거나, 헤드(121b)(122b)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구멍(121d)은 헤드(121b)의 주위에 형성되고,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구멍(122d)은 볼록하게 경사진 측면(122a)에 형성된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에는 탄성 변형 부재(120)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접힘 라인이 가공되지 않고,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는 각각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121a)(122a)을 갖는다. 또한, 제1 콘 형상 파트(121), 제2 콘 형상 파트(122), 연결 파트(123), 근위 파트(124), 및 원위 파트(125)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 부재(120)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 부재(120)의 재질은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변형 부재(120)의 탄성 복원력은 형상적 특징과 재질적 특징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접힙 라인이 가공되면 단차가 존재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거칠고 불편 그립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발명에 의하면 접힙 라인이 가공되지 않고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측면(121a)(122a), 사출에 의한 탄성 변형 부재(120)의 일체 형성, 및/또는 실리콘 재질에 의해 사용자에게 종래보다 더욱 부드러운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복 사용에 의한 내구성 저하나 찢어짐은 접힘 라인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접힙 라인이 가동되지 않으면, 반복 사용에도 실질적인 내구성 저하나 찢어짐의 문제가 없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과도한 크기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측면(121a)과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2a)이 접선의 기울기에 변곡점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이와 달리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측면(121a)과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2a)이 접선의 기울기에 변곡점을 갖는다면,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립(121c)에 형성되는 근위 파트(124)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립(122c)에 형성되는 원위 파트(125)는 불필요하게 외경이 커지게 될 것이고, 이는 결합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크기가 과도하게 큰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탄성 변형 부재(120)의 근위 파트(124)는 결합 부재(110)와 마감 부재(150)에 결합된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방사 방향에서 마감 부재(150)를 상기 근위 파트(124)가 감싸고, 상기 근위 파트(124)를 다시 결합 부재(110)가 감싼다. 마감 부재(150), 근위 파트(124), 그리고 결합 부재(110)는 동심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마감 부재(150), 근위 파트(124), 그리고 결합 부재(11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마감 부재(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감 부재(150)란 탄성 변형 부재(120)의 일 측 개구를 막는 부재로, 여기서 일 측 개구란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립(121c) 또는 근위 파트(124)에 의해 감싸이는 개구(O1)를 가리킨다. 근위 파트(124)는 마감 부재(150)의 배치를 위해 가운데가 비어 있는 형상, 다시 말해 개구(O1)를 구비하는 형상에 해당한다.
마감 부재(150)는 원판 파트(151), 테두리 돌출 파트(152), 및 측벽 파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 파트(151)는 납작한 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정의하는 납작한 원형이란 반드시 양면에 평평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양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평평할 수 있다.
원판 파트(151)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휴대 기기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었을 때 휴대 기기 또는 케이스를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다만, 원판 파트(151)가 휴대 기기 또는 케이스에 면 대 면으로 접촉되는 것은 아니고, 납작한 보호 테이프(140)가 원판 파트(151)와 휴대 기기의 사이, 또는 원판 파트(151)와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 테이프(140)는 원판 파트(151)뿐만 아니라 근위 파트(124)의 이탈 방지 파트(124b), 그리고 결합 부재(110)를 보호하도록 결합 부재(11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에 준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 부재(150), 근위 파트(124), 그리고 결합 부재(110) 중 결합 부재(110)의 외경이 가장 크므로, 보호 테이프(140)가 위의 설명과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면, 마감 부재(150), 근위 파트(124), 결합 부재(110)의 한 쪽 부분을 모두 보호 가능하다.
원판 파트(151)의 안쪽 부분에는 탄성 변형 부재(120)의 연결 파트(123)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154)가 형성된다. 돌기(154)는 원판 파트(151)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헤드 부분(121b), 혹은 연결 파트(123)에는 맞은편 돌기(154)를 향해 돌기 수용부(126)가 형성된다.
만약 탄성 변형 부재(1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돌기(154)는 맞은편에서 접근하는 돌기 수용부(126)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원판 파트(151)의 안쪽면으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돌기(154)의 단부는 돌기(154)의 다른 부분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다. 반면, 돌기 수용부(126)의 입구는 입구의 안쪽보다 작은 구경을 갖는다. 또한, 돌기 수용부(126)의 입구 주위는 여러 부분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154)가 돌기 수용부(126)에 기움 결합될 수 있다.
