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83Y1 - 캔 손잡이 덮개 - Google Patents

캔 손잡이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83Y1
KR200308183Y1 KR20-1999-0011661U KR19990011661U KR200308183Y1 KR 200308183 Y1 KR200308183 Y1 KR 200308183Y1 KR 19990011661 U KR19990011661 U KR 19990011661U KR 200308183 Y1 KR200308183 Y1 KR 200308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rface portion
guide
handle
ha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267U (ko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1999-0011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83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5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소정 용량의 캔 손잡이를 원텃치로 덮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캔 손잡이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캔 손잡이 덮개의 일측은 일정 각도로 개구되고, 상하부 표면에는 횡축 길이로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표면부의 안측 일단에는 체결축 및 체결후크로 이루어진 체결부가 형성되고, 하부 표면부의 안측 일단에는 상기 체결부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척 및 체결홈으로 이루어진 조임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표면부의 안측 타단 중앙부에는 단면이 반호 형상인 제 1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표면부의 안측 타단 중앙부에는 단면이 반호 형상인 제 2 가이드가 상기 제 1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또는 상기 제 2 가이드의 안측에는 지지대가 횡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서 외관이 미려하게 개선된다. 캔 손잡이 덮개의 내부에는 다수의 지지부재가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분리형 철심 캔 손잡이에 조립될 경우 과다한 캔의 무게에 의한 휨상태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캔 손잡이 덮개{CARRIER HANDLE FOR A CAN}
본 고안은 캔 손잡이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용량의 캔 손잡이를 원텃치로 덮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캔 손잡이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손잡이는 철심으로 이루어져, 휴대시에는 손바닥의 특정 부위에 많은 압박이 가해진다. 이는 철심의 표면적이 작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철심에 커버를 장착하여 휴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캔 손잡이 덮개가 시중에 배포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캔 손잡이 덮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캔 손잡이 덮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2b는 도 1의 캔 손잡이 덮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소정 용량의 캔(10)에 있어서, 상기 캔(10)의 몸체(15)를 중심으로 하측부에 마개로 사용되는 하부덮개(13)와, 분리 가능한 상부덮개(17)와, 상기 상부덮개(17)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반호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철심 캔 손잡이(19) 및 상기 철심 캔 손잡이 (19)를 덮기 위한 캔 손잡이 덮개(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심 캔 손잡이(19)는 일체형으로 굴곡시킬 수 있지만, 상기 캔 손잡이 덮개(11)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중앙부를 단절시킴을 일예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캔(10)을 휴대할 경우 캔 손잡이 덮개(11)를 사용한다. 이는 손 바닥으로 전달되는 캔(10) 하중을 분산시켜 휴대의 용이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캔 손잡이 덮개(11)는 철심 캔 손잡이(19)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캔 손잡이 덮개(11)는 캔(10)과 더불어 제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생산공정을 거쳐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캔 손잡이 덮개(11)는 생산단가가 저렴하도록 폐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데,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제조 방법과 그 형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2b는 종래 캔 손잡이 덮개를 서로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써, 먼저 도 2a는 반호형상의 단면과 소정 길이를 갖으며, 반호 표면에 굴곡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으로 상기 철심 캔 손잡이(19)의 유동이 가능토록 철심 가이드 (23)를 구비한 상측덮개(11a) 및 하측덮개(11b)로 분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캔 손잡이 덮개(11)는 철심 가이드(23)를 중심으로 한 양측면으로 초음파 접촉부(21)를 형성시키는데, 이는 상기 상측덮개(11a) 및 하측덮개(11b)를 상호 밀착시켜 초음파에 의한 부착을 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캔 손잡이 덮개(11)가 완성이 되면, 캔 손잡이 덮개(11)의 철심가이드(23) 양측 구멍으로 철심 캔 손잡이(19)의 각 일단을 인입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캔 손잡이 덮개(11)의 일예는 다수의 초음파 접착을 해야하는데, 이러한 초음파 접착을 간소화 시키기 위한 도 2b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측덮개(11a)와 하측덮개(11b)의 일측 선은 접힘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접힘부(25)는 생산공정시 강압적으로 일정 선을 압착한 것으로, 조립 완료시 초음파 공정을 감축한다. 이와 같은 캔 손잡이 덮개도 마찬가지로, 일체화된 상측덮개 (11a) 및 하측덮개(11b)를 상기 접힘부(25)를 통해 반으로 접은 후, 초음파에 의해 접합한다. 따라서 이러한 초음파 접촉부(21)는 철심가이드(23)를 중심으로 한 일측면부에만 형성된다.
