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93Y1 - 줄넘기 묶음용 밴드 - Google Patents

줄넘기 묶음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93Y1
KR200450093Y1 KR2020080008233U KR20080008233U KR200450093Y1 KR 200450093 Y1 KR200450093 Y1 KR 200450093Y1 KR 2020080008233 U KR2020080008233 U KR 2020080008233U KR 20080008233 U KR20080008233 U KR 20080008233U KR 200450093 Y1 KR200450093 Y1 KR 200450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rope
rope skipping
handl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144U (ko
Inventor
이해석
Original Assignee
이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석 filed Critical 이해석
Priority to KR2020080008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9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줄넘기 묶음용 밴드는 대략 '8'자 형태로 큰 원과 작은 원이 일체로 구성된 고무밴드로서 작은 원을 이룬 밴드는 줄넘기 손잡이에 외삽 고정되며,큰 원의 밴드는 줄넘기를 보관하고자 할 때 줄과 손잡이를 정리하여 묶는 기능을 한다.
줄넘기,줄넘기용 밴드,줄넘기휴대,밴드,손잡이

Description

줄넘기 묶음용 밴드{Binding band for jumping rope}
본 고안은 밴드에 관한 것으로,상세하게는 줄넘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용이하도록 줄넘기를 묶어두는 밴드에 관한 것이다.
밴드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본 고안의 밴드는 줄넘기에 추가 설치되어 줄넘기를 보관 또는 휴대하기에 용이하게 해주는 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밴드는 그 재질을 불문하고 대개 원 모양을 하거나,한줄의 띠 형태로 되어 그 양단을 맞대어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줄넘기를 휴대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줄넘기에 밴드를 설치하는 기술로는 일본 실용신안공보 제03130149호인 '어린이용 줄넘기'가 있었다.
상기 '어린이용 줄넘기'는 손잡이 근처의 줄의 일단에 밴드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줄을 묶음할 수 있도록 된 것이나,이는 줄넘기의 줄에 밴드를 부착함으로 해서 줄넘기 사용중 줄의 회전에 따른 불편함과 줄넘기의 외형으로도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었다.
또,본 출원인의 국내 실용신안 출원고안인 '줄넘기(출원번호 제20-2008-0004610호,출원일자2008.4.7)에는 손잡이의 일단에 구멍을 뚫어 밴드를 설치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그러나,이 고안은 손잡이에 제작시 새로운 가공공정이 추가되며,또 손잡이에 밴드가 부착된 것을 번거롭게 여길 경우 이를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줄넘기를 묶음할 수 있는 밴드를 설치하되,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필요시에 임의 설치/제거가 가능한 형태로 된 밴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고정용 밴드와 줄넘기를 묶음할 수 있는 체결용 밴드로 구분한 뒤 상기 두 부분의 밴드를 일체된 형태로 하였다.
줄넘기의 휴대 및 보관에 편리하도록 묶음할 수 있는 밴드가 줄넘기와 별개의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임의 착탈할 수 있다.즉,밴드를 부착한 경우에는 줄넘기를 사용하는 동안 밴드의 일부를 손목에 감아 줄넘기를 손에서 놓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으며,줄넘기 사용시에 밴드가 부착된 것을 원치 않을 경우에는 밴드를 분리해내고 줄넘기가 끝난 뒤 줄넘기를 묶어두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줄넘기 묶음용 밴드는 크고 작은 두개의 원이 나란히 연결된 '8'자 형태를 한 신축성 있는 재질로 된 밴드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줄넘기 묶음용 밴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인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도3은 밴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것이며,도4 내지 도6은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1에 대하여 설명한다.도1에 보인 본 고안의 밴드는 신축성 있는 고무를 이용하여 일체되게 성형한 예를 보인 것으로,작은 원을 이룬 작은 밴드(10)와 큰 원을 이룬 큰 밴드(20)가 '8'자 형으로 연결되게 성형한 것이다.이때 두 밴드가 연결되는 부분(30)은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살두께를 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각 밴드의 크기에 대해 설명하면,작은 밴드(10)는 줄넘기의 손잡이에 팽팽하게 외삽될 수 있는 정도로 하며,큰 밴드(20)는 손잡이(40)와 줄(50)을 감아 정리한 줄넘기를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쌀 수 있을 정도로 한다.
그리고,상기 각 밴드의 폭은 달리할 수도 있는데,작은 밴드(10)의 폭은 다소 넓은 쪽이 안정감이 있을 것이나,큰 밴드(20)는 폭이 넓을 경우 줄넘기를 묶는 것이 오히려 불편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이점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면 된다.
도2에는 본 고안의 밴드를 일체되게 성형하지 않고,기 제작된 하나의 원형 밴드(200)의 일부분을 묶음으로써 크고 작은 두개의 원으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본 고안의 밴드를 만든 예를 보인 것이다.
이때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결착구(31)를 사용하는데,상기 결착구(31)는 고무줄이나 머리끈 등을 상호 연결할 때 많이 사용되는 압착 클립과 같은 것으로서,밴드의 일부를 조여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1과 도2의 실시예를 비교하면,도1과 같이 일체되게 제작할 경우 별도 의 성형틀을 제작하는 등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반면,줄넘기 손잡이의 형상이나 특징에 맞는 문양 등을 새겨넣어 외관상으로 안정된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도2에서와 같이 기 제작된 밴드(200)를 이용할 경우,별도의 형틀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 고안의 적용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결착구(31) 작업공정이 추가되며 또 외관상으로도 도1의 경우보다 못한 제품을 얻게 된다.
따라서,실제 작업비용이나 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두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적용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밴드의 설치 예를 도3에 보였다.
본 고안의 밴드는 작은 밴드(10)를 늘려 손잡이(40)에 외삽하여 임의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설치완료된다.줄넘기 손잡이(40)는 줄넘기마다 조금씩 다른 형태이긴 하나 대개 원통형의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은 밴드(10)는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그리고,사용자가 밴드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작은 밴드(10)를 늘여 이탈시키면 되는 것이다.
밴드 설치 후 줄넘기를 할 때,도4와 같이 큰 밴드(20)를 손목(60)에 감으면 어린이들이 줄넘기시 땀으로 인해 손이 미끄러질 경우에도 손잡이(40)를 놓치지 않으며,안정감 있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줄넘기가 끝난 후 줄넘기를 보관하고자 할 때의 사용예를 도5 및 도6에 도시하였다.
도5는 큰 밴드(20)를 이용하여 줄넘기의 손잡이와 줄을 함께 묶음한 예를 보인 것이다.이때 작은 밴드(10)는 손잡이(4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6은 줄넘기를 사용할 때에는 본 고안의 밴드(100)를 분리시켰다가 줄넘기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만 큰 밴드(20)로 줄넘기를 묶음한 예를 보인 것이다.이때 작은 밴드(10)는 고리 형태로 남게 되는데,이러한 경우에는 이를 벽이나 선반의 걸고리(70) 등에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밴드(100)는 한쪽 손잡이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양측 손잡이에 쌍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설치예를 보인 사시도
도4 내지 도6은 본 고안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에 인용된 부호의 설명*
10;작은 밴드 20;큰 밴드
30;밴드의 연결부분 31;결착구
40;손잡이 50;줄
60;손목 70;걸고리
100;본 고안의 밴드 200;기 제작된 원형밴드