원판 파트(151)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방향(D2) 또는 축소 방향(D1)에서의 두께를 기준으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4)가 형성되는 중앙 영역(151a)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다. 반면 중앙 영역(151a)의 원주에 형성되는 테두리 영역(151b)은 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중앙 영역(151b)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테두리 영역(151b)과 중앙 영역(151a)의 두께 차이는 단차 또는 경사(151c)로부터 비롯된다.
중앙 영역(151a)의 두께가 테두리 영역(151b)에 비해 얇으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축소 상태로 전환될 때 돌기 수용부(126)가 휴대 기기에 더 가까이 접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나 케이스에 부착된 축소 상태의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는, 액세서리 부착으로 인한 두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 돌출 파트(152)는 원판 파트(151)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를 따라 근위 파트(124)의 테두리 홈(124a)에 삽입된다. 테두리 홈(124a)에 대하여는 근위 파트(124)에 대한 설명에서 추가로 후술한다.
마감 부재(150)의 측벽 파트(153)는 원판 파트(151)와 테두리 돌출 파트(152)에 연결되어 단차를 형성한다. 측벽 파트(153)로 인해 테두리 돌출 파트(152)가 원판 파트(151)의 테두리 영역(151b)과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테두리 돌출 파트(152)가 근위 파트(124)의 테두리 홈(124a)에 삽입되면, 근위 파트(124)의 이탈 방지 파트(124b)는 테두리 돌출 파트(152)를 감싸게 되고, 이탈 방지 파트(124b)의 적어도 일부는 측벽 파트(153)와 테두리 돌출 파트(152)에 의해 마련된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테두리 돌출 파트(152)와 원판 파트(151)의 단차가 이탈 방지 파트(124b)에 의해 외관상 상쇄된다.
근위 파트(124)는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 부재(150)를 감싼다. 근위 파트(124)는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를 세 방향에서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세 방향이란,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방향(D1)과 확장 방향(D2), 그리고 마감 부재(150)의 측방향이다. 이와 같은 근위 파트(124)의 단면은 디귿자(ㄷ) 형상에 해당한다.
디귿자(ㄷ) 형상은 근위 파트(124)의 테두리 홈(124a)과, 이탈 방지 파트(124b)로도 설명될 수 있다. 테두리 홈(124a)이란 근위 파트(124)의 내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혹은 상기 내주면의 원주를 따라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탈 방지 파트(124b)란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와 대응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홈(124a)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탈 방지 파트(124b)가 바로 마감 부재(150)를 세 방향에서 감싸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탈 방지 파트(124b)가 형성됨에 의해 세 방향에서 마감 부재(150)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탈 방지 파트(124b)는 복수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에서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거나,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탈 방지 파트(124b)가 원주 방향에서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 그 사이마다 빈 공간(124c)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이탈 방지 파트(124b)가 분할된 형태라면 그 사이마다 빈 공간(124c)이 형성된다. 이 빈 공간(124c)에는 마감 부재(150)를 결합 부재(110)에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 마련된다.
마감 부재(150)를 결합 부재(110)에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은 마감 부재(150)의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다. 상기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는 근위 파트(124)에 의해 마련된 영역에 위치한다.
마감 부재(150)의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는 테두리 돌출 파트(152)로부터 방사 방향을 향해 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는 테두리 돌출 파트(152)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이격된 위치란 복수의 이탈 방지 파트(124b) 혹은 분할 형성된 이탈 방지 파트(124b)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124c)을 가리킨다.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의 자유단은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방향(D1)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의 자유단이 절곡 형성됨에 따라 결합 부재(110)에 형성되는 중공(111)의 내주면을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111)의 내주면과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의 자유단에는 각각 후크(156)가 형성되어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가 커버 부재(130)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방향(D2) 또는 축소 방향(D1)에서, 자유단을 제외한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의 두께는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 돌출 파트(15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원판 파트(151)의 테두리 영역(152b)보다 얇다. 이에 따라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의 자유단이 외팔보의 원리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며,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의 억지 끼움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의 내주면에는 마감 부재(150)의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에 대응되는 억지 끼움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결합 부재(110)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결합 부재(110)는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114), 측벽 파트(116), 후크(117)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은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114)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114)는 결합 부재(110)와 탄성 변형 부재(120)의 결합 시 탄성 변형 부재(1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여기서 탄성 변형 부재(120)의 적어도 일부란 탄성 변형 부재(120)의 근위 파트(124)를 가리킨다.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114)의 외측에 자석(112) 등이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방향(D2) 또는 축소 방향(D1)에서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114)의 두께는 그 바깥 부분에 비해 얇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 파트(116)가 돌출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측벽 파트(116)는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114)로부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방향(D1)을 따라 돌출된다. 측벽 파트(116)는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측벽 파트(116)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측벽은 중공(111) 주변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혹은 측벽 파트(116)의 적어도 일부는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측벽 파트(116)의 이와 같은 구조는 외팔보의 원리에 의해 측벽 파트(116)의 자유단이 마감 부재(150)에 의해 가압될 때 측벽 파트(116)의 자유단을 방사 방향으로 물러설 수 있게 한다.