상기 상측덮개(11a) 및 하측덮개(11b)의 조립완료시에도 마찬가지로 철심 캔 손잡이(19)의 두 개 일측단은 철심가이드(23)의 양측 구멍을 통해 인입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분리형 캔 손잡이 덮개는 상측덮개 및 하측덮개의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가 야기되며, 또한 구조의 형성이 단순화되어 있어 상기 철심 캔 손잡이와의 체결시 캔의 하중이 과다할 경우 캔 손잡이 덮개 자체에 휨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휨현상은 캔 손잡이 덮개의 양측 구멍으로 인입됨 철심 캔 손잡이의 각 일측단이 이탈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캔 손잡이 덮개는 초음파 작업이 단순한 반면, 초음파 작업을 단순화 시키기 위한 접힘부를 단순 공정에 의해 압출함에 따라, 반복 사용시 상측덮개 및 하측덮개의 잦은 유동으로 인한 절단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휨 현상을 방지토록 하고, 조립의 용이성과 더불어 반복 사용이 가능토록 할 뿐만 아니라, 금형 설계상 부득이한 외관의 미려함을 해치지 않도록 한 캔 손잡이 덮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점에 따른 캔 손잡이 덮개는, 일정 각도로 일측이 개구되고 횡축 길이로 굴곡이 형성된 상,하부 표면부와, 상기 상부 표면부의 안측 일단에 체결축 및 체결후크로 이루어진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표면부의 안측 일단에는 상기 체결부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척 및 체결홈으로 이루어진 조임부가 형성된 캔 손잡이 덮개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부의 안측 타단 중앙부에 단면이 반호 형상인 제 1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와 대향되도록 상기 하부 표면부의 안측 타단 중앙부에는 단면이 반호 형상인 제 2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또는 상기 제 2 가이드의 안측에서 횡축을 따라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캔 손잡이 덮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2b는 종래 캔 손잡이 덮개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캔 손잡이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캔 손잡이 덮개 33a,33b : 상,하부 표면부
35 : 제 1 가이드 37 : 제 2 가이드
39 : 체결홈 41 : 체결축
43 : 지지대 45 : 조임부
49 : 체결후크 53 : 체결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캔 손잡이 덮개(30)는 탄성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소정의 횡축 길이로 굴곡이 형성된 상부표면부(33a) 및 하부표면부(33b)와, 상부 표면부(33a)의 안측 일단 중앙부에 형성된 제 1 가이드(35)와, 그리고 제 1 가이드(35)에 대향되도록 하부 표면부(33b)의 안측 타단 중앙부에 형성된 제 2 가이드(37)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가이드(35)와 제 2 가이드(37)는 철심 캔 손잡이의 유입 또는 인입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반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상기 상부 표면부(33a)와 상기 하부 표면부(33b)는 상부 표면부(33a)의 일측과 하부 표면부(33b)의 일측이 만곡되어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표면부(33a)의 타측과 하부 표면부(33b)의 타측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다. 그 결과, 캔 손잡이 덮개(30)는 일측이 일정각도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한편, 상부 표면부(33a)의 안측에서 상기 제 1 가이드(35)의 바깥쪽에는 체결부(53)가 하부 표면부(33b)의 안측을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 체결부(53)는 서로 이격된 상부 표면부(33a)의 타측과 하부 표면부(33b)의 타측을 가압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축(47) 및 체결후크(49)로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후크(49)는 상부 표면부(33a)와 하부 표면부(33b)의 체결시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또한, 상부 표면부(33a)의 안측에서 제 1 가이드(35)의 안쪽 위치에는 캔 손잡이 덮개(30)의 조립시 휨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43)가 하부 표면부(33b)의 안측을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한편, 하부 표면부(33b)의 안측에서 제 2 가이드(37)의 바깥쪽에는 조임부(45)가 형성된다. 