Claims (1)

  1. 줄넘기를 보관하기 위한 묶음용 밴드에 있어서;
    크고 작은 두개의 원이 나란히 연결되어 '8'자 형태로 된 신축성 있는 재질의 밴드로서,작은 원을 이루는 작은 밴드(10)는 줄넘기 손잡이(40)에 팽팽하게 외삽될 수 있는 크기이며,큰 원을 이루는 큰 밴드(20)는 손잡이(40)와 줄(50)을 감아 정리한 줄넘기를 적어도 한바퀴 이상 묶음할 수 있는 크기인 특징이 있는,줄넘기 묶음용 밴드.
KR2020080008233U 2008-06-19 2008-06-19 줄넘기 묶음용 밴드 KR200450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33U KR200450093Y1 (ko) 2008-06-19 2008-06-19 줄넘기 묶음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33U KR200450093Y1 (ko) 2008-06-19 2008-06-19 줄넘기 묶음용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44U KR20090013144U (ko) 2009-12-30
KR200450093Y1 true KR200450093Y1 (ko) 2010-09-02

Family

ID=4447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233U KR200450093Y1 (ko) 2008-06-19 2008-06-19 줄넘기 묶음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06B1 (ko) * 2012-12-11 2013-11-29 최훈 줄 정리기능을 갖는 줄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64U (ja) 1984-07-04 1986-01-30 菊枝 中村 全身強化用なわとび
JPS6121565U (ja) 1984-07-11 1986-02-07 菊枝 中村 全身強化用なわとび
JPH03130149U (ko) * 1990-04-09 1991-12-26
KR200439594Y1 (ko) 2007-05-18 2008-04-21 이해석 줄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64U (ja) 1984-07-04 1986-01-30 菊枝 中村 全身強化用なわとび
JPS6121565U (ja) 1984-07-11 1986-02-07 菊枝 中村 全身強化用なわとび
JPH03130149U (ko) * 1990-04-09 1991-12-26
KR200439594Y1 (ko) 2007-05-18 2008-04-21 이해석 줄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44U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6712A3 (en) Cord organizer
US7174900B2 (en) Hair accessory utilizing a drawable member and a securing member
US20090100646A1 (en) Binding Belt
KR200450093Y1 (ko) 줄넘기 묶음용 밴드
KR200439594Y1 (ko) 줄넘기
JP3179397U (ja) ハンガー
KR20190000072U (ko) 메쉬망 고정밴드
KR200207785Y1 (ko) 굴양식용 종패 고정 클립
WO2005115184A3 (en) Clothing accessory
JP3060004U (ja) 髪飾り及びそれを用いた髪装飾具
KR200442015Y1 (ko) 줄넘기 묶음용 밴드의 설치구조
KR200345386Y1 (ko) 반지형 핸드폰 악세사리
KR101226448B1 (ko)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KR100500035B1 (ko) 핑거스트랩
CN204908987U (zh) 挂钩结构
KR200471785Y1 (ko) 머리끈 체결용 고정부재
WO2012115716A2 (en) Wound rope or cord support
KR200181062Y1 (ko) 장식용 헤어클립
KR200286483Y1 (ko) 헤어 리본과 머리묶음 링의 접합 결속구
CN206908669U (zh) 一种三段式手机保护外壳
JP3184455U (ja) 落下防止用安全ロープ
KR200341809Y1 (ko) 머리끈
AU2009248482A1 (en) Cable fastener
KR20040074143A (ko) 줄넘기 손잡이
JPH0754253Y2 (ja) 帯締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