후크(117)는 측벽 파트(116)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후크(117)는 측벽 파트(116)에서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117)는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의 후크(156)와 후크 결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감 부재(150)는 결합 부재(110)에 억지 끼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마감 부재(150), 탄성 변형 부재(120), 그리고 커버 부재(130)의 결합 순서가 설명된다.
먼저, 탄성 변형 부재(120)의 근위 파트(124)가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방향(D1)을 따라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을 통과한다.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은 탄성 변형 부재(120)의 근위 파트(124)보다 작지만, 탄성 변형 부재(120)는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탄성 변형 부재(120)의 근위 파트(124)는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을 통과할 수 있다.
결합 부재(110)의 중공(111)을 통과한 근위 파트(124)는 마감 부재(150)와 결합된다. 근위 파트(124)의 테두리 홈(124a)에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 돌출 파트(152)가 삽입되고, 근위 파트(124)의 이탈 방지 파트(124b)가 마감 부재(150)의 테두리 돌출 파트(152)를 감싸게 되면, 탄성 변형 부재(120)에 마감 부재(150)가 결합 완료된다.
탄성 변형 부재(120)의 근위 파트(124)가 마감 부재(150)와 결합된 상태에서, 근위 파트(124)가 마감 부재(150)와 함께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방향(D2)으로 결합 부재(110)에 밀착된다. 마감 부재(150)의 억지 끼움 돌출 파트(155)는 결합 부재(110)의 후크(117)와 억지 끼움 결합 또는 후크 결합되고, 이에 따라 근위 파트(124)가 마감 부재(150)와 결합 부재(11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마감 부재(150), 탄성 변형 부재(120), 그리고 결합 부재(110)의 결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는 커버 부재(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버 부재(130)는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에 형성되는 개구(O2)를 막는다. 커버 부재(130)는 탄성 변형 부재(120)에 연결되어 탄성 변형 부재(120)의 탄성 변형에 따라 결합 부재(110)로부터 멀어지거나 결합 부재(110)에 가까워진다.
커버 부재(130)는 돔 파트(131), 테두리 돌출 파트(132), 측벽 파트(133)를 포함한다.
돔 파트(131)는 탄성 변형 부재(120)의 개구(O2)을 통해 노출된다. 돔 파트(131)라는 이름은 커버 부재(130)의 안쪽 면(131a)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커버 부재(130)의 바깥쪽 면(131b)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부터 비롯된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상태에서 그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커버 부재(130)에 의해 덮어지는 공간 안으로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가 들어오고, 커버 부재(130)는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사이에 연결 파트(12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인 형상 변경이 어려운 연결 파트(123)까지 커버 부재(130)에 의해 덮어지는 공간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
커버 부재(130)의 안쪽 면(131a)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방향(D2) 또는 축소 방향(D1)에서 커버 부재(130)에 의해 덮어지는 공간의 높이가 보다 높게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상태에서 제1 콘 형상 파트(121), 제2 콘 형상 파트(122), 연결 파트(123)가 모두 커버 부재(130)에 의해 덮어지는 공간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테두리 돌출 파트(132)는 돔 파트(131)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테두리 돌출 파트(132)는 그 테두리를 따라 원위 파트(12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테두리 홈(125a)에 삽입된다. 테두리 돌출 파트(132)는 돔 파트(131)의 테두리 혹은 측벽 파트(133)의 테두리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며, 돔 파트(131)의 원주 또는 측벽 파트(13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는 커버 부재(130)의 배치를 위해 가운데가 비어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를테면,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에는 개구(O2)가 형성된다. 이 개구(O2)를 막기 위해 커버 부재(130)가 탄성 변형 부재(120)에 결합된다. 커버 부재(130)가 탄성 변형 부재(120)에 결합되면,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는 커버 부재(130)의 테두리를 따라 방사 방향에서 커버 부재(130)를 감싼다.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에는 내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커버 부재(130)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테두리 홈(125a)이 형성된다. 내주면의 테두리란 개구(O2)의 둘레를 가리킨다. 또한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에는 커버 부재(130)의 테두리와 대응되게 절곡 형성되어 원위 파트(125)의 테두리 홈(125a)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 파트(125b)가 형성된다. 원위 파트(125)에 테두리 홈(125a)과 이탈 방지 파트(125b)가 형성되는 구성은 근위 파트(124)의 그것과 유사하다.