조임부(45)는 서로 이격된 상부 표면부(33a)의 타측과 하부 표면부(33b)의 타측을 가압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척(41) 및 체결홈(39)으로 이루어진다.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이 개구되고 소정 횡축 길이를 갖는 캔 손잡이 덮개(30)는 사출된 원형으로서, 재질 고유의 탄성을 갖고 체결된다. 이러한 탄성은 체결부(53)와 조임부(45)의 잦은 체결 및 해체에 있어서 균열이나, 주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탄성은 소정 폭의 개구를 형성하기 때문에, 철심 캔 손잡이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재질의 특성과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철심 캔 손잡이를 개구측으로 유입시킨 후, 원 텃치에 의해 캔 손잡이 덮개(30)를 체결한다. 이 때, 상기 체결부(53)의 체결축(47)은 조임부(45)의 체결척(41)의 안측으로 안내되며, 소정치 이상의 가압시에는 상기 체결후크(49)가 체결홈(39)으로 안착된다. 상기 체결후크(49)는 체결축 (47)의 두께 보다 크기 때문에, 체결홈(39)으로 안내된 체결후크(49)는 체결척(41)에 의해 자연 인출이 어렵게 된다.
즉, 체결후크(49)가 가압상태에서 상기 체결홈(39)으로 안내될 때는 상기 체결척(41)을 외향으로 인장시켜 인입되며, 상기 체결후크(49)가 완전히 인입될 때 상기 체결척(41)은 재질의 특성상 원상복귀됨에 따라 상기 체결후크(49)를 감싸게 되어 자연 인출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상태의 단면도와 같이, 체결후크(49)가 체결척(41)에 의해 안착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캔 손잡이 덮개(30)의 외관이 대칭적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한 대칭적 구조는 체결후크(49)가 캔 손잡이 덮개(30)의 상,하부 표면부(33a)(33b)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이며, 이는 외관의 미려함을 부각시키게 된다.
또한, 캔 손잡이 덮개(30)의 체결상태는 상기 제 1 가이드(35) 및 제 2 가이드(37)가 맞물려 소정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구멍(51)을 형성한다. 상기 원통형 구조는 제 1 가이드(35) 와 제 2 가이드(37)에 의해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으로는 캔 손잡이 덮개(30)의 골재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골재는 상기 지지대(4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 (53)와 더불어 캔 손잡이 덮개(30) 내부의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캔 손잡이 덮개(30)의 체결 완료시에는 상기 제 1 가이드(35) 및 제 2 가이드(37)로부터 형성된 원통형 구멍(51)으로 철심 캔 손잡이가 인입된다. 물론 철심 캔 손잡이를 인입시킨 후 캔 손잡이 덮개(30)를 조립하여도 무관하며, 상기 철심 캔 손잡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철심 캔 손잡이를 인입후 캔 손잡이 덮개를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캔 손잡이 덮개(30)가 조립되면, 상기 철심 캔 손잡이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로부터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캔 손잡이 덮개 (30) 내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부재 즉, 제 1 가이드(35) 및 제 2 가이드(37), 체결부(53) 및 지지대(43)에 의해 휨상태를 억제한다. 만약, 상기 철심 캔 손잡이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면, 철심 캔 손잡이의 양측단은 캔 손잡이 덮개(30)의 양측 구멍(51) 내부로 일부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캔의 하중이 클 경우 캔 손잡이 덮개(30)의 양 끝단에 하중이 실려 캔 손잡이 덮개(30)가 휘어질 수 있지만,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양 끝단의 하중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저항력은 캔 손잡이 덮개(30)의 휨상태를 방지하며, 이로부터 휨상태로 인한 철심 캔 손잡이가 캔 손잡이 덮개(30)의 양측 구멍(51)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은, 일정 각도로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부터 소정의 탄성이 갖도록 하여, 인위적인 접힘부를 형성하지 않아 잦은 