한편, 테두리 돌출 파트(132)는 돔 파트(131)와 단차를 형성한다. 이 단차는 돔 파트(131)와 테두리 돌출 파트(132)에 연결되는 측벽 파트(133)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 파트(133)란 커버 부재(130)의 방사 방향을 향한다는 의미에서 그 이름이 명명되었다.
측벽 파트(133)는 커버 부재(130)의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와 만곡(curvature)의 정도를 기준으로 제1 부분(133a)과 제2 부분(13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부분(133a)은 커버 부재(130)의 중앙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제1 부분(133a)의 곡률 반경은 제2 부분(133b)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반대로 제2 부분(133b)은 커버 부재(130)의 중앙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제2 부분(133b)의 곡률 반경은 제1 부분(133a)의 곡률 반경보다 작다.
커버 부재(130)의 방사 방향에서 제1 부분(133a)은 돔 파트(131)와 테두리 돌출 파트(132)에 연결된다. 반면, 제2 부분(133b)은 커버 부재(130)의 방사 방향에서 돔 파트(131)에만 연결되고, 테두리 돌출 파트(132)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2 부분(133b)과 테두리 돌출 파트(132)의 사이에는 원호 형상의 홀(134)이 형성된다.
이 홀(134)은 커버 부재(130)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S2)과 외부 공간을 서로 소통하게 한다. 특히, 제2 부분(133b)이 방사 방향에서 근위 파트(125)의 이탈 방지 파트(125b)로부터 이격되므로, 홀(134)을 통한 소통이 가능하다.
만일 이 홀(134)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될 때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2a)에 형성되는 구멍(122d)으로만 공기가 빠져나옴에 따라 공기 빠짐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공기 빠짐 소리의 발생은 경우에 따라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멍(122d)의 크기를 더 크게 만들면, 공기 빠짐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원호 형상의 홀(134)이 형성되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됨에 따라 빈 공간(S2)의 공기가 빠져나오더라도 공기 빠짐 소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원호 형상의 홀(134)은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크기의 반경(r)은 제1 부분(133a)의 곡률 반경(r1)보다 작거나 같고, 제2 부분(133b)의 곡률 반경(r2)보다 크거나 같다(r2 ≤ r ≤ r1).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에 형성되는 테두리 홈(125a)에는 복수의 홀(125c)이 형성된다. 이 복수의 홀(125c)은 방사 방향을 향해 개구되며, 테두리 홈(125a)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커버 부재(130)는 위 홀(125c)에 삽입되는 삽입 파트(135)를 더 포함한다. 삽입 파트(135)는 커버 부재(130)의 테두리 돌출 파트(132)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다. 삽입 파트(135)는 테두리 돌출 파트(1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삽입 파트(135)는 탄성 변형 부재(120)의 원위 파트(125)에 형성되는 홀(125c)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삽입 파트(135)는 테두리 돌출 파트(132)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커버 부재(130)의 안쪽 면(131a)에는 돌기(1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 부재(120)에는 돌기 수용부(127)가 형성된다. 탄성 변형 부재(120)의 돌기 수용부(127)는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헤드(122b) 또는 연결 파트(123)에서 커버 부재(130)의 돌기(136)를 향해 돌출된다. 커버 부재(130)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는 빈 공간(S2)에 형성되므로, 돌기(136)와 돌기 수용부(127)는 상기 빈 공간(S2)을 향해 혹은 서로를 향해 형성된다고 설명될 수도 있다.
탄성 변형 부재(120)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되면, 돌기(136)는 돌기 수용부(127)를 향해 접근하게 되고, 돌기(136)가 돌기 수용부(127)에 삽입됨에 따라 돌기(136)와 돌기 수용부(127)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커버 부재(130)의 안쪽 면(131a)으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돌기(136)의 단부는 돌기(136)의 다른 부분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다. 그리고, 돌기 수용부(127)의 입구의 구경은 그 안쪽에 비해 작다. 또한, 돌기(136)의 단부의 외경보다 돌기 수용부(127)의 입구의 구경이 더 작을 수 있다. 탄성 변형 부재(120)의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돌기(136)는 탄성 변형되는 돌기 수용부(127)의 입구를 지나 그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7을 참조하여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의 변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확장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다. 도 7은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가 축소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휴대 기기나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130)를 휴대 기기 쪽으로 가압하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는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는 커버 부재(130)와 결합 부재(110)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압하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는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압에 의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확장 상태에서 축소 상태로 변형되는 동안, 연결 파트(123)는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헤드(121b)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헤드(122b)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여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및/또는 제2 콘 형상 파트(122)를 탄성 변형되게 한다.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변형 과정에서 탄성 변형 부재(120)의 형상에는 변형이 발생한다. 특히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헤드(121b)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헤드(122b)가 연결 파트(123)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121a)(122a)이 굴곡지게 탄성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상태에서는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측면(121a)과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2a)이 접선의 기울기에 변곡점을 갖지 않았으나, 축소 상태에서는 위 두 측면(121a)(122a) 중 적어도 하나가 변곡점을 갖도록 탄성 변형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돌기(154)가 돌기 수용부(126)에 삽입됨에 따라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헤드(121b)는 마감 부재(150)에 가깝게 위치하고,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측면(121a)은 방사 방향으로 갈수록 마감 부재(150)에서 멀어지다가 다시 변곡점이 발생하여 마감 부재(150)로 가까워진다. 또한 제2 콘 형상 파트(122)는 헤드(122b)에서 방사 방향으로 갈수록 마감 부재(150)에 가까워지다가 다시 변곡점이 발생하여 마감 부재(150)로부터 멀어진다.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돌기(136)도 맞은편 돌기 수용부(127)에 삽입된다.
그리고 탄성 변형된 제2 콘 형상 파트(122)는 연결 파트(123)와 제1 콘 형상 파트(121)를 덮는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큰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제2 콘 형상 파트(122)가 제1 콘 형상 파트(121)보다 큰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테두리가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테두리보다 크면, 원위 파트(125)의 테두리도 근위 파트(124)의 테두리보다 크다.
제2 콘 형상 파트(122)를 덮으면, 제2 콘 형상 파트(122)와 원위 파트(125)의 경계는 결합 부재(110)에 형성되는 환형의 그루브(115)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상태에서 그 두께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측면(121a)과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2a)이 위와 같이 탄성 변형됨에 따라,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축소 상태에서는 탄성 변형 부재(120)의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측면(121a)과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2a)이 서로 중첩되기도 하고, 제1 콘 형상 파트(121)의 측면(121a)과 연결 파트(123)가 서로 중첩되기도 하며,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측면(122a)과 연결 파트(123)가 서로 중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중첩에 의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가 축소 상태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 방향으로만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갖는 종래의 기술로는 확장 길이 증가를 위해 원위단의 외경 증가가 불가피했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1 콘 형상 파트(121)와 제2 콘 형상 파트(122)의 중첩 및 덮는 구조 구조에 의하면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커버 부재(130)와 원위 파트(125)의 외경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100)의 확장 길이 증가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10: 결합 부재
120: 탄성 변형 부재
130: 커버 부재
140: 보호 테이프
150: 마감 부재

Claims (25)

  1. 휴대 기기나 상기 휴대 기기를 감싸는 케이스의 일 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에 연결되는 탄성 변형 부재; 및
    상기 탄성 변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결합 부재에 가까워지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가깝게 배치되며, 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콘 형상 파트; 및
    상기 커버 부재에 가깝게 배치되고, 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콘 형상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며, 콘 형상에서 외경이 작은 부분에 해당하는 헤드끼리 서로 연결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접힘 라인이 가공되지 않은,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멀어진 확장 상태에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측면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측면은 접선의 기울기에 변곡점을 갖지 않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는 축소 상태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멀어진 상태는 확장 상태로 정의되며,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축소 상태로 변형 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굴곡지게 탄성 변형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상태에서 상기 축소 상태로 변형 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측면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측면은 접선의 기울기에 변곡점을 갖도록 탄성 변형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큰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진 축소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다른 하나를 덮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상호 가까워짐 또는 멀어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헤드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헤드에 연결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트는 양 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진 축소 상태에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의 측면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파트와 중첩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멀어진 확장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축소 상태로 변형되는 동안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되게 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에 의해 감까지는 영역과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에 의해 감까지는 영역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콘 형상 파트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로부터 상기 빈 공간을 향해 형성되는 돌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 시 맞은편에서 접근하는 돌기와 끼움 결합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의 안쪽 면에서 상기 돌기 수용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안쪽 면으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의 단부는 상기 돌기의 다른 부분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안쪽 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커버 부재의 바깥쪽 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또는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는 상기 커버 부재의 배치를 위해 가운데가 비어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는 상기 커버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커버 부재를 감싸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에는 내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테두리 홈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원위 파트의 비어있는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돔 파트;