사용시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체결부가 체결홈 내측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캔 손잡이 덮개의 내부가 다수의 지지부재를 형성하고 있어 분리형 철심 캔 손잡이에 조립될 경우 과다한 캔의 무게에 의한 휨상태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소정의 횡축 길이로 굴곡이 형성된 상부 표면부(33a) 및 하부 표면부(33b)를 포함하며, 체결축(47) 및 체결후크(49)로 이루어진 체결부(53)가 상기 상부 표면부(33a)의 안측에 형성되고, 체결척(41) 및 체결홈(39)으로 이루어진 조임부(45)가 상기 하부 표면부(33b)의 안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표면부(33a)의 안측에는 지지대(43)가 종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 캔 손잡이 덮개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부(33a)와 상기 하부 표면부(33b)는 상기 상부 표면부(33a)의 일측과 상기 하부 표면부(33b)의 일측이 만곡되어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표면부(33a)의 타측과 상기 하부 표면부(33b)의 타측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고, 이에 의해 상기 캔 손잡이 덮개(30)는 일측이 일정각도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표면부(33a)의 안측 일단 중앙부에는 단면이 반호형상인 제 1 가이드(35)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표면부(33b)의 안측 타단 중앙부에는 상기 제 1 가이드(35)와 대향되도록 단면이 반호 형상인 제 2 가이드(37)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축(47) 및 상기 체결후크(49)는 상기 상부 표면부(33a)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하부 표면부(33b)의 상기 일측을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체결척(41) 및 체결홈(39)은 상기 하부 표면부(33b)의 상기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손잡이 덮개.
KR20-1999-0011661U 1999-06-28 1999-06-28 캔 손잡이 덮개 KR200308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661U KR200308183Y1 (ko) 1999-06-28 1999-06-28 캔 손잡이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661U KR200308183Y1 (ko) 1999-06-28 1999-06-28 캔 손잡이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267U KR20010001267U (ko) 2001-01-15
KR200308183Y1 true KR200308183Y1 (ko) 2003-03-26

Family

ID=4933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661U KR200308183Y1 (ko) 1999-06-28 1999-06-28 캔 손잡이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267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19837S1 (en) Two piece screw cap closure
US20030038209A1 (en) Cable storage
USD527989S1 (en) Touch fastener element
KR200308183Y1 (ko) 캔 손잡이 덮개
USD454993S1 (en) Pet toy
US5472006A (en) Structure four-section umbrella framework with attachable flexible frame member
US4713860A (en) Handle assembly
US20020124342A1 (en) Cleaning brush
KR200320873Y1 (ko) 혁대용 버클
USD464848S1 (en) Utility lighter
KR100500035B1 (ko) 핑거스트랩
USD453619S1 (en) Shoelace
USD473262S1 (en) Core assembly for a printer
JP2000002332A5 (ko)
USD458734S1 (en) Mane and cap assembly
JP4469582B2 (ja) クリップ取付構造
KR200367879Y1 (ko) 장식물 회전이 가능한 열쇠고리
KR200230661Y1 (ko) 훌라후프의 자석 조립구조
USD453617S1 (en) Shoelace
KR100342906B1 (ko) 호스 클램프
USD424870S (en) Handle with hook
JPH09301403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239006Y1 (ko) 조리용 뜰채
KR200393885Y1 (ko) 다용도 연결고리
JPH01308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