    상기 돔 파트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돔 파트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돌출 파트; 및
    상기 돔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측벽 파트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홈에는 방사 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홀에 적어도 하나씩 삽입되는 삽입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파트는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며,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파트는,
    상기 돔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에 연결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돔 파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부분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콘 형상 파트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과 외부 공간을 서로 소통하게 하도록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의 사이에는 원호 형상의 홀이 형성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형상의 홀은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갖는 원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소정 크기의 반경은 제1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작거나 같고, 제2 부분의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같은,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는 마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기기 또는 상기 케이스로부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상기 마감 부재의 배치를 위해 가운데가 비어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상기 마감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마감 부재를 감싸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의 내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마감 부재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테두리 홈; 및
    상기 마감 부재의 테두리와 대응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홈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 파트가 형성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휴대 기기에 부착되는 방향은 상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축소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축소 방향의 반대 방향은 상기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의 확장 방향으로 정의되며,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축소 방향으로 상기 결합 부재의 중공을 통과한 후 상기 마감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근위 파트는 상기 마감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 방향으로 상기 결합 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마감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는,
    상기 휴대 기기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원판 파트;
    상기 원판 파트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원판 파트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 홈에 삽입되는 테두리 돌출 파트;
    상기 원판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측벽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파트가 상기 마감 부재와 결합되면, 상기 이탈 방지 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판 파트와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의 단차가 형성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파트의 이탈 방지 파트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이탈 방지 파트는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마다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 부재는 상기 테두리 돌출 파트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억지 끼움 돌출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억지 끼움 돌출 파트는 복수의 상기 이탈 방지 파트의 사이마다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억지 끼움 돌출 파트는 상기 커버 부재의 중공에 형성되는 중공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부재의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변형 부재와 결합 시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
    상기 탄성 변형 부재 커버 파트로부터 돌출되며, 적어도 일부가 서로 분할 형성된 측벽 파트; 및
    상기 측벽 파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파트의 안쪽 부분에는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탄성 변형 시 맞은편에서 접근하는 돌기 수용부와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원주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KR1020220157174A 2022-11-22 2022-11-22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KR20240075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174A KR20240075311A (ko) 2022-11-22 2022-11-22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PCT/KR2023/018672 WO2024112033A1 (ko) 2022-11-22 2023-11-20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174A KR20240075311A (ko) 2022-11-22 2022-11-22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5311A true KR20240075311A (ko) 2024-05-29

Family

ID=9127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174A KR20240075311A (ko) 2022-11-22 2022-11-22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53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8297B1 (en) Gripp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US6406811B1 (en) Battery for headset assembly
JP4288420B2 (ja) 携帯端末用コネクタカバー
US20080023021A1 (en) Hair Clip with Friction Member
US20070256946A1 (en) Carrying case for headphones
CN107172512A (zh) 耳机耳翼
CN101292565A (zh) 一种通信耳机
JPWO2003047218A1 (ja) 携帯端末装置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US10009679B1 (en) Bluetooth earphone combined with a pair of eyeglasses
KR20240075311A (ko)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CN115769598A (zh) 用于耳用扬声器的适配器
JP2007298785A (ja) スライド部材支持構造部及び撮像部カバー用スライド部材支持構造部
KR20240088542A (ko)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WO2002013728A3 (en) Rollable intraocular lens
JP2002011036A (ja) 保温用耳覆い
CN108497633A (zh) 插孔钉式锁定结构
JP3062727U (ja) 携帯電話機のベルト
KR102346510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0214556Y1 (ko) 핸즈프리 이어폰를 정리할 수 있는 장치가 달린 휴대폰케이스
JP3886112B2 (ja) 携帯端末装置
JP3854115B2 (ja) イアホンのストラップホルダー
KR200222771Y1 (ko) 핸즈프리 절곡장치
JPH0132438Y2 (ko)
JP4081